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392B1 -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392B1
KR102531392B1 KR1020220022781A KR20220022781A KR102531392B1 KR 102531392 B1 KR102531392 B1 KR 102531392B1 KR 1020220022781 A KR1020220022781 A KR 1020220022781A KR 20220022781 A KR20220022781 A KR 20220022781A KR 102531392 B1 KR102531392 B1 KR 102531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inforcing member
capsule
hol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철
양문희
Original Assignee
박홍철
양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철, 양문희 filed Critical 박홍철
Priority to KR102022002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섞일 경우 화학작용을 일으켜 접착력을 생성시키는 케미컬들을 내부에 구비하고 힘을 가해 파쇄할 수 있는 재질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케미컬들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분쇄되는 막대형태의 A제와 상기 분쇄된 A제와 혼합되어 화학작용을 일으키는 알갱이 형태의 B제를 포함하는 약액캡슐과, 전단부에 상기 약액캡슐 장착부를 구비하고 외벽 메지에 형성된 시공홀을 관통하여 내벽의 천공홀까지 삽입되어 상기 장착된 약액캡슐을 상기 천공홀에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슐투입모듈과, 상기 캡슐투입모듈과 교체되어 전단부가 상기 투입된 약액캡슐에 힘을 가해 상기 화학작용을 일으켜 상기 천공홀 내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외벽 메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외벽 메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강화부재에 외벽 지지력을 생성시키는 강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APPARATUS FOR REINFORCING EXTERIOR WALLS AND REINFORCING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건물 외벽벽돌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노화된 건물 외벽에 외벽을 제거하지 않고도 보강재를 설치하여 외벽벽돌의 설치강도를 높일 수 있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와 이러한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이용한 외벽벽돌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은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건축물의 외벽은 낱개로 된 치장벽돌을 쌓아 벽체를 이루는 외부 치장벽을 포함하는데, 외부 치장벽은 오랜 시간이 지나며 지반침하나 자체 하중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시공 구조에서 오는 내, 외부간의 온도차에 의하여 벽면 내측에 습기가 스며들어 백화현상이 발생하여 시각적으로 혐오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균열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치장벽이 내력벽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도되지 않게 하는 치장벽 고정용 철사 또는 철근이 지반침하 또는 치장벽의 하중에 의하여 끊어지게 될 경우 외벽 균열이 가속화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벽에 균열이 발생하였을 때 치장벽 전체를 보수하려고 할 경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드는 대공사가 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한 일부만 보수하려는 경우 종래에는 손상된 부분의 벽돌들을 제거한 후 보수공사를 하였는데 이렇게 할 경우 제거 부위 상부에 조적된 치장벽돌이나 블록이 자체하중에 의해 견디지 못하고 무너질 우려가 있어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2096호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칼블럭에 의한 치장 벽돌 쌓기 종방향 지지력과, 내력벽과 치장벽의 공고한 결합력 확보 및 노후된 내력벽에 칼블럭이 안정적이고 강력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치장벽돌에 작용하는 풍력에 대한 내력 확보와 균열의 사전 예방을 통하여 치장벽돌의 자체 하중 과 편중 분산 및 더 이상의 균열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외벽에 구멍을 뚫은 후 원통형 플러그를 삽입하고 원통형 플러그를 약액으로 고정시킨 후 원통형 플러그 내부에 나사못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를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대부분의 약액(접착액)이 플러그에 묻게 되고 나사못에는 소량의 약액만이 묻게 된다. 즉,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외벽을 고정하는 힘이 플러그에 걸리게 된다.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플러그가 손상될 경우 나사못과 플러그가 분리되거나 플러그 자체의 고정력이 약해질 위험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경우 관통홀에 플러그가 먼저 삽입되어 고정되어야 하는데 치장벽과 내벽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관통홀만 뚫고 작업하는 것이 어렵고 결국 작업 부위의 벽돌들을 제거한 후 공사를 진행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5882호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외벽 구조체를 치장벽돌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그리드 보강재(Grid
