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46B1 -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46B1
KR101851646B1 KR1020160040208A KR20160040208A KR101851646B1 KR 101851646 B1 KR101851646 B1 KR 101851646B1 KR 1020160040208 A KR1020160040208 A KR 1020160040208A KR 20160040208 A KR20160040208 A KR 20160040208A KR 101851646 B1 KR101851646 B1 KR 10185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anchor sleeve
hole
wall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717A (ko
Inventor
우운택
양승배
나정민
Original Assignee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filed Critical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to KR102016004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4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6Repairing or restoring fac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조적벽체 등의 외벽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치장벽돌을 설치하는 등 외부마감재가 설치된 건축물의 노후화된 외벽을 보수 보강하기 위한 수단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보수 보강용 앵커체는 양 단부가 상기 외벽체와 외부마감재에 각각 고정되는 앵커슬리브와, 상기 앵커슬리브에 삽입되는 가압볼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슬리브는 내부에 삽입공이 구비되면서, 확장슬릿이 다수 개 구비된 선단확장부와, 상기 선단확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확장슬릿이 다수 개 구비된 후단확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볼트체는 앵커슬리브의 선단확장부와 후단확장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선단나사부와 후단나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앵커슬리브의 삽입공 중 선단확장부에 형성된 공간 내에는 보강물질이 충전된 캡슐이 구비되고, 가압볼트체의 선단에는 상기 캡슐을 터뜨리기 위한 첨두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ANCHOR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OF THE EXTERIOR FINISHING MATERIAL AND THE METHOD OF REPAIR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조적벽체 등의 외벽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치장벽돌을 설치하는 등 외부마감재가 설치된 건축물의 노후화된 외벽을 보수 보강하기 위한 수단 및 그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마감재를 제거하지 않고서도 외벽체와 외부마감재 사이를 강력하게 앵커링하기 위한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치장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또는 조적벽 등의 외벽체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치장벽돌 등의 외부마감재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외부마감재의 시공은 통상적으로 각 단마다 외벽체와의 구조적 연결 및 간격의 유지를 위해 연결철선 및 브라켓을 설치하고, 그 위에 외장재, 예컨대 치장벽돌을 쌓아 올라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벽 외장구조는 시공부실, 장기적 노화작용 또는 부동침하로 인하여 벽체에 균열, 배부름 등이 발생하거나, 그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외장마감재가 탈락하여 미관을 저해할 뿐 아니라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또 상기와 같이 노후화된 외벽을 보수하기 위하여 기존의 외장마감재를 모두 제거하고 새로운 외장마감재를 설치하기도 하나, 이러한 작업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건설폐기물의 과다한 배출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문제까지 발생하게 한다.
따라서 기존의 외장마감재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보강성이 뛰어나고 시공성이 향상된 보수 보강 방법에 관한 다음과 같은 다양한 연구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도 1은 2014. 7. 2.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17711호에 개시된 '조적벽체 보강용 쐐기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공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상기의 쐐기앵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일정깊이의 공구홈(18)이 형성된 머리부(12)와, 상기 머리부(12)보다 외경이 작은 외경으로 연장되는 고정축(14) 및 상기 고정축(14)의 끝단에 형성되는 나선부(16)가 형성되는 쐐기볼트(10)와; 상기 쐐기볼트(10)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수용공간(22)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나선부(16)에 체결되는 체결부(24) 및 외주연에 압박력에 의해 확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확장유도공(26)이 형성되는 제1쐐기부(20); 및 상기 쐐기볼트(10)의 고정축(14)에 삽입되어 상기 쐐기볼트(10)의 회전으로 전진되는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1쐐기부(20)를 압박시켜 내력벽체(I)의 통공(P) 내주연에 확고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는 간격유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볼트(10)에 삽입되고, 일측에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쐐기볼트(10)의 전진에 의해 작용하는 압박력에 의해 부풀어올라 조적벽돌(BU)의 통공(P)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쐐기(44)가 형성되는 제2쐐기부(40);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등록번호 10-1417711호의 쐐기앵커는 제1쐐기부(20)가 마찰력을 이용하여 내력벽체(I)를 고정시키고 제2쐐기부(40) 역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기존의 조적벽돌(외장마감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조적벽돌이 내력벽체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는 바, 외부의 충격은 쐐기앵커가 삽입된 내력벽체 또는 조적벽돌의 구멍을 확장시킴으로써 마찰력 저하로 인한 고정력 상실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은 2007. 