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764B1 -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764B1
KR102236764B1 KR1020157021002A KR20157021002A KR102236764B1 KR 102236764 B1 KR102236764 B1 KR 102236764B1 KR 1020157021002 A KR1020157021002 A KR 1020157021002A KR 20157021002 A KR20157021002 A KR 20157021002A KR 102236764 B1 KR102236764 B1 KR 102236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valve
pipe
delete delete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492A (ko
Inventor
기욤 불레
Original Assignee
지비 디벨롭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비 디벨롭먼트 filed Critical 지비 디벨롭먼트
Publication of KR2015011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4Pump inlet and outlet valve elements integrally formed of a deform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05B11/00442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the means being actu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5Two outlet valves being placed in a delivery conduit, one downstream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7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outlet o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2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05B11/3032
    • B05B11/30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2Hand driven
    • B01F35/32021Shaking by hand a portable receptacle or stirrer for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ag Fram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디바이스(16)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는 공급 파이프(6), 디스펜싱 방향(10)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배치된 디스펜싱 파이프(8), 변형가능한 파우치(2),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공급 파이프(6)로부터 파우치(2)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공급 밸브(4) 및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파우치(2)의 내부로부터 디스펜싱 파이프(8)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디스펜싱 밸브(5)를 포함하며, 디스펜싱 밸브(5)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디바이스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FLUID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DEVICE}
본 발명은 유체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는 비제한적으로, 많거나 적은 부피가 디스펜싱되도록 하기 위한 비누, 화장품, 또는 다른 물질에 대한 디스펜싱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많은 부피의 비누를 디스펜싱하기 위해 벽에 고정된 디바이스 또는 더 작은 부피의 화장품에 대한 프로모션용 샘플-타입 디바이스와 관련된 분야이다.
문서 FR2962986에 기술된 바와 같은 유체 디스펜싱용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다.
현재 기술에 따른 이러한 디바이스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배치된 변형가능한 파우치의 측면 상에 디스펜싱 밸브를 도입함으로써 제조된다. 종래 기술에서의 밸브는 따라서 이것을 수신하도록 배치된 후벽이라 지칭되는 파우치의 일부분 상에 클립된다.
현재 기술에 따라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이러한 타입의 방법의 주요 단점은, 디바이스에 밸브를 삽입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시간을 소비적일 수 있고/있거나 조립 중에 밸브를 손상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봉인(sealing)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현재 기술에 의해 제기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유체(액체 및/또는 기체)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획득되며, 이러한 디바이스는:
- 바람직하게는 공급 파이프,
- 디스펜싱 방향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배치된 디스펜싱 파이프,
- 변형가능한 파우치,
- 바람직하게는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공급 파이프로부터 파우치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공급 밸브, 및
-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파우치의 내부로부터 디스펜싱 파이프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디스펜싱 밸브를 포함한다.
디스펜싱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디바이스 내에 유지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싱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 예를 들어 디스펜싱 파이프를 따라 디스펜싱 밸브를 슬라이딩시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형적으로 디스펜싱 파이프 내로의 디스펜싱 밸브의 이동 또는 삽입 후에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서 단단히 조임으로써(전형적으로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서의 디스펜싱 밸브의 이동은 디스펜싱 밸브 또는 그와 통합된 연결 소자의 재료 변형을 발생시켜 이러한 통합 연결 소자가 단단한 조여지거나 또는 디스펜싱 밸브가 직접 단단히 조여진다), 디바이스 내에 유지된다.
디스펜싱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닫힌 상태에서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의 일부분(디스펜싱 시트로 지칭됨)이 눌려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조각 내에 통합되어 있는 연결 소자, 디스펜싱 밸브 및 연결 소자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펜싱 밸브 및 연결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전체가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 포함된다.
디스펜싱 밸브가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디바이스 내에 유지되는 경우에서, 디스펜싱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연결 소자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디바이스 내에 유지된다. 또한, 공급 밸브 및 디스펜싱 밸브는 연결 소자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두 밸브 및 연결 소자는 단일 조각 내에 통합되어 있으며, 두 밸브는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연결 소자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디바이스 내에 유지된다.
전형적으로 디스펜싱 파이프 내로의 디스펜싱 밸브의 이동 또는 삽입 후에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내에 디스펜싱 밸브가 유지되는 경우에서, 디스펜싱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전형적으로 디스펜싱 파이프로의 디스펜싱 밸브의 이동 또는 삽입 후에 디스펜싱 파이프 내의 연결 소자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내에 디스펜싱 밸브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변형가능하지 않거나 반-경직성인)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급 파이프가 저장소를 변형가능한 파우치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경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공기가 파우치 또는 공급 파이프를 통과하지 않고 디스펜싱 파이프로부터 저장소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되는 통로(예를 들어 그루브(groov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과 연결 소자 사이에 위치해 있다.
또한, 공급 밸브는 연결 소자에 대해 자유로운 단부 및 연결 소자와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공급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유 단부는 공급 밸브가 자신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오고 가게 하고자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공급 멤브레인은 자신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까지 디스펜싱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편평할 수 있고 디스펜싱 방향에 대해 45°보다 작은 각도로 자신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멤브레인은 디스펜싱 방향에 대해 5°보다 큰 각도로 자신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각도는 5° 내지 45°사이에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각도는 5° 내지 20°사이에 포함된다.
또한, 공급 멤브레인의 자유 단부가 (바람직하게는 공급 멤브레인의 연결 부분은 아닌 오직 자유 단부만이) 파우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싱 밸브는 연결 소자에 대해 자유로운 단부 및 연결 소자와 연결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펜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유 단부는 디스펜싱 밸브가 자신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오고 가게 하고자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디스펜싱 멤브레인은 자신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까지 디스펜싱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싱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편평할 수 있고 디스펜싱 방향에 대해 45°보다 작은 각도로 자신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0.1°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각도는 0.1° 내지 45° 사이에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각도는 0.1° 내지 15°사이에 포함된다.
