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440A - 벽 보강 시스템 - Google Patents
벽 보강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70440A KR20040070440A KR1020040006660A KR20040006660A KR20040070440A KR 20040070440 A KR20040070440 A KR 20040070440A KR 1020040006660 A KR1020040006660 A KR 1020040006660A KR 20040006660 A KR20040006660 A KR 20040006660A KR 20040070440 A KR20040070440 A KR 200400704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connector
- fastener
- reinforcing wire
- wir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09 Low-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8 reno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0 retrof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6 s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4 se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2—Replacing or adding wall ti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베니어벽(21)을 백업벽(22)에 결합시키기 위한 벽보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좋지 않은 지진 또는 바람부하에 대항하여 건물을 보호할 수 있다. 타격식 공구를 사용하여 나선형 벽결합 파스너(1)를 백업벽(22) 속에 박아 넣는다. 그 후 커넥터(10)를 벽결합 파스너의 단부 위에 배치하여 나선형 핀과 결합시켜서 커넥터가 풀리는 일없이 하고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바람직하게는 건물주위로 연장되는 보강와이어(20)를 커넥터의 구멍을 통해 나사결합하여 커넥터(10)의 회전을 고정시킨다. 상기 보강와이어는 일련의 커넥터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그 후 상기 보강와이어를 2열의 벽돌 사이의 바닥조인트 내의 몰타르(24) 내에 매립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보강와이어를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 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니어벽을 백업벽에 결합시켜 보강하는 방법과, 일정 길이의 보강와이어에 벽결합 파스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넥터와, 지진이나 바람부하 조건에 대항하여 축벽의 표면층으로부터 구성되는 벽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새로운 건축기준법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보강축벽의 베니어를 사용한다. 이런 공지의 시스템들은 벽을 구성하는 축벽의 두 표면층의 면에 수직한 상대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지진조건 및 높은 바람부하에 대항하여 벽을 보강할 수 있다.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사다리 및 트러스 보강에 기초하는데, 이들 중 일부는 백업벽에 고정된 "루프"결합 파스너에 부착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커넥터를 사용한다. 이들 시스템에서는 와이어가 커넥터 속에 고정되어 벽이 만들어질 때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놓여진다. 이 시스템들은 설치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커넥터의 단부 유동을 적정 한계까지 줄이기 어렵다.
신축건물에 설치하기가 보다 쉽고 제조비가 저렴한 보다 간단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지진사고 후에 축벽들이 손상될 수 있는데, 현재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교체하거나 개량할 수 있다. 사다리 및 트러스 보강물을 사용하여 이런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으나, 이들은 일반적으로 파괴적이라서 설치를 위해서는 축벽을 부분적으로 철거하여야 하며, 베니어를 만족스럽게 재설치할 수 있고 최종 외관이 합격기준이 되게 할 수 있다고 보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전의 방법보다 덜 파괴적이며 최종외관의 기준을 향상시키는 보수 또는 개량으로서 현존의 건물에 설치하기 쉬운 보다 간단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도 1은 백업벽 용의 바람직한 파스너의 측면도.
도 2는 다른 파스너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파스너와 결합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본 도 3의 커넥터의 단부도.
도 5는 신축건물의 건축에 설치되는 바람직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현존의 건물을 보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바람직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바람직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바람직한 커넥터의 사시도.
도 9는 제 2 셋트의 오목부가 마련된 도 3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10은 바닥조인트 내의 대형 커넥터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결합 파스너 2, 3 : 단부
4, 5 : 핀 6 : 코어
10 : 커넥터 12, 13 : 평면
14 : 구멍 20 : 보강와이어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를 형성하도록 백업벽의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나사부를 갖는 파스너를 백업벽 속에 설치하는 단계와,
보강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부분을 갖는 커넥터를 커넥터의 회전 없이는 커넥터를 제거할 수 없도록 상기 나사와 결합시켜 상기 파스너의 나사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보강와이어가 상기 파스너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스너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강와이어를 상기 커넥터의 상기 수용부 속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강와이어를 베니어벽의 몰타르 바닥조인트 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보강와이어와 상기 베니어벽을 일체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벽을 백업벽에 결합시켜 보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스너는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로 만들어진 나선형의 금속 벽결합 파스너이다. 이 파스너는 단순한 평면상의 비틀린 스트립 형태가 될 수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벽결합 파스너는 명확하게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어(인장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와 나선형 구조로 비틀린 방사핀(축벽과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을 갖도록 십자가 또는 별 형태의 보다 복잡한 단면형상을 갖는 비틀린 와이어의 형태("비틀린 형상의 와이어")를 갖는다. 이런 벽결합 파스너는 적절한 타격식 공구를 사용하여 축벽의 백업벽 속으로 박을 수 있는데, 이 벽결합 파스너는 상기 핀이 축벽 속에 나선통로를 형성하여 축벽과 기계적으로 상호 결합시킴에 따라서 회전된다. 이런 벽결합 시스템은 Helifix Ltd.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DryFix"라는 상표로 판매되고 있다. 그 외의 설치시스템에 있어서는 먼저 파일롯 구멍을 드릴링한 후 수지나 시멘트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벽결합 파스너를 백업벽에 고정시킴으로써 벽결합 파스너나 그 외의 파스너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응용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및 보강 시스템은 축벽의 백업벽, 예를 들어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지만, 베니어보강시스템이 그 외의 재료의 백업벽에 부착될 수 있게 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생각할 수 있는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벽결합 시스템은 베니어벽을 목재백업벽에 고정시키는데 사용한다.