Reinforcement)를 매립하고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내진보강(Seismic Retrofit)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에는 외벽과 내벽을 연결하는 구조가 아니라 외벽의 외부를 보강하는 그리드 보강재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있을 뿐 치장벽과 내력벽 사이를 견고히 연결하는 구조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2255호 '외벽치장벽돌 고정용 앵커의 시공방법'(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서는 일측의 앵커는 외벽치장벽돌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의 앵커는 내벽의 내부에 배치된 후에 타측의 앵커를 먼저 확장시킨 후에 타측의 앵커를 확장시킬 때 사용된 툴을 결합시키거나 걷어낼 때 나사결합 방식의 공정이 아니라 즉석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공정을 도입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내벽의 내부에 앵커를 확장시켜 고정시키는 방식에서는 내벽에 균열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며 앵커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품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치장벽과 내력벽 사이의 거리가 멀더라도 벽돌을 제거하지 않고 보다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2096호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65882호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2255호 '외벽치장벽돌 고정용 앵커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치장벽과 내력벽 사이의 거리가 멀더라도 벽돌을 제거하지 않고 보다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섞일 경우 화학작용을 일으켜 접착력을 생성시키는 케미컬들을 내부에 구비하고 힘을 가해 파쇄할 수 있는 재질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케미컬들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분쇄되는 막대형태의 A제와 상기 분쇄된 A제와 혼합되어 화학작용을 일으키는 알갱이 형태의 B제를 포함하는 약액캡슐과, 전단부에 상기 약액캡슐 장착부를 구비하고 외벽 메지에 형성된 시공홀을 관통하여 내벽의 천공홀까지 삽입되어 상기 장착된 약액캡슐을 상기 천공홀에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슐투입모듈과, 상기 캡슐투입모듈과 교체되어 전단부가 상기 투입된 약액캡슐에 힘을 가해 상기 화학작용을 일으켜 상기 천공홀 내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외벽 메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외벽 메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강화부재에 외벽 지지력을 생성시키는 강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슐투입모듈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형태의 파이프부재와,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장착된 약액캡슐이 상기 파이프부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힘을 가하는 푸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는 푸쉬부재바디와, 상기 푸쉬부재바디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재바디가 일정 길이 이상 상기 중공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푸쉬부재바디의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은 전단부의 반지름이 후단부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부재는 전단부에 상기 중공의 일부를 덮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천공홀에 일단부가 안착되고 타단부는 외벽 메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나사홀이 형성되어 일단에 돌출나사가 형성된 천공드릴 소켓부재를 정방향 회전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소켓부재를 역방향 회전시켜 상기 메지 내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화부재는 상기 외벽 메지 중심부에 형성된 가로방향 홈에 맞물리는 막대형태를 이루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나사홀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방향 홈은 상기 외벽 메지 두께의 1/2 내지 1/3 정도의 깊이를 가지고, 상기 시공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일단부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곡면 형태의 제1 홈과, 상기 A제가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홈의 바닥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를 개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치장벽의 보수 위치 주변의 벽돌을 제거할 필요없이 메지 부위에 작은 구멍만 뚫고 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둘째, 한번의 시공에 일회용 약액캡슐을 사용하여 약액의 낭비없이 적정량의 약액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하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치장벽 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보강부재를 천공드릴을 이용해 시공홀에 삽입시킬 수 있어 별도의 칼블럭을 사용할 필요 없이 보강부재를 시공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보강부재를 내력벽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서 천공드릴에 장착된 보강부재를 분리하고 마감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보강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마감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보강부재의 일단에 약액캡슐 내부 A제 막대를 가이드하는 홈이 형성되어 A제와 B제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보강부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외벽벽돌 보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캡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투입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벽돌 보강 방법 중 메지 천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벽돌 보강 방법 중 약액캡슐 투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벽돌 보강 방법 중 보강부재 고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벽돌 보강 방법 중 마감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소켓부재와 보강부재 결합부의 확대 개념도이다.
도 10은 보강부재와 강화부재 결합부의 확대 개념도이다.