12. 31.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87596호에 개시된 '긴결철물 및 에폭시를 이용한 조적벽 보강공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으로서, 상기의 보강공법은 벽돌 사이에 형성된 줄눈 사이로 천공장치를 이용하여 벽돌에서부터 콘크리트벽체까지 홈을 형성시키는 천공단계(S10); 상기 세트앵커볼트의 머리부분에 에폭시수지를 주입하고, 고정부의 제1, 2, 3고정대가 세트앵커볼트의 머리부분으로 향하도록 고정부를 세트앵커볼트에 결합한 후, 벽돌에서 콘크리트벽체까지 형성된 홈에 상기 세트앵커볼트의 머리부분부터 삽입하는 볼트삽입단계(S20); 상기 홈에 삽입되며 세트앵커볼트에 결합된 고정부를 타정장치를 이용하여 타격함과 동시에, 고정부의 제1, 2,3고정대가 세트앵커볼트의 머리에 의해 벌어지도록 하면서 고정부와 세트앵커볼트를 홈에 고정시키는 볼트고정단계(S30); 상기 지지대의 돌출부를 세트앵커볼트의 고정부방향으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을 벽돌의 일측면에 밀착시키고 너트로 고정하는 지지대고정단계(S40); 상기 지지대의 공간부에 에폭시메지몰탈을 주입하는 몰탈주입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록번호 10-0787596호의 보강공법에서는 앵커볼트 머리의 확장에 의한 마찰지지와 함께 에폭시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에 대하 앵커볼트의 강한 결합을 가지게 하고는 있으나, 천공후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콘크리트벽체의 홈에 에폭시수지의 주입작업 자체가 번거롭고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주입상태의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에폭시수지의 누출로 인한 에폭시수지의 과다사용이 될 우려가 있다.
KR 10-1417711 B1 KR 10-0787596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앵커체의 앵커링 작용과 에폭시 등의 보강물질에 의한 접착 보강 작용에 의해 외부의 지속적인 충격에도 앵커체의 지지력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의 보수 보수 보강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양 단부가 상기 외벽체와 외부마감재에 각각 고정되는 앵커슬리브와, 상기 앵커슬리브에 삽입되는 가압볼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앵커슬리브는 내부에 삽입공이 구비되면서, 확장슬릿이 다수 개 구비된 선단확장부와, 상기 선단확장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확장슬릿이 다수 개 구비된 후단확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볼트체는 앵커슬리브의 선단확장부와 후단확장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선단나사부와 후단나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앵커슬리브의 삽입공 중 선단확장부에 형성된 공간 내에는 보강물질이 충전된 캡슐이 구비되고, 가압볼트체의 선단에는 상기 캡슐을 터뜨리기 위한 첨두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의 외벽체에 치장벽돌 등 외부마감재가 설치된 건축물의 노후화된 외벽을 보수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외부마감재에 관통홀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관통홀과 일직선을 이루는 통공을 외벽체에 형성시키는 단계, 보수 보강용 앵커체의 앵커슬리브를 상기 관통홀과 통공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보수 보강용 앵커체의 가압볼트체를 앵커슬리브의 삽입공 내에 삽입시켜 앵커슬리브의 선단확장부와 후단확장부의 각 외경을 확장시키면서, 캡슐을 터뜨려 보강물질이 선단확장부의 슬릿을 통해 외벽체의 통공 및 상기 통공 주변의 미세공에 주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앵커슬리브의 확장에 의한 앵커링과 함께 접착력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보강물질이 상기 앵커링 부분에 주입됨으로써 외부의 지속적인 충격에도 앵커체의 지지력은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보수 보강부분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물질의 주입은 별도의 작업이나 장비없이 앵커슬리브를 확장시키는 과정중에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이러한 보강물질의 주입이 정확하게 세밀하게 이루어지므로 높은 경제성 및 시공성과 더불어 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조적벽체 보강용 쐐기앵커의 사시도 및 상기 쐐기앵커가 설치된 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수 보강용 앵커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및 B-B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에 구비되는 캡슐을 이용하는 예의 보수 보강과정을 설명한 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에 구비되는 누출방지링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에 가압링을 더 구비시킨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을 보수하는 과정을 나타낸 각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를 구성하는 앵커슬리브(110)와 가압볼트체(130)의 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삽입공(111)이 구비되어 있는 앵커슬리브(110)와, 상기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에 삽입되는 가압볼트체(130)로 이루어진다.
