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354Y1 -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4354Y1
KR200324354Y1 KR20-2003-0017330U KR20030017330U KR200324354Y1 KR 200324354 Y1 KR200324354 Y1 KR 200324354Y1 KR 20030017330 U KR20030017330 U KR 20030017330U KR 200324354 Y1 KR200324354 Y1 KR 2003243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nchor
building
stone panel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석주
Original Assignee
(주)대경강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강건 filed Critical (주)대경강건
Priority to KR20-2003-0017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43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43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43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에 석재판넬을 설치하는 시공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에 관통체결되며, 외측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내향 함몰된 고정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앵커; 석재판넬의 배면에 함몰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는 일단과, 외향 노출된 타단에 형성된 판넬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판넬앵커; 및 고정앵커와 판넬앵커 사이에 개재되어, 대응하는 고정암나사부와 판넬암나사부에 각각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석재판넬을 얇게 제작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단시간에 석재판넬을 건축물의 외벽면에 커튼월형태로 시공할 수 있으며, 그 시공방식이 간편하고 쉽고 또한 시공된 건축물의 외관품위도 향상된다. 특히, 외부 충격등에 강성을 유지하는 커튼월 형태의 시공구조를 제공가능하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CONSTRUSTING UNIT FOR STONE EXTERIOR WALL}
본 고안은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외벽면에 석재판넬들을 커튼월형태로 마감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공유니트에 의해 건축물의 외벽면에 석재판넬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시공유니트(100)는, 건축물(1)에 설치되는 고정앵커(110), 석재판넬(5)에 설치되는 촉앵커(120), 고정앵커(110)와 촉앵커(120)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115, 125), 및 이들 연결부재(115, 125)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0)로 구성된다. 촉앵커(12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석재판넬(5)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평행하게 연결한다.
'L'형상의 제1 연결부재(115)는, 건축물(1)에 고정된 고정앵커(110)의 선단에 일단이 결합된 후, 그 외측에서 체결되는 볼트(111)에 의해 고정된다. 제1 연결부재(115)의 타단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연결부재(125)는, 상하 석재판넬(5) 사이에 노출된 촉앵커(120)의 중앙부분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볼트(130)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115, 125)의 볼트공을 관통하여 상호 체결시킨다. 이에 의해, 건축물(1)의 전면에 석재판넬(5)이 커튼월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100)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된다.
1. 촉앵커를 끼우기 위한 구멍을 석재판넬의 모서리부분에 형성하여야 하는 어렵고 번거로운 작업이 필수적이고, 특히, 구멍을 가공하는 중에 상대적으로 약한 모서리부분이 깨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모서리부분의 파손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재판넬를 두껍게 제작하여야 하며, 이는 제작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2.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석재판넬을 건축물의 외벽면에 시공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이에 의해, 시공기간이 지연된다.
3. 상하 석재판넬 사이로 촉앵커등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외관의 품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석재판넬 사이에 예를 들어, 실리콘등을 사용하여 코킹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고, 이러한 코킹작업은 석재판넬의 표면을 오염시키는 등 역시 외관의 품위를 저하시킨다.