또한, 디스펜싱 멤브레인의 자유 단부는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밸브를 자신의 열린 위치로부터 자신의 닫힌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을 디스펜싱 멤브레인 상에 가하도록 배치된, 디스펜싱 밸브의 멤브레인과 통합되고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 상에서 지지되는 복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급 멤브레인의 연결 부분이 디스펜싱 멤브레인의 연결 부분보다 파우치로부터 더 멀리 있을 수 있다.
또한, 연결 소자가 디스펜싱 밸브와 공급 밸브 사이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디스펜싱 파이프는 더 가까운 내부 벽이 디스펜싱 밸브에 닿으면, 함께 더 가까워지는 대향하는 내부 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즉, 논의 중인 실시예에 따라서, 더 가까운 내부 벽이 연결 소자 및/또는 단일 조각에 닿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파이프와 공급 파이프 사이에 있고 연결 소자에 의해 플러그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디바이스는 공급 멤브레인의 자유 단부를 디스펜싱 파이프의 개구부를 통해 파우치로 가이드하도록 배치된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디바이스는 디스펜싱 밸브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외부로의 디스펜싱 파이프의 배출구 사이에서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 위치해 있는 클로징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로징 밸브 및 디스펜싱 밸브(선택적으로는 공급 밸브 또한)가 바람직하게는 단일 조각 내에 통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며, 디스펜싱 파이프를 통해 디스펜싱 밸브를 삽입하는 단계; 및 디스펜싱 밸브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획득하도록 위치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 예를 들어 디스펜싱 파이프를 따라 디스펜싱 밸브를 슬라이딩시켜 단단히 조임으로써,
-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바람직하게는 논의 중인 실시예에 따라, 디스펜싱 밸브가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의 연결 소자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디바이스 내에 유지될 때까지),
디스펜싱 밸브가 디바이스 내에 유지될 때까지,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디스펜싱 밸브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삽입하는 단계는 공급 밸브를 디스펜싱 파이프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공급 파이프로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삽입하는 단계는 가이드 수단을 통해, 공급 멤브레인의 자유 단부를 디스펜싱 파이프의 개구부를 통해 파우치로 가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이 제한적이지 않은 구현예 및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1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2는 자신의 파우치가 없는, 도 1에 도시된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사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전단면도;
도 5는 도 1의 디바이스의 밸브(4, 5)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서와 동일한 측단면도에 따른, 자신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 디바이스(16)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변형의 밸브(4, 5, 28)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 디바이스(16)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영역(44)의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단면(45)에 따른, 도 9의 변형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영역(46)의 확대도;
도 13은 이러한 변형 디바이스(16)의 대칭 평면인 수직 단면에 따라 단면이 생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변형 디바이스(16)의 단면 사시도; 및
도 14는 도 13의 영역(47)의 확대도.
이들 실시예들은 제한적이기 않기 때문에, 만약 아래에 기술된 특징들의 선택이 기술적 장점을 부여하고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구분 짓기에 충분하다면, (이러한 선택이 다른 특징들을 포함하는 문장 내에서 분리된다고 해도) 기술된 다른 특징들로부터 분리되어 이러한 특징들의 선택만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변형예들을 특히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선택은 구조적 세부사항 없이, 또는 만약 구조적 세부사항의 일부가 단독으로 기술적 장점을 제공하거나 종래 기술로부터 본 발명을 구분 짓기에 충분하다면 이러한 구조적 세부사항의 일부만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기능적인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16)에 대한 설명이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주어질 것이다.
디바이스(16) 내의 유체는 바람직하게는 액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체는 액체 또는 액체와 기체의 혼합물(예를 들어 거품)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젤로도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6)는:
- 이러한 유체의 저장소(17),
- 저장소(17)에 직접 결합되어 저장소(17)로부터 시작된 유체를 디스펜싱 방향(10)으로 전달하도록 배치된 공급 파이프(6),
- 디스펜싱 방향(10)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배치된 디스펜싱 파이프(8),
- 변형가능한 파우치(2),
-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공급 파이프(6)로부터 파우치(2)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공급 밸브(4), 및
-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파우치(2)의 내부로부터 디스펜싱 파이프(8)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디스펜싱 밸브(5)를 포함한다.
변형가능한 파우치(2)는 압력 방향(3)으로 누름으로써 압력에 의해 변형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변형가능한 파우치(2)는 파우치(2)가 눌렸는지 또는 해제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공급 밸브(4) 또는 디스펜싱 밸브(5)를 열거나 닫도록 배치된다.
닫힌 상태에서, 공급 밸브(4)는 유체가 공급 파이프(6)로부터 파우치(2)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닫힌 상태에서, 디스펜싱 밸브(5)는 유체가 파우치(2)의 내부로부터 디스펜싱 파이프(8)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파우치는 후벽(rear wall)(14)과 변형가능한 뚜껑(15)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디스펜싱 밸브(5)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디바이스 내에 유지된다.
공급 파이프(6)는 디스펜싱 방향(10)을 따라 연장한다.
디스펜싱 파이프(8)는 디스펜싱 방향(10)을 따라 연장한다.
공급 파이프(6) 및 디스펜싱 파이프(8)는 서로의 연장선이며, 즉 이들은 디스펜싱 방향(10)에 평행한 동일한 축을 따라서 연장한다.
디스펜싱 밸브(5)는 변형가능한 파우치(2)의 측면 상에 있지 않으며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 존재한다. 디스펜싱 밸브(5)는 클립되거나 용접되지 않고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유지된다.
공급 밸브(4) 및 디스펜싱 밸브(5)는 연결 소자(11)에 의해 결합된다. 두 공급 밸브(4) 및 디스펜싱 밸브(5)와 연결 소자(11)는 단일 조각(12) 내에 통합된다. 이러한 단일 조각(12)은 모노블록(monobloc)이다. 이것은 단일 재료로 만들어진다. 단일 블록으로서의 공급 밸브(4) 및 디스펜싱 밸브(5)의 생산은 이들 밸브의 삽입을 위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공급 밸브(4) 및 디스펜싱 밸브(5)를 조이기 위한 다른 조임(tightening) 조각은 존재하지 않는다.