상기 파스너의 중요한 점은 백업벽의 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며 백업벽에 견고히 고정되어 커넥터 및 보강와이어 조립체에 대한 나사형태의 정착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로 만들어진 벽결합 파스너의 경우, 와이어가 비틀렸다는 것은 나선형 핀이 커넥터의 전장을 따라서 결합나사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백업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벽결합 파스너의 부분은 전술한 "나사부"가 된다. 이런 벽결합 파스너의 나사는 예를 들어 40mm의 크기의 표준볼트에 통상 형성되는 피치보다 훨씬 큰 피치를 갖는다(바람직한 와이어의 나선형 핀은 코어의 반대측으로부터 제 1 핀측으로 연장되는 제 2 핀의 나선형 통로 때문에 측면에서 볼 때 20mm 마다 산부가 형성된다). 이렇게 큰 피치로 인하여, 커넥터를 벽결합 파스너에 나사결합시켜서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런 벽결합 파스너들은 나중에 적절한 크기의 벽결합 파스너로 절단될 기다란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로서 제조하기가 쉬우며, 전술한 바와 같은 타격식 공구를 사용하여 백업벽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수분이 베니어벽과 백업벽 사이의 캐비티를 통과하지 않도록 나선형 특징에 의해 그 전장을 따라서 적점(drip point)들을 형성한다. 또한 이런 벽결합 파스너는 부식된 현존의 파스너를 교체하거나 함몰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거나 지진사고로 손상을 당한 현존의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보수용 벽결합 파스너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파스너들은 종래 기술의 보다 복잡한 사다리 및 트러스형 또는 판상의 구조보다 설치하기가 상당히 쉽고 제조비가 저렴하다. 커넥터가 파스너의 노출부의 어느 부분과도 결합할 수 있는 긴 나사를 마련하면 커넥터 및 보강와이어를 위치결정하기가 보다 자유로워진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결합 파스너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된 일정 길이의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외경부는 연질 백업벽 재료에 단단히 정착되지만, 이런 외경부는 베니어벽의 몰타르 바닥에서는 너무 커서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작은 외경이 필요할 수 있다.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두 개의 직경을 갖는 파스너가 보다 적절할 수 있는데, 반대로 작은 직경부가 백업벽 속에 고정된다.
그러나 그 외의 형태의 파스너들도 이 시스템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부품비용 및 설치의 용이성 때문에 전술한 벽결합 파스너 만큼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파스너는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일단부에 제공된 확장 가능한 앵커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파스너를 백업벽에 고정하기 위한 그 외의 구조도 생각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한 구조들은 결코 파괴적이지 않다.
백업벽으로부터 돌출하는 파스너의 단부는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나사를 구비한다.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로 만들어진 벽결합 파스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종방향 면(즉, 파스너를 측방에서 볼 때)은 핀들이 파스너의 코어의 주위로 나선형으로 감아져 있으므로 일련의 산부 및 골부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산부들은 벽결합 파스너의 최대 외경을 형성하고 골부는 최소 직경을 형성한다. 벽결합 파스너의 돌출단부에 끼워지는 밀착결합형태의 슬리브의 형태인 커넥터는 축소부 또는 제한부를 갖는데, 이 축소부의 내면의 양측부의 간격은 벽결합 파스너의 최대직경보다는 작지만 최소직경보다는 크다. 즉 축소부의 대향면이 핀의 골부 사이에 끼워진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간격(s) 만큼 이격된 두 개의 대향 평면을 형성하는 주름부를 갖는 금속관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dmin< s < dmax이고, dmin과 dmax는 각각 벽결합 파스너의 최소직경 및 최대직경이다. 주름부는 관의 일단부에, 또는 관의 일단부에 인접하여, 또는 관의 중심부에 더 근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면은 벽결합 파스너의 핀의 엣지와 결합하므로 커넥터는 커넥터를 회전시켜서 벽결합 파스너로부터 나사결합을 해제함으로써만 벽결합 파스너로부터 뽑을 수 있다.
커넥터와 벽결합 파스너 사이의 측방향 유동을 줄이기 위해, "밀착결합"에 의해 슬리브는 벽결합 파스너의 최대외경보다 1mm 또는 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미만 큰 내경을 가져야하는데, 즉 결합을 용이하게 할 정도의 틈새를 제공할 정도만의 갭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햄머나 그 외의 유사한 장치로 벽결합 파스너 상에 커넥터를 두드릴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벽결합 파스너의 단부와 슬리브 커넥터 사이의 측방향 유동을 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넥터는 길이가 벽결합 파스너의 최대외경의 3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직경의 5배 이상에 상당하는 벽결합 파스너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가장 단순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는 일단부에 또는 일단부에 근접하여 주름부를 갖는 관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종방향 유동을 줄이기 위해 벽결합 파스너의 핀과 결합하게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주름부가 마련되는데 이 것도 역시 큰 인장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지진사고나 좋지 못한 바람부하를 받는 중에 겪는 진동의 방향, 즉 베니어벽의 면에 수직한 방향 때문에 커넥터 내에서의단부의 유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품들은 몰타르 또는 그 외의 충전재에 둘러싸이기 때문에 측방향 단부유동은 그리 중요하지 않지만, 측방향 유동이 너무 크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두 개 이상(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주름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름부는 벽결합 파스너의 측면 형상에서 골부의 전체폭에 대응하는 폭(즉, 2 - 5mm의 폭)의 오목부를 만들기 위한 공구로 형성하거나, 보다 용이하게 동작하여 변형재에 좁은 선(약 1mm 이하의 폭)을 만드는 좁은 턱을 갖는 공구로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가 좁은 경우, 시스템 내의 종방향 단부유동이 최소화되고 커넥터가 종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자마자 벽결합 파스너의 핀과 결합하도록 적정 위치에서 제 1 셋트의 오목부로부터 이격된 제 2 셋트의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사용 중에 상하측면이 되는 부분에 만들어진다. 이렇게 하면 어떤 측방향 변형, 즉 주름변형 중에 압착에 의해 야기되는 커넥터의 팽창이 바닥조인트의 면에서 이루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두 셋트 이상의 주름부를 제공하는 경우, 주름부로부터 커넥터가 측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이 바닥조인트의 면에서 연장되도록 이 주름부도 바람직하게는 상하측 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2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나선형 핀이 연장되는 비틀린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벽결합 파스너에 직각방향으로 보강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벽결합 파스너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슬리브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의 외경과 밀착 결합하는 내경을 갖는 관과,
상기 관의 종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상기 관벽의 양측을 관통하며, 상기 보강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구멍과,
상기 커넥터와 상기 벽결합 파스너 간의 상대회전 없이는 상기 벽결합 파스너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소내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은 6 - 12mm, 바람직하게는 7 - 1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mm의 내경을 갖는다. 외경이 8mm인 나선형 핀에 대해서는 내경이 8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 큰 직경의 나선형 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큰 내경, 예를 들어 10mm 이상의 내경이 필요할 것이다. 양호한 강도특성을 갖는 것이 발견된 바람직한 나선형 핀은 10mm의 외경을 가지므로 이런 벽결합 파스너에 대해서 바람직한 커넥터는 10 -12mm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은 바람직하게는 50 - 1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90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5 - 80mm의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10mm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5mm의 외경을 갖는다. 이렇게 커넥터는 통상 높이가 10 - 12mm인 통상의 몰타르 바닥조인트의 공간 내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벽돌 사이의 접합부는 예를 들어 커넥터가 삽입될 상부에 대해 부가의 공간을 부여하므로 상기 커넥터를 한 쌍의 벽돌 사이의 접합부의 바닥조인트에 배치함으로써 더 큰 외경도 수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커넥터에 필요한 공간을 더 제공하기 위해 벽돌의 코너를 제거할 수 있다.