4. 촉앵커에 의해 지지된 구조를 가지는 석재판넬들은, 외부 충격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쉽게 그 배치상태가 변형될 수 있고, 심한 경우, 커튼월 형태의 시공구조가 붕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석재판넬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없으며, 이에 의해, 깨지거나 파손될 염려를 대폭줄이고 특히, 석재판넬을 얇게 제작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단시간에 석재판넬을 건축물의 외벽면에 커튼월형태로 시공할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편하고 쉽게 석재판넬을 마감시공할 수 있고, 외관의 품위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등에 강성을 유지하는 커튼월 형태의 시공구조를 제공가능한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의해 석재판넬이 시공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의해 석재판넬이 시공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도로서, 본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 및
도 5는 본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의 판넬앵커의 저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건축물 5 : 석재판넬
6 : 체결부 7 : 물림홈
8 : 수용홈 10 : 시공유니트
20 : 고정앵커 23 : 고정암나사부
30 : 중간부재 40 : 판넬앵커
42 : 경사부 43 : 물림단부
44 : 기준부 45 : 슬릿
46 : 슬릿편 48 : 판넬암나사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에 석재판넬을 설치하는 시공유니트는, 상기 건축물에 관통체결되며, 외측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내향 함몰된 고정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앵커; 상기 석재판넬의 배면에 함몰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는 일단과, 외향 노출된 타단에 형성된 판넬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판넬앵커; 및 상기 고정앵커와 상기 판넬앵커 사이에 개재되어, 대응하는 상기 고정암나사부와 상기 판넬암나사부에 각각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석재판넬의 체결부는, 상기 석재판넬의 배면으로부터 균일한 단면반경으로 내향 함몰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상기 수용홈보다 외향 확경된 단면반경을 가지는 물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판넬앵커의 일단은, 상기 석재판넬의 체결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물림홈과 맞물리는 기준 단면반경보다 확경된 물림단부를 포함하여 간단히 구성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판넬앵커의 물림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축선을 따라 절취된 절취된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앵커가 관통체결되는 건축물의 체결홈내에는, 소정의 접착재를 충진시키고, 이 때, 상기 소정의 접착재가 충진된 상기 건축물의 체결홈의 개구에는 개스킷을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종래의 도 1과 관련하여 동일 구성 및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에 의해 석재판넬이 시공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단면도로서, 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석재판넬 시공유니트(10)는, 건축물(1)에 고정되는 고정앵커(20), 석재판넬(5)에 설치되는 판넬앵커(40), 및 이들 고정앵커(20)와 판넬앵커(40)를 연결하는 중간부재(30)로 간단히 구성된다.
건축물(1)에는 고정앵커(40)를 체결가능하게 수용시키는 체결홈(2)이 외벽면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석재판넬(5)의 배면에도 판넬앵커(40)가 결합되는 체결부(6)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6)는, 일정한 단면반경을 가지는 수용홈(8)과 이 수용홈(8)보다 큰 단면반경을 가지는 물림홈(7)으로 구분된다. 이들 수용홈(8)과 물림홈(7)은, 석재판넬(5)의 배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내향 배치되고, 물림홈(7)은 수용홈(8)으로부터 외향 확경시켜 형성가능하다.
고정앵커(20)는 원형봉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 단부에는 그 축선방향을 따라 내향 함몰된 암나사부(23)이하, 고정암나사부라 함)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앵커(20)는 건축물(1)의 체결홈(2)내에 콘크리트본드(15)를 충진시킨 상태에서 수용시킨다. 체결홈(2)과 고정앵커(20) 사이 즉, 외측으로부터 노출된 체결홈(2)의 개구에는 가스켓(25)을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콘크리트본드(15)가 경화되고, 이에 의해, 건축물(1)에는 그 외벽면에 대하여 직교방향의 고정앵커(20)가 설치되는 것이다.
판넬앵커(40)는,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석재판넬(5)의 체결부(6)에 결합되는 일단(41)과 중간부재(30)가 결합되도록 외부에 노출된 타단(49)을 구비한다. 판넬앵커(40)의 일단(41)은, 체결부(6)의 수용홈(6)내에 배치되는 기준부(44)와 체결부(6)의 물림홈(7)과 맞물리는 물림단부(43)로 구분된다. 기준부(44)는 체결부(6)의 수용홈(6)과 거의 동일한 단면반경을 가지며, 물림단부(43)는 기준부(44)의 기준 단면반경보다 확경된 단면반경을 가진다. 이들 기준부(44)와 물림단부(43) 사이에는 경사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물림단부(43)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축선방향으로 절취된 복수의 슬릿(4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물림단부(43)는 슬릿(45)들사이에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슬릿편(46)를 구비한다. 각 슬릿(45)은 인접하는 슬릿편(46)들의 탄성변형적 이완수축을 용이하도록 보조한다. 즉, 물림단부(43)가 석재판넬(5)의 체결부(6)로 진입하는 경우, 각 슬릿편(46)들이 수축하여 체결부(6)의 수용홈(6)을 통과하고, 한편, 수용홈(6)을 통과한 슬릿편(46)들은 이완하여 결합부(6)의 물림홈(7)과 물림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판넬앵커(40)의 타단(49)에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48, 이하, 판넬암나사부라 함)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판넬암나사부(48)도, 판넬앵커(40)의 축선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중간부재(30)가 결합된다.
