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355Y1 -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355Y1
KR200170355Y1 KR2019970031883U KR19970031883U KR200170355Y1 KR 200170355 Y1 KR200170355 Y1 KR 200170355Y1 KR 2019970031883 U KR2019970031883 U KR 2019970031883U KR 19970031883 U KR19970031883 U KR 19970031883U KR 200170355 Y1 KR200170355 Y1 KR 2001703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grance
water tank
water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611U (ko
Inventor
한성호
한관호
Original Assignee
한성호
한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호, 한관호 filed Critical 한성호
Priority to KR2019970031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35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3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7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by diffusing deodorants in lavat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향으로 악취를 상쇄시키는 통상의 스프레이 형태의 방향제를 화장실에 필수적으로 구비된 변기 수조의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방향제가 주입된 스프레이용기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상측에 와이어의 견인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로울러와 이의 회전력을 다수의 기어열을 통해 전달하여 큰 감속비로 하강되는 누름기어를 부설하여 스프레이용기의 누름버튼을 누르는 작용을 하게되고, 상기 하우징을 변기 수조의 측방 또는 전방에 설치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의 단부에 물의 흡입·배출이 가능한 통공을 갖는 플로우트 또는 수조의 물을 배출시키는 레버 등의 견인수단을 연결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본 고안은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향으로 악취를 상쇄시키는 통상의 스프레이 형태의 방향제를 화장실에 필수적으로 구비된 변기 수조의 수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문화의 변화와 더불어 대부분의 건축물에는 실내에 화장실이 위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화장실은 밀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통기가 제대로 되지않으면서 악취를 유발하게 되어 통상적으로 화장실에 방향제를 비치하여 악취를 제거하였다.
상기 방향제는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나, 필요시에 한하여 분사할 수 있게한 소위 스프레이(spray)식 방향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프레이식 방향제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사용함으로써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일시적으로 방향제의 사용을 잊게되는 사례가 허다하여 악취제거가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타이머(2)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모터(3)를 구동시켜 이에 의해 연동되는 기어열(4)을 통해서 상기 스프레이식 방향제를 일정주기로 분사시키는 자동 분사장치(1)(도 1 및 도 2참조)가 등장한 바 있으나, 밀폐된 공간에서 일정주기(약 5분 내지 10분)로 방향제를 분사할 때 향이 과도하게 되면서 오히려 또다른 형태의 악취를 유발하게 되었고, 타이머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가 과중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스프레이식 방향제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변기를 세척하기 위해 구비된 수조의 수위변화가 발생될 때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향제가 주입된 스프레이용기가 장착되는 하우징의 상측에 와이어의 견인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로울러와 이의 회전력을 다수의 기어열을 통해 전달하여 큰 감속비로 하강되는 누름기어를 부설하여 스프레이용기의 누름버튼을 누르는 작용을 하게되고, 상기 하우징을 변기 수조의 측방 또는 전방에 설치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의 단부에 물의 흡입·배출이 가능한 통공을 갖는 플로우트 또는 수조의 물을 배출시키는 레버 등의 견인수단을 연결함에 따라, 상기 수조의 물을 배출시킬 때 와이어의 당김을 유발하여 이에 의해 구동로울러를 구동되게 하면서 기어열을 통해 누름기어를 큰 감속비로 하강시켜 방향제를 분사시킬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방향제 분사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방향제 분사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4a 및 4b는 상기 분사기의 구동전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중 플로우트에 형성된 통공의 개폐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구동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발췌도,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방향제 분사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20 : 와이어
30 : 구동로울러 30' : 홈
40 : 누름기어 41 : 힌지축
50 : 수조 51 : 작동간
52 : 급수밸브 53 : 플로우트지지대
54 : 부력체 60 : 플로우트
61 : 통공 62 : 덮개
70 : 모터 71 : 구동기어
72 : 작동구 73 : 힌지
74 : 스위치 80 : 유도편
90 : 작동레버 91 : 힌지
이하, 본 고안의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고, 도 4a 및 4b는 상기 분사기의 구동전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로서, 통상의 스프레이용기(S)가 장착되는 하우징(10)의 내측 상부에 와이어(20)의 견인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로울러(30)가 설치되고, 이 구동로울러(30)의 동일축에 소형기어(31)가 접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가 구비된 기어열(32)을 통해 힌지축(41)을 기점으로 곡면을 그리며 일정 궤도내에서 승강되는 누름기어(40)에 이맞물림되고, 이 누름기어(40)의 하단부위는 스프레이용기(S)의 상단에 구비된 누름버튼(B)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20)는 구동로울러(30)에 형성된 홈(30')에 감겨진 상태에서 그 일단을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게 하여 이에 견인작용을 하는 견인수단이 연결되어 있다.
