KR19980060650U -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650U
KR19980060650U KR2019970004750U KR19970004750U KR19980060650U KR 19980060650 U KR19980060650 U KR 19980060650U KR 2019970004750 U KR2019970004750 U KR 2019970004750U KR 19970004750 U KR19970004750 U KR 19970004750U KR 19980060650 U KR19980060650 U KR 199800606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dor
water
air outle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호
Original Assignee
심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호 filed Critical 심재호
Priority to KR2019970004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650U/ko
Publication of KR19980060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650U/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세식 양변기의 물탱크내에 설치되어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 상면과 시트 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전기적인 온 오프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시트스위치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에 사용자가 앉아 시트스위치가 온되면 팬이 구동되는 동시에 공기배출구를 차단하고 있던 차단판을 상승시켜 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악취를 배기통로로 강제 배출시키게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와 팬이 온된 상태에서 핸들레버를 당기면 플랩스위치가 오프되므로 팬 및 솔레노이드를 오프시키는 동시에 차단판으로 하여금 공기배출구를 차단하여 배설물을 배출통로로 배출 가능하게 오픈되는 플랩을 마련한 후, 상기 솔레노이드의 온 오프동작에 의해 공기배출구의 개방/차단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악취 및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본 고안은 수세식 양변기의 물탱크내에 설치되어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솔레노이드의 전기적인 온, 오프동작에 의해 공기배출구의 개방/차단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악취 및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가정 또는 건물에서 사용하는 변기는 재래식을 탈피하여 수세식 양변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변기는 크게 물을 일정량 보관하는 물탱크가 형성되고, 이 물탱크내에 충진된 물이 배설물과 함께 배출되도록 집수실을 가지는 양변기가 마련되며, 이 양변기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악취 배출장치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보기 때문에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별도의 악취 배출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변중 발생되는 배설물에 의해 심한 악취가 발생되고, 용변후에도 악취가 화장실 내에 거주하게 되어 다음 사용자에게 많은 불쾌감을 주어 비위생적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감안하여 용변시나 용변후 사용자의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악취 배출장치를 가지는 양변기가 안출된 바 있다.
종래 양변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전방에 집수실이 형성된 상태에서 후방에는 물이 통하여 급수통로로 형성되고 이 급수통로를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배출관으로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양변기와,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급수통로로 유입된 악취를 배출관으로 배기시키는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와 급수통로에 양단부가 연통되게 물탱크내에 설치되는 연통파이프와, 상기 연통파이프 일단에 위치하여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물을 급수시키는 플랩(flap)과, 상기 연통파이프 타단에 설치되어 배기통로의 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강제로 악취를 배기시키는 악취 배출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에 설치되어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 배출장치는 여러가지가 안출된 바 있으나 대부분 전기적으로 작동하면서 악취를 흡입하여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팬과, 수압에 의해 공기배출구를 차단하여 물과 함께 배설물을 배출시키고, 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게 동기를 부여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악취 배출장치는 용변시, 용변후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단수가 되었을 경우, 플랩을 작동시켜서 물탱크내 물을 배출시킬 경우, 수압이 약한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 또는 물에 모래같은 이물질이 섞여 나올 경우에는 제반 문제점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즉, 1) 단수가 되었을 경우에는;
수압에 의해 작용하는 악취 배출장치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공기배출구가 열려 있는 상태로 있어 물을 물탱크내에 부어도 사이폰(syphon)이 형성되지 않아(공기가 새는 현상) 배설물을 배출시키지 못하였다.
2) 플랩을 작동시켜서 물탱크내 물을 배출시킬 경우에는;
첫째,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되면 일반 양변기와 동일한 작용을 하나,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팬이 작동하지 않아 악취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였다.
둘째, 전원이 온 상태에서 플랩이 오픈(open)/클로스(closs)되는 시간 약 3~4초 동안은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되야 하는데 전원이 온 상태가 되어 전기적 기계적인 손실이 발생하였다.