중간부재(30)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역시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부재(30)는 그 일측이 고정앵커(20)의 고정암나사부(23)에 체결수용되고, 타측은 판넬앵커(40)의 판넬암나수부(48)에 체결수용된다. 중간부재(30)의 외면에는 판넬앵커(40)와 고정앵커(20)의 접촉부분에 와셔(35)가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시공유니트(10)를 사용하여 석재판넬(5)들을 건축물(1)의 외벽면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건축물(1)의 외벽면에 다수의 고정앵커(20)를 설치한다. 여기서, 고정앵커(20)는 수직 및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고정앵커(20)가 수용된 체결홈(2)내에 콘크리트본드(15)를 충진시킨다. 그러면, 시간이 경과하면서 콘크리트본드(15)가 경화되며, 고정앵커(20)가 건축물(1)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콘크리트본드(15)가 충진된 체결홈(2)의 개구면에는 가스켓(25)을 설치하여 외관의 품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건축물(1)의 외벽면에 체결홈(2)을 천공한 후, 콘크리트본드(15)를 충진시킨 다음, 고정앵커(20)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석재판넬(5)에 판넬앵커(4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석재판넬(5)의 배면에 체결부(6)를 형성한다. 체결부(6)는 소정의 체결부형성 바이트를 사용하여 작업장에서 형성가능하다.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체결부(6)내에 판넬앵커(40)를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즉, 판넬앵커(40)에는 그 일단(41)에 복수의 슬릿(4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림단부(43)가 그 반경방향으로 신축이완가능하다. 작업자는 이러한 물림단부(43)를 가압하여 신축시킨 상태에서, 체결부(6)내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석재판넬(5)에 판넬앵커(40)를 설치하는 작업은, 건축물(1)의 시공현장에서 고정앵커(20)를 설치하는 작업과는 달리, 석재판넬(5)의 크기를 절단하고 그 배면에 체결부(6)를 형성하는 작업장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판넬앵커(40)가 설치된 석재판넬(5)을 시공현장으로 옮기면서, 건축물(1)에 고정된 고정앵커(20)에 바로 결합시킨다. 그러면, 건축물(1)의 시공현장에 석재판넬(5)을 적재시킬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석재판넬(5)의 결합은, 고정앵커(20)내에 중간부재(30)를 체결시킨 후, 그 외면에 와셔(35)를 개재시킨다. 그런 다음, 석재판넬(5)의 판넬앵커(40)내에 노출된 중간부재(30)의 단부를 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건축물(1)의 외벽면에 석재판넬(5)이 고정설치되며, 고정앵커(20)내에 수용된 중간부재(30)의 결합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면, 건축물(1)의 외면과 석재판넬(5) 사이의 거리를 조절가능하다. 즉, 건축물(1)에 커튼월형태로 시공되는 다수의 석재판넬(5)을 상호 평행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석재판넬의 모서리부분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없으며, 이에 의해, 깨지거나 파손될 염려를 대폭 줄이고 특히, 석재판넬을 얇게 제작할 수 있어서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가 제공된다.