견인수단은, 수조(50)내의 물을 배출시키는 동작과 수위변화에 따라 와이어(20)를 잡아당기면서 구동로울러(30)의 홈(30')에 감겨져있는 부분을 풀리게 함으로써 구동로울러(30)를 회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견인수단은 수조(50)에 수용된 물의 흡입·배출이 가능한 통공을 갖는 플로우트(6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로우트(60)는 통공(61)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중량이 작용하게 되어 수조(50)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때 와이에(20)에 견인력을 가하게 되어 구동 로울러(30)를 동작시킴으로써 누름기어(40)에 의해 스프레이용기(S)의 누름버튼(B)를 누르는 작용을 하고, 이어서 플로우트(60)속의 물이 통공(61)을 통해 점차적으로 배출되면, 물이 배출된 무게 만큼 플로우트(60)의 중량이 가벼워지면서 스프레이용기(S)의 누름버튼(B)에 장착된 탄성스프링(도시않음)의 복원력을 받게되면서 플로우트가 상승되어 분사가 멈춰지게 되며, 수조에 물이 재공급될 때 다시 통공(61)을 통해 플로우트(60)에 물이 유입됨으로써 준비상태가 된다.
도 5a 및 5b는 상기 플로우트를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20)의 외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플로우트(60)는 수조(50)의 물이 유입 및 유출되게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1)의 일부분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덮개(6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덮개(62)의 작용에 의해 통공(61)을 개방 또는 밀폐시킴으로써 플로우트내의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플로우트에 의한 견인작용시 시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구동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동기어(71)가 접합된 모터(70)를 설치하되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작용을 하는 와이어(20)의 단부에 힌지(73)를 기점으로 동작되는 작동구(72)가 연결되고, 이 작동구의 궤도상에 상기 모터(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74)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조(50)의 물을 배출시켜 와이어(20)에 견인력이 작용되는 순간 작동구(72)의 작용에 의해 스위치(74)가 접점되면서 모터(70)가 구동되고 그 구동기어(71)와 기어열(32)을 통해 누름기어(40)가 하향으로 동작되면서 스프레이용기(S)의 누름버튼(B)을 누르게 되어 방향제를 분사시키게 된다.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견인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20)의 단부를 변기의 수조(50)내에 위치하게 부설된 유도편(80)을 통해 수조(50)의 물을 배출시킬 때 동작되는 작동간(51)에 연결하여 이 작동간의 동작에 의해 와이어(20)를 견인되게 함에 따라 상기 구동로울러(30)를 구동시켜 방향제를 분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20)의 외측단부를 수조(50)의 급수밸브(52)를 개폐되게 설치된 플로우트지지대(53)에 연결하는 것과, 상기 와이어(20)의 외측단부를 수조(50)의 부력과 자중에 의해 부침되는 전용의 부력체(54)인 경우도 상기와 같은 분사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동작을 하는 와이어(20)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힌지(91)를 기점으로 요동되어 일단이 스프레이용기(S)의 누름버튼(B)을 가압하는 작동레버(90)의 타단에 연결한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스프레이용기(S)가 장착된 하우징(10)을 변기 수조(50)의 측방 또는 전방위치에 간단하게 걸어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20)의 단부는 수조(50)의 내부에 설치하게 될 견인수단에 연결하여 수조에 수용된 수위와 수압변화 및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동작이 발생될 때 스프레이용기에 주입되어 있는 방향제를 분사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필요시에 한하여 자동으로 방향제를 분사시킴에 따라 분사시기를 놓치지 않음은 물론 안전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제 분사기의 설치방법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Claims (7)

