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170B1 -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170B1
KR102236170B1 KR1020180137822A KR20180137822A KR102236170B1 KR 102236170 B1 KR102236170 B1 KR 102236170B1 KR 1020180137822 A KR1020180137822 A KR 1020180137822A KR 20180137822 A KR20180137822 A KR 20180137822A KR 102236170 B1 KR102236170 B1 KR 102236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fixing bolt
fixing
epoxy adhesiv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496A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Priority to KR102018013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0Locking exclusively by special shape of the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 및 천장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 구조를 개량하고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에 접착제와 함께 고정하는 시공방법을 통해 견고하게 결착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의 나사산은 2중 나사로 형성되면서 외측에 위치한 톱날 형상의 제1 나사산의 산마루 부분 일부가 콘크리트 벽체(1)에 원활하게 박히도록 앞쪽은 돌출 곡면을 이루고 뒷쪽은 홀쭉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선부의 제2 나사산은 콘크리트 벽체의 천공홀의 둘레면에 산마루 부분이 접하거나 일부 박혀 원활한 회전을 위한 중심유지 및 에폭시 접착제의 충진공간(12)을 마련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부의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 사이의 골밑에 애폭시 접착제의 충진홈을 더 형성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용 볼트를 이용하여 외장재를 고장하는 시공방법은, 통상의 천장의 콘크리트 벽 또는 천장이 벽체 상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드릴로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홀 내부의 분진을 청소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에 지지용 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단칼로 단열재를 일부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칼에 의해 절단된 절개 단열재를 분리시켜 배치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의 배치공간으로 브라켓을 끼워넣어 배치하는 단계; 공급노즐 또는 수용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천공홀 내부에 에폭시 접착제를 주입하는 과정 또는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 선단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 또는 미도포된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를 콘크리트의 벽체에 형성된 천공홀로 임팩드릴을 이용하여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를 삽입하고, 앵글의 수직부를 브라켓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한 다음 상기 에폭시 접착제가 고정용 볼트의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 사이의 충진공간 및 골밑에 형성된 충진홈에 채워진 상태로 상기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를 자연 경화시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용 볼트의 머리부에 의해 고정된 앵글을 이용하여 외장재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Combined structure for fixing building exterior materials}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외장재를 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 및 천장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 구조를 개량하고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에 접착제와 함께 고정하는 시공방법을 통해 견고하게 결착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에 부착되는 간판 및 다양한 외장재들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콘크리트 드릴을 이용하여 벽체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어서 벽체에 천공된 구멍으로 앵커볼트의 앵커부를 유입시킨 후 앵커부의 슬리브를 확장시켜 구멍에 박히도록 고정하는 앵커볼트를 박는 고정방법과, 벽체에 천공된 구멍으로 볼트의 나선부를 회전시켜 직접 나선부가 벽체에 박히도록 고정하는 볼트를 체결하는 고정방법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중 전자의 경우는 앵커부의 슬리브를 직접 망치등으로 타격하여 확장시키는 과정이 복잡하고 고정 부분이 앵커부분이 콘크리트에 박혀 고정되는 것으로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고정부분이 앵커부분에 집약되므로 결착력이 미약하여 중량이 큰 외장재를 고정하기에는 부적합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후자의 경우는 나선부가 콘크리트 벽체에 천공된 구멍으로 회전하면서 유입되어 나사산이 콘크리트 벽체에 박히는 것으로 고정부분이 많아 결착력은 향상되나 진동이 발생하면 역으로 불려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후자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의 나선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진동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더욱 안정적인 결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량하고 효율적인 시공을 통해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4715호(2015.11.0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9444호(2015.12.2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4695호(2016.01.12.