앵커슬리브(110)는 양 단부가 외벽체(200)와 외부마감재(300)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외벽체(200)와 외부마감재(300)의 구조적 일체성을 가지게 하는 것인 바, 상기 앵커슬리브(110)는 외벽체(200)에 고정되는 선단확장부(112)와 외부마감재(300)에 고정되는 후단확장부(113)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선단확장부(112)와 후단확장부(113)는 가압볼트체(130)가 삽입공(111)에 삽입됨으로 인하여 그 외경이 확장되면서 건축물의 외벽체(200)와 마감부재에 대한 앵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인 바, 이러한 외경의 확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단확장부(112)와 후단확장부(113)에는 다수 개의 확장슬릿(114)이 각각 구비된다.
앵커슬리브(110)의 상기한 선단확장부(112)와 후단확장부(113)에 대응하도록 가압볼트체(130) 역시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선단나사부(131)와 후단나사부(132)가 구비된다.
즉 앵커슬리브(110)의 선단확장부(112)는 가압볼트체(130)의 선단나사부(131)가 삽입되면서 그 외경이 확장되고, 앵커슬리브(110)의 후단확장부(113)는 가압볼트체(130)의 후단나사부(132)가 삽입되면서 그 외경이 확장된다.
이와 같이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에 대한 가압볼트체(130)의 삽입에 의해 선단확장부(112)의 외경이 확장되도록 하는 것인 바, 확장되지 아니한 선단확장부(112)의 삽입공(111) 내경(a1)보다 상기 선단확장부(112)의 삽입공(111)에 삽입되는 가압볼트체(130)의 선단나사부(131)의 외경(b1)이 크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선단나사부(131)의 외경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고려될 수도 있으나, 이는 앵커슬리브(110)에 대한 가압볼트체(130)의 삽입을 용이하지 않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단확장부(112)의 삽입공(111) 내경(a1)을, 후단확장부(113)를 포함한 앵커슬리브(110)의 나머지 부분에 구비되는 삽입공(111) 내경(a2)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고, 가압볼트체(130)의 선단나사부(131)의 외경(b1)은, 상기 후단확장부(113)를 포함한 앵커슬리브(110)의 나머지 부분에 구비되는 삽입공(111)의 내경(a2)과 일치시킴으로써, 선단나사부(131)가 슬리브의 선단확장부(112)에 삽입되기 전까지는 가압볼트체(13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에 반하여, 가압볼트체(130)의 후단쪽에 구비되는 후단나사부(132)의 외경(b2)은 선단나사부(131)를 포함한 가압볼트체(130)의 나머지 부분의 외경(b1)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앵커슬리브(110)의 후단확장부(113)가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게 한다.
가압볼트체(130)의 외측단, 즉 후단나사부(132)의 외측단에는 지지와셔부(13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와셔부(133)는 외부마감재(300)에 대한 접지면적을 확장시켜 가압볼트체(130)를 통해 전달되는 응력이 외부마감재(300)에 넓게 분산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집중하중에 의한 외부마감재(300)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는, 1차로 앵커슬리브(110)의 선단확장부(112)와 후단확장부(113)가 건축물의 외벽체(200)와 외부마감재(300)를 각각 앵커링함으로써 이들이 서로간에 구조적인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속적인 외부의 충격은 외벽체(200)의 통공(201) 내벽과 앵커슬리브(110) 외면 사이에 지속적인 마찰을 가지게 하고, 이는 앵커슬리브(110)의 앵커링 효과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앵커슬리브(110)와 외벽체(200)의 일체화를 도모시키는 접착보강수단이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에 더 부가된다.