  1. 방향제를 주입한 스프레이용기(S)가 장착되는 하우징(10)을 변기 수조(50)의 측방 또는 전방에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화장실에 방향제를 분사시키게 된 방향제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외주면에 형성된 홈(30')에 견인작용을 하는 와이어(20)의 일부분이 감겨지고 동심축에 소형기어(31)가 접합된 구동로울러(30)와, 상기 소형기어(31)에 이맞물림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를 구비한 기어열(32)을 통해 구동되게 설치되어 힌지축(41)을 기점으로 곡면을 그리며 일정 궤도내에서 승강되는 누름기어(40)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된 와이어(20)의 단부에 연결되어 수조(50)내의 물을 배출시키는 동작 및 수위변화에 따라 견인작용을 하는 견인수단을 포함하여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의 외측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견인수단이 수조(50)의 물이 유입 및 유출되게 다수의 통공(6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61)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덮개(6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플로우트(60)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작용을 하는 와이어(20)의 단부에 힌지(73)를 기점으로 동작되는 작동구(72)를 연결하되 이 작동구의 궤도상에 모터(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74)를 설치하여 모터(70)의 구동에 의해 스프레이용기(S)의 누름버튼(B)을 동작시키는 누름기어(40)를 연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20)의 단부를 변기의 수조(50)내에 위치하게 부설된 유도편(80)을 통해 수조(50)의 물을 배출시킬 때 동작되는 작동간(51)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의 외측단부를 수조(50)의 급수밸브(52)를 개폐되게 설치된 플로우트지지대(53)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의 외측단부를 수조(50)에 수용된 물의 부력과 자중에 의해 부침되는 전용의 부력체(54)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수단에 의해 견인동작을 하는 와이어(20)를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힌지(91)를 기점으로 요동되어 일단이 스프레이용기(S)의 누름버튼(B)을 가압하는 작동레버(90)의 타단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KR2019970031883U 1997-11-12 1997-11-12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KR200170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883U KR200170355Y1 (ko) 1997-11-12 1997-11-12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883U KR200170355Y1 (ko) 1997-11-12 1997-11-12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611U KR19990018611U (ko) 1999-06-05
KR200170355Y1 true KR200170355Y1 (ko) 2000-02-01

Family

ID=1951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883U KR200170355Y1 (ko) 1997-11-12 1997-11-12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3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899B1 (ko) * 2020-05-13 2021-01-05 이신원 변기 레버 소독기를 구비하는 기능성 변기
CN114876022A (zh) * 2022-03-29 2022-08-09 绍兴市协同智造促进中心 一种智能助老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611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93918A (zh) 节水坐便器
CN109098243B (zh) 一种带有简易冲刷装置的马桶及马桶冲洗方法
JP2009249819A (ja) トイレ装置
KR200170355Y1 (ko) 변기 수조를 이용한 방향제 분사기의 구동장치
JPH0585698B2 (ko)
US8595868B2 (en) Air suction device for toilet drain passage
CN101660323B (zh) 利用泡沫及增压气体的智能感应新型坐便器
JP2004100182A (ja) 水洗便器の洗浄水供給装置
KR20070109962A (ko) 악취제거 및 위장음 발생기능을 겸비한 양변기
JPH05246286A (ja) 車輛用トイレット装置
WO2013190547A1 (en) Ecological system and method for toilet flushing
KR200262753Y1 (ko) 수세식 절수 변기
JP4500412B2 (ja) 自動便器洗浄装置
CN201474052U (zh) 座便器异味抽排装置
KR200262177Y1 (ko) 수동형 직수 양변기
JPH0197423A (ja) 水洗便器用消臭装置
CN2367647Y (zh) 门控式自动冲洗水箱
CN2154429Y (zh) 卫生间通风除臭器
JPH0538149Y2 (ko)
KR20010102643A (ko) 양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JPH0562175B2 (ko)
KR200148904Y1 (ko) 탈취가 구비된 간이화장실
JP2520567Y2 (ja) 気泡噴出ノズル付き浴槽
KR19980060650U (ko) 양변기용 악취 배출장치
JP2000139770A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及びバキューム式トイレ用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