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08889호(2011.01.27. 공개) 대한민국 공고실용신안 제20-1987-0001239호(1987.03.2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결함과 부족에 대해, 구조가 단순하고 합리적이며, 인발력 향상과 진동 및 충격에 의한 풀림 방지를 위하여 나산산의 형태를 개량하고,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에 충진홈을 형성하여 타일 및 석재용 에폭시 접착제의 충진 공간 제공 및 점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콘크리트 벽체 및 천장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가 아주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장재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개량된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가 접착제와 함께 견고하게 고정되고 외장재를 외장재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시공방법을 통해 시공능률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방법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브라켓, 'ㄱ'자형 앵글, 단위 연결부재 및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는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되는 선단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고 콘크리트 벽체에 접착되는 단열재의 두께 만큼의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한 브라켓 및 수직부에 관통공을 형성한'ㄱ'자형 앵글을 순차적으로 끼우는 나선부와, 상기 브라켓 및 앵글의 수평부를 이용하여 외장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부를 견고하게 압착 결합시키도록 나선부의 후단에 형성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는 볼트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나선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체결되도록 머리부에는 암나사를 나선부의 후단에는 숫나사를 형성하여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나선부는 높이가 큰 제1 나사산과 높이가 낮은 제2 나사산으로 2줄 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나사산은 천공홀로 회전 유입될 때 1/2 이상 산마루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에 원활하게 박히도록 앞쪽은 돌출 곡면을 이루고 뒷쪽은 홀쭉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풀림을 방지하도록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나사산은 제1 나사산의 높이보다 1/4 내지 1/6 작게 골밑으로부터 돌출되어 천공홀의 둘레면에 산마루 부분이 접하거나 1/5 정도 박히도록 하여 제1 나사산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중심유지 및 타일, 석재용 에폭시 접착제의 충진공간을 마련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부의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 사이의 골밑에 접착제의 충진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충진홈을 더 형성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방법은 벽 또는 천장이 되는 콘크리트 벽체 상에 단열재를 거치 또는 전용 접착제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경화된 콘크리트 벽체에 콘크리트 드릴로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천공홀 내부의 분진을 에어스프레이건으로 청소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가 압축되지 않도록 두께를 유지시키는 지지용 브라켓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단칼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일부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칼에 의해 절단된 절개 단열재를 분리시켜 브라켓을 끼울 수 있는 배치공간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단열재에 형성된 배치공간으로 브라켓을 끼워넣어 배치하는 단계; 공급노즐 또는 수용용기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에 형성된 천공홀 내부에 에폭시 접착제를 주입하는 과정 또는 앵글의 수직부를 고정용 볼트의 머리부 쪽으로 끼워 위치시킨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 선단에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으로만 이루어지는 에폭시 접착제의 주입 또는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 또는 미도포된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를 콘크리트의 벽체에 형성된 천공홀로 유입시켜 체결도록 미도시된 임팩드릴을 이용하여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를 천공홀 내에 삽입하고, 앵글의 수직부를 브라켓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한 다음 상기 에폭시 접착제가 고정용 볼트의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 사이의 충진공간 및 골밑에 형성된 충진홈에 채워진 상태로 상기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를 자연 경화시켜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 및 머리부 그리고 브라켓에 접하여 고정된 앵글의 수직부를 이용하여 외장재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4), 'ㄱ'자형 앵글(5), 