축소내경부는 바람직하게는 관의 대향 내측면 사이의 거리를 1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더 바람직하게는 2.5mm 이상만큼 줄여준다(예를 들어, 내경이 8mm인 경우). 상기 보강와이어용 구멍은 바람직하게는 관의 내경보다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관의 내경보다 2mm, 가장 바람직하게는 관의 내경보다 2mm 이상 작은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소부는 관에 주름을 형성하여 두 개의 평면을 갖는데, 이 두 개의 평면은 보강와이어용 구멍의 축선에 평행하면서 관의 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주름가공 공구의 턱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평면은 그 외의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는 스텐레스강, 알루미늄, 구리 및 연강 등의 적절한 강성 금속재료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을 바닥조인트의 몰타르에 매립시켰을 때, 상기 시스템은 공기가 없는 건조한 알칼리환경으로 효과적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상기 커넥터가 베니어벽의 후방의 캐비티 속으로 연장되는 크기를 가진다면, 상기 커넥터는 부식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텐레스강이나 아연도금재료로 만들어야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적절한 경질 플라스틱재료로 성형할 수 있고 상기 축소부는 주름가공에 의해 형성하는게 아니라 커넥터의 일체부로서 성형할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런 커넥터가 몰타르나 이와 유사한 경질의 바닥조인트 재료로 둘러싸였을 때, 커넥터의 측면은 파스너의 나사 주위에 그대로 고정된다.
주름가공으로 축소부를 형성한다는 것은 커넥터의 구성이 간단하고 관을 파스너에 설치하기 직전에 현장에서 주름가공할 수 있거나 커넥터를 적절한 주름가공 공구에 의해 파스너 상에 위치시켰으면 그 위치에서 주름가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커넥터가 바닥조인트로 둘러싸이면 결합된 커넥터의 관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장 결합불량의 가능성을 피하기 위해 커넥터를 미리 주름가공한 형태로 현장에 도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상기 커넥터는 부가의 재료를 제공하여, 예를 들어 캐스팅이나 몰딩에 의해, 또는 내부나사를 부여함으로써 형성된 축소부를 갖는 보다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심지어는 벽결합 파스너의 핀과 결합하는 제한부를 형성하는 형태의 경질 내측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스너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의 내측나사(예를 들어, 피치가 40mm인 이중나사)를 전술한 제한부가 아니라 커넥터의 구멍에 부여할 수 있다. 이런 커넥터는 인장력이 가해지는 접촉표면적이 더 커진다는 이점을 갖는 반면, 이런 인장력을 전달하는데는 단순한 오목부로 충분하며, 이런 인장력은 오목부의 강도가 아니라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의 나선형 핀의 강도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파스너의 내부형상과 결합하는 외측나사를 갖는 커넥터까지 연장될 수 있지만, 보다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런 시스템은 상업적인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보강와이어에 대한 커넥터의 수용부는 바람직하게는 파스너의 나사와 결합하는 커넥터의 반대측 단부를 관통하는 구멍의 형태를 취한다. 이렇게 보강와이어는 한 커넥터의 구멍과 인접한 커넥터의 구멍을 통해 몰타르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나사결합되어 다수의 커넥터 및 벽결합 파스너를 단일 보강와이어에 연결시킬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커넥터의 길이에 대하여 직각으로드릴링하여 관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의 벽에 두 개의 대향 구멍을 형성하여 관의 종축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통로(즉, 보강와이어가 나사결합되는 구멍)를 형성한 일정길이의 금속관이다.
관의 축선과 수용부를 형성하는 구멍의 축선이 서로 어긋나는 구조를 생각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몰타르 바닥조인트 내의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렬로 형성한다. 이 것은 판상의 파스너의 표면에 돌기를 세워 보강와이어를 고정하는 많은 공지의 사다리 및 트러스 시스템에서 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는 수용부가 속이 찬 형태일 수 있다. 수용부의 내면은 공동이거나 보강와이어가 위치하는 후크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커넥터가 현존의 보강와이어에 걸려있는 보수용도에 바람직할 수 있다.
수용부의 결합면은 예를 들어 커넥터의 측면을 보강와이어의 표면과 결합시켜 회전을 방지하도록 보강와이어를 설치하면 커넥터의 회전을 불가능하게 하는 형상을 가져야한다. 역시 수용부는 가능하다면 시스템 내에서의 유동량을 줄이기 위해 보강와이어의 외형과 밀접하게 결합하여야 한다. 원한다면 커넥터는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는 부가의 보강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두 개,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용부, 예를 들어 부가의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보강와이어는 상황에 맞춰 어떤 크기도 가질 수 있다. 통상 보강와이어는 9게이지(3/16″또는 5mm)이며 원형이나 예를 들어 핀들이 바닥조인트의 몰타르를 파지할 수 있는 비틀린 선재의 보다 복잡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재료로서는 그 환경에서 부식하지 않는 그 외의 재료도 적합하고 보다 저렴한 다른 대안을 제공하지만 스텐레스강을 선택한다. 보강와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벽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물의 주위로 연장되어 구조를 보강시킨다. 베니어벽의 몰타르 바닥조인트에는 하나 이상(예를 들어, 세 개 또는 네 개)의 평행한 보강와이어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제시하는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르면, 지진상황이나 바람의 부하에 대항하여 베니어벽을 보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물의 백업벽 속에 설치되며, 백업벽의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나사를 제공하는 파스너와,
상기 파스너의 나사부에 결합되며, 회전시키지 않고는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파스너의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보강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상기 수용부에 끼워져서 상기 파스너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커넥터가 파스너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보강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상기 보강와이어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스너의 일부는 베니어벽의 바닥조인트 내에 마련된 충전재 속에 둘러싸여 상기 보강물을 상기 베니어벽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시스템을 신축건물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부품들은 축벽들이 쌓는 과정에서 적절한 위치에 결합하며, 바람직하게는 이 과정에서 커넥터, 파스너의 일부 및 보강와이어가 바닥조인트의 몰타르 속에 둘러싸인다. 본 시스템을 보수를 위해현존의 건물에 적용하는 경우, 먼저 베니어벽의 바닥조인트로부터 몰타르를 제거하고, 파스너를 백업벽 속에 삽입하고, 커넥터를 파스너에 결합시킨 후 보강와이어를 커넥터에 나사결합하거나 커넥터에 걸어서 전부를 연결시키는데, 이렇게 하면 커넥터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모든 부품들이 제 위치에 놓이면 바닥조인트에 접합충전재를 제공하여 상기 부품들을 둘러싸서 외부환경으로부터 밀봉시킨다. 이 접합충전재는 수지계의 예를 들어 에폭시나 폴리에스테르계의 충전재가 될 수 있지만 현존의 벽돌에 양호하게 접합하는 시멘트계의 재료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후 건물의 나머지부분과 이음매부분을 조화시키기 위해 최종의 이음매부분에 전통적인 몰타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진이나 좋지 않은 벽의 부하조건에 대항하여 벽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