즉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 중 선단확장부(112)에 형성된 공간 내에 보강물질(121)이 충전된 캡슐(12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가압볼트체(130)의 선단에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캡슐(120)을 터뜨리기 위한 첨두부(134)가 구비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보강물질(121)이 충전된 캡슐(120)을 이용하여 앵커슬리브(110)와 외벽체(200)의 사이를 접착 보강하는 작업의 과정을 설명하는 각 단면도이다.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에 삽입된 가압볼트체(130)는, 앵커슬리브(110)의 선단확장부(112)를 확장시키는 과정중에 첨두부(134)를 이용하여 캡슐(120)을 터뜨림으로써, 상기 캡슐(120) 내부의 보강물질(121)은 앵커슬리브(110)와 가압볼트체(130) 사이의 간극 뿐만 아니라, 앵커슬리브(110)와 외벽체(200)의 통공(201) 사이의 간극과 통공(201) 주변의 미세 균열까지 주입됨으로 인하여, 가압볼트체(130)가 삽입된 앵커슬리브(110)와 외벽간에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게 하여 높은 구조적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통공(201)의 형성 작업에 의해 다소 약해진 외벽체(200)의 통공(201) 주변에 대한 보강의 효과까지도 가질 수 있게 한다.
상기의 보강물질(121)은 합성수지로서 접착력이 강하고 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경화시 부피의 수축이 없는 것이면 족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폭시수지가 포함된 것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의 보강물질(121)에 의한 보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강물질(121)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면서 앵커슬리브(110), 가압볼트체(130), 외벽체(200)의 통공(201) 등의 각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히 주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앵커슬리브(110)에는 단면의 두께가 앵커슬리브(110)보다 두꺼운 누출방지링(1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출방지링(116)은 고무와 같은 신축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앵커슬리브(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앵커슬리브(110)에 탄성막(115)을 구비시킨 후, 상기 탄성막(115)의 외측에 놓여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후자의 탄성막(115)에 누출방지링(116)이 놓여지도록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와 (b)는 가압볼트체(130)가 삽입되기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낸 각 단면도이다.
상기의 누출방지링(116)은 힘이 가해지지 아니한 자연상태에서는 그 외면이 앵커슬리브(1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가압볼트체(130)가 삽입되기 전에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누출방지링(116)의 내측면이 삽입공(111)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외벽체(200)의 통공(201) 등에 대한 앵커슬리브(110)의 삽입은 상기 누출방지링(116)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가압볼트체(130)가 앵커슬리브(110)의 누출방지링(116)이 위치한 부분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누출방지링(116)은 도 5의 (b)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외벽체(200)의 통공(201) 내면과 앵커슬리브(110)의 외면 사이에 밀폐된 격벽(210)을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격벽(210)은 보강물질(121)이 외측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이러한 누출방지링(116)은 앵커슬리브(110)에 구비된 선단확장부(112)의 내측 단부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보강물질(121)의 효율적인 주입을 위한 또 다른 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가압볼트체(130)에는 가압링(135)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가압링(135)은 선단나사부(131)와 후단나사부(13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가압볼트체(13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외면이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 내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 내에서의 가압볼트체(130)의 진입은 상기 가압링(135)으로 하여금 그 앞쪽에 대한 공기압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압은 