단위 연결부재(7) 및 고정용 볼트(2)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은 콘크리트 벽체(1)에 전용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 단열재(3)가 압축되지 않도록 브라켓(4)에 맞게 절단된 단열재(3) 배치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4개의 지지대(4a,4b,4c,4d)를 갖는 '+' 형상으로 구성되어 '+' 형상의 중심에 관통공(41)이 형성되고, 4개의 지지대(4a,4b,4c,4d) 중 상기 브라켓(4)의 하측 지지대(4c)를 제외한 3개의 지지대(4a,4b,4d)는 끝부분이 단열재(3) 지지를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되, 각 끝부분의 모서리들은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4)의 하측 지지대(4c)는 단열재(3)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원호 형태의 곡선 이후에 아래쪽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끝부분이 다른 3개의 지지대(4a,4b,4d) 끝부분에 비해 평평한 부분이 더 길어지도록 'T'형상 반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ㄱ'자형 앵글(5)은 수평부(52) 및 수직부(51)로 구성되되, 상기 수직부(51)에는 고정용 볼트(2)가 삽입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52)는 외장재(6)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 연결부재(7)는 공기층을 증대시키도록 크기별로 형성되되, 단열재(3) 및 외장재(6) 사이의 간격(T)이 조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머리부(22)는 나선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체결되도록 머리부(22)에는 암나사(221)를, 나선부(21)의 후단에는 숫나사(211)를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나선부(21)는 높이가 높은 제1 나사산(21a)과 높이가 낮은 제2 나사산(21b)을 갖는 2중 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나사산(21a)은 천공홀(11)로 회전 유입될 때 1/2 이상 산마루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1)에 원활하게 박히면서 이동하면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앞쪽은 돌출 돌출곡면(23)이 형성되고 뒷쪽은 홀쭉한 곡면(24)이 형성된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나사산(21b)은 제1 나사산(21a)의 높이보다 1/4 내지 1/6 작게 ㄱ골밑(25)으로부터 돌출되어 천공홀(11)의 둘레면에 산마루 부분이 접하거나 1/5 정도 박히도록 하여 제1 나사산(21a)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중심유지 및 에폭시 접착제의 충진공간(12)를 마련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부(21)의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골밑(25)에 에폭시 접착제(100)의 충진홈(26)을 더 형성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골밑(25)에 형성되는 충진홈(26)이 제2 나사산(21b)의 양측에 형성되거나 제1 나사산(21a) 및 제2 나사산(21b) 사이에 다수 형성되는 제1 홈(261)과,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를 연결하는 기다란 형태의 제2 홈(262) 중 어느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을 제외한 부분에 일정한 직선 부분이 형성되어, 에폭시 접착제(100)와 충진공간(12)의 확대를 통한 접촉 면적 확장을 통해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는 그 구조가 단순하고 합리적이며, 나사산의 높낮이가 크고 작은 2중 나산산의 형태이면서 충진홀의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제1 나사산이 곡면을 이루는 톱날 형상으로 개량함으로써 인발력 향상과 진동 및 충격에 의한 풀림을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 높이가 낮은 제2 나사산의 산마루가 천공홀의 둘레면에 접하게 하여 에폭시 접착재가 위치하는 기본 충진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나선부의 골밑에 제1 홈 또는 제2 홈인 에폭시 접착재가 위치하는 충진홈을 추가 형성하여 충진됨 에폭시 접착제가 고정볼트의 나선부 체결부분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게 됨으로써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가 콘크리트 벽체 및 천장에 에폭시 접착제에 의해 아주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장재를 안전하게 고정하는 지지력 향상이 가능하고, 개량된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가 접착제와 함께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을 통해 시공능률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의 일부를 절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를 이용하여 외장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 및 외장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들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외장재를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도 7(A,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의 골밑에 형성되는 충진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를 이용하여 외장재를 고정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9(A,B,C)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가 접착제와 함께 콘크리트 벽체에 고정된 후 인발 테스트를 시행하는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의 나선부 후단과 머리부를 분리 형성한 후 연결부재로 나사체결하여 공기층 간격을 넓게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일반 고정용 볼트의 인발하중을 