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096B1 -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096B1
KR102112096B1 KR1020190166469A KR20190166469A KR102112096B1 KR 102112096 B1 KR102112096 B1 KR 102112096B1 KR 1020190166469 A KR1020190166469 A KR 1020190166469A KR 20190166469 A KR20190166469 A KR 20190166469A KR 102112096 B1 KR102112096 B1 KR 10211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crew
wall
stucco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우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우건설
Priority to KR102019016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2Replacing or adding wall 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4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fastened by inserting a threaded element, e.g. screw or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4Non-metallic plugs or sleeves; Use of liquid, loose solid or kneadable material therefor
    • F16B13/141Fixing plugs in holes by the use of settabl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플러그와; 상기 플러그의 일단 내경으로 삽입 또는 체결되어 타단 내경까지 또는 타단 내경으로 돌출되며, 외경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숫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못과; 상기 플러그에 결합되며, 플러그에 나사못이 삽입 또는 체결 시 나사못에 의해 내력벽과 치장벽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약액이 용출되게 하는 약액용출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칼블럭이 치장벽과 내력벽에 강력하게 고정되게 하여 치장벽이 내력벽에 강력하게 고정되게 하면서 치장벽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치장벽의 균열발생을 저지하고, 특히, 노후로 인하여 열화된 콘크리트 내력벽에 드릴링으로 정착공을 형성한 후, 이 정착공에 삽입된 플러그에 충진된 약액이 나사못에 의해 파괴되면서 용출되게 하여 내력벽 정착공에 칼블럭이 강력하게 고정되게 하면서도, 주변의 열화된 콘크리트 내력벽의 알칼리가 회복되게 하고, 중성화를 방지하여 경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치장벽의 하중이 칼블럭에 작용한다 하더라도 내력벽의 정착공에 정착된 칼블럭의 강력한 결합력 및 고정력에 의하여 치장벽을 안정적이고도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게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CONCRETE ANCHOR SET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OF ORNAMENTAL BRICK WALL AND REINFORCING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또는 내력벽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축조되는 건물 외부의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보수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블럭에 의한 치장 벽돌 쌓기 종방향 지지력과, 내력벽과 치장벽의 공고한 결합력 확보 및 노후된 내력벽에 칼블럭이 안정적이고 강력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치장벽돌에 작용하는 풍력에 대한 내력 확보와 균열의 사전 예방을 통하여 치장벽돌의 자체 하중 과 편중 분산 및 더 이상의 균열발생을 방지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은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역할은 보온이나 통기, 차양 등이 가장 대표적인 역할이다.
상기 외벽은 내력벽(1)과 이 내력벽(1)에 단열재를 대고 단열재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벽돌을 쌓아 형성되는 외부 치장벽(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치장벽(2)은 낱개로 된 치장벽돌을 쌓아 벽체를 이루는 것으로, 오랜 시간에 걸친 마모, 하중에 의해 일부분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으며, 지반침하와 자체 하중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시공 구조에서 오는 내, 외부간의 온도차로 내벽에 응집된 습기가 스며들어 백화현상이 발생하여 이 부분이 시각적으로 혐오감을 유발하게 되고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이 부분에서 쉽게 균열이 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의 우측 하단에 절개도시된 부분 또는 이 부분을 확대도시한 도 2에서도 알 수 있듯이, 치장벽(2)이 내력벽(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치장벽 고정용 철사(3) 또는 철근이 지반침하 또는 치장벽(2)의 하중에 의하여 끊어지게 될 경우 외벽 균열의 가속화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상부위의 외부 치장벽(2)을 보수하기 위해서 치장벽(2)을 전체적으로 보수하고자 하면 대공사가 될 수밖에 없고, 치장벽(2) 전체의 보수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결국, 바람직한 보수방법은 상기 손상된 치장벽만을 보수하는 것이나, 이러한 것은 매우 작업요건이 난해하다.
왜냐하면, 상기 치장벽돌이나 블록에 의한 벽돌벽에서 손상된 부분만을 보수하기 위해서 그 부분을 제거하게 되면 그 상부에 조적된 치장벽돌이나 블록이 자체하중에 의해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거나 측면 등이 무너지는 등의 우려가 있어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건물이 오래되면, 콘크리트 구조체는 균열에 의하여 각종 하자가 발생하고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또는 산성비와 같이 산화물이 용해된 물에 의하여 알칼리성이었던 물성이 중성화되어 박리현상, 균열의 확장, 콘크리트 구조체 내에 포함되어 있던 철근의 부식 등 구조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현상은 콘크리트의 열화에 의한 것으로서, 여기서, 콘크리트의 열화란, 콘크리트의 성능이 저하되어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현상을 말한다.