디스펜싱 밸브(5)는 전체가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 포함됨을 인지해야 한다.
(이러한 연결 소자(11)의 압축을 고려하여) 연결 소자(11)는 전체가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 포함됨을 인지해야 한다.
공급 밸브(4) 및 디스펜싱 밸브(5)인 두 밸브들은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의 연결 소자(11)를 조임으로써 디바이스(16) 내에 유지된다. 연결 소자(11)의 조임은 전형적으로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대략 25%±5%에 포함되는 압축이다(즉, 디바이스(16) 내의 조립체 이전의 조각(12)의 자유 위치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바이스(16) 내부의 조립된 위치 사이에서의, 도 4의 모습에 평행한 평면 내의 연결 소자(11)의 단면의 감소). 연결 소자(11)는 전형적으로 70-80의 쇼어 에이 경도(Shore A hardness)를 갖는다.
공급 밸브(4)는 공급 멤브레인(7)을 포함한다. 공급 멤브레인(7)은 연결 소자(11)에 대해 자유로운 단부(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유 단부(21)는 공급 밸브(4)가 자신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오고 가게 하고자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공급 멤브레인(7)은 또한 연결 소자(11)와 연결하는 부분(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부분(22)은 공급 파이프(6) 내에 위치되어 있다.
디스펜싱 밸브(5)는 디스펜싱 멤브레인(9)을 포함한다. 디스펜싱 멤브레인(9)은 연결 소자(11)에 대해 자유로운 단부(19)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유 단부(19)는 디스펜싱 밸브(5)가 자신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오고 가게 하고자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디스펜싱 멤브레인(9)은 또한 연결 소자(11)와 연결하는 부분(20)을 포함한다.
연결 소자(11)에 연결된 공급 밸브(4)와 디스펜싱 밸브(5) 각각의 연결 부분(20, 22) 및 연결 소자(11)는 디스펜싱 파이프(8) 및 공급 파이프(6)의 측면 상에 배치되며 파우치(2)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다.
공급 멤브레인(7)은 자신의 연결 부분(22)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21)로 연장한다. 이러한 연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펜싱 방향(10)이다. 공급 멤브레인(7)은 편평하다. 이것은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5°보다 작은 각도(18)로 자신의 연결 부분(22)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21)까지 연장한다.
공급 멤브레인(7)은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5°보다 큰 각도로 자신의 연결 부분(22)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21)까지 연장한다.
이것은 파우치(2) 내에 공급 멤브레인(7)의 자유 단부를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멤브레인(7)과 디스펜싱 방향(10) 사이의 각도는 15°이다.
공급 멤브레인(7)의 자유 단부(21)는 파우치(2) 내에 위치되며 공급 파이프(6) 내에 위치되지 않는다. 자유 단부(21)는 연결 소자(11)의 측면 상에 존재하지 않는 단부이다. 자유 단부(21)는 변형 및/또는 이동할 수 있다.
공급 멤브레인(7)의 연결 부분(22)은 파우치(2) 내에 위치되지 않는다. 연결 부분(22)은 후벽(14)에 대해 공급 파이프(6)의 측면 상에 위치된다.
디스펜싱 멤브레인(9)은 자신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한다. 이러한 연장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펜싱 방향(10)이다. 디스펜싱 멤브레인(9)은 편평하다. 이것은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5°보다 작은 각도로 자신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자신의 자유 단부까지 연장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펜싱 멤브레인(9)과 디스펜싱 방향(10) 사이의 각도는 0°보다 매우 약간 더 크다(전형적으로 0.1° 내지 1°). 이러한 매우 작은 각도는 도 1에서 인지가능하지 않지만 자신의 닫힌 상태에서 우수한 봉인을 위해 디스펜싱 밸브(5)를 압축하기에는 충분하다. 다른 변형예들에서, 이러한 각도(전형적으로 1° 내지 5°)보다 더 큰 값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펜싱 멤브레인(9)의 자유 단부(19)는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 위치되며 파우치(2)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디스펜싱 멤브레인(9)의 자유 단부(19)는 연결 소자(11)의 측면 상에 존재하지 않는 단부이다. 디스펜싱 멤브레인(9)의 자유 단부(19)는 변형 및/또는 이동할 수 있다.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가 압력 방향(3)으로 눌러지면, 파우치(2) 내에 초과 압력이 생성되어,
- 공급 밸브(4)(더 정확히 말하면, 이것의 자유 단부(21))가 파우치(2) 내부의 후벽(14)(더 정확히 말하면, 공급 시트(23)로 지칭되는 후벽의 부분)을 누르고 그에 따라 자신의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 디스펜싱 밸브(5)(더 정확히 말하면, 이것의 자유 단부(19))가 디스펜싱 파이프(8)의 하나의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함에 따라 자신의 열린 상태로 유지되며;
파우치(2) 내에 포함된 유체는 압력 방향(3)으로 디스펜싱 밸브(5)를 통과하고 디스펜싱 파이프(8)에 의해 디바이스(16)로부터 디스펜싱 방향(10)으로 방출된다.
압력 방향(3)으로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파우치(2) 내에 음의 압력이 생성되어,
- 공급 밸브(4)(더 정확히 말하면, 이것의 자유 단부(21))가 파우치(2) 내부의 후벽(14)(더 정확히 말하면, 공급 시트(23))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함에 따라 자신의 열린 상태로 유지되며,
- 디스펜싱 밸브(5)(더 정확히 말하면, 이것의 자유 단부(19))가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더 정확히 말하면, 디스펜싱 시트(24)로 지칭되는 내부 벽의 부분)을 누르고 그에 따라 자신의 닫힌 상태로 유지되며;
공급 파이프(6) 내에 포함된 유체는 압력 방향(3)에 평행한 공급 밸브(4)를 통해 홀 B를 통과하고 따라서 파우치(2)는 공급 파이프(6)를 통해 저장소(17)로부터 시작된 유체로 리필된다.