셋째, 플랩이 클로스된 이후 물이 지정 수위면까지 공급되는 2-3분 동안은 공기배출구가 차단된 상태로 있어 팬이 작동하여도 악취를 배출시키지 못하고, 물이 지정 수위면까지 공급된 이후에야 비로서 공기배출구가 개방되어 악취를 배출시키기 때문에 악취 배출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3) 수압이 약한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공기배출구를 차단하는 피스톤에 가해지는 수압이 약하게 되면 피스톤을 밀어주지 못하기 때문에 공기배출구가 차단되지 않아(사이폰이 형성되지 않음) 배설물이 배출되지 못하였다.
4) 물에 모래같은 이물질이 섞여 나올 경우에는;
물의 수압으로 피스톤을 움직여서 공기배출구를 차단하는 과정에서 피스톤 주변에 모래같은 이물질이 침투함에 따라 오작동되어 공기배출구가 차단되지 못하여 배설물이 배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양질의 물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필터를 마련해야 하는 관계로 생산원가가, 상승되고, 수시로 교체를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특히 신규 건물에는 물에 모래같은 이물질이 다량 발생하여 이를 설치하기에는 많은 제약과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 악취 배출장치는 공기배출구를 차단하는 기능이 제반 문제점들에 의해 크게 저하되어 근본적으로 악취를 제거하지 못할 뿐 아니라, 사이폰이 형성되지 않아 배설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소비자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변기를 사용시 솔레노이드의 온, 오프동작에 의해 공기배출구의 개방/차단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악취 및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가)는 공기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이고,
(나)는 공기배출구가 차단된 상태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장치의 회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양변기110 : 집수실
120 : 급수통로130 : 배출통로
140 : 배기통로141 : 공기배출구
150 : 배출관200 : 시트
300 : 물탱크310 : 핸들레버
330 : 플랩331 : 플랩스위치
400 : 연통파이프500 : 악취 배출수단
510 : 솔레노이드520 : 차단판
530 : 모터540 : 팬
600 : 시트스위치610 : 버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전방에 집수실이 형성된 상태에서 후방에는 물이 통하는 급수통로가 형성되고 이 급수통로를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배출관으로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양변기와,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급수통로로 유입된 악취를 배출관으로 배기시키는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와 급수통로에 양단부가 연통되게 물탱크내에 설치되는 연통파이프와, 상기 연통파이프 일단에 위치하여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물을 급수시키는 플랩과, 상기 연통파이프 타단에 설치되어 배기통로의 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강제로 악취를 배기시키는 악취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상면과 시트 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전기적인 온 오프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시트스위치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에 사용자가 앉아 시트스위치가 온되면 팬이 구동되는 동시에 공기배출구를 차단하고 있던 차단판을 상승시켜 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악취를 배기통로로 강제 배출시키게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와 팬이 온된 상태에서 핸들레버를 당기면 플랩스위치가 오프되어 팬 및 솔레노이드를 오프시키는 동시에 차단판으로 하여금 공기배출구를 차단하여 배설물을 배출통로로 배출 가능하게 오픈되는 플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측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수단이 물탱크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공기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이고, (나)는 공기배출구가 차단된 상태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배출수단의 회로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급수통로(120)와 배기통로(140)가 연통되도록 물탱크(300)내에 양단부가 설치되는 연통파이프(400)와, 상기 연통파이프(400)의 일단에 설치되어 물을 급수시키는 플랩(330)과, 상기 연통파이프(400)의 타단에 설치되어 악취를 강제 배기시키는 악취 배출수단(500)과, 상기 악취 배출수단(500)을 온, 오프시키는 시트스위치(600) 및 플랩스위치(331)를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시트스위치(600)는 양변기(100) 상면과 시트(200) 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전기적인 온, 오프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양변기(100) 상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시트스위치(600) 몸체가 삽입 고정되면서 버튼(610)이 상부로 약간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시트(200)에 사용자가 앉으면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시트스위치(600)가 자동으로 온, 일어나면 오프될 수 있게 한다.