열화의 요인으로는 물이 콘크리트내에 침투하거나 풍화, 충격, 화재, 급격한 온도의 변화와 콘크리트 단순한 품질저하의 요인과 탄화작용에 의하여 부식으로서 공기중의 이산화탄소 및 기타 산성물질이 콘크리트의 염기성분과 만나 중화반응을 일으켜 철근보호막이 깨지는 상태, 그리고 염소에 의한 전기화학 작용으로 해수나 염화칼슘 등으로부터 보호막이 손실되어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를 들 수가 있다.
상기한 작용으로 철근이 부식되고 부피가 팽창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는 그 기능을 잃게 되는 것이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내력벽(1)이 그 기능을 읽고 경도가 저하되므로, 앵커 등을 이용한 보수공사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내력벽에 고정된 앵커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치장벽이 내력벽에 강력하게 고정되게 하여 치장벽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치장벽의 균열발생을 저지하고, 노후로 인하여 열화된 콘크리트 내력벽에 드릴링을 하여 구멍을 형성한 후, 칼블럭을 정착시킨 후 칼블럭과 구멍 주변의 내력벽의 알칼리가 회복되게 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플러그(102)와; 상기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 삽입 또는 체결되어 타단 내경까지 또는 타단 내경으로 돌출되며, 외경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숫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못(104)과; 상기 플러그(102)에 결합되며, 플러그(102)에 나사못(104)이 삽입 또는 체결 시 나사못(104)에 의해 내력벽(106)과 치장벽돌(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약액이 용출되게 하는 약액용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외경에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홈구조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홈(112)과;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외경에 형성되며, 원형홈(112)까지 선형 홈구조로 형성되는 선형홈(11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액용출수단은,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내경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돌부(116a)가 형성되고, 내측에 약액이 충진된 약실캔(11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약액용출수단은,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에서 일부 노출되도록 인서트사출되며, 내측에 약액이 충진된 약실캔(11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약액용출수단은, 상기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트임막(122)을 형성하여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부터 트임막(122)까지 약액이 충진될 수 있게 하는 제1약실(124)과;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내경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약액이 충진될 수 있게 하는 제2약실(126)과; 상기 트임막(122)으로부터 일측에 위치된 제1약실(124)의 외경에서 내경을 향하여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출공(12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약액은, 케미컬 약액 또는 알칼리회복 약액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10 ~ 30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 10중량%,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 15중량%, 저수축제 3 ~ 10중량%, 에폭시(Epoxy) 수지 15 ~ 25중량%, 소포제 0.2 ~ 0.5중량%, 규산리튬 10 ~ 20중량%,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 1 ~ 3중량%, 아라미드 섬유 5 ~ 10중량%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목적은, 보수보강을 위한 건물 치장벽을 선정하여 드릴로 치장벽과 내력벽(106)까지 정착공(118)을 천공하되, 치장벽과 내력벽(106)까지의 길이가 제1항에 의한 칼블럭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천공하는 천공단계와; 상기 천공단계에 의해 천공된 정착공(118)으로 플러그(102)를 삽입하는 플러그(102) 삽입단계와; 상기 제1항에 의한 칼블럭의 플러그(102)가 정착공(118)에 삽입되면, 제1항에 의한 나사못(104)을 플러그(102)의 일단으로부터 삽입 또는 체결시켜 플러그(102)에 형성된 약액용출수단이 나사못(104)에 의해 치장벽에 형성된 정착공(118)과 내력벽(106)에 형성된 정착공(1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용출되게 하는 나사못(104)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을 이용한 보수보강공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은 칼블럭이 치장벽과 내력벽에 강력하게 고정되게 하여 치장벽이 내력벽에 강력하게 고정되게 하면서 치장벽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하여 치장벽의 균열발생을 저지하고, 특히, 노후로 인하여 열화된 콘크리트 내력벽에 드릴링으로 정착공을 형성한 후, 이 정착공에 삽입된 플러그에 충진된 약액이 나사못에 의해 파괴되면서 용출되게 하여 내력벽 정착공에 칼블럭이 강력하게 고정되게 하면서도, 주변의 열화된 콘크리트 내력벽의 알칼리가 회복되게 하고, 중성화를 방지하여 경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치장벽의 하중이 칼블럭에 작용한다 하더라도 내력벽의 정착공에 정착된 칼블럭의 강력한 결합력 및 고정력에 의하여 치장벽을 안정적이고도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건물 외부 치장벽에 발생한 