압력 방향(3)으로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공급 밸브(4) 및 디스펜싱 밸브(5)는 둘 다 자신의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디바이스(16)는 또한 복귀 수단(29)을 포함한다. 복귀 수단(29)은 디스펜싱 밸브(5)의 디스펜싱 멤브레인(9)과 통합된다. 이것은 디스펜싱 파이프(5)의 내부 벽 상에 지지되며 디스펜싱 멤브레인(9) 상에 힘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힘은 디스펜싱 밸브(5)를 자신의 열린 위치로부터 자신의 닫힌 위치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디스펜싱 밸브(5)는 파우치(2) 상의 압력의 변화가 음의 값이거나 0일 때 닫힌 상태에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멤브레인(7)의 연결 부분(22)의 적어도 부분(바람직하게는 전체)이 디스펜싱 멤브레인(9)의 모든 연결 부분(20)보다 파우치(2)로부터 (또는 뚜껑(15)으로부터) 더 멀리 있다. 연결 소자(11)는 디스펜싱 밸브(5)와 공급 밸브(4)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4의 단면 A-A를 나타낸다. 단면 A-A는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직교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평면 A-A에 따른 디바이스(16)의 전단면도이다.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은 대향하며, 벽들이 가까워질 때 단일 조각(12)에 대해 (공급 파이프(6)에 대향하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일 단부로부터 시작하는) 방향(10)에 평행하게 함께 더 가까워진다. 이러한 벽들이 함께 더 가까워진다는 사실은 연결 소자(11)를 그들 사이에 타이트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 소자(11)는 이러한 내부 벽들에 의해 형성된 단계 M의 레벨에서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조여짐으로써 디바이스(16) 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단계 M은 파우치(2)의 방향으로 상승한다.
디바이스(16)는 또한 개구부 D를 포함한다. 개구부 D는 디스펜싱 파이프(8)와 공급 파이프(6)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공급 멤브레인(7)이 조립되었을 때 통과하도록 하는) 개구부 D는 연결 소자(11)에 의해 플러그된다.
단계 M은:
- 디스펜싱 밸브(5)를 유지하기 위해 연결 소자(11)를 압축하고,
- 유체가 공급 파이프(6)와 디스펜싱 파이프(8) 사이에서 직접 통과할 수 없고 파우치(2)를 통과해야만 하도록 공급 파이프(6)와 디스펜싱 파이프(8) 사이에서 개구부 D의 봉인을 보장하고,
- 연결 소자(11)를 파우치(2)의 방향으로 들어올리도록 배치된다.
디바이스(16)는 또한 공급 멤브레인(7)의 자유 단부(21)를 디스펜싱 파이프(8)의 개구부 D를 통해 파우치(2)로 가이드하도록 배치된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경사진 평면을 포함하는) 가이드 수단 F를 포함한다.
도 1에서 공급 시트(23)의 적어도 부분(바람직하게는 전체)이 디스펜싱 시트(24)보다 뚜껑(15)으로부터 더 멀리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디바이스(16)는 또한 예를 들어 유체의 분사를 스프레이로 변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적인) 배출구 소자(13)를 포함한다. 배출구 소자(13)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원주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배출구 소자(13)는 공급 파이프(6)에 대향하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일 단부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라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16)를 제조하는 방법이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이 방법은 디스펜싱 파이프(8)를 통한 디스펜싱 밸브(5)(즉, 바람직하게는 단일 조각(12))의 삽입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디스펜싱 밸브(5)(즉, 바람직하게는 단일 조각(12))가 도 1 내지 5를 참조로 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6)를 획득하도록 위치될 때까지, 즉 연결 소자(11)가 개구부 D에 플러그 할 때까지 및/또는 디스펜싱 밸브(5)가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연결 소자(11)를) 조임으로써 디바이스에 의해 유지될 때까지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서 디스펜싱 방향(10)에 평행하게 디스펜싱 밸브(5)(즉, 바람직하게는 단일 조각(12))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스펜싱 밸브(5)(바람직하게는 단일 조각(12))의 이동은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서 디스펜싱 밸브(5)(바람직하게는 단일 조각(12))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단계 M은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서 디스펜싱 밸브(5)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단계 M의 레벨에서, 파우치(2)의 방향으로의 (즉, 자신의 시트로의) 디스펜싱 밸브(5)의 이동을 포함하도록 디바이스(16)의 조립 동안 디스펜싱 밸브(5)(더 정확히 말하면, 연결 소자(11))의 조임의 완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우수한 봉인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삽입 단계는 디스펜싱 파이프(8)로부터 개구부 D를 통해 공급 파이프(6)로 공급 밸브(4)를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삽입 단계는 가이드 수단 F에 의해, 공급 멤브레인(7)의 자유 단부(21)를 개구부 D를 통해 디스펜싱 파이프(8)로부터 파우치(2)로 가이드하는 것을 포함한다.
배출구 소자(13)는 공급 파이프(6)에 대향하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일 단부의 측면 상에서, 마지막으로 디바이스(16)에 삽입된다.