한국건설품질시험원에서 검사한 품질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시공방법과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용 고정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천공홀(11)에 삽입되는 선단이 에폭시 접착제(100)에 의해 고정되고 콘크리트 벽체(1)에 접착되는 단열재(3)의 두께 만큼의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중앙에 관통공(41)을 형성한 브라켓(4) 및 수직부(51)에 관통공(511)을 형성한'ㄱ'자형 앵글(5)을 순차적으로 끼우는 나선부(21)와, 상기 브라켓(4) 및 앵글(5)의 수평부(52)를 이용하여 외장재(6)를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부(51)를 견고하게 압착 결합시키도록 나선부(21)의 후단에 형성되는 머리부(22)로 이루어지는 고정용 볼트(2)의 기본 구성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고정용 볼트(2)는 외장재(6)를 고정시키는 앵글(5)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체(1)의 천공홀(11)에 결합된 후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풀림이나 손상에 의해 이탈됨을 방지하면서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타일 및 석재용 에폭시 접착제(100)와 함께 경화되어 안정적인 점착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용 볼트(2)는 일 실시 예로서 고정용 볼트(2)의 머리부(22)는 나선부(2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2 및 도 6에서와 같이 분리형성된 후 나사체결되도록 머리부(22)에는 암나사(221)를 나선부(21)의 후단에는 숫나사(211)를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나선부(21)는 높이가 큰 제1 나사산(21a)과 높이가 낮은 제2 나사산(21b)으로 2줄 나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a)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벽제(1)의 천공홀(11)로 회전 유입될 때 1/2 이상 산마루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1)에 원활하게 박히면서 이동하면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앞쪽은 돌출 곡면(23)을 이루고 뒷쪽은 홀쭉한 곡면(24)으로 이루는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2)의 제2 나사산(21b)은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 나사산(21a)의 높이보다 1/4 내지 1/6 작게 골밑(25)으로부터 돌출되어 천공홀(11)의 둘레면에 산마루 부분이 접하거나 1/5 정도 박히도록 하여 제1 나사산(21a)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중심유지 및 에폭시 접착제의 충진공간(12)을 마련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에 형성된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골밑(25)에 애폭시 접착제(100)의 충진홈(26)을 더 형성하여 점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골밑(25)에 형성되는 충진홈(26)은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2 나사산(21b)의 양측에 형성되거나, 도 7(A)에서와 같이 제1 나산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에 제1 홈(261)을 다수 형성할 수 있고, 도 7(B)에서와 같이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를 연결하는 기다란 형태의 제2 홈(262)으로 형성하여 에폭시 접착제(100)가 도포되는 충진공간(12)의 확대를 통해 애폭시 접착제(100)가 제1 나산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에서 경화되어 점착력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고정용 볼트(2)가 콘크리트 벽체(1)의 천공홀(11)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이탈 방지는 물론 외장재(6)의 안정적인 고정상태 유지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 후단부분과 머리부(22)는 숫나사(211)와 암나사(221)에 의해 상호 체결되도록 분리 형성시키고,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 후단에 형성된 숫나사(211)와 머리부(22)에 형성된 암나사(221)를 연결하면서 단열재(3) 및 외장재(6) 사이의 간격(T)을 조정하여 공기층을 증대시키도록 크기별로 형성되는 단위 연결부재(7)를 더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 연결부재(7)는 단열재(3) 및 외장재(6) 사이의 간격(T)이 10mm 씩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며, 상기 간격(T)이 변화할 때 앵글(5)의 수평부(52) 역시 길이의 변화가 함께 이루어지고, 상기 단열재(3) 및 외장재(6) 사이의 간격(T)은 10m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크기를 변화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음으로, 도 5, 도 8 및 도 10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벽체(1)에 고정용 볼트(2)를 이용하여 외장재(6)를 고정하는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첫 공정으로서, 도 8의 a)와 같이 벽 또는 천장이 되는 콘크리트 벽체(1) 상에 단열재(3)를 거치 또는 미도시된 단열재 전용 접착제로 부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b)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에 부착된 단열재(3)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경화된 콘크리트 벽체(1)에 콘크리트 드릴(81)로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가 체결될 천공홀(11)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공홀(11)의 깊이는 단열재(3)의 두께에 따라 정해지며, 고정용 볼트(2)의 인발시험을 통해 외장재(6)의 두께, 