나선형 벽결합 파스너의 일단부를 벽의 내측표면 속에 박아서 벽결합 파스너를 접착제 없이 상기 벽의 내측면과 기계적인 결합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시키고 벽결합 파스너의 제 2 단부가 벽면에 직각으로 연장되게 하는 단계와,
커넥터를 회전시켜서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을 따라서 커넥터를 분리할 수 있도록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대향하는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축소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벽결합 파스너에 직각으로 보강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커넥터를 벽결합 파스너의 제 2 단부 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커넥터의 상기 구멍을 통해 보강와이어를 나사결합시키는 단계와,
벽의 제 2 표면의 바닥조인트 내의 충전재 속에 보강와이어와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축벽 베니어는 시간의 경과에 의해 저하하는 성능, 깨짐의 원인이 되는 현존의 보강재의 부식, 균열 및 분리를 회복시키기 위해 또는 지진사고에 따른 손상을 보충하기 위해 관리보수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건물소유주에 부과되는 보다 엄격한 기준 때문에, 현대의 성능요건을 얻기 위해 축벽을 개량할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 방법은 일반적으로 신축용으로만 설계되어 현존의 축벽에 적용할 때는 파괴를 필요로 한다. 개량 및 관리를 위해서는 축벽을 부분적으로 해체하여 설치를 가능하게 하여야 하는데, 심한 미관손상 없이 축벽을 다시 축조한다는 것은 극히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현존의 건물을 개량하거나 신축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비파괴적이고 설치가 간단하고 쉬운,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벽결합 파스너(1)는 뾰족한 단부(2, 3)를 갖는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로 구성된다. 벽결합 파스너(1)는 원하는 형상으로 압연하고 나선형으로 비틀어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 스텐레스강으로 만들어진다. 이 와이어의 단면형상은 코어(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 핀(4) 및 단 핀(5)를 갖는 단면이다. 장 핀(4)은 커넥터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를 제공한다(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 벽결합 파스너(1)는 타격식 공구를 사용하여 축벽 속으로박힐 수 있는데, 상기 핀(4, 5)은 공구로부터 햄머충격에 의해 축벽 속에 나선형 통로를 절삭하는 블레이드로서 작용한다. 벽결합 파스너(1)를 제 위치에 고정하는데는 접착제가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핀들은 축벽과 충분히 기계적으로 상호 결합한다.
상기 벽결합 파스너(1)의 최대 외경(dmax)은 장 핀(4)의 직경으로 정해진다. 측면에서 볼때, 이들 장 핀(4)은 코어(6)를 중심으로 비틀리므로 이들은 벽결합 파스너(1)의 길이를 따라서 일련의 산부(7)와 골부(8)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산부는 직경(dmax)을 갖는 반면, 골부는 도 1의 실시예의 단면형상에서 단 핀(5)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dmin)을 갖는다. 만일 벽결합 파스너(1)에 단 핀(5)이 없다면 dmin은 코어(6)의 직경과 동일할 것이다. 보다 복잡한 형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3개의 장 핀이 있는 경우나 2개의 장 핀과 4개의 단 핀이 있는 경우, 측방에서 볼 때 dmin은 벽결합 파스너(1)의 최소 폭으로 결정될 것이다.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두 개의 구간(X, Y)을 갖는 다른 벽결합 파스너를 도 2에 도시한다. 특정의 연질재료, 예를 들어 기포콘크리트블록에 있어서, 벽결합 파스너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최대직경이 보다 큰 나선형 핀(4max)가 필요하며, 베니어벽의 바닥조인트 내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직경이 보다 작은 나선형 핀(4min)(예를 들어, 커넥터가 연결된 나선형 핀)이 필요할 것이다. 벽결합 파스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때, 도 2에 도시한 벽결합 파스너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것이며, 소경부는 백업벽 속에 박힌다. 백업 및 베니어벽 재료에 따라서 어떤 응용에서는, 예를 들어 지진사고에 대비하여 보강하기 위해 커넥터(10)와 결합하는 나사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벽결합 작용을 제공하기 위해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이 백업벽과 베니어벽의 일부(예를 들어, 바닥조인트의 몰타르)와 강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벽결합 파스너를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도 3에는 내경(D)(도 4 참조)을 갖는 특정 길이의 금속관으로 구성된 바람직한 커넥터(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D > dmax이다. 이 커넥터는 주름형성장치(도시하지 않음)의 한 쌍의 대향 턱 사이에서 주름을 만들어 이루어진 축소부(11)를 구비한다. 이 축소부는 간격(s)으로 이격된 두 개의 대향면 바람직하게는 평면(12, 13)을 제공함으로써 커넥터(10)의 내경을 축소시키는데, 여기서 s < D 및 dmin< s < dmax이다. 따라서 커넥터(10)가 백업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벽결합 파스너(1)의 단부(3)에 끼워졌을 때, 축소부(11)의 평면(12, 13)은 벽결합 파스너(1)의 산부 사이에 위치하여 장 핀(4)의 엣지와 결합하므로 커넥터(10)는 커넥터(10)를 벽결합 파스너(1)에 대하여 돌려서 푸는 방법에 의해서만 벽결합 파스너(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장 핀(4)은 축소부(11)의 평면(12, 13)이 결합하는 큰 나사로서 작용한다. 이렇게 벽결합 파스너(1)의 제 1 단부(2)를 타격식 공구로 백업벽 속으로 박으면, 커넥터(10)를 쉽게 타 단부(3)에 결합하고 그리고 보강와이어를 수용하도록 베니어벽의 바닥조인트의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커넥터의 타 단부에는 보강와이어(20)(도 5 참조)를 수용하기 위해 구멍(14)이 마련되어있다. 이 구멍(14)은 커넥터(10)의 축(15)에 직각으로 커넥터의 양측면을 통해 연장되며, 그 축선(16)은 커넥터(10)의 축선(15)과 직렬상태로 배치된다. 커넥터(10)가 벽결합 파스너(1) 상의 제 위치에 있을 때, 구멍(14)을 가리고 있는 한 벽결합 파스너(1)는 연장되지 않는다. 구멍(14)의 직경은 보강와이어(20)를 최소의 동작으로 쉽게 수용하도록 되어있다. 커넥터(10)는 베니어벽의 바닥조인트 내에 결합되는 길이를 갖는다.