도 11은 외벽벽돌 보강 작업이 끝난 후의 외벽벽돌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일단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물 외벽(10)벽돌(11) 보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건축물의 외벽(10)은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역할은 보온이나 통기, 차양 등이 가장 대표적인 역할이다. 이러한 역할을 위해 외벽(10)은 내벽과 일정 거리(l)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종래의 보강 공법에서는 이격된 거리(l)가 작을 경우에는 외벽(10)에 구멍을 뚫고 보강 공사를 진행할 수 있지만, 거리(l)가 커질 경우 칼블럭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보강 공사 시공이 어려워질 수 있었다. 그래서 시공 부위 주변의 벽돌(11)들을 제거하고 보강을 하는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격 거리(l)가 커지는 경우에도 벽돌(11)들을 제거할 필요없이 메지(12)에 작은 시공홀(13)을 뚫어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캡슐(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약액캡슐(100)에는 두 종류의 케미컬 약액이 들어있다. 약액캡슐(100) 내부에는 용액이 채워져 있으며 중심부에는 막대 형태의 A제(120)가 배치되고 A제(120) 주위로 작은 알갱이 형태의 B제(130)들이 부유하고 있다.
A제(120)와 B제(130)가 섞이면 화학 작용에 의해 약액이 접착성을 띄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평소 약액캡슐(100)을 소지하고 있다가 작업 시 약액캡슐(100)을 깨고 A제(120)에 충격을 가해 분쇄하여 A제(120)와 B제(130)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투입모듈(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캡슐투입모듈(200)은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파이프부재(210)와, 파이프 부재 내부 중공에 삽입되는 푸쉬부재(220)를 포함한다.
파이프부재(210)는 길게 연장된 원통형태를 이루며 일단부에 약액캡슐(100)이 장착될 수 있다. 파이프부재(210)의 타단부에는 푸쉬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다. 푸쉬부재(220)는 파이프부재(210)의 타단부로 삽입되는 푸쉬부재바디(221)와 푸쉬부재바디(221)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제한부재(2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외벽(10)의 이격거리(l)가 큰 경우에 주로 사용되므로 작업 중 파이프부재(210)가 기울어지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져 약액캡슐(10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부재(210)는 앞쪽(약액캡슐 장착부)의 반지름이 뒤쪽(푸쉬부재(220) 삽입부)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작업자가 푸쉬부재(220)에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해야 약액캡슐(100)이 배출되도록 하여 장착한 약액캡슐(10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부재(210)의 앞쪽 단부에는 중공의 일부를 덮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대기 상태에서 중공을 가려 약앱캡슐이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파이프부재(210)에 힘을 가해 약액캡슐(100)을 밀어내는 경우 변형되어 약앱캡슐이 배출될 수 있게 한다.
푸쉬부재바디(221)는 원통형 막대 형상을 이루며 제한부재(222)는 푸쉬부재바디(221)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푸쉬부재(220)의 삽입 길이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부재(222)는 푸쉬부재바디(221)를 따라 앞뒤로 이동하여 고정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푸쉬부재바디(221)에는 뒤쪽 단부부터의 길이가 표시되어 있어, 작업자가 편의에 따라 푸쉬부재바디(221)의 삽입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푸쉬부재바디(221)의 삽입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과한 압력이 가해져 약액캡슐(100) 하우징(110)이 원치않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길이가 약액캡슐(100)의 길이(a)와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8은 건물 외벽(10)벽돌(11) 보강 방법의 공정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10)벽돌(11) 보강 방법 중 메지(12) 천공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10)벽돌(11) 보강 방법 중 약액캡슐(100) 투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10)벽돌(11) 보강 방법 중 보강부재(241) 고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10)벽돌(11) 보강 방법 중 마감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메지(12) 천공공정에서는 외벽(10)과 내벽에 보강부재(241)가 삽입되는 홀을 천공한다.
