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923B1 - 좌변기용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923B1
KR101058923B1 KR1020100127556A KR20100127556A KR101058923B1 KR 101058923 B1 KR101058923 B1 KR 101058923B1 KR 1020100127556 A KR1020100127556 A KR 1020100127556A KR 20100127556 A KR20100127556 A KR 20100127556A KR 101058923 B1 KR101058923 B1 KR 101058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t plate
toilet
seat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태
Original Assignee
최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태 filed Critical 최진태
Priority to KR102010012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용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받침대를 통해 기존의 변기본체에 그대로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납작하게 형성된 공기유동구 및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성재질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구가 좌판에 의해 눌리지 않는 구조를 갖으며, 사용자의 온오프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유도된 공기가 탈취필터를 통과하며 냄새가 제거됨으로써 용변에 따른 악취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좌변기용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용변의 처리를 위한 변기본체와, 사용자의 착좌가 가능하도록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판이 구비된 좌변기에 장착되어 용변에 따른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좌판받침턱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착탈받침대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탈받침대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유로가 상기 좌판받침턱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측단에서 상기 좌판받침턱의 외측에 위치되는 타측단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공기유동구와; 상기 좌판받침턱과 상기 좌판 사이에 상기 공기유동구가 개재되기 위한 틈새가 확보되도록 상기 공기유동구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좌판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는 탄성재질의 스페이서와; 내부에 상기 공기유동구의 유로와 연통되는 팬장착공간 및 상기 팬장착공간과 연통되는 필터장착공간을 갖고 상기 공기유동구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며 상기 공기유동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방향으로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팬장착공간에 장착되는 공기흡입팬과; 상기 공기흡입팬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취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의 필터장착공간에 장착되는 탈취필터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흡입팬에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변기용 탈취 장치{DEVICE FOR DEODORIZING TOILET STOOL}
본 발명은 좌변기용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받침대를 통해 기존의 변기본체에 그대로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납작하게 형성된 공기유동구 및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성재질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구가 좌판에 의해 눌리지 않는 구조를 갖으며, 사용자의 온오프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유도된 공기가 탈취필터를 통과하며 냄새가 제거됨으로써 용변에 따른 악취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좌변기용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창문이나 환기구 등이 있어 화장실 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창문과 환기구는 사람이 용변을 보게 되어 나는 냄새를 밖으로 배출시키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화장실 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빨아들여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종래의 환기구에 환기팬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화장실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화장실의 공간이 큰 경우에는 사람의 용변에 의한 냄새를 배출하는데 효과가 미비하고, 용변자 자신에게도 냄새가 전달되었다.
또한, 냄새가 빠질 때까지 오랜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팬을 돌려야 하므로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화장실 내부를 냉방이나 난방을 ㅎ하는 경우에는 배기팬을 사용하면 배기되는 공기로 인하여 에너지의 낭비까지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도 변기 자체(도자기 본체)에 구멍을 내고 뒷물통으로 냄새를 보내는 것이 있었지만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기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대되고 재시공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변기 자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211428호(2000.11.13 등록)에는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에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11428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를 도시하였다.