악취 배출수단(500)은 기본적으로 시트스위치(600)가 오프 상태이면 공기배출구(141)를 차단하여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있게 하고, 온 상태이면 공기배출구(141)를 개방하여 악취를 배출시키는 작용을 동시에 하는 팬(540)과 솔레노이드(510)로 나뉘어지며, 이러한 팬(540)과 솔레노이드(510)는 연통파이프(400)의 타단이 결합되는 공기배출구(141)측에 설치된다.
상기 팬(540)은 모터(530)와 연결된 상태에서 시트스위치(600)가 오프 상태이면 전원이 차단되어 구동되지 않고, 온 상태이면 구동되어 양변기(100)에 거주하는 악취를 강제 흡입하여 급수통로(120), 연통파이프(400) 및 배기통로(140)를 차례로 거쳐 배출관(15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510)는 공기배출구(141)와 팬(330)의 중간에 위치하고 하단에 상하 왕복운동하는 차단판(520)이 형성되어, 시트스위치(600)가 오프 상태이면 공기배출구(141)를 차단판(520)이 긴밀하게 차단하여 사이폰을 형성하여 물이 배설물과 함께 배출관(150)으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고, 온 상태이면 공기배출구(141)를 개방하여 용변중 악취가 팬(540)에 의해 배기통로(14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플랩(330)은 급수통로(120)에 일단이 연통된 연통파이프(400)의 하단에 형성되어 물탱크(300)내에 충진된 물이 급수통로(1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핸들레버(310)에 연결되어 오픈/클로스되는데, 이때 플랩(330)의 한쪽에 플랩스위치(331)를 마련하여 플랩이 오픈되면 플랩스위치(331)가 오프되어 팬(540)과 솔레노이드(510)를 '오프시켜 물이 급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변기(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시트스위치(600)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악취 배출수단(500)이 오프상태가 되어 팬(540)은 구동되지 않고, 솔레노이드(510)의 차단판(520)은 공기배출구(141)를 차단하여 막혀 있으며 물이 공급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있고, 플랩(330)은 클로스되어 플랩스위치(331)가 온된 상태로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변기(100)의 시트(200)에 앉으면 도 2 의 (가)와 같이 사용자의 앉는 무게에 의해 버튼(610)이 눌러져 시트스위치(6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온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악취 배출수단(500)에 전원이 인가되어 온되면서 공기배출구(141)를 차단하고 있던 솔레노이드(510)의 차단판(520)이 상승하여 상기 공기배출구(141)를 개방시키는 동시에 팬(540)이 구동하여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급수통로(120), 연통파이프(400), 공기배출구(141) 및 배기통로(140)를 차례로 거쳐 배출관(150)으로 강제 배출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도 2 의 (나)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시트(200)에서 일어서면 시트스위치(600)가 오프됨에 따라 팬(540)과 솔레노이드(510)의 전원이 차단되어 팬(540)은 구동되지 않고 솔레노이드(510)의 차단판(520)은 공기배출구(141)를 차단하여 클로스 상태가 된다(이때 상태는 처음 사용자가 시트에 앉기 전의 상태이다.).