균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칼블럭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절결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칼블럭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건물 외부 치장벽과 내력벽에 천공된 정착공을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정착공에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칼블럭을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c는 정착공에 삽입된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칼블럭에 의하여 약액이 용출되어 콘크리트 내력벽에 알칼리회복 약액이 흡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칼블럭에 따른 약액용출수단의 약실캔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칼블럭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 - A선 단면을 확대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원통형 플러그(102)와, 이 플러그(102)에 삽입 또는 체결되는 나사못(104)과, 상기 플러그(102)에 결합되어 약액을 용출시키는 약액용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102)는 도 3과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로서, 내경의 구조를 보면, 일측(도면 상 우측)의 내경이 타측(도면 상 좌측)의 내경보다 크고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나사못(104)의 외경의 두께는 일측의 외경이 타측의 외경보다 더 두꺼운 구조로 이루어져, 나사못(104)이 플러그(102)에 삽입되었을 때, 치장벽(108)의 정착공(118) 내경에는 합성수지재 플러그(102)가 얇게 정착되게 하고, 내력벽(106)의 정착공(118) 내경에는 합성수지재 플러그(102)가 두껍게 정착되게 하여 치장벽(108)의 하중을 지지할 때 내력벽(106)측에서는 하중의 무게에 탄력적으로 대응되게 하고, 치장벽(108)에서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한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외경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홈구조의 원형홈(112)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플러그(102)의 타단 외경에서 원형홈(112)까지 직선형으로 선형홈(114)이 홈구조로 형성되어 상기한 약액용출수단에 의해 약액이 용출되면, 선형홈(114)을 따라 원형홈(112)까지 약액이 충진되면서 메꿔주고, 내력벽(106)과 접착 또는 일부 흡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은은 플러그(102)에 결합되어 플러그(102)에 나사못(104)이 삽입 또는 체결 시 나사못(104)에 의해 내력벽(106)과 치장벽돌(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약액이 용출되게 하는 약액용출수단에 따라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구분되는 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상기한 약액용출수단의 제1실시예는 첨부된 도 3과 도 4와 도 5a, 도 5b,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내경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돌부(116a)가 형성되고, 내측에 약액이 충진된 약실캔(11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약액용출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에서 일부 노출되도록 인서트사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정착공(118)을 형성한 후, 플러그(102)를 정착공(118)에 삽입하면, 약실캔(116)이 정착공(118)의 끝단까지 삽입되며, 이때, 나사못(104)을 도 5b와 같이 삽입 또는 체결시켜 약실캔(116)이 나사못(104)에 의해 파괴되어 내부의 약액이 정착공(118)으로 용출되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상기한 약액용출수단의 제2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트임막(122)을 형성하여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부터 트임막(122)까지 약액이 충진될 수 있게 하는 제1약실(124)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내경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약액이 충진될 수 있게 하는 제2약실(126)을 구비하며, 상기 트임막(122)으로부터 일측에 위치된 제1약실(124)의 외경에서 내경을 향하여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출공(128)을 관통형성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용출공(128)은 작은 크기로 다수 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2)의 양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크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크기와 개수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천공된 정착공(118)에 플러그(102)를 삽입시킨 후, 나사못(104)을 플러그(102)의 일측 내경으로 삽입 또는 체결시키면, 나사못(104)이 트임막(122)을 뚫고 관통하게 되고, 이때, 나사못(104)에 형성된 숫나사산이 약액을 제1약실(124)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제1약실(124)에 충진된 약액이 용출공(128)을 통해 치장벽(108)의 정착공(118)으로 용출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약실캔(116)과 제1약실(124), 제2약실(126)에 충진되는 상기한 약액이 케미컬 약액일 수도 있으며, 노후된 콘크리트 내력벽(106)의 중성화를 방지하고 알칼리를 보충하여 경도를 상승시키며, 칼블럭의 정착력강화를 위한 알칼리회복 약액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약실캔(116)과 제2약실(126)에는 알칼리회복 약액을 충진하여 노후된 콘크리트 내력벽(106)의 중성화를 방지하면서 칼블럭의 정착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용하다.바람직하다.