시험의 결과, 커넥터(10)는 1 - 1.5kN의 인장부하에 견딜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단부의 종방향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2mm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미만이다.
바람직한 커넥터(10)는 외경이 10mm 이하, 길이가 대략 70mm, 내경이 8mm, 제 1 셋트의 축소부는 일단부로부터 10mm의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셋트의 축소부는 일단부로부터 23mm의 위치에 배치되며, 이 축소부는 내경을 3mm까지 축소시키며, 직경 6mm의 구멍(14)은 관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고 보강와이어를 수용하도록 타 단부로부터 10mm의 위치에 배치된다.
캐비티(23)에 의해 분리된 백업벽(22)에 결합시켜서 신축건물의 베니어벽(21)을 보강하는 방법을 도 5에 도시한다.
먼저 벽결합 파스너(1)를 삽입할 위치와 바닥조인트(24)를 선택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백업벽(22)을 드릴링하여 벽결합 파스너(1)에 대한 파일롯 구멍을 마련한다. 그 후 벽결합 파스너(1)의 단부(2)를 타격식 공구를 이용하여 백업벽(22)속으로 박아서 벽결합 파스너의 단부(3)가 백업벽(22)에 대하여 직각으로 돌출하게 하고 베니어벽(21)의 벽돌(25)의 중심근처에 위치하게 한다. 커넥터(10)는 벽결합 파스너(1)의 노출단부(3)에 결합하여 커넥터가 벽결합 파스너(1)와 완전히 결합하게 하고 구멍(14)의 축선(16)이 수평상태가 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벽결합 파스너(1)보다 작은 치수의 나선형으로 비틀린 와이어로 된 보강와이어(20)를 인접한 커넥터에 결합하여 베니어벽(21)의 바닥조인트(24)의 벽돌(25)의 선을 따라서 위치하게 한다. 그 후 이 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둘러싸도록 몰타르를 가하고 추가의 연속 벽돌을 베니어벽(21) 상에 놓는다. 벽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간격으로 추가의 벽보강물을 부가한다.
필요에 따라서, 커넥터(10)의 결합 전에 적절한 계기를 사용하여 벽결합 파스너의 인장능력을 시험할 수 있다.
도 6은 보수시스템을 제공하거나 현존의 빌딩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보수방법에 있어서, 벽결합 파스너(1)를 삽입할 위치와 바닥조인트(24)를 선택한다. 그 후 설치자는 벽결합 파스너(1)에 필요한 파일롯 드릴을 사용하여 베니어벽(21)을 통해 백업벽(22) 속으로 드릴링한다. 바람직하게는 진공부품을 갖는 다이아몬드 블레이드를 갖는 벽홈가공기를 사용하여 바닥조인트(24)를 30 - 40mm의 깊이로 홈을 판다. 양호한 몰타르 접합을 보장하기 위해 노출벽면에 몰타르가 부착되어 남아있게 해서는 안 된다. 그 후, 홈(26)으로부터 모든 먼지 및 몰타를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철저히 씻는다. 벽돌(25)들은 적절한 애벌칠 재료로 애벌칠하거나 축축하게 하여야 한다. 타격식 공구를 사용하여 벽결합 파스너(1)를 백업벽(22)에 설치하여 벽결합 파스너(1)의 노출단부가 벽돌(25)의 중심 부근에 있게 한다. 커넥터(10)를 벽결합 파스너(1)에 결합시켜 벽결합 파스너(1)에 완전히 결합되고 구멍(14)의 축선(16)이 수평상태로 되게 한다. 필요에 따라서 커넥터(10)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바닥조인트(24)의 몰타르에 형성된 파일롯 구멍을 캐비티까지는 아니지만 보다 크게 만들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 후, 바닥조인트(24)의 갭(26) 내의 인접 커넥터에 결합시킨다. 그 후 접합충전재, 예를 들어 시멘트 또는 수지계의 충전재를 혼합하고 적절한 주입장치 속에 장전하여 바닥조인트의 갭(26) 속으로 제공하여 보강와이어(20) 및 커넥터(10)를 봉입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음매처리를 위해 홈(26)의 약 15 - 5mm를 채우지 않은 채 남겨둔다. 그 후 바닥조인트를 현존의 빌딩의 몰타르와 조화되도록 몰타르로 이음매처리한다.
도 7 및 도 8은 커넥터(10)의 두 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축소부(11)는 커넥터(10)의 단부에 형성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축소부(11)는 금속관의 단부를 한 쌍의 기계적인 턱부 사이에서 주름잡히게 하여 형성한다. 이 커넥터는 길이가 65mm이며, 외경이 10mm이고, 구멍이 8mm이며, 주름을 형성하여 폭이 5mm이고 서로 5.5mm 이격된 한 쌍의 평면을 마련한다.
도 8에서는 일단부에 축소부(11)를 갖는 관을 마련하기 위해 나일론 등의 주조성형 가능한 가소성 재료로 성형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관은 외경이 10mm이고, 구멍이 8mm이며, 일단부에 폭이 5mm 이고 커넥터(10)의 종방향으로의 깊이가 6mm인 슬롯을 갖는다.
도 9에는 제 2 셋트의 오목부를 마련하여 제 2 축소부를 형성한 도 3의 커넥터(10)를 도시한다.
도 9에서, 커넥터(10)에는 보강와이어(20) 용의 부가의 구멍(14')이 마련된다. 긴 보강와이어(20)가 필요한 경우, 제 1 와이어(20)를 제 1 구멍(14)을 통하여 일 방향으로 나사결합하고 제 2 와이어(20)를 다른 방향으로부터 제 2 구멍(14')을 통해 나사결합할 수 있는데, 커넥터에는 힘을 전달하기 위해 중첩부가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베니어벽(21)에 부가의 보강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총 3개의 구멍(14, 14')을 제공하여 두 개의 메인 보강와이어(20)를 엇걸리게 중첩되는 형상으로 하기 위한 또 다른 구멍(14')이나 또 다른 구멍(14) 또는 구멍 쌍(14, 14')을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효과적인 길이의 보강부를 만들기 위해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연장되는 보강와이어(20)를 중첩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도 제공한다.