따라서 플랩(330)을 오픈시키면 보통 일반 양변기와 같이 물탱크(300)내에 충진된 물은 급수통로(120)로 급수되면서 배설물과 함께 배출통로(130)를 따라 배출관(150)으로 배출되면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플랩(330)은 자동으로 클로스되면서 플랩스위치는 온 상태로 되고 물은 물탱크(300)내에 다시 급수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시트(200)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핸들레버(320)를 작동하여 플랩(330)을 오픈시키면, 이 플랩(330)의 오픈 동작에 의해 플랩스위치(331)가 오프되기 때문에 도 2 의 (나)와 같이 악취 배출수단(500)에 전원이 차단되어 팬(330)은 구동되지 않고 솔레노이드(510)의 차단판(520)은 공기배출구(141)를 다시 차단하기 때문에 사이펀 상태가 되어 물이 배설물과 함께 배출관(150)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플랩(330)은 클로스되면서 플랩스위치(331)는 온 상태가 된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핸들레버(310)측에 플랩스위치(331) 대신 별도의 타이머 플랩스위치(320)를 부착하여 플랩(330)이 오픈된 이후 시간부터 클로스되는 시간을 3~4초로 셋팅한 후, 이 타이머 플랩스위치(320)에 의해 플랩(330)의 오픈/클로스 동작이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공기배출구(141)가 정확한 시간동안 온, 오프되면서 개방/차단되어 악취를 배출하거나 물이 배설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 시트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팬 및 솔레노이드도 온되면서 용변중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고, 플랩을 오픈시키면 팬 및 솔레노이드의 차단판이 작동하여 공기배출구를 차단하여 물이 배설물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 수압에 의해 공기배출구를 차단하는 피스톤에 비하여 전기적인 온, 오프작동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한 공기배출구가 정확하게 개방/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방에 집수실이 형성된 상태에서 후방에는 물이 통하는 급수통로가 형성되고 이 급수통로를 통해 급수된 물과 함께 배출관으로 배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통로가 형성된 양변기와,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급수통로로 유입된 악취를 배출관으로 배기시키는 배기통로와, 상기 배기통로와 급수통로에 양단부가 연통되게 물탱크내에 설치되는 연통파이프와, 상기 연통파이프 일단에 위치하여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물을 급수시키는 플랩과, 상기 연통파이프 타단에 설치되어 배기통로의 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강제로 악취를 배기시키는 악취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상면과 시트 저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전기적인 온, 오프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시트스위치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에 사용자가 앉아 시트스위치가 온되면 팬이 구동되는 동시에 공기배출구를 차단하고 있던 차단판을 상승시켜 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악취를 배기통로로 강제 배출시키게 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와 팬이 온된 상태에서 핸들레버를 당기면 플랩스위치가 오프되어 팬 및 솔레노이드를 오프시키는 동시에 차단판으로 하여금 공기배출구를 차단하여 배설물을 배출통로로 배출 가능하게 오픈되는 플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KR2019970004750U 1997-03-14 1997-03-14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KR199800606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750U KR19980060650U (ko) 1997-03-14 1997-03-14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750U KR19980060650U (ko) 1997-03-14 1997-03-14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650U true KR19980060650U (ko) 1998-11-05

Family

ID=6968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750U KR19980060650U (ko) 1997-03-14 1997-03-14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65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973A (ko) * 2018-05-18 2019-11-27 양병철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2251978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973A (ko) * 2018-05-18 2019-11-27 양병철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102251978B1 (ko) * 2020-09-08 2021-05-13 김유성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1959A (en) Non-polluting toilet system
US3902203A (en) Toilet stool ventilating means
US3913150A (en) Toilet stool ventilating means
CN104093918A (zh) 节水坐便器
US5539938A (en) Water closet
JP4064994B2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
KR19980060650U (ko)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KR101180097B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JP2000001891A (ja) 固液分離洗浄水循環便器
JP2007092493A (ja) トイレ消臭芳香装置
JPH0557080U (ja) サイホン便器の排気機構
KR20010102643A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H08270042A (ja) 真空式トイレ装置
JP2000139770A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及びバキューム式トイレ用便器
JPH03119228A (ja) 簡易水洗便器におけるフラップ弁開閉機構
JP2001323537A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KR200170355Y1 (ko)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TW200823338A (en) Circulating flush toilet for men
US20060143810A1 (en) Sanitary device for urinal and toilet flush system
JP2003138624A (ja) 脱臭カートリッジの設置構造
KR200175278Y1 (ko) 진공흡입식 변기장치
KR100440648B1 (ko) 탈취가 가능한 절수 장치
JP2000139769A (ja) バキューム装置等の吸込管切り換え構造及びバキューム式トイレ
JPH0464631A (ja) 温水洗浄器
JPS59177435A (ja) 水洗便所における臭気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