상기한 케미컬 약액은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케미컬 약액이면 충분하며, 알칼리회복 약액은 케미컬 약액의 기능과 더불어 콘크리트 내력벽(106)의 중성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즉, 상기한 알칼리회복 약액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10 ~ 30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 10중량%,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 15중량%, 저수축제 3 ~ 10중량%, 에폭시(Epoxy) 수지 15 ~ 25중량%, 소포제 0.2 ~ 0.5중량%, 규산리튬 10 ~ 20중량%, 1 ~ 3중량%, 아라미드 섬유 5 ~ 10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폴리머 결합재의 한 종류로서 열경화수지에 속하며 불포화 다가산을 반드시 함유하고, 여기에 포화 다가산과 다가 알코올을 병용하여, 탈수 축합반응에 의해 만들어지는 고분자인 불포화 알키드 바인더(Alkyd Binder)를 반응성 비닐 모노머에 희석시킨 액상수지를 총칭하는데, 뛰어난 경화성과 양호한 성형성 및 작업성을 가지고 있으며, 알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0 ~ 30중량%를 첨가하며, 10중량% 미만이면 결합재로서의 성능이 저하되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와의 혼합에서 작업성이 저하되며 고가의 수지를 필요이상 사용하게 됨에 따라 과도한 경제적 비용을 지출하게 된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희석제로서, 타설시 물리/화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바인더 물성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여 외부의 충격 또는 환경에 의한 크랙 및 탈락현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알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5 ~ 1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중량%를 초과 사용하면 고형분이 저하되어 접착강도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lcium Sulfo Aluminate)는 수축보상, 고강도, 예를 들면 높은 압축강도와 휨강도 및 초속경성 등을 부여하기 위한 물질로서, 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5 ~ 15중량%를 첨가하며, 상기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의 사용량이 5중량% 미만이면 경화속도가 감소하고 15중량% 이상인 경우 체적이 팽창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저수축제는, 약액이 균열부로 침투되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저수축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폴리에스터계 저수축제로 이루어진 저수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3 ~ 1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에폭시(Epoxy) 수지는 분자 내에 에폭시기 2개 이상을 갖는 수지상 물질 및 에폭시기의 중합에 의해서 생긴 열경화성 수지로서 굽힘강도나 굳기 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화 시에 휘발성 물질의 발생 및 부피의 수축이 없고 경화할 때는 재료면에서 큰 접착력을 가지는 물질로서,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마음대로 착색할 수 있고 또 내일광성도 크며, 제품의 최고 사용온도는 80℃정도로 낮아 주형, 매입, 봉입 등 뛰어난 가공성을 보이며, 알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5 ~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소포제는 교반 중 기포발생을 억제하며 재료의 혼합 후 재료 내에 기포 발생을 차단하고 조성물의 조직을 치밀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며, 알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0.2 ~ 0.5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포제거가 어려워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며 0.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기포 제거 효과는 증대하지만 계면에 슬립성 부여로 상, 하부간 조성물과의 접착성능이 저하된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규산리튬은 알칼리회복제로서, 중성화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알카리성을 회복시켜 콘크리트 중성화에 의한 철근 부식을 억제 및 방지하며, 콘크리트 구조체가 대기중의 탄산가스와 접촉하여 탄산칼슘과 물로 전환되면서, 열화되는 것을 차단하는데, 규산리튬(Li2O-nSiO2-xH2O)에 존재하는 +1가의 리튬이 이온결합을 통해 CO3를 치환하며, 중성화가 진행된 콘크리트 구조체의 pH를 11 내지 12로 향상시켜 강알칼리화 시키고, 이온결합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의 유리된 시멘트 성분과 가교결합을 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표면과 내부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0 ~ 20 중량%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중량% 미만이 첨가되면, 콘크리트 구조체의 알칼리화 효과가 저하되고, 20 중량%가 초과되면, 알칼리화 효과는 어느 정도 향상되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으며, 제품의 원가만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은 조성물이 실온에서 효과적으로 경화하고 내열성, 저온 성능, 내화학성, 내용매성 및 내유성과 같은 개선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알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1 ~ 3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칼리회복 약액 조성물 중 아라미드 섬유는 조성물의 품질, 내구 성능과 인장강도, 휨강도 및 인성 등에 따라 최적 범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종-횡 방향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한 인장력 및/또는 경량성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형상을 유지하는 단일 길이 및 단일 직경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칼리회복 약액의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5 ~ 1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을 이용한 보수보강공법을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수보강을 위한 건물 치장벽(108)을 선정하여 드릴로 치장벽(108)과 내력벽(106)까지 정착공(118)을 천공하되, 치장벽(108)과 내력벽(106)까지의 길이가 칼블럭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도 5a와 같이 천공하는 천공단계를 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천공단계에 의해 천공된 정착공(118)으로 도 5c와 같이 플러그(102)를 삽입하는 플러그(102) 삽입단계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칼블럭의 플러그(102)가 정착공(118)에 삽입되면, 나사못(104)을 플러그(102)의 일단으로부터 삽입 또는 체결시켜 플러그(102)에 형성된 약액용출수단이 나사못(104)에 의해 치장벽(108)에 형성된 정착공(118)과 내력벽(106)에 형성된 정착공(1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용출되게 하는 나사못(104) 삽입단계를 실시한다.