도면을 살펴보면, 종래기술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좌변기(1)의 시트커버(2)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이 이중구조의 시트커버(2) 하면에 다수개의 흡기공(3a)을 형성하고, 이 시트커버(2)와 연통되어 상기 흡기공(3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5)를 설치하고, 이 배출호스(5)에는 상기 흡기공(3a)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구동하는 흡기팬(6)과 상기 흡기팬(6)에 인해 빨아들이는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역방향으로는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역류방지밸브(7)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 즉, 시트커버(2)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트커버(2)는 범용으로 사용할 수 없고 다양한 형태를 갖는 좌변기(1)에 맞는 시트커버(2)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배출호스(5)를 외부로 연결해야 함으로써 배관작업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받침대를 통해 기존의 변기본체에 그대로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납작하게 형성된 공기유동구 및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성재질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구가 좌판에 의해 눌리지 않는 구조를 갖으며, 사용자의 온오프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유도된 공기가 탈취필터를 통과하며 냄새가 제거됨으로써 용변에 따른 악취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좌변기용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용변의 처리를 위한 변기본체와, 사용자의 착좌가 가능하도록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판이 구비된 좌변기에 장착되어 용변에 따른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좌판받침턱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착탈받침대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탈받침대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유로가 상기 좌판받침턱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측단에서 상기 좌판받침턱의 외측에 위치되는 타측단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공기유동구와; 상기 좌판받침턱과 상기 좌판 사이에 상기 공기유동구가 개재되기 위한 틈새가 확보되도록 상기 공기유동구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좌판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는 탄성재질의 스페이서와; 내부에 상기 공기유동구의 유로와 연통되는 팬장착공간 및 상기 팬장착공간과 연통되는 필터장착공간을 갖고 상기 공기유동구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며 상기 공기유동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방향으로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팬장착공간에 장착되는 공기흡입팬과; 상기 공기흡입팬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취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의 필터장착공간에 장착되는 탈취필터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흡입팬에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상기 착탈받침대는, 평평한 받침판과, 상기 좌판받침턱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판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내측다리와, 상기 좌판받침턱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판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외측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 사이에 상기 좌판받침턱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내측다리는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다리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좌판받침턱의 굴곡에 따라 상기 내측다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받침판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상기 공기유동구는, 그 일측단에 상부면은 상기 유로에 수평하게 연결되고 하부면은 상기 유로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외광내협 형상을 갖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흡입부는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공기유도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착탈받침대를 통해 기존의 변기본체에 그대로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납작하게 형성된 공기유동구 및 소정의 높이를 갖는 탄성재질의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구가 좌판에 의해 눌리지 않는 구조를 갖으며, 사용자의 온오프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송풍팬을 작동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작동에 의해 유도된 공기가 탈취필터를 통과하며 냄새가 제거됨으로써 용변에 따른 악취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착탈받침대의 내측다리 또는 외측다리가 이동 및 고정가능하게 구비되어 변기본체의 형태 및 굴곡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장착이 가능하며, 외광내협 형상의 공기흡입부 및 상기 공기흡입부게 구비된 복수개의 공기유도격벽을 통해 공기흡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용변의 처리를 위한 변기본체(A)와, 사용자의 착좌가 가능하도록 상기 변기본체(A)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판(B)이 구비된 좌변기에 장착되어 용변에 따른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인 것으로, 착탈받침대(10)와, 공기유동구(20)와, 스페이서(30)와, 케이싱(40)과, 공기흡입팬(50)과, 탈취필터(60)와, 온오프스위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착탈받침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가 변기본체(A)의 형태 또는 규격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변기본체(A)의 상부를 구성하는 좌판받침턱(A1)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으로 받침판(11)과, 내측다리(12)와, 외측다리(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11)은 상기 좌판받침턱(A1)의 상부에 놓여 상기 착탈받침대(10)의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내측다리(12) 및 외측다리(13)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다리(13)가 상기 내측다리(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외측다리(13)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111)이 상기 좌판받침턱(A1)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패여져 형성된다.