풍압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c)에서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천공홀(11) 내부에 잔존하는 분진을 에어스프레이건(82)을 이용하여 외부로 불어내어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d)에서와 같이 상기 단열재(3)가 압축 또는 변혁되지 않고두께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지지용 브라켓(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단칼(83)을 이용하여 단열재(3)를 일부 절단하게 되며, 상기 절단칼(83)은 지지용 브라켓(4)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도 8의 e)에서와 같이 상기 절단칼(83)에 의해 절단된 절개 단열재(32)를 분리시켜 브라켓(4)을 끼울 수 있는 배치공간(31)을 마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f)에서와 같이 상기 단열재(3)에 형성된 배치공간(31)으로 브라켓(4)을 끼워넣어 배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g)에서와 같이 공급노즐(64) 또는 수용용기(85)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천공홀(11) 내부에 에폭시 접착제(100)를 주입하는 과정 또는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 선단에 에폭시 접착제(100)를 도포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에폭시 접착제(100)의 주입 또는 도포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 선단에 에폭시 접착제(100)를 도포하기 전에 앵글(5)의 수직부(51)를 고정용 볼트(2)의 머리부(22) 쪽으로 끼워 위치시켜야 외장재(6)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 접착제(100)의 충진 및 도포 과정에서 에폭시 접착제(100)를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천공홀(11) 내부에 공급노즐(84)로 주입하는 과정 및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 선단에 수용용기(85)를 이용하여 도포하는 과정이 모두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h)에서와 같이 상기 에폭시 접착제(100)가 도포 또는 미도포된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를 브라켓(4)의 관통공(41)으로 통과시칸 후 콘크리트의 벽체(1)에 형성된 천공홀(11)로 유입시켜 체결하게 된다. 이때 미도시된 임팩드릴을 이용하여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를 천공홀(11) 내에 삽입하고, 앵글(5)의 수직부(51)를 브라켓(4)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체결하면 상기 에폭시 접착제(100)가 고정용 볼트(2)의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충진공간(12) 및 골밑(25)에 형성된 충진홈(26)에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를 4시간 내지 12시간 자연 경화시켜 고정하게 되나, 안전을 위해 24시간 이상 에폭시 접착제(100)를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에폭시 접착제(100)는 타일 및 석재용(수중경화형으로, 제품명: EPO-THAN SEP-8000, 제조원: 삼창기연주식회사 이다.)을 사용하게 되고, 주제와 경화제를 1:1의 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마지막 공정으로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 및 머리부(22) 그리고 브라켓(4)에 접하여 고정된 앵글(5)의 수직부(21)를 이용하여 외장재(6)를 결합하게 되고, 외장재(6)와 외장재(6) 사이의 틈에는 미도시된 실리콘 또는 몰탈로 메워서 마무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공방법을 통해 시공되는 본 발명의 고정용 볼트(2)는 2중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천공홀(11)에 나선부(21)를 체결한 후 발생되는 충진공간(12)과 고정용 볼트(2)의 골밑(25)에 형성된 충진홈(26)에 에폭시 접착제(100)를 충진하고 에폭시 접착제(100)의 경화를 통해 얻어지는 점착력 강화로 고정용 볼트(2)의 풀림을 방지함은 물론 견고하게 콘크리트의 벽체(1)에 형성된 천공홀(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고정된 고정용 볼트(2)의 인발하중과 일반 고정용 볼트(세트앙카 3/8)의 인발하중을 비교해 보면, 도 11에서와 같이 한국건설품질시험원에서 검사한 품질시험성적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일반 고정용 볼트(세트앙카 3/8)의 인발하중이 19.6KN로 확인되나, 본원 발명은 도 9(A)에서와 같이 상기 시공방법과 같이 콘크리트 벽체(1)에 형성된 천공홀(11)에 에폭시 접착재(100)을 도포한 동일 규격(세트앙카 3/8)의 고정용 볼트(2)를 체결하고 시공 48시간 경화시킨 후 인발테스트 장비를 장착하여 측정한 결과 도 9(B)에서와 같이 32.96KN의 인발하중이 발생할 때부터 도 9(C)에서와 같이 콘크리트에 균열이 시작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개량된 고정용 볼트(2)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매우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브라켓(4), 'ㄱ'자형 앵글(5), 단위 연결부재(7) 및 고정용 볼트(2)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은 콘크리트 벽체(1)에 전용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 단열재(3)가 압축되지 않도록 브라켓(4)에 맞게 절단된 단열재(3) 배치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4개의 지지대(4a,4b,4c,4d)를 갖는 '+' 형상으로 구성되어 '+' 형상의 중심에 관통공(41)이 형성되고, 4개의 지지대(4a,4b,4c,4d) 중 상기 브라켓(4)의 하측 지지대(4c)를 제외한 3개의 지지대(4a,4b,4d)는 끝부분이 단열재(3) 지지를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되, 각 끝부분의 모서리들은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4)의 하측 지지대(4c)는 단열재(3)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원호 형태의 곡선 이후에 아래쪽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끝부분이 