본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는, 간단한 구성으로 단시간에 석재판넬을 건축물의 외벽면에 커튼월형태로 시공할 수 있고, 그 시공방식이 간편하고 쉬우며, 또한, 시공된 건축물의 외관품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는 또한, 외부 충격등에 강성을 유지하는 커튼월 형태의 시공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건축물에 석재판넬을 설치하는 시공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에 관통체결되며, 외측 단부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내향 함몰된 고정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앵커;
    상기 석재판넬의 배면에 함몰형성된 체결부에 결합되는 일단과, 외향 노출된 타단에 형성된 판넬암나사부를 구비하는 판넬앵커; 및
    상기 고정앵커와 상기 판넬앵커 사이에 개재되어, 대응하는 상기 고정암나사부와 상기 판넬암나사부에 각각 결합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판넬의 체결부는, 상기 석재판넬의 배면으로부터 균일한 단면반경으로 내향 함몰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상기 수용홈보다 외향 확경된 단면반경을 가지는 물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판넬앵커의 일단은, 상기 석재판넬의 체결부내에 수용되어 상기 물림홈과 맞물리는 기준 단면반경보다 확경된 물림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앵커의 물림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축선을 따라 절취된 절취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앵커가 관통체결되는 건축물의 체결홈내에는, 소정의 접착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접착재가 충진되는 상기 건축물의 체결홈의 개구에는 개스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20-2003-0017330U 2003-06-03 2003-06-03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2003243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330U KR200324354Y1 (ko) 2003-06-03 2003-06-03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330U KR200324354Y1 (ko) 2003-06-03 2003-06-03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4354Y1 true KR200324354Y1 (ko) 2003-08-21

Family

ID=4941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330U KR200324354Y1 (ko) 2003-06-03 2003-06-03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435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223A (ko) * 2007-03-08 2008-09-11 도준호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862071B1 (ko) 2007-03-19 2008-10-09 김종성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263417B1 (ko) * 2010-12-31 2013-05-10 한국세라믹기술원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KR101547154B1 (ko) 2015-05-19 2015-08-31 피엔케이익스테리어 주식회사 건축물의 외장 패널 설치구조
KR101896987B1 (ko) 2018-02-13 2018-09-10 정정순 건축물 내장 또는 외장 마감재 고정장치
KR20200054496A (ko) * 2018-11-12 2020-05-20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2223A (ko) * 2007-03-08 2008-09-11 도준호 건축물 외장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862071B1 (ko) 2007-03-19 2008-10-09 김종성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263417B1 (ko) * 2010-12-31 2013-05-10 한국세라믹기술원 내화성 커튼월 경량 내화보드용 내화 단열접착제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음방법
KR101547154B1 (ko) 2015-05-19 2015-08-31 피엔케이익스테리어 주식회사 건축물의 외장 패널 설치구조
KR101896987B1 (ko) 2018-02-13 2018-09-10 정정순 건축물 내장 또는 외장 마감재 고정장치
KR20200054496A (ko) * 2018-11-12 2020-05-20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볼트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방법
KR102236170B1 (ko) * 2018-11-12 2021-04-05 주식회사 코리아화스너 건축물 외장재 고정용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7612A1 (en) Fixing element
KR200324354Y1 (ko)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JP2011106202A (ja) 建築物用補強金具および補強構造
KR20200040643A (ko)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2183615B1 (ko) 결합력과 지지력이 상승된 앙카플레이트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KR101997401B1 (ko) 연결부재로 결속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JP4611879B2 (ja) ブラケットの取付方法
KR100961434B1 (ko) 자연석의 체결 구조
KR20210062508A (ko) 칸막이 벽체의 단열재 시공을 위한 단열재용 고정구
KR200489582Y1 (ko) 지지력과 결속력을 상승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KR200335784Y1 (ko) 앵커볼트
JP7169178B2 (ja) 制振装置
KR102619646B1 (ko) 전산 볼트 설치용 비구조 내진 장치
KR200280764Y1 (ko) 건축용 석재판넬의 위치결정 고정장치
KR200331522Y1 (ko) 앵커 볼트
KR102216446B1 (ko) 건물 외벽용 내진 앵커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317808Y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고정구
KR102221921B1 (ko) 강봉을 이용한 조적조 건물의 면내, 면외 및 접합부의 내진보강 공법
KR100455560B1 (ko) 건축용 석재판넬의 위치결정 고정장치
JP2007023708A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及びその取付方法
KR20230170436A (ko) 원통형 연결너트
KR200194929Y1 (ko) 천정재 부착 구조
KR200206152Y1 (ko) 방범창 전용 창살지지대
JP6927675B2 (ja) 外装部材の取付構造及び外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