도 10은 바닥조인트(24)의 높이보다 큰 외경을 갖는 커넥터(10)가 베니어벽의 몰타르 속에 어떻게 쉽게 수용되는지를 보여준다. 필요에 따라서는 벽돌(25)의 중심부위를 제거하여 부가의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구조는 직경이 10mm 이상인 벽결합 파스너(1)에 부착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지의 벽결합 파스너(예를 들어, Helifix Ltd.에서 구입할 수 있는 DryFix)를 외측 몰타르(24) 내의 "T"조인트를 통해 백업벽(22) 속에 설치한다. 커넥터(10)를 벽결합 파스너의 단부 위에 고정시키고 스텐레스강 또는 아연도금의 영국규격 와이어게이지(SWG) 9의 와이어(20)(와이어의 직경, 3.6mm)를 절결된 몰타르죠인트를 따라서 커넥터(10)에 나사결합한다. 특별한 성능이 필요한 경우, 강도향상을 위해 HeliBar(Helifix Ltd.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최대외경이 4.5mm이고 코어의 직경이 약 3.1mm) 등의 나선형 핀을 갖는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와이어(20)는 HeliBond MM2(Helifix Ltd.에서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의 상표) 등의 주입 가능한 시멘트질의 무수축 그라우트로 정해진 자리에 그라우팅한다. 이 조인트는 그 후 조화를 이루는 산형 메지로 마무리하여 축벽의 외관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와이어(20)는 베니어벽(21)의 면으로부터 1인치 내지 2인치(25-50mm) 사이에 위치한다. 인접 와이어(20)를 커넥터(10)에서 최소 6인치(150mm) 만큼 중첩시킴으로써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새로운 몰타르를 공급하므로 와이어(20)의 전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작업단계는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첫번째, 8mm의 DryFix 벽결합 파스너(1)를 설치할 지점들을 선택한다. 몰타르의 "T"접합부에서 바닥조인트와 수직 조인트는 벽돌축조의 손상을 줄여준다.
두번째, 백업재료에 적합한 파일롯구멍을 베니어벽(21)을 통해 백업벽(22) 속으로 드릴링으로 형성한다.
세번째, 지진용의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을 외측몰타르에서만 7/16인치(11mm)까지 확장시킨다.
네번째, 바람직하게는 진공부착부품을 갖는 다이아몬드 블레이드의축벽커터(예를 들어 Hilti DC-SE 20)을 사용하여 바닥조인트를 1.25인치 - 1.5인치(30-40mm)의 깊이까지 절제한다.
다섯번째, 양호한 몰타르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노출벽돌표면에 몰타르(24)가 부착되어 남아있지 않은지를 확인한다.
여섯번째, 슬롯으로부터 먼지와 몰타르를 전부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철저하게 세척한다(벽돌들은 축축하게 하거나 HeliFix WB 프라이머로 애벌칠하여야 한다).
일곱번째, 삽입공구를 사용하여 DryFix 결합파스너를 백업벽(22) 속에 박아 넣어 파스너의 단부를 외측블록의 중심부근에 위치시킨다.
여덟번째, 커넥터(10)를 결합시키고, 이 커넥터가 결합파스너(1)와 완전히 결합되고 구멍(14)들이 수평하게 한다.
아홉번째, 와이어(20)를 인접 커넥터(10)에 나사결합시킨다. (인접 와이어(20)들을 커넥터(10)에서 최소 6인치(150mm) 만큼 중첩시켜서 길게 연장되게 한다).
열번째, 그라우트를 혼합하여 주입기 속에 장입한다.
열한번째, 슬롯의 배면까지 그라우트를 와이어(2) 위에 주입하여 슬롯을 채우고, 와이어(20)가 완전히 매립되고 산형 메지를 적용할 수 있도록 1/2인치 - 5/8인치(12-15mm)가 남도록 한다.
열두번째, 조화를 이루는 몰타르로 조인트를 산형 메지로 처리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 보강 시스템은 설치하기가 간단하고 수월하다. 본 방법은 해체 및 개축의 필요가 없으므로 비파괴적이다. 백업재료와 강하고 응력이 없이 연결된다. 본 시스템은 외측몰타르(24)에 부가의 강도를 부가한다. 커넥터(10)는 길게 연장된 보강와이어(20)에 대하여 쉽게 중첩시켜서 강한 결합을 만든다. 이 보강부는 완전히 감추어지며 시각적으로 만족스럽다.
지금까지 베니어벽 내에 놓인 보강와이어를 백업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벽결합 파스너에 정착시키기 위한 새로운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지진사고나 불리한 바람부하조건에 대항하여 베니어벽을 보강하기 위한 새로운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상기 커넥터를 백업표면에 층이 결합되는 다른 시스템에 다르게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는 비틀린 형상의 나선형 벽결합 파스너가 천장 백업층에 박혀있고 커넥터가 제 2 표면을 매달기 위한 돌출단부에 부착된 천장 백업층으로부터 제 2 표면을 매다는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2 표면은 예를 들어 잘못된 천장을 지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금속그릴 등이 될 수 있다.