다른 3개의 지지대(4a,4b,4d) 끝부분에 비해 평평한 부분이 더 길어지도록 'T'형상 반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ㄱ'자형 앵글(5)은 수평부(52) 및 수직부(51)로 구성되되, 상기 수직부(51)에는 고정용 볼트(2)가 삽입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52)는 외장재(6)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 연결부재(7)는 공기층을 증대시키도록 크기별로 형성되되, 단열재(3) 및 외장재(6) 사이의 간격(T)이 조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머리부(22)는 나선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체결되도록 머리부(22)에는 암나사(221)를, 나선부(21)의 후단에는 숫나사(211)를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나선부(21)는 높이가 높은 제1 나사산(21a)과 높이가 낮은 제2 나사산(21b)을 갖는 2중 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나사산(21a)은 천공홀(11)로 회전 유입될 때 1/2 이상 산마루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1)에 원활하게 박히면서 이동하면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앞쪽은 돌출 돌출곡면(23)이 형성되고 뒷쪽은 홀쭉한 곡면(24)이 형성된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나사산(21b)은 제1 나사산(21a)의 높이보다 1/4 내지 1/6 작게 ㄱ골밑(25)으로부터 돌출되어 천공홀(11)의 둘레면에 산마루 부분이 접하거나 1/5 정도 박히도록 하여 제1 나사산(21a)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중심유지 및 에폭시 접착제의 충진공간(12)를 마련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부(21)의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골밑(25)에 에폭시 접착제(100)의 충진홈(26)을 더 형성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골밑(25)에 형성되는 충진홈(26)이 제2 나사산(21b)의 양측에 형성되거나 제1 나사산(21a) 및 제2 나사산(21b) 사이에 다수 형성되는 제1 홈(261)과,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를 연결하는 기다란 형태의 제2 홈(262) 중 어느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을 제외한 부분에 일정한 직선 부분이 형성되어, 에폭시 접착제(100)와 충진공간(12)의 확대를 통한 접촉 면적 확장을 통해 접착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삭제
1 : 콘크리트 벽체 11: 천공홀
12: 충진공간 100: 에폭시 접착제
2: 고정용 볼트 21: 나선부
21a: 제1 나사산 21b: 제2 나사산
22: 머리부 211: 숫나사
221: 암나사 23: 돌출곡면
24: 홀쭉한 곡면 25: 골밑
26: 충진홈 261: 제1 홀
262: 제2 홀 3: 단열재
31: 배치공간 4: 브라켓
41: 관통공 5: 앵글
51: 수직부 52: 수펑부
511: 관통공 6: 외장재
7: 연결부재 81: 콘크리트 드릴
82: 에어스프레인건 83: 잘단칼
84: 공급노즐 85: 수용용기
T: 간격

Claims (5)

  1. 브라켓(4), 'ㄱ'자형 앵글(5), 단위 연결부재(7) 및 고정용 볼트(2)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은 콘크리트 벽체(1)에 전용 접착제를 통해 부착된 단열재(3)가 압축되지 않도록 브라켓(4)에 맞게 절단된 단열재(3) 배치공간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4개의 지지대(4a,4b,4c,4d)를 갖는 '+' 형상으로 구성되어 '+' 형상의 중심에 관통공(41)이 형성되고, 4개의 지지대(4a,4b,4c,4d) 중 상기 브라켓(4)의 하측 지지대(4c)를 제외한 3개의 지지대(4a,4b,4d)는 끝부분이 단열재(3) 지지를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되, 각 끝부분의 모서리들은 원호 형태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4)의 하측 지지대(4c)는 단열재(3)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해 원호 형태의 곡선 이후에 아래쪽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끝부분이 다른 3개의 지지대(4a,4b,4d) 끝부분에 비해 평평한 부분이 더 길어지도록 'T'형상 반대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ㄱ'자형 앵글(5)은 수평부(52) 및 수직부(51)로 구성되되, 상기 수직부(51)에는 고정용 볼트(2)가 삽입되는 관통공(511)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52)는 외장재(6)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위 연결부재(7)는 공기층을 증대시키도록 크기별로 형성되되, 단열재(3) 및 외장재(6) 사이의 간격(T)이 조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머리부(22)는 나선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나사체결되도록 머리부(22)에는 암나사(221)를, 나선부(21)의 후단에는 숫나사(211)를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나선부(21)는 높이가 높은 제1 나사산(21a)과 높이가 낮은 제2 나사산(21b)을 갖는 2중 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나사산(21a)은 천공홀(11)로 회전 유입될 때 1/2 이상 산마루 부분이 콘크리트 벽체(1)에 원활하게 박히면서 이동하면서 풀림을 방지하도록 앞쪽은 돌출 돌출곡면(23)이 형성되고 뒷쪽은 홀쭉한 곡면(24)이 형성된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나사산(21b)은 제1 나사산(21a)의 높이보다 1/4 내지 1/6 작게 ㄱ골밑(25)으로부터 돌출되어 천공홀(11)의 둘레면에 산마루 부분이 접하거나 1/5 정도 박히도록 하여 제1 나사산(21a)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중심유지 및 에폭시 접착제의 충진공간(12)를 마련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부(21)의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골밑(25)에 에폭시 접착제(100)의 충진홈(26)을 더 형성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용 