상기 내측다리(12)는 상기 좌판받침턱(A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판(11)에서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외측다리(13)는 상기 좌판받침턱(A2)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판(11)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다리(12)는 1개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판(11)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다리(13)는 2개가 구비되어 2개의 외측다리(13)가 각각 상기 좌판받침턱(A1)의 굴곡에 따라 상기 내측다리(12)를 향하는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상기 받침판(11)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외측다리(13)의 이동은 상기 받침판(11)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11)에 상기 외측다리(13)가 끼워져 상기 가이드홈(111)을 따라 슬라이이딩 이동되고, 상기 외측다리(13)의 고정은 상기 외측다리(13)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다리(13) 및 상기 받침판(1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31)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한 2개의 외측다리(13)의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좌판받침턱(A1)의 굴곡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를 확고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유동구(20)는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탈받침대(10)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데, 상기 공기유동구(20)는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좌판받침턱(A1)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측단에서 상기 좌판받침턱(A2)의 외측에 위치되는 타측단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유로(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유동구(20)는 그 일측단에 상부면은 상기 유로(21)에 수평하게 연결되고 하부면(221)은 상기 유로(21)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외광내협 형상을 갖는 공기흡입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흡입부(22)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공기유도격벽(222)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공기유동구(20)는 상기 변기본체(A)의 좌판받침턱(A1) 및 상기 좌판(B) 사이의 틈새(t)에 개재되는 점 및 상기 공기유동구(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21)가 공기흡입팬(50)의 작동에 의해 소정의 흡입압이 형성되는 노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납작하게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유로(21)의 일측단은 외광내협 형상을 갖는 공기흡입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공기흡입부(22)의 하부면(221)의 경사 및 복수개의 공기유도격벽(222)에 의하여 공기가 효과적으로 흡입되어 용변에 따른 냄새를 최대한 많이 흡입한 상태로 상기 유로(21)를 지나도록 하고, 상기 유로(21)의 타측단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공기흡입팬(50)이 장착되는 공간인 팬장착공간(41)이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좌판(B)이 상기 좌판받침턱(A1)에 놓일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좌판받침턱(A1)과 상기 좌판(B) 사이에 상기 공기유동구(20)가 개재되기 위한 틈새(t)가 확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공기유동구(2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좌판(B)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된다.
상기 케이싱(40)은 상기 공기흡입팬(50) 및 상기 탈취필터(6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 상기 공기유동구(20)의 유로(21)와 연통되는 팬장착공간(41) 및 상기 팬장착공간(41)과 연통되는 필터장착공간(42)을 갖고 상기 공기유동구(20)의 타측단에 연결되는데 상기 팬장착공간(41)에는 상기 공기흡입팬(50)이 장착되고, 상기 필터장착공간(42)에는 탈취필터(60)가 장착된다.
상기 공기흡입팬(50)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며 상기 공기유동구(2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방향으로 상기 유로(21)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싱(40)의 팬장착공간(41)에 장착된다.
상기 탈취필터(60)는 상기 공기흡입팬(50)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활성탄 등과 같은 탈취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40)의 필터장착공간(42)에 장착되는데, 상기 탈취필터(60)는 소모품으로서 상기 케이싱(40)에서 분리 및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탈취필터(60)에 방향제 성분을 첨가한다면 상기 탈취필터(60)를 통과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방향제 성분이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용변 후에도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온오프스위치(70)는 상기 케이싱(4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상기 공기흡입팬(50)에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온오프스위치(7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탈취 장치의 작동여부, 사용개시시기 및 사용유지시간을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온오프스위치(70)에는 에너지의 절약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작동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좌변기용 탈취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 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 변기본체
A1 좌판받침턱
B 좌판
10 착탈받침대
11 받침판
111 가이드홈
12 내측다리
13 외측다리
131 고정볼트
20 공기유동구
21 유로
22 공기흡입부
221 경사면
222 공기유도격벽
30 스페이서
40 케이싱
41 팬장착공간
42 필터장착공간
50 공기흡입팬
60 탈취필터
70 온오프스위치

Claims (3)

  1. 삭제
  2. 용변의 처리를 위한 변기본체와, 사용자의 착좌가 가능하도록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좌판이 구비된 좌변기에 장착되어 용변에 따른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좌변기용 탈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좌판받침턱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착탈받침대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착탈받침대의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되,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유로가 상기 좌판받침턱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측단에서 상기 좌판받침턱의 외측에 위치되는 타측단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공기유동구와;
    상기 좌판받침턱과 상기 좌판 사이에 상기 공기유동구가 개재되기 위한 틈새가 확보되도록 상기 공기유동구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좌판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되는 탄성재질의 스페이서와;
    내부에 상기 공기유동구의 유로와 연통되는 팬장착공간 및 상기 팬장착공간과 연통되는 필터장착공간을 갖고 상기 공기유동구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되며 상기 공기유동구의 일측단에서 타측단방향으로 상기 유로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팬장착공간에 장착되는 공기흡입팬과;
    상기 공기흡입팬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탈취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의 필터장착공간에 장착되는 탈취필터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흡입팬에 전원공급을 온오프하는 온오프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받침대는, 평평한 받침판과, 상기 좌판받침턱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판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내측다리와, 상기 좌판받침턱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판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외측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 사이에 상기 좌판받침턱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내측다리는 상기 받침판에 고정되고, 상기 외측다리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좌판받침턱의 굴곡에 따라 상기 내측다리를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받침판에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탈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구는, 그 일측단에 상부면은 상기 유로에 수평하게 연결되고 하부면은 상기 유로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외광내협 형상을 갖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흡입부는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공기유도격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탈취 장치.