보강물질(121)이 통공(201)의 미세한 틈에까지 세밀하게 주입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벽체(200)에 치장벽돌 등 외부마감재(300)가 설치된 건축물의 노후화된 외벽을 보수하는 과정을 각 단계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외부마감재(300)의 보수 보강공법은, 드릴을 이용하여 외부마감재(300)와 외벽체(200)에 관통홀(301) 및 통공(201)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관통홀(301)과 통공(201)에 앵커슬리브(110)를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 내에 가압볼트체(130)를 삽입시키는 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외부마감재(300)에 형성되는 관통홀(301)과 외벽체(200)에 형성되는 통공(201)은 일직선을 이루도록 드릴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상기 관통홀(301) 및 통공(201)에 앵커슬리브(110)를 삽입시키는 단계에서는, 가압볼트체(130)를 선단확장부(112) 이전까지 삽입공(111)에 미리 끼워넣은 상태에서 앵커슬리브(110)를 관통홀(301) 및 통공(201)에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의 가압볼트체(130) 삽입단계에서는 전동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볼트체(130)의 선단나사부(131) 및 후단나사부(132)가 앵커슬리브(110)의 선단확장부(112)와 후단확장부(113)를 확장시키고, 가압볼트체(130)의 첨두부(134)는 캡슐(120)을 터드려 보강물질(121)이 선단확장부(112)의 슬릿을 통해 외벽체(200)의 통공(201) 및 상기 통공(201) 주변의 미세공에 주입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보수 보강용 앵커체 110; 앵커슬리브
111; 삽입공 112; 선단확장부
113; 후단확장부 114; 확장슬릿
115; 탄성막 116; 누출방지링
120; 캡슐 121; 보강물질
130; 가압볼트체 131; 선단나사부
132; 후단나사부 133; 지지와셔부
134; 첨두부 135; 가압링
200; 외벽체 201; 통공
210; 격벽 300; 외부마감재
301; 관통홀

Claims (5)

  1. 건축물의 외벽체(200)에 치장벽돌 등 외부마감재(300)가 설치된 건축물의 노후화된 외벽을 보수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 단부가 상기 외벽체(200)와 외부마감재(300)에 각각 고정되는 앵커슬리브(110)와, 상기 앵커슬리브(110)에 삽입되는 가압볼트체(1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앵커슬리브(110)는 내부에 삽입공(111)이 구비되면서, 확장슬릿(114)이 다수 개 구비된 선단확장부(112)와, 상기 선단확장부(11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확장슬릿(114)이 다수 개 구비된 후단확장부(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볼트체(130)는 앵커슬리브(110)의 선단확장부(112)와 후단확장부(113)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선단나사부(131)와 후단나사부(132)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되,
    확장되지 아니한 선단확장부(112)의 삽입공(111) 내경(a1)은 후단확장부(113)를 포함한 앵커슬리브(110)의 나머지 부분에 구비되는 삽입공(111) 내경(a2)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후단나사부(132)의 외경(b2)은 선단나사부(131)를 포함한 가압볼트체(130)의 나머지 부분의 외경(b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 중 선단확장부(112)에 형성된 공간 내에는 보강물질(121)이 충전된 캡슐(120)이 구비되고, 가압볼트체(130)의 선단에는 상기 캡슐(120)을 터뜨리기 위한 첨두부(134)가 구비되며,
    앵커슬리브(110)에 구비된 선단확장부(112) 내측단에는 가압볼트체(130)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되는 누출방지링(11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120)에 충전된 보강물질(121)은 에폭시수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가압볼트체(130)의 후단나사부(132) 외측단에는 지지와셔부(1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5. 건축물의 외벽체(200)에 치장벽돌 등 외부마감재(300)가 설치된 건축물의 노후화된 외벽을 보수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마감재(300)에 관통홀(301)을 형성시키면서 상기 관통홀(301)과 일직선을 이루는 통공(201)을 외벽체(200)에 형성시키는 단계(S1),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의 앵커슬리브(110)를 상기 관통홀(301)과 통공(201)에 삽입시키는 단계(S2); 상기 보수 보강용 앵커체(100)의 가압볼트체(130)를 앵커슬리브(110)의 삽입공(111) 내에 삽입시켜 앵커슬리브(110)의 선단확장부(112)와 후단확장부(113)의 각 외경을 확장시키면서, 캡슐(120)을 터뜨려 보강물질(121)이 선단확장부(112)의 슬릿을 통해 외벽체(200)의 통공(201) 및 상기 통공(201) 주변의 미세공에 주입되도록 하는 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방법.