한편, 상기 나사못(104) 삽입단계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약액용출수단에 따라 제1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내력벽(106)의 정착공(118)에서 약실캔(116)이 파괴되면서 약액이 용출되는 바, 이 약액은 케미컬 약액일 수도 있으며, 알칼리회복 약액일 수도 있고, 제2실시에에 의하면, 제1약실(124)의 케미컬 약액이 먼저 용출되고, 제2약실(126)의 케미컬 약액 또는 알칼리회복 약액이 용출된다.
102 : 플러그 104 : 나사못
106 : 내력벽 108 : 치장벽(치장벽돌)
112 : 원형홈 114 : 선형홈
116 : 약실캔 116a : 결합돌부
118 : 정착공
122 : 트임막 124 : 제1약실
126 : 제2약실 128 : 용출공

Claims (8)

  1.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플러그(102)와, 상기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 삽입 또는 체결되어 타단 내경까지 또는 타단 내경으로 돌출되며, 외경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숫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못(104)과, 상기 플러그(102)에 결합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2)에 나사못(104)이 삽입 또는 체결 시 나사못(104)에 의해 내력벽(106)과 치장벽돌(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약액이 용출되게 하는 약액용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약액용출수단은,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내경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돌부(116a)가 형성되고, 내측에 약액이 충진된 약실캔(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2. 삭제
  3. 삭제
  4.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플러그(102)와, 상기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 삽입 또는 체결되어 타단 내경까지 또는 타단 내경으로 돌출되며, 외경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숫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못(104)과, 상기 플러그(102)에 결합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2)에 나사못(104)이 삽입 또는 체결 시 나사못(104)에 의해 내력벽(106)과 치장벽돌(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약액이 용출되게 하는 약액용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약액용출수단은,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에서 일부 노출되도록 인서트사출되며, 내측에 약액이 충진된 약실캔(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5. 일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플러그(102)와, 상기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 삽입 또는 체결되어 타단 내경까지 또는 타단 내경으로 돌출되며, 외경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숫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못(104)과, 상기 플러그(102)에 결합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2)에 나사못(104)이 삽입 또는 체결 시 나사못(104)에 의해 내력벽(106)과 치장벽돌(10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약액이 용출되게 하는 약액용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약액용출수단은,
    상기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이격된 위치에 트임막(122)을 형성하여 플러그(102)의 일단 내경으로부터 트임막(122)까지 약액이 충진될 수 있게 하는 제1약실(124)과;
    상기 플러그(102)의 타단 내경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약액이 충진될 수 있게 하는 제2약실(126)과;
    상기 트임막(122)으로부터 일측에 위치된 제1약실(124)의 외경에서 내경을 향하여 관통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출공(1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10 ~ 30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 ~ 10중량%,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5 ~ 15중량%, 저수축제 3 ~ 10중량%, 에폭시(Epoxy) 수지 15 ~ 25중량%, 소포제 0.2 ~ 0.5중량%, 규산리튬 10 ~ 20중량%, 아미노메틸폴리디메틸실록산 1 ~ 3중량%, 아라미드 섬유 5 ~ 10중량%로 이루어진 알칼리회복 약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7. 삭제
  8. 보수보강을 위한 건물 치장벽(108)을 선정하여 드릴로 치장벽(108)과 내력벽(106)까지 정착공(118)을 천공하되, 치장벽(108)과 내력벽(106)까지의 길이가 제1항에 의한 칼블럭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천공하는 천공단계와;
    상기 천공단계에 의해 천공된 정착공(118)으로 플러그(102)를 삽입하는 플러그(102) 삽입단계와;
    상기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칼블럭의 플러그(102)가 정착공(118)에 삽입되면, 제1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나사못(104)을 플러그(102)의 일단으로부터 삽입 또는 체결시켜 플러그(102)에 형성된 약액용출수단이 나사못(104)에 의해 치장벽(108)에 형성된 정착공(118)과 내력벽(106)에 형성된 정착공(1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용출되게 하는 나사못(104)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을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KR1020190166469A 2019-12-13 2019-12-13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10211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469A KR102112096B1 (ko) 2019-12-13 2019-12-13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469A KR102112096B1 (ko) 2019-12-13 2019-12-13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096B1 true KR102112096B1 (ko) 2020-05-19

Family

