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677B1 -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677B1
KR102132677B1 KR1020190050787A KR20190050787A KR102132677B1 KR 102132677 B1 KR102132677 B1 KR 102132677B1 KR 1020190050787 A KR1020190050787 A KR 1020190050787A KR 20190050787 A KR20190050787 A KR 20190050787A KR 102132677 B1 KR102132677 B1 KR 102132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anchor body
ceiling
finishing panel
bol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643A (ko
Inventor
차주병
Original Assignee
차주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주병 filed Critical 차주병
Priority to KR102019005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6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643A/ko
Priority to PCT/KR2020/005687 priority patent/WO2020222535A1/ko
Priority to US17/291,439 priority patent/US11987980B2/en
Priority to JP2021539324A priority patent/JP7038920B2/ja
Priority to CN202080001776.9A priority patent/CN112204200B/zh
Priority to EP20798927.8A priority patent/EP3964660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hanging lighting fixtures or other appliances to the framework of the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슬래브에의 결합고정이 용이하고 진동에 의해서도 고정용 앵커볼트가 빠지지 않으며, 시공 시 앵커본체가 헛도는 현상이 방지되는 한편, 조임부재의 조임 또는 풀림작용에 따른 시공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시공 후 앵커외피가 벽면에 강하게 고정되고, 앵커본체의 하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는, 상면에 다수의 끝이 뾰족한 돌기(612a)가 구비되는 앵커본체(610); 상·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앵커본체(610)의 하측으로 외삽되며, 둘레를 따라 'Y'자형 제 1절개부(622a)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이 제 1절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형 제 2절개부(622b)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앵커외피(620); 및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앵커본체(610)에 나사결합되며, 상단 둘레를 따라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부(632)가 구비된 조임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IMPROVED ANCHOR BOLT ASSEMBLY AND CEILING FINISH PANEL FASTENER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장 슬래브에의 결합고정이 용이하고 진동에 의해서도 고정용 앵커볼트가 빠지지 않으며, 시공 시 앵커본체가 헛도는 현상이 방지되는 한편, 조임부재의 조임 또는 풀림작용에 따른 시공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시공 후 앵커외피가 벽면에 강하게 고정되고, 앵커본체의 하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에는 콘크리트 등의 거친 천장 표면을 차폐하거나, 건물 실내의 보온을 위해 또는 천장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패널이 설치된다.
상기한 마감패널로는 석고보드, 합판, 석고 시멘트 천장판, 합성수지(열경화성 수지) 치장 천장판, 알루미늄 마감패널, 스테인리스 마감패널 등이 사용된다.
마감패널은 건축물의 천장 기초 콘크리트층의 저면부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감패널의 설치 및 시공구조는 최근까지 여러 방식의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천장 마감패널의 고정장치는 천장 슬래브의 저면부에 결합고정되는 고정용 앵커볼트와, 이 고정용 앵커볼트에 나사결합하고 일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채널 바와, 저면부에 마감패널이 부착되고 채널 바와 90도 각도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채널 바에 결합되는 패널 고정바로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에는 마감패널을 그 하부에서 피스 등으로 박아 패널 고정바에 고정하여 부착하게 되는 데, 보수를 위해 마감패널을 패널 고정바에서 분리할 때 어려움이 있고, 피스가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노출된 피스를 가리기 위해 마감패널의 하부에 커버를 형성하는 경우 그만큼 시공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고정용 앵커볼트로서, 스트롱 앵커(10)를 사용하여 천장 슬래브(90)에 결합고정하는 경우, 먼저 천장 슬래브(90)에 스트롱 앵커(10)를 삽입할 수 있는 설치공을 형성하고, 원추형 쐐기(40), 슬리브관(30), 전산볼트(20), 너트(21), 행거(110) 등으로 이루어진 스트롱 앵커(10)를 완전조립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술한 설치공에 원추형 쐐기(40), 슬리브관(30)을 삽입시킨 후, 전산볼트(20)의 하단을 망치 등으로 3~4회 타격하면 원추형 쐐기(40)를 중심으로 슬리브관(30)이 벌어져 설치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확장편(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며, 이후, 마감패널(200)을 채널 바(300)와 패널 고정바(400)에 고정설치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스트롱 앵커(10)를 이용한 천장 슬래브(90)의 고정 구조는 타격에 의해 슬리브관(30)이 설치공에 삽입될 때 전술한 확장편이 벌어지면서 설치공의 내벽을 긁으며 삽입되기 때문에 설치공의 끝까지 들어가지 못하고 중간에 멈추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스트롱 앵커(10)가 진동에 의해 빠져 천장 자체가 붕괴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었다.