KR1020160040208A 2016-04-01 2016-04-01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1851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208A KR101851646B1 (ko) 2016-04-01 2016-04-01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208A KR101851646B1 (ko) 2016-04-01 2016-04-01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17A KR20170112717A (ko) 2017-10-12
KR101851646B1 true KR101851646B1 (ko) 2018-04-25

Family

ID=6014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208A KR101851646B1 (ko) 2016-04-01 2016-04-01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4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944B1 (ko) * 2018-12-28 2020-02-19 주식회사 다온코리아 케미칼 앵커볼트 유니트
KR102112096B1 (ko) * 2019-12-13 2020-05-19 주식회사 시우건설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20200126592A (ko) * 2019-04-30 2020-11-0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켓앵커 및 보강채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의 내진, 내화, 보수, 보강공법
KR102179190B1 (ko) * 2020-03-19 2020-11-16 주식회사 일신건설 치장 벽체의 보강과 전도방지를 위한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2246708B1 (ko) * 2021-01-15 2021-04-30 주식회사 한국방재안전기술 조적벽체 내진 보강 시공 방법
KR102265882B1 (ko) 2020-10-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KR102269025B1 (ko) 2020-12-08 2021-06-25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조적벽체 보수를 위한 장치 및 공법
KR102400176B1 (ko) * 2021-10-08 2022-05-2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앵커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벽체보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524B1 (ko) * 2019-01-29 2020-05-06 이석만 신호등 주변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KR102089442B1 (ko) * 2019-08-26 2020-03-16 주식회사 가림이앤씨 조적벽체 보강 앵커
CN112854792A (zh) * 2019-11-28 2021-05-28 北京京诚华宇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双层墙体连接锚杆、中空双层墙体结构及加固施工方法
KR102274464B1 (ko) * 2020-12-15 2021-07-07 중동건설(주) 앵커관을 이용한 조적 벽체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328293B1 (ko) * 2021-03-02 2021-11-18 한빛건설 주식회사 조적 보강 구조물
KR102368708B1 (ko) * 2021-08-17 2022-02-28 (주)신개산업 조적 보강 시공방법과 그 조적보강을 위한 내진 보강구
KR102531392B1 (ko) * 2022-02-22 2023-05-10 박홍철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970A (ja) * 2005-01-17 2006-08-24 Fs Technical Kk 注入口付アンカー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並びにインサートアンカー
KR101417711B1 (ko) * 2014-01-29 2014-07-09 (주)혜암 조적벽체 보강용 쐐기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9970A (ja) * 2005-01-17 2006-08-24 Fs Technical Kk 注入口付アンカー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並びにインサートアンカー
KR101417711B1 (ko) * 2014-01-29 2014-07-09 (주)혜암 조적벽체 보강용 쐐기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944B1 (ko) * 2018-12-28 2020-02-19 주식회사 다온코리아 케미칼 앵커볼트 유니트
KR20200126592A (ko) * 2019-04-30 2020-11-09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켓앵커 및 보강채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의 내진, 내화, 보수, 보강공법
KR102285004B1 (ko) 2019-04-30 2021-08-0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켓앵커 및 보강채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구조물의 내진, 보수, 보강공법
KR102112096B1 (ko) * 2019-12-13 2020-05-19 주식회사 시우건설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102179190B1 (ko) * 2020-03-19 2020-11-16 주식회사 일신건설 치장 벽체의 보강과 전도방지를 위한 전도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2265882B1 (ko) 2020-10-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KR102269025B1 (ko) 2020-12-08 2021-06-25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조적벽체 보수를 위한 장치 및 공법
KR102246708B1 (ko) * 2021-01-15 2021-04-30 주식회사 한국방재안전기술 조적벽체 내진 보강 시공 방법
KR102400176B1 (ko) * 2021-10-08 2022-05-2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앵커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벽체보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17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646B1 (ko)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1417711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쐐기앵커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KR100538759B1 (ko)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JP4927662B2 (ja) 既設覆工物の補修方法
US20090052995A1 (en) Arrangement for injecting and affixing a reinforcing or anchoring element in a rock wall
KR100958696B1 (ko) 쐐기력을 이용한 프리텐션 네일공법
US6185886B1 (en) Fixing element for reinforcement connection with a secondary action, especially for earthquake-resistant securement
US20140059968A1 (en) Apparatus to Tie Forms to Existing Structures
KR20040070440A (ko) 벽 보강 시스템
WO2013089466A1 (ko) 말뚝이나 인장부재의 지지력 확대를 위해 천공확장부에 접합채움재를 타설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5926615B2 (ja) 立坑の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4237987A (ja) 注入口付アンカーピ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およびネットバリヤー工法
US9631661B2 (en) Expansion anchor
ES2715996T3 (es) Disposición para el anclaje de alta resistencia de un elemento de tensado que presenta una barra de tensado en una pieza constructiva así como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 anclaje de este tipo
JP3836848B2 (ja) 地中アンカーの構築方法
JP6985717B2 (ja) ピンニング工法
JP7178861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JP3686593B2 (ja) 樹脂併用アンカー装置
JP6884663B2 (ja) 既設構造物の補修・補強方法
KR101017412B1 (ko) 마찰 지압형 영구 앵커 및 이 시공 방법
EP3128092B1 (en) Method of forming a post-tensioned concrete member
JPH08189515A (ja) コンクリート又はこれに類するもののためのアンカ
KR20150110146A (ko) 앵커 볼트 유니트 및 앵커 볼트 유니트의 시공방법
JP7134057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用の補強部材
KR102216446B1 (ko)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