물론, 본 발명은 방금 기술된 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예들에 대한 다수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밸브(4) 및 디스펜싱 밸브(5)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채 통합되지 않고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다른 변형예들에서:
1) 공급 밸브(4)는 저장소(17)에 결합될 수 있고 단일 조각을 형성할 수 있다;
2) 연결 소자(11)가 반드시 공급 밸브(4)와 통합되어야 할 필요 없이, 디스펜싱 밸브(5)가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연결 소자(11)와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디스펜싱 밸브(5)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의 연결 소자(11)를 조임으로써 디바이스(16) 내에 유지된다. 변형예가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덜 바람직하다고 해도, 공급 밸브(4)는 예를 들어 클립에 의한 고정, 파우치(2)의 측면으로부터 통과하는 "상단(the top)"에 의한 조립과 같이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소자(11)가 두 개의 별개의(바람직하게는 통합되지 않은) 소자(11a, 11b)로 구성되고, 디스펜싱 밸브(5)가 연결 소자(11a)와 통합되고, 공급 밸브(4)가 연결 소자(11b)와 통합된다고 예상하는 것이 가능하다(절개선(25)이 이러한 가능한 분리를 도시한다). 그 다음 디스펜싱 밸브(5)가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의 연결 소자(11a)를 조임으로써 디바이스(16) 내에 유지된다. 그 다음 공급 밸브(4)가 바람직하게는 공급 파이프(6)의 내부 벽들 사이의 연결 소자(11b)를 조임으로써 디바이스(16) 내에 유지될 수 있다;
3) 디바이스(16)는 (예를 들어 여러 유체들을 디스펜싱하기 위한) 몇몇 디스펜싱 및/또는 공급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펜싱 및 공급 밸브들은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밸브 및 공급 밸브로 구성되는 적어도 한 쌍을 포함하고, 각 쌍의 밸브들은 예를 들어 전술된 것과 같이 단일 조각(12)의 형태로 통합되어 있거나 또는 위의 포인트 2)에 기술된 것과 같이 별개이다. 두 가지 유체가 디스펜싱되는 경우에서, 디바이스(16)는 이러한 두 디스펜싱 밸브들을 지지하는 부속품에 의해 운반되는 두 디스펜싱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두 디스펜싱 밸브 및 부속품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디스펜싱 밸브들 각각의 디스펜싱 파이프들이 이어지는 배출구 파이프 내에서 조여짐으로써 조립되며,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디스펜싱 밸브들 각각이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기술된 것과 동일한 원리로 자신의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서 조여짐으로써 유지된다.
4) 저장소(17)의 뚜껑(15) 및 벽(27)은 단일 조각(단일 재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펌프(48)의 바디는 예를 들어 공유 압출 성형(co-extrusion)에 의해 단일-벽 또는 이중-벽 튜브로 삽입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6)의 서로 다른 변형예들에 대한 설명이 도 7 내지 14를 참조로 하여 주어질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도 1 내지 6의 실시예에 대한 그들의 차이점과 관련해서만 기술될 것이다. 특히, 이미 소개된 참조 번호는 전부 다시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6)의 변형예는 연결 소자(11)(또는 소자(11a))에 부딪히도록 배치된 투스(tooth) 또는 돌기(26)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투스 또는 돌기(26)는 디스펜싱 밸브(5)가 디스펜싱 파이프(8) 내부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펜싱 파이프(8)에 의해서 소자(11)에 가해지는 조이는 힘은 소자(11)와 접촉하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에 대해 직교하는 성분을 가지며, 이러한 조이는 힘의 모든 성분들의 조합(52)은 바람직하게는 소자(11)와 접촉하는 파이프(8)의 내부 벽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거나(또는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직교) 또는 적어도 소자(11)와 접촉하는 파이프(8)의 내부 벽들에 대해(또는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45°보다 큰 각도(53)를 형성한다. 또한, 여전히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6)의 변형예가 디스펜싱 밸브(5)와 디바이스(16)의 외부로의 디스펜싱 파이프(8)의 배출구(30) 사이에서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 위치되어 있는 클로징 밸브(28)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클로징 밸브(28)는:
- 유체가 디스펜싱 파이프(8)로부터 디바이스(16)의 외부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열린 상태, 및
- 유체가 디스펜싱 파이프(8)로부터 디바이스(16)의 외부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닫힌 상태를 갖는다.
밸브(28)는 이 변형예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함께 가까워지는 파이프(8)의 벽들에 의해, 자신이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서 압축되고 변형되는 동안 유지된다.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가 압력 방향(3)으로 눌러지는 경우, 초과 압력이 파우치(2) 내에 생성되며, 클로징 밸브(28)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벽인) 자신의 시트(49)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에 압력 방향(3)으로 가해진 압력이 해제된 경우, 음의 압력이 파우치(2) 내에 생성되며, 클로징 밸브(28)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인) 자신의 시트(49)를 누르고 그에 따라 자신의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특히 파이프(8) 내의 유체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디바이스(16)의 우수한 봉인을 가능하게 한다.
디바이스(16)는 바람직하게는 밸브(28)에 부딪히도록 배치된 투스 또는 돌기(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투스 또는 돌기(31)는 디스펜싱 밸브(5)가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투스(31)는 디바이스(16)를 통해 디스펜싱 파이프(8)로 홀(39)을 피어싱함으로써 생성된다. 밸브(28)가 파이프(8) 내에 위치되면, 홀(39)이 밸브(28)에 의해 플러그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로징 밸브(28) 및 디스펜싱 밸브(5)(및 선택적으로는 공급 밸브(4))가 바람직하게는 단일 조각(32) 내에 통합된다. 이러한 조각(32)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재료의 이중-주입(bi-injection)에 의해 생산된다. 조각(32)은:
- 제1 (경직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바람직하게는
o 디스펜싱 파이프(8)의 하부 벽을 경계 짓는 플레이트(33) 및/또는
o 스토퍼(stopper)(13)("도포용 도구(applicator)" 형태, 또는 유체의 스프레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에서의 배출구 감소)을 포함하는 지지 부분, 및
- (제1 재료보다 더 유연한) 제2 재료로 만들어진 밸브(28, 5)(및 선택적으로 밸브(4))를 포함한다.
밸브(28)가 자신의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유체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치된 오목한 채널(54)을 밸브(28)가 포함한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6)의 "대기의(atmospheric)" 변형예는 통로(34)(예를 들어 그루브(groove))를 포함하며, 이러한 통로(34)는:
-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과 소자(11) 또는 소자(11a) 사이(더 정확히 말하면, 단계 M과 소자(11) 또는 소자(11a)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 압력 방향(3)으로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에 인가된 압력이 해제되었을 때에도, 파우치(2)를 통과하지 않고 공기가 디스펜싱 파이프(8)로부터 저장소(17)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예에서, 디바이스(16)는 더 이상 밀폐되어 있지 않다.