메지(12) 천공공정에서는 외벽(10) 벽돌(11)을 제거하지 않고 벽돌(11) 사이 메지(12)에 작은 구멍을 뚫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벽(10)에 뚫린 구멍(이하 '시공홀(13)'이라 함)과 내벽에 뚫린 구멍(이하 '천공홀(23)'이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천공공정은 천공드릴에 1미터 이상의 긴 드릴비트를 체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약액캡슐(100) 투입 공정은 약액캡슐(100)을 장착하는 단계와, 파이프부재(210)를 삽입시키는 단계와, 약액캡슐(100)을 분리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약액캡슐(100)을 장착하는 단계에서는 파이프부재(210)의 전단부에 약액캡슐(100)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약액캡슐(100)이 파이프부재(210)의 전단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부재(210)의 내주면에는 고무나 천과 같이 마찰력이 높은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파이프부재(210)를 삽입시키는 단계에서는 파이프부재(210)를 외벽(10)의 시공홀(13)을 통해 삽입시켜 내벽의 천공홀(23)에 안착시킨다. 파이프부재(210)를 천공홀(23)에 안착시킨 후 푸쉬부재(220)에 힘을 가해 약앱캡슐을 분리시킨다(도 5 참조). 약액캡슐(100)을 천공홀(23)에 안착시킨 후 파이프부재(210)를 시공홀(13) 밖으로 빼낸다(도 6 참조).
보강부재(241) 고정 공정은 보강부재(241)를 체결하는 단계와, 약액캡슐(100)내 케미컬을 혼합하는 단계와, 보강부재(241)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강부재(241)를 체결하는 단계에서는 먼저 천공드릴의 소켓부재(23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켓부재바디(231a)의 일단에 형성된 돌출나사(231b)를 보강부재(241) 일단의 나사홀(241b)에 체결시킨다(도 9 참조).
케미컬을 혼합하는 단계에서는 결합된 보강부재(241)를 회전시켜 약액캡슐(100) 하우징(110)을 파쇄하고 A제(120)를 분쇄하여 B제(130)와 혼합시킨다. A제(120)와 B제(130)가 혼합되며 케미컬이 접착성을 띄게 되어 보강부재(241)의 일단부가 천공홀(23)에 고정된다.
보강부재(241)를 분리하는 단계에서는 천공드릴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소켓부재바디(231a)일 단의 돌출나사(231b)를 보강부재(241) 일단의 나사홀(241b)에서 분리시킨다.
마감 공정은 강화홈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강화부재(251)를 보강부재(241)에 체결시키는 단계와, 메지(261)로 외벽(10)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강화홈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시공홀(13)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메지(12)를 제거하여 강화부재(251)가 삽입되는 홈을 만든다. 강화홈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시공홀(13)과 천공홀(23)을 뚫기 전에 먼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화홈에서는 외벽(10)을 관통하도록 메지(12)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안쪽의 메지(12)는 남겨두고 바깥쪽 1/3 내지 1/2 두께 정도의 메지(12)만 제거하여 외벽(10)이 강화부재(251)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한다.
강화부재(251)를 보강부재(241)에 체결시키는 단계에서는 강화홈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화부재(251)를 강화홈에 삽입시키고, 강화부재(251)의 관통홀(251b)을 통해 고정나사(262)를 삽입하여 보강부재(241)의 나사홀(241b)에 고정시킨다(도 10 참조).
메지(261)로 외벽(10)을 마감하는 단계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강화부재(251) 위에 메지(261)를 주입하여 보강부재(241)와 강화부재(251)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가린다(도 11 참조). 메지(261)로 외벽(10)을 마감하기 전 체결부에 케미컬을 주입해 결합력을 강화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241)의 일단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보강부재(241)가 천공홀(23)에 보다 강하게 고정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보강부재(241)의 일단부에는 곡면 형태의 제1홈(241c)과, 제1홈(241c)의 바닥부에서 보강부재(241)의 길이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제2홈(241d)이 형성될 수 있다.