ID=7091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469A KR102112096B1 (ko) 2019-12-13 2019-12-13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0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05B1 (ko) * 2020-06-23 2020-11-10 손동희 치장벽체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강공법
KR102227880B1 (ko) * 2020-06-17 2021-03-1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폭시 주머니를 포함하는 앵커
KR102336922B1 (ko) 2021-03-16 2021-12-08 김철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102531392B1 (ko) 2022-02-22 2023-05-10 박홍철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KR20230075853A (ko) * 2021-11-23 2023-05-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 외장재 내진 보강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외장재 내진 보강방법
KR102557468B1 (ko) 2022-09-30 2023-07-20 주식회사 아이지건업 내력벽과 단열공간사이의 외장벽의 연동형 연결체 및 상기 연동형 연결체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646B1 (ko) * 2016-04-01 2018-04-25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646B1 (ko) * 2016-04-01 2018-04-25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외부마감재의 보수 보강용 앵커체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880B1 (ko) * 2020-06-17 2021-03-1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폭시 주머니를 포함하는 앵커
KR102176905B1 (ko) * 2020-06-23 2020-11-10 손동희 치장벽체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강공법
KR102336922B1 (ko) 2021-03-16 2021-12-08 김철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20230075853A (ko) * 2021-11-23 2023-05-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 외장재 내진 보강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외장재 내진 보강방법
KR102574349B1 (ko) * 2021-11-23 2023-09-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 외장재 내진 보강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외장재 내진 보강방법
KR102531392B1 (ko) 2022-02-22 2023-05-10 박홍철 건물 외벽벽돌 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 방법
KR102557468B1 (ko) 2022-09-30 2023-07-20 주식회사 아이지건업 내력벽과 단열공간사이의 외장벽의 연동형 연결체 및 상기 연동형 연결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096B1 (ko) 건물 치장벽의 보수보강용 칼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101746220B1 (ko) 습식시공이 가능한 내진보수보강용 콘크리트 구조물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내진공법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089549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중성화 및 염해 방지용 시멘트 모르타르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100600440B1 (ko) 유동성이 우수한 무기계 그라우트 조성물과 이를 항균성탄소섬유패널과 함께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KR101891565B1 (ko) 습윤 경화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습윤 상태에서 시공이 가능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공법
KR100841892B1 (ko) 시멘트 모르타르 보강용 섬유의 균등 분산 시스템을 이용한 열화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1914054B1 (ko) 콘크리트 단면 복구를 위한 보수보강 몰탈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0139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알칼리회복 및 강도증진용 하이브리드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2232277B1 (ko) 초속경 고강도 무기계 폴리머 몰타르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콘크리트 보강보수 공법
KR101466067B1 (ko) 발수성을 구비한 단면복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 염해, 화학적부식을 입은 구조물 보수, 내진보강공법
KR101747660B1 (ko) 자기 지수 및 보수성을 가지는 교면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796069B1 (ko) Opf를 포함하는 폭렬 방지용 내화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공법
KR102325875B1 (ko) 그라우트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센서가 내장된 앵커를 이용한 보수보강방법
KR101959441B1 (ko) 난연성 frp 패널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20050075973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로드부재
KR102337977B1 (ko) 지반차수 및 보강용 그라우팅 약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0409426B (zh) 一种具有定向毛细渗水功能的抗腐性混泥土预制方桩
CN111606622A (zh) 一种双膨胀无机有机复合裂缝修补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741439B1 (ko) 스터드 고정형 콘크리트 보수/보강시트 및 이를 이용한보수/보강방법
NO133044B (ko)
KR10187654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용 섬유보강재 및 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115139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고강도 보강재
KR100384942B1 (ko) 부재를 이용한 수중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및그부재
KR1021795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및 보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