Claims (36)
-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를 형성하도록 백업벽의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나사부를 갖는 파스너를 백업벽 속에 설치하는 단계와,보강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부분을 갖는 커넥터를 커넥터의 회전 없이는 커넥터를 제거할 수 없도록 상기 나사와 결합시켜 상기 파스너의 나사부에 결합시키는 단계와,보강와이어가 상기 파스너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스너에 대하여 상기 커넥터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강와이어를 상기 커넥터의 상기 수용부 속에 결합시키는 단계와,상기 보강와이어를 베니어벽의 몰타르 바닥조인트 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보강와이어와 상기 베니어벽을 일체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벽을 백업벽에 결합시켜 베니어벽을 보강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로 만들어진 나선형의 금속 벽결합 파스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타격식 공구를 사용하여 축벽의 백업벽 속으로 박음으로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벽결합 파스너는 백업벽의 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벽결합 파스너의 돌출단부 위에 밀접하게 결합하는 슬리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를 상기 벽결합 파스너의 나사부에 나사결합시킴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는 상기 베니어벽의 외측면으로부터 25 - 50mm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는 상기 보강와이어를 상기 커넥터의 수용부의 구멍을 통해 나사결합시킴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는 하나의 커넥터의 구멍을 통해, 그리고 인접 커넥터의 구멍을 통해, 그리고 몰타르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나사결합되어 다수의 커넥터와 벽결합 파스너를 단일 보강와이어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평행하게 추가의 보강와이어가 배치되고, 이 보강와이어는 커넥터의 부가의 구멍을 통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보강와이어가 제 1 구멍을 통해 일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제 2 보강와이어가 제 2 구멍을 통해 다른 방향으로부터 나사결합되어 서로 엇걸리는 중첩부를 형성하여 한 보강와이어로부터 힘을 다음 보강와이어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부는 적어도 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는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는 상기 벽의 전장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는 건물의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보강와이어는 상기 베니어벽의 몰타르 바닥조인트 내에 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한 쌍의 벽돌의 접합부에서 바닥조인트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백업벽 속에 벽결합 파스너를 삽입하기 전에 베니어벽의 바닥조인트로부터 몰타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종방향으로 나선형 핀이 연장되는 비틀린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벽결합 파스너에 직각방향으로 보강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상기 벽결합 파스너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슬리브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의 외경과 밀착 결합하는 내경을 갖는 관과,상기 관의 종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상기 관벽의 양측을 관통하며, 상기 보강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구멍과,상기 커넥터와 상기 벽결합 파스너 간의 상대회전 없이는 상기 벽결합 파스너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축소내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 추가의 보강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의 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내경부는 상기 커넥터의 주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내경부는 상기 관의 양측 내측면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1mm만큼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내경부가 두 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6 - 12mm의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9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50 - 100m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9 항 내지 제 2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용 구멍은 상기 관의 내경보다 1mm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9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축과 상기 보강와이어용 구멍의 축은 일직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지진상황이나 바람의 부하에 대항하여 베니어벽을 보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구조물의 백업벽 속에 설치되며, 백업벽의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어 커넥터와 연결하기 위한 나사를 제공하는 파스너와,상기 파스너의 나사부에 결합되며, 회전시키지 않고는 제거되지 않도록 상기 파스너의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보강와이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커넥터와,상기 커넥터의 상기 수용부에 끼워져서 상기 파스너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커넥터가 파스너에 대하여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보강와이어를 포함하며,상기 커넥터, 상기 보강와이어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스너의 일부는 베니어벽의 바닥조인트 내에 마련된 충전재 속에 둘러싸여 상기 보강물을 상기 베니어벽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현존의 빌딩의 보수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베니어벽의 바닥조인트에서 몰타르를 제거하여 상기 보강와이어용 채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28 항 내지 제 3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보강와이어가 한 커넥터의 수용부를 통하여, 그리고 인접 커넥터의 수용부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몰타르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나사결합되어 다수의 커넥터 및 파스너를 단일 보강와이어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28 항 내지 제 3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바닥조인트를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된 추가의 보강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의 수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 제 1 보강와이어가 제 1 구멍을 통해 일방향으로 나사결합되고 제 2 보강와이어가 제 2 구멍을 통해 다른 방향으로부터 나사결합되어 서로 엇걸리는 중첩부를 형성하여 한 와이어로부터 다음 와이어로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와이어는 건물의 주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 28 항 내지 제 3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결합 파스너는 비틀린 형상의 와이어로 만들어진 금속 벽결합 파스너로서 나선형 핀을 구비하며, 상기 파스너는 타격식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축벽의 백업벽 속에 박아 넣음으로써 설치되며, 상기 파스너의 핀은 상기 타격식 공구의 햄머충격에 의해 축벽 속에 나선형 경로를 절삭하는 블레이드로서 작용하여 상기 벽결합 파스너를 제 위치에 고정하는데 접착제가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지진이나 좋지 않은 벽의 부하조건에 대항하여 벽을 보강하는 방법에 있어서,나선형 벽결합 파스너의 일단부를 벽의 내측표면 속에 박아서 벽결합 파스너를 접착제 없이 상기 벽의 내측면과 기계적인 결합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시키고 벽결합 파스너의 제 2 단부가 벽면에 직각으로 연장되게 하는 단계와,커넥터를 회전시켜서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을 따라서 커넥터를 분리할수 있도록 벽결합 파스너의 나선형 핀의 외경보다 작은 간격으로 대향하는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축소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벽결합 파스너에 직각으로 보강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커넥터를 벽결합 파스너의 제 2 단부 상에 배치하는 단계와,상기 커넥터의 상기 구멍을 통해 보강와이어를 나사결합시키는 단계와,벽의 제 2 표면의 바닥조인트 내의 충전재 속에 보강와이어와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0302432A GB0302432D0 (en) | 2003-02-03 | 2003-02-03 | Wall reinforcement system |
GB0302432.0 | 2003-02-03 | ||
GB0311968.2 | 2003-05-23 | ||
GB0311968A GB0311968D0 (en) | 2003-05-23 | 2003-05-23 | Wall reinforcement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0440A true KR20040070440A (ko) | 2004-08-09 |
Family
ID=3199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6660A KR20040070440A (ko) | 2003-02-03 | 2004-02-02 | 벽 보강 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7568320B2 (ko) |
KR (1) | KR20040070440A (ko) |