디스펜싱 채널의 연장에서 소자(11) 또는 소자(11a) 아래에 만들어진 그루브는, 소자(11) 또는 소자(11a)의 재료의 가요성 부분의 변형을 이용하여, 미세 채널들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미세 채널들은 그루브(할로우)의 기저에 존재한다.
밸브들(4, 5)은 (액체 또는 액체와 기체(예를 들어, 거품)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젤로도 구성될 수 있는) 유체(35)가 파우치(2)로부터 디바이스(16)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형이다.
다른 한편으로, 디스펜싱 밸브(5)는 더 이상 밀폐되어 있지 않으며, 그에 따라:
-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가 압력 방향(3)으로 눌러지는 경우, 초과 압력이 파우치(2) 내에 생성되어 파우치(2)로부터 디스펜싱 파이프(8)로, 그 다음 디바이스(16)의 외부로 유체(35)가 방출되지만,
- 압력 방향(3)으로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o 유체(35)가 저장소(17)로부터 공급 파이프(6)로, 그 다음 파우치(2)로 빨려들며,
o 공기(36)가 (파우치(2) 또는 공급 파이프(6) 또는 공급 밸브(4)를 통과하지 않고) 디바이스(16)의 외부로부터 디스펜싱 파이프(8) 및/또는 다른 전용 파이프(37)로, 그 다음 통로(34)로, 그 다음 홀(38)로, 그 다음 저장소(17)로 통과하여,
그에 따라 저장소(17) 내에서 공기(36)가 저장소(17)로부터 파우치(2)로 빨려든 유체(35)를 대체한다.
통로(34)는 전형적으로 미세 채널들을 형성하는 미세한 높이(전형적으로 50 내지 600㎛)의 그루브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6)의 변형예는 공급 밸브(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음이 인지되어야 한다.
(이들 소자들이 명백하게 분리되어 있는 이전의 변형예들 및 실시예들에서와 달리) 이러한 변형예에서, 공급 파이프(6), 저장소(17) 및 파우치(2)가 합병된다.
파우치(2)가 압력 방향(3)으로 눌러지는 경우에, 초과 압력이 파우치(2) 내에 생성되고, 디스펜싱 밸브(5)(더 정확히 말하면, 이것의 자유 단부(19))가 디스펜싱 파이프(8)의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열린 상태로 유지되며; 파우치(2) 내에 포함된 유체(35)는 경로(42)를 따라 디스펜싱 밸브(5)를 통과하여 디스펜싱 방향(10)으로 디스펜싱 파이프(8)를 통해 디바이스(16)로부터 방출된다.
압력 방향(3)으로 파우치(2)(더 정확히 말하면, 뚜껑(15))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음의 압력이 파우치(2) 내에 생성되고, 디스펜싱 밸브(5)(더 정확히 말하면, 이것의 자유 단부(19))가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더 정확히 말하면, 디스펜싱 시트(24)로 지칭되는 이러한 내부 벽의 부분)을 누르고, 그에 따라 디바이스(16)의 외부로부터 파우치(2)의 내부로 복귀할 수 있는 공기 없이 자신의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디바이스(16)의 변형예를 제조하는 방법은 디스펜싱 파이프(8)를 통한 디스펜싱 밸브(5)의 삽입 단계 및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 사이를 조임으로써(즉, 디스펜싱 파이프(8)에 의해 밸브(5) 또는 소자(11a)에 가해진 조이는 힘에 의해, 이러한 조이는 힘은 밸브(5) 또는 소자(11a)와 각각 접촉하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내부 벽들에 대해 직교하는 성분을 가지며, 이러한 조이는 힘의 모든 성분들의 조합(52)은 바람직하게는 밸브(5) 또는 소자(11a)와 각각 접촉하는 파이프(8)의 내부 벽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또는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직교)하거나 또는 적어도 밸브(5) 또는 소자(11a)와 각각 접촉하는 파이프(8)의 내부 벽들에 대해(또는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45°보다 큰 각도(53)를 형성함)) 디스펜싱 밸브가 디바이스(16) 내에 유지될 때까지 디스펜싱 파이프(8) 내에서 디스펜싱 밸브(5)를 슬라이딩시키는 디스펜싱 밸브(5)의 이동 단계를 포함한다.
도 13 및 14는 각각이:
- 디스펜싱 밸브(5)가 디스펜싱 파이프(8)로 삽입되기 전의 제1 위치(40) 및
- 디스펜싱 밸브(5)가 디스펜싱 파이프(8)로 삽입 종료된 제2 위치(41)인 디스펜싱 밸브의 두 위치들을 도시한다.
그러나:
- 디스펜싱 파이프(8)와 디바이스(16)의 외부 사이의 연결부위를 형성하는 배출구(30)의 측 상에서 디스펜싱 파이프(8)를 통해 디스펜싱 밸브(5)가 삽입되는 도 1 내지 12의 경우와는 달리,
- 도 13 및 14의 변형예의 경우에서는, 디스펜싱 파이프(8)와 파우치(2) 사이의 연결부위를 형성하는 유입구(43)의 측 상에서 디스펜싱 파이프(8)를 통해 디스펜싱 밸브(5)가 삽입된다.