약액캡슐(100)의 내부에는 막대형태의 A제(120)와, 작은 알갱이 형태의 B제(130)가 들어있다. A제(120)가 파쇄되며 B제(130)와 혼합되어 화학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이 때 A제(120)가 어느 한쪽으로 쏠려서 파쇄될 경우 특정 부위의 접착력이 강해지고 다른 부위의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241)를 밀어넣을 때 A제(120)가 제2홈(241d)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천공홀(23) 단부에 부딪쳐 파쇄된다. 즉, 보강부재(241)의 중심부에 A제(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파쇄되어 A제(120) 파편들이 사방으로 균일하게 흩어지게 된다. A제(120)의 고정을 강하게 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홈(241d) 내부에는 고정돌기(241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치장벽의 보수 위치 주변의 벽돌(11)을 제거할 필요없이 메지(12) 부위에 작은 구멍만 뚫고 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을 간소화 할 수 있고, 한번의 시공에 일회용 약액캡슐(100)을 사용하여 약액의 낭비없이 적정량의 약액을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하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손쉽게 치장벽 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며, 보강부재(241)를 천공드릴을 이용해 시공홀(13)에 삽입시킬 수 있어 별도의 칼브럭을 사용할 필요 없이 보강부재(241)를 시공홀(13)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보강부재(241)를 내력벽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서 천공드릴에 장착된 보강부재(241)를 분리하고 마감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보강 강도를 높임과 동시에 마감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보강부재(241)의 일단에 약액캡슐(100) 내부 A제(120) 막대를 가이드하는 홈이 형성되어 A제(120)와 B제(130)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보강부재(241)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종래기술에 비해 양적/질적으로 향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외벽
11 : 외장벽돌
12 : 메지
13 : 시공홀
20 : 내력벽
23 : 천공홀
100 : 약액캡슐
110 : 하우징
120 : A제
130 : B제
140 : 혼합액
200 : 캡슐투입모듈
210 : 파이프부재
220 : 푸쉬부재
221 : 푸쉬부재바디
222 : 제한부재
231 : 소켓부재
231a : 소켓부재바디
231b : 돌출나사
241 : 보강부재
241a : 보강부재바디
241b : 나사홀
241c : 제1홈
241d : 제2홈
241e : 고정돌기
251 : 강화부재
251a : 강화부재바디
251b : 관통홀
261 : 보강메지
262 : 고정나사

Claims (10)

  1. 서로 섞일 경우 화학작용을 일으켜 접착력을 생성시키는 케미컬들을 내부에 구비하고 힘을 가해 파쇄할 수 있는 재질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케미컬들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분쇄되는 막대형태의 A제와 상기 분쇄된 A제와 혼합되어 화학작용을 일으키는 알갱이 형태의 B제를 포함하는 약액캡슐;
    전단부에 상기 약액캡슐 장착부를 구비하고 외벽 메지에 형성된 시공홀을 관통하여 내벽의 천공홀까지 삽입되어 상기 장착된 약액캡슐을 상기 천공홀에 투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슐투입모듈;
    상기 캡슐투입모듈과 교체되어 전단부가 상기 투입된 약액캡슐에 힘을 가해 상기 화학작용을 일으켜 상기 천공홀 내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외벽 메지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보강부재; 및
    상기 외벽 메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보강부재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보강부재에 외벽 지지력을 생성시키는 강화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투입모듈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중공을 포함하는 원통형태의 파이프부재; 및
    상기 중공에 삽입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장착된 약액캡슐이 상기 파이프부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힘을 가하는 푸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천공홀에 일단부가 안착되고 타단부는 외벽 메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된 나사홀이 형성되어 일단에 돌출나사가 형성된 천공드릴 소켓부재를 정방향 회전시켜 결합시키고 상기 소켓부재를 역방향 회전시켜 상기 메지 내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강화부재는,
    상기 외벽 메지 중심부에 형성된 가로방향 홈에 맞물리는 막대형태를 이루는 바디;
    상기 바디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부재의 나사홀에 체결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방향 홈은,
    상기 외벽 메지 두께의 1/2 내지 1/3 정도의 깊이를 가지고, 상기 시공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일단부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움푹 들어간 곡면 형태의 제1 홈; 및