볼트(2)의 나선부(21)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의 골밑(25)에 형성되는 충진홈(26)이 제2 나사산(21b)의 양측에 형성되거나 제1 나사산(21a) 및 제2 나사산(21b) 사이에 다수 형성되는 제1 홈(261)과, 제1 나사산(21a)과 제2 나사산(21b) 사이를 연결하는 기다란 형태의 제2 홈(262) 중 어느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홈을 제외한 부분에 일정한 직선 부분이 형성되어, 에폭시 접착제(100)와 충진공간(12)의 확대를 통한 접촉 면적 확장을 통해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7822A 2018-11-12 2018-11-12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KR102236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22A KR102236170B1 (ko) 2018-11-12 2018-11-12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22A KR102236170B1 (ko) 2018-11-12 2018-11-12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496A KR20200054496A (ko) 2020-05-20
KR102236170B1 true KR102236170B1 (ko) 2021-04-05

Family

ID=7091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822A KR102236170B1 (ko) 2018-11-12 2018-11-12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648B1 (ko) 2020-06-18 2021-11-10 (주)대한볼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탭핑 스크류 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54Y1 (ko) * 2003-06-03 2003-08-21 (주)대경강건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JP2006057801A (ja) * 2004-08-23 2006-03-02 Union Seimitsu:Kk 緊締ねじ
JP2016056571A (ja) * 2014-09-09 2016-04-21 酒井工業株式会社 ネジ部材の固定構造、ネジ部材の固定方法、及び、ネジ部材の定着強度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2099Y1 (ko) 1985-06-26 1987-06-13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편향요우크의 보정편
KR20110008889A (ko) 2009-07-21 2011-01-27 김종성 외장재 고정용 앵커볼트 고정방법
KR101564715B1 (ko) 2015-03-23 2015-11-03 비코비엔주식회사 앵커로드의 피복을 유지하고 케미컬 약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케미컬앵커 및 그 시공 방법
KR20160119507A (ko) * 2015-04-06 2016-10-14 고재영 건물의 외부단열재와 외장재 부착용 브라켓
KR101579444B1 (ko) 2015-04-28 2015-12-28 송영선 건축용 패널 고정장치
KR101584695B1 (ko) 2015-09-17 2016-01-12 (주)한은이앤씨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54Y1 (ko) * 2003-06-03 2003-08-21 (주)대경강건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JP2006057801A (ja) * 2004-08-23 2006-03-02 Union Seimitsu:Kk 緊締ねじ
JP2016056571A (ja) * 2014-09-09 2016-04-21 酒井工業株式会社 ネジ部材の固定構造、ネジ部材の固定方法、及び、ネジ部材の定着強度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496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646B1 (ko)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US8419331B2 (en) System comprising a composite anchor bolt and glue
US4360993A (en) Method for constructing flush wall lathing
KR101673277B1 (ko) 단열재 고정용 화스너 및 이를 이용한 드라이비트 외벽단열공법
KR102176905B1 (ko) 치장벽체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강공법
KR20090074124A (ko) 쐐기력을 이용한 프리텐션 네일공법
KR102236170B1 (ko)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JP2007063882A (ja) 拡張ボアホールに取り付けた高耐荷力アンカー構造
JP2008127897A (ja) 型枠保持具及びこの型枠保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並びにこの構築方法により構築され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040070440A (ko) 벽 보강 시스템
KR101600679B1 (ko) 전단 소켓 앵커
KR101010073B1 (ko)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KR101043127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및 지반보강장치
US63125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concrete
KR20100013375A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시공용 스크류 피스
CN212836849U (zh) 一种植筋锚固结构
EP3964660A1 (en) Improved anchor bolt assembly and ceiling finishing panel fix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008231869A (ja) 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KR102100754B1 (ko) 단열재가 부착된 건축물의 외부 벽면 상에 외장재를 시공하기 위한 쐐기형 외장재 고정 장치
JP2006016952A (ja) アンカーとその仮固定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仮固定構造
JP6563673B2 (ja) 意匠パネル、壁構造及び施工方法
KR100966276B1 (ko) 콘크리트 벽면의 단열재 시공용 스크루 피스
JP6985717B2 (ja) ピンニング工法
KR20130029906A (ko) 주변마찰력 증가 장치
JP6909380B2 (ja) ラグスクリューボルト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