KR1020100127556A 2010-12-14 2010-12-14 좌변기용 탈취 장치 KR10105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56A KR101058923B1 (ko) 2010-12-14 2010-12-14 좌변기용 탈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56A KR101058923B1 (ko) 2010-12-14 2010-12-14 좌변기용 탈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923B1 true KR101058923B1 (ko) 2011-08-24

Family

ID=4493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556A KR101058923B1 (ko) 2010-12-14 2010-12-14 좌변기용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9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25B1 (ko) * 2015-08-26 2016-12-20 설효정 좌변기 악취제거 및 살균제 투입장치
KR20190061457A (ko) 2017-11-28 2019-06-05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US10640963B2 (en) 2015-07-30 2020-05-05 Su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KR102237045B1 (ko) * 2019-11-05 2021-04-06 박권식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 2019-11-05 2021-04-06 박권식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20210002517U (ko) * 2020-05-08 2021-11-17 김성훈 좌변기용 악취 제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28Y1 (ko) * 2001-03-08 2001-10-06 김정관 화장실의 좌변기용 오존 탈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128Y1 (ko) * 2001-03-08 2001-10-06 김정관 화장실의 좌변기용 오존 탈취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0963B2 (en) 2015-07-30 2020-05-05 Su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KR101683725B1 (ko) * 2015-08-26 2016-12-20 설효정 좌변기 악취제거 및 살균제 투입장치
KR20190061457A (ko) 2017-11-28 2019-06-05 김상규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2237045B1 (ko) * 2019-11-05 2021-04-06 박권식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102237046B1 (ko) * 2019-11-05 2021-04-06 박권식 분쇄기능 및 악취제거기능을 갖는 변기
KR20210002517U (ko) * 2020-05-08 2021-11-17 김성훈 좌변기용 악취 제거 장치
KR200494789Y1 (ko) * 2020-05-08 2021-12-27 김성훈 좌변기용 악취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923B1 (ko) 좌변기용 탈취 장치
US2011004768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Objectionable Odors in Toilet Bowls
KR20110054379A (ko)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KR101916890B1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KR20190130385A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130108881A (ko) 발 냄새를 제거하는 발 받침대
JP2012127173A (ja) 男子トイレ臭気一括換気装置
CN210238675U (zh) 一种结构紧凑的智能马桶盖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JPH09299282A (ja) トイレの排臭装置
ES2288257T3 (es) Aparato extractor especifico para baños.
CN108222165B (zh) 马桶除臭装置
CN212641655U (zh) 一种马桶除臭装置
CN104264764A (zh) 蹲便器
JP2016188507A (ja) 排泄物処理室の空気浄化装置
KR20040020232A (ko)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KR200430008Y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CN217630304U (zh) 具有排气装置的卫生设备
KR20220070622A (ko)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된 악취 배출장치를 가진 양변기
CN201598703U (zh) 除味环保坐便
CN204098183U (zh) 蹲便器
CN211341042U (zh) 吸气除臭便器
KR200271949Y1 (ko) 좌변기 좌대
KR102628865B1 (ko) 흡입식 환기 구조를 갖는 악취 제거 양변기
CN212294936U (zh) 一种吸气除臭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