이러한 밸브(5)는 밸브(5)가 뒤(43)를 통해 디스펜싱 파이프(8)에 진입할 때 증가하는 기울기(50)를 갖는 연결 소자(11a)와 통합된다. 이러한 기울기(50)는 디스펜싱 파이프(8)를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도입하는 동안 소자(11a)의 재료의 점진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압축된 재료는 디스펜싱 파이프(8)를 이용한 조임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의 진폭(51)은 전형적으로 대략 0.1 내지 0.4 ㎜이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디스펜싱 멤브레인(9) 및 (디스펜싱 멤브레인(9)과 통합되는) 연결 소자(11) 또는 연결 소자(11a)가 디스펜싱 방향(10)을 따라 나란히 위치된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또한 시트(24)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디스펜싱 파이프(8)의 일 면으로 제한되며, 디스펜싱 방향(10)에 대해 직교한 평면으로 인식될 수 있는 디스펜싱 파이프(8)의 단면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는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특징, 형태, 변형 및 실시예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laims (34)

  1. 유체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디스펜싱 방향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배치된 디스펜싱 파이프,
    변형가능한 파우치,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상기 파우치의 내부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디스펜싱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펜싱 밸브는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내에 유지되고,
    상기 디스펜싱 밸브는 디스펜싱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싱 멤브레인은 상기 디스펜싱 밸브가 자신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오고 가게(pass between) 하고자 이동하도록 배치된 자유로운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싱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자유로운 단부는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의 일부분에 대해 눌러지고, 상기 일부분은 디스펜싱 시트로 지칭되는,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시트는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한 측면으로 제한되며, 상기 디스펜싱 방향에 대해 직교한 평면에서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단면의 주위에 완전히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2. 제 1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는 연결 소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3. 제 1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는 대향하는 내부 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대향하는 내부 벽들은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가 상기 디스펜싱 밸브에 닿을 때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4. 제 1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 공급 파이프,
    -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상기 공급 파이프로부터 상기 파우치의 내부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 및 상기 디스펜싱 밸브는 단일 재료로 만들어진 단일 조각 내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 및 상기 디스펜싱 밸브는 연결 소자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두 밸브 및 상기 연결 소자는 단일 조각 내에 통합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상기 연결 소자를 단단하게 조임으로써 상기 두 밸브가 상기 디바이스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는 상기 공급 밸브의 상기 연결 소자에 대해 자유로운 단부를 포함하는 공급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자유로운 단부는 상기 공급 밸브가 자신의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오고 가게 하고자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공급 멤브레인의 상기 자유로운 단부는 상기 파우치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와 상기 공급 파이프 사이에 있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싱 밸브 및 상기 공급 밸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부에 플러그되고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내에 유지되는 연결 소자와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9.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스펜싱 방향으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배치된 디스펜싱 파이프, 변형가능한 파우치, 열린 상태에서는 유체가 상기 파우치의 내부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로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닫힌 상태에서는 이것을 가능하지 않게 하는 디스펜싱 밸브 - 상기 디스펜싱 밸브는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내에 유지됨 -를 포함하는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를 통해 상기 디스펜싱 밸브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펜싱 밸브가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들 사이에서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내에 유지될 때까지 상기 디스펜싱 밸브를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가 닫친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는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내부 벽의 일부분에 대해 눌러지고, 상기 일부분은 디스펜싱 시트로 지칭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시트는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한 측면으로 제한되며, 상기 디스펜싱 방향에 대해 직교한 평면에서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단면의 주위에 완전히 형성되지 않는, 방법.
  32.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밸브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디스펜싱 밸브가 연결 소자를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내에 유지될 때까지 그리고 상기 연결 소자가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개구부에 플러그될 때까지,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 내에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방법.
  33.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는 공급 밸브를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로부터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개구부를 통해 공급 파이프로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4.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공급 멤브레인의 자유로운 단부를 상기 디스펜싱 파이프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파우치로 가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57021002A 2013-02-07 2014-01-28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KR102236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1070 2013-02-07
FR1351070A FR3001719B1 (fr) 2013-02-07 2013-02-07 Dispositif distributeur de flu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PCT/EP2014/051656 WO2014122048A1 (fr) 2013-02-07 2014-01-28 Dispositif distributeur de flu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492A KR20150114492A (ko) 2015-10-12
KR102236764B1 true KR102236764B1 (ko) 2021-04-05

Family

ID=4861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002A KR102236764B1 (ko) 2013-02-07 2014-01-28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694375B2 (ko)
EP (2) EP2953724B1 (ko)
JP (1) JP6461821B2 (ko)
KR (1) KR102236764B1 (ko)
CN (2) CN107457107B (ko)
BR (1) BR112015018830B1 (ko)
ES (2) ES2680968T3 (ko)
FR (2) FR3001719B1 (ko)
TW (2) TWI547423B (ko)
WO (1) WO20141220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2180B1 (fr) * 2015-10-08 2020-05-29 Gb Developpement Tete de distribution
FR3048622B1 (fr) * 2016-03-11 2020-10-30 Chanel Parfums Beaute Flacon de produit comportant des moyens de mise en pression d'une pompe de distribution
FR3064986B1 (fr) * 2017-04-06 2019-06-28 Gb Developpement Distributeur de fluide
US11130617B2 (en) * 2017-06-16 2021-09-28 Illinois Tool Works Inc. Three-chamber bubble valve
FR3068265B1 (fr) * 2017-06-28 2022-02-25 Gb Dev Distributeur de fluide par pression sur une paroi deformable du conten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0793A1 (fr) * 2010-07-23 2012-01-26 Gb Developpement Dispositif pour distribuer un liqu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7586A (en) * 1968-04-04 1970-04-21 Erich W Gronemeyer Pump
SE333624B (ko) * 1969-07-28 1971-03-22 Perpedos Ab
JPS5826028Y2 (ja) * 1977-10-01 1983-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多液エアレス塗装装置
DE3224199A1 (de) * 1982-06-29 1983-12-29 Josef Wischerath GmbH & Co, 5000 Köln Spender fuer pastoese produkte
DE3310029A1 (de) 1983-03-19 1984-09-20 Gebr. Jordan GmbH & Co KG, 5860 Iserlohn Dosierspenderpumpe fuer fluessigkeiten
SE8305995L (sv) * 1983-11-01 1985-05-02 Kebo Production Anordning for utmatning av en vetske- eller kramformig produkt ur en behallare, innehallande en dylik produkt
DE4015480A1 (de) * 1990-05-14 1991-11-21 Perfect Ventil Gmbh Verschlusskappe
DE4420679A1 (de) * 1993-09-09 1995-03-16 Acheson Ind Deutschland Zweign Sprühelement, insbesondere für Formsprüheinrichtungen
US5613517A (en) * 1994-10-24 1997-03-25 Reseal International Limited Partnership Sheath valve
US5829640A (en) * 1996-09-06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pump
WO1999026676A1 (en) * 1997-11-24 1999-06-03 H.D.S. Systems, Ltd Heart assist system with apex cannula pump
DE10011717A1 (de) * 2000-03-10 2001-09-13 Crown Cork & Seal Tech Corp Pumpvorrichtung für eine Flüssigkeitssprühvorrichtung sowie Ventilelement und Überkopfventil für diese Pumpvorrichtung
FR2813283B1 (fr) * 2000-08-25 2003-02-14 Valois Sa Distributeur a pompe integree
NL1016694C2 (nl) * 2000-11-23 2002-05-24 Keltub B V Schuimvormingseenheid.