    상기 A제가 맞물리도록 상기 제1 홈의 바닥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리세스되는 제2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는 푸쉬부재바디; 및
    상기 푸쉬부재바디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재바디가 일정 길이 이상 상기 중공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재는,
    상기 푸쉬부재바디의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전단부의 반지름이 후단부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재는,
    전단부에 상기 중공의 일부를 덮도록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22781A 2022-02-22 2022-02-22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KR102531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81A KR102531392B1 (ko) 2022-02-22 2022-02-22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781A KR102531392B1 (ko) 2022-02-22 2022-02-22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392B1 true KR102531392B1 (ko) 2023-05-10

Family

ID=8638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781A KR102531392B1 (ko) 2022-02-22 2022-02-22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3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687A (ja) * 2001-03-30 2002-10-09 Tokai Rubber Ind Ltd 地山補強工法
KR101654332B1 (ko) * 2015-08-13 2016-09-09 전원경 외부벽돌벽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유지보수 방법
KR20170112717A (ko) * 2016-04-01 2017-10-12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2112096B1 (ko) 2019-12-13 2020-05-19 주식회사 시우건설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102265882B1 (ko) 2020-10-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KR102352255B1 (ko) 2020-12-24 2022-01-17 정철웅 외벽치장벽돌 고정용 앵커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687A (ja) * 2001-03-30 2002-10-09 Tokai Rubber Ind Ltd 地山補強工法
KR101654332B1 (ko) * 2015-08-13 2016-09-09 전원경 외부벽돌벽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유지보수 방법
KR20170112717A (ko) * 2016-04-01 2017-10-12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2112096B1 (ko) 2019-12-13 2020-05-19 주식회사 시우건설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102265882B1 (ko) 2020-10-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KR102352255B1 (ko) 2020-12-24 2022-01-17 정철웅 외벽치장벽돌 고정용 앵커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27813A (ja) 圧力式ソイルネイリング用パッカー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ソイルネイリング工法
JP2732687B2 (ja) もろい岩盤にアンカーを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1132860A (zh) 静态破碎工作法及其所利用的静态破碎用辅助器具以及填充用工具
JP2019522129A (ja) マイクロパイルの波形グラウト球根及びその形成方法
AU7389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rilling holes
KR102531392B1 (ko)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KR100759303B1 (ko) 교반날개형 천공케이싱 및 이를 이용하여 기초말뚝 구근을형성하는 시공방법
KR20090089137A (ko) 마이크로파일의 케이싱제거식 스탭그라우팅에 의한지지력보강방법
KR100859871B1 (ko) 일회용 착탈식 비트 및 이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KR20090028097A (ko) 보강용 그라우팅 장치
KR100560440B1 (ko) 터널 및 사면용 복합 섬유강화플라스틱 보강형 그라우팅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
JP4244215B2 (ja) パイプ式ロックボルト及びパイプ式ロックボルト施工方法
KR102464394B1 (ko) 말뚝의 확대선단보강부를 형성하기 위한 회전관입로드
JP6247611B2 (ja) せん断補強工法
KR100366156B1 (ko) 가압 그라우팅을 이용한 쏘일네일링 공법 및 그 장치
KR100895336B1 (ko) 지반 보강 공법
KR20170125457A (ko) 전단저항력 향상기능을 갖는 압력식 쏘일 네일링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절토부 패널식 옹벽
KR20190136221A (ko) 그라우팅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그라우팅 공법
KR101147612B1 (ko) 소일 네일링 장치
KR200235092Y1 (ko) 연역지반 개량장치
KR101620876B1 (ko) 지반 굴착 장치
KR100446586B1 (ko) 회수가 용이한 해체제거식 소일네일 장치
JP7009889B2 (ja) 地盤改良体、及び地盤改良体の施工方法
JP7306637B2 (ja) 石積擁壁の補強工法
JP4293674B2 (ja) 地山補強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