GB (1) | GB2397831B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1243B1 (ko) * | 2006-05-03 | 2007-04-27 | 이완섭 |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
US20200061829A1 (en) * | 2018-08-27 | 2020-02-27 | Ascend Robotics LLC | Automated construction robot systems and methods |
KR102168947B1 (ko) * | 2020-04-01 | 2020-10-22 | 남용희 | 보강와이어를 이용한 건물 외부벽체의 보강방법 |
KR102341000B1 (ko) * | 2021-07-19 | 2021-12-17 | 한덕구 | 스크류 보강부재를 이용한 보강 구조의 시공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019786D0 (en) * | 2000-08-12 | 2000-09-27 | Ollis William H |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ing devices |
FR2864577B1 (fr) * | 2003-12-24 | 2006-05-05 | Saint Gobain Ct Recherches | Structure de filtration, notamment filtre a particules pour les gaz d'echapp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t organe d'armature destine a une telle structure |
US20090260312A1 (en) * | 2006-05-24 | 2009-10-22 | Yan Sup Lee |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s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
GB2451787B (en) * | 2006-05-24 | 2011-04-20 | Yan Sup Lee |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
US8555587B2 (en) * | 2010-05-11 | 2013-10-15 | Mitek Holdings, Inc. | Restoration anchoring system |
GB2479952B (en) * | 2010-10-01 | 2012-04-11 | Christopher J Riggs | Retrofit cavity wall barrier |
WO2012174257A2 (en) * | 2011-06-14 | 2012-12-20 | Wathne John M | System of tying, cleaning and re-cementing masonry using port anchors |
US20170159285A1 (en) * | 2015-12-04 | 2017-06-08 | Columbia Insurance Company | Thermal wall anchor |
DE102016204694A1 (de) * | 2016-03-22 | 2017-09-28 | Peri Gmbh | Gerüstelement mit einem Trägerkopf und Baugerüst mit einem solchen Gerüstelement |
EP3935216A1 (en) * | 2019-03-07 | 2022-01-12 | Illinois Tool Works, Inc. | Linking device |
GB201912551D0 (en) * | 2019-09-01 | 2019-10-16 | Product Licensing Company Ltd | Method & means of forming threaded ties and rods |
KR102137910B1 (ko) * | 2019-09-04 | 2020-07-27 | 모전산업 (주) | 치장구조물의 내진성능 보강 및 크랙 보수 구조와 그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606201A (en) * | 1926-02-09 | 1926-11-09 | Wilmer H Willis | Wall tie and bond |
US2338328A (en) * | 1941-10-30 | 1944-01-04 | Charles E Handel | Anchor for use in veneering concrete structures |
US2999571A (en) * | 1958-09-12 | 1961-09-12 | Peter H Huber | Powder-actuated fastener |
GB1166250A (en) | 1965-05-10 | 1969-10-08 | Rawplug Company Ltd | Anchoring Device. |
US3964227A (en) | 1974-09-27 | 1976-06-22 | Hohmann & Barnard, Inc. | Anchoring apparatus for fixedly spacing multiple wall constructions |
US4227359A (en) * | 1978-11-21 | 1980-10-14 | National Wire Products | Adjustable single unit masonry reinforcement |
US4473984A (en) * | 1983-09-13 | 1984-10-02 | Lopez Donald A | Curtain-wall masonry-veneer anchor system |
US4764069A (en) * | 1987-03-16 | 1988-08-16 | Elco Industries, Inc. | Anchor for masonry veneer walls |
US4875319A (en) * | 1988-06-13 | 1989-10-24 | Hohmann & Barnard, Inc. | Seismic construction system |
DE3931494A1 (de) | 1989-09-21 | 1991-04-04 | Baumann Verwertungs Gmbh |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betonkoerper |
US5138813A (en) * | 1990-08-21 | 1992-08-18 | Novatek International, Inc.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concrete panel for use therein |
US5433569A (en) * | 1993-09-02 | 1995-07-18 | Fall; James C. | Screw |
US5644889A (en) * | 1994-08-05 | 1997-07-08 | Dur-O-Wal, Inc. | Remedial wall anchor system |
US5671578A (en) * | 1995-04-24 | 1997-09-30 | Hohmann & Barnard, Inc. | Surface-mounted veneer anchor for seismic construction system |
US5816008A (en) * | 1997-06-02 | 1998-10-06 | Hohmann & Barnard, Inc. | T-head, brick veneer anchor |
JPH11200504A (ja) | 1998-01-19 | 1999-07-27 | Onoda Autoclaved Light Weight Concrete Co Ltd | Alcパネル用アンカー金具 |
GB9917398D0 (en) * | 1999-07-24 | 1999-09-22 | Int Intec Patent Holding | Improvements relating to wall cladding anchorage |
KR200163891Y1 (ko) | 1999-07-29 | 2000-02-15 | 주식회사국제종합토건 | 적벽돌쌓기용 보강구 |
KR200201182Y1 (ko) | 2000-05-26 | 2000-11-01 | 고대석 | 외벽 보강용 연결부재 |
-
2004
- 2004-01-29 US US10/767,803 patent/US756832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2-02 KR KR1020040006660A patent/KR2004007044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2-03 GB GB0402369A patent/GB239783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1243B1 (ko) * | 2006-05-03 | 2007-04-27 | 이완섭 |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
US20200061829A1 (en) * | 2018-08-27 | 2020-02-27 | Ascend Robotics LLC | Automated construction robot systems and methods |
KR102168947B1 (ko) * | 2020-04-01 | 2020-10-22 | 남용희 | 보강와이어를 이용한 건물 외부벽체의 보강방법 |
KR102341000B1 (ko) * | 2021-07-19 | 2021-12-17 | 한덕구 | 스크류 보강부재를 이용한 보강 구조의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397831A (en) | 2004-08-04 |
US20040237440A1 (en) | 2004-12-02 |
GB0402369D0 (en) | 2004-03-10 |
US7568320B2 (en) | 2009-08-04 |
GB2397831B (en) | 2006-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33401C (en) | Restoration anchoring system | |
KR20040070440A (ko) | 벽 보강 시스템 | |
US5775849A (en) | Coupler for ducts used in post-tension rock anchorage systems | |
US7073296B2 (en) | Preconstruction anchoring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 |
KR100538759B1 (ko) |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 |
KR101216391B1 (ko) | 프리스트레스 강선을 이용한 실드터널 세그먼트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실드터널 세그먼트 라이닝 체결방법 | |
AU678606B2 (en) | Connector | |
CN101356318B (zh) |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 |
KR101052852B1 (ko) | Pc강연선을 이용한 쏘일네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 |
KR20130095153A (ko) |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 |
KR100690014B1 (ko) |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 |
EP1004722A1 (en) | Masonry reinforcement system | |
KR20090091011A (ko) | Pc강연선을 이용한 지반보강공법 및 지반보강장치 | |
KR101052728B1 (ko) | 쐐기웨지를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의 조립구조 및 이에 의해 소일네일을 조립ㆍ제거하는 방법 | |
US6155352A (en) | Wall tie reinforcement and method | |
JP5104571B2 (ja) | 鉄筋同士を電気的に接続する構造、鉄筋同士を電気的に接続する方法 | |
KR20100062300A (ko) | 확경부가 형성된 피에스 강연선 | |
KR100442704B1 (ko)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인장재 보강 방법 및 그구조 | |
JP5051359B2 (ja) | 下地鋼材の固定構造 | |
EP2558735B1 (en) | Expansion fixing | |
KR102621973B1 (ko) | 옹벽 패널 연결 장치, 패널식 옹벽 및 패널식 옹벽 시공 방법 | |
JPH08189515A (ja) | コンクリート又はこれに類するもののためのアンカ | |
KR200286645Y1 (ko) | 앵커 와 압착판을 이용한 구조물 이음부 구조 | |
KR200275042Y1 (ko) |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덧붙임 콘크리트 이음 보강장치 | |
KR200307723Y1 (ko) | 네일 정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