EP1215167B1 (de) * 2000-12-15 2007-12-12 Medisize Schweiz AG Spenderausguss für fliessfähige Medien
US7032783B1 (en) * 2002-05-14 2006-04-25 Continentalafa Dispensing Company Pump dispenser for liquid products
CA2514040A1 (en) * 2003-02-18 2004-09-02 Incro Limited Dispenser nozzle
US20050087555A1 (en) * 2003-10-28 2005-04-28 Hatton Jason D. Fluid dispensing components
SE0303455L (sv) * 2003-12-22 2004-12-14 Sten Drennow Portioneringsanordning
US8061566B2 (en) * 2007-04-26 2011-11-22 Sealed Air Corporation (Us) Metering dispensing system with improved valving to prevent accidental dispensing of liquid therefrom
JP2005288767A (ja) * 2004-03-31 2005-10-20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US7806301B1 (en) * 2004-05-19 2010-10-05 Joseph S Kanfer Dome pump
EP1598118A1 (en) * 2004-05-21 2005-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ump for fluid dispensers
US8899449B2 (en) * 2004-09-09 2014-12-02 Warren S. Daansen Nozzle tip with slit valve for fluid dispenser
US7434710B2 (en) * 2005-11-23 2008-10-14 Joseph S. Kanfer Bellows pump mechanism
US8459509B2 (en) * 2006-05-25 2013-06-11 Sakura Finetek U.S.A., Inc. Fluid dispensing apparatus
JP2008130835A (ja) * 2006-11-21 2008-06-0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FR2914294B1 (fr) 2007-03-29 2009-07-10 Rexam Dispensing Systems Sas Buse de distribution comprenant un manchon de fermeture accroche axialement
GB0715224D0 (en) * 2007-08-02 2007-09-12 Leafgreen Ltd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ispenser
DE102008030278A1 (de) 2008-03-05 2009-09-10 Hans-Joachim Ahrens Rücksaugfreie Augentropfendüse
GB0901907D0 (en) * 2009-02-05 2009-03-11 Leafgreen Ltd Manual pump type fluid dispenser
US7984831B2 (en) * 2008-10-23 2011-07-26 Gojo Industries, Inc. Handheld dispensers for personal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0793A1 (fr) * 2010-07-23 2012-01-26 Gb Developpement Dispositif pour distribuer un liquid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81295B (zh) 2017-09-15
TWI491539B (zh) 2015-07-11
BR112015018830A2 (pt) 2017-07-18
US9694375B2 (en) 2017-07-04
FR3001719B1 (fr) 2016-02-05
TW201431754A (zh) 2014-08-16
JP6461821B2 (ja) 2019-01-30
CN107457107B (zh) 2020-01-10
EP2953724B1 (fr) 2018-04-25
KR20150114492A (ko) 2015-10-12
US20170259287A1 (en) 2017-09-14
JP2016507373A (ja) 2016-03-10
FR3030464A1 (fr) 2016-06-24
EP3375531B1 (fr) 2020-06-17
BR112015018830B1 (pt) 2021-03-16
TWI547423B (zh) 2016-09-01
FR3030464B1 (fr) 2020-11-13
CN107457107A (zh) 2017-12-12
EP2953724A1 (fr) 2015-12-16
WO2014122048A1 (fr) 2014-08-14
ES2680968T3 (es) 2018-09-11
US10029268B2 (en) 2018-07-24
FR3001719A1 (fr) 2014-08-08
US20150375244A1 (en) 2015-12-31
ES2820552T3 (es) 2021-04-21
TW201534531A (zh) 2015-09-16
CN104981295A (zh) 2015-10-14
EP3375531A1 (fr)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764B1 (ko) 유체 디스펜싱 디바이스 및 이러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US10695782B2 (en) Fluid dispensing device, and valve having a return means
AU2005240264A1 (en) Spray head for atomizing a medium
WO2007019848A3 (en) Device for connecting a flexible container to a beverage dispenser
EP2133153B1 (fr) Flacon de distribution comprenant une pompe intégrant une membrane de purge
KR20200029494A (ko) 유체 분배용 장치, 장치용 카트리지, 제조 방법 및 프라이밍 방법
FR2993572A1 (fr) Circuit pour liquide biologique comportant une vanne a pincement
FR2960222A1 (fr) Ki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fluide comprenant une poche et un boitier de distribution
WO2008110841A3 (en) Valve arrangement
KR101373780B1 (ko) 차량용 고압가스 체크밸브
BR112014026581B1 (pt) Unidade de redução de pressão de líquido; processo para produzir uma unidade de redução de pressão de líquido; e unidade distribuição para distribuir um líquido contido em um recipiente
JP2008260539A (ja) ピストンおよびそのピストンを使用した流動体容器
JP6352792B2 (ja) バルブのシール構造、バルブ、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塗工装置
JP5035840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