또한, 행거(110)의 진동이 상부의 스트롱 앵커(10)에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전산볼트(20)가 길 경우 진동이나 풍압에 의해 휘어져 천장 자체가 붕괴될 수 있는 위험도 안고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고정용 앵커볼트로서, 세트 앵커(미도시)는 천장 슬래브에 시공시 조립 부품의 해체, 타격 파이프를 적용하여 타격, 해체부품의 재조립 등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세트 앵커를 천장 슬래브에 시공하는 경우, 시중에 판매되는 세트 앵커의 전산볼트에서 스프링 와셔와 너트를 해체하고, 전산볼트에 타격 파이프를 끼운 다음 망치와 같은 별도의 타격수단으로 타격 파이프를 3~4회 타격하여 세트 앵커를 천장에 고정한 다음, 전산볼트에서 타격 파이프를 분리하고 스프링 와셔와 너트를 다시 끼운 후 스패너 등으로 너트를 조여서 완전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7542호(2001. 9. 1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부품을 해체하지 않고 망치와 같은 도구의 사용없이 천장 슬래브에 앵커본체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 시 앵커본체가 헛도는 현상이 방지되는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임부재의 조임 또는 풀림작용에 따른 시공시간 의 단축이 가능한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앵커외피의 확장편이 벌어지면서 절개부가 낚시바늘의 미늘형태로 벽면에 파고들어 앵커외피가 벽면에 강하게 고정되는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임부재에 구비된 가공부를 통해 앵커본체의 하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산볼트가 길어도 진동이나 풍압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행거의 진동이 상부의 앵커본체까지 전달되지 않는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감패널의 시공이나 해체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패널로 마감된 천장의 외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면에 다수의 끝이 뾰족한 돌기가 구비되는 앵커본체; 상·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앵커본체의 하측으로 외삽되며 둘레를 따라 'Y'자형 제 1절개부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절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형 제 2절개부가 등간격으로 구비된 앵커외피; 및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앵커본체에 나사결합되며 상단 둘레를 따라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부가 구비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앵커본체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외경이 넓어졌다가 다시 좁아져서 측면이 '< >' 형상을 갖는 이중 단턱이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앵커본체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이중 나사산이 일정 높이로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면에 다수의 끝이 뾰족한 돌기가 구비되는 앵커본체와, 상·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앵커본체의 하측으로 외삽되며 둘레를 따라 'Y'자형 제 1절개부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이 제 1절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형 제 2절개부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앵커외피와,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앵커본체에 나사결합되며 상단 둘레를 따라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부가 구비된 조임부재와, 전체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측이 상기 조임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전산볼트와, 상기 전산볼트의 하측에 나사결합되는 행거를 포함하는 앵커볼트 조립체; 상기 행거의 행거핀과 행거 사이로 결합되며 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채널바; 상기 채널바의 하부에서 채널바와 직각으로 배치되며 걸림쇠를 통해 상기 채널바에 결합되는 패널고정바; 전후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부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서 상측으로 끼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패널고정바에 부착되어 천장 표면을 차폐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하측이 개방되어 상기 전산볼트의 외부를 감싸서 전산볼트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행거는 행거의 진동이 상부의 앵커본체까지 전달되지 않도록 행거의 내측에 완충재가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는 피스가 상기 패널고정바를 관통하고, 이 피스의 머리부분에 자석이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조립부품을 해체하지 않고 망치와 같은 도구의 사용없이 천장 슬래브에 앵커본체를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앵커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다수의 끝이 뾰족한 돌기를 통해 시공 시 앵커본체가 헛도는 현상이 방지된다.
셋째, 앵커본체에 구비된 이중 나사산을 통해 조임부재를 적게 회전시켜도 조임 또는 풀림작용에 따른 시공시간이 단축된다.
넷째, 앵커외피의 확장편이 벌어지면서 절개부가 낚시바늘의 미늘형태로 벽면에 파고들어 앵커외피가 벽면에 강하게 고정된다.
다섯째, 조임부재에 구비된 울퉁불퉁한 형상의 가공부를 통해 앵커본체의 하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보강파이프를 통해 전산볼트가 진동이나 풍압에 의해 휘는 것을 방지하고, 행거 내측에 구비된 완충재를 통해 행거의 진동이 상부의 앵커본체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패널고정바를 관통하도록 인접된 마감패널 사이에 피스를 고정하고 피스의 머리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피스의 머리부분에 자석을 부착시킴으로써 마감패널의 시공이나 해체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패널 마감된 천장의 외부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Α'부 확대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의 앵커볼트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마감패널을 벽면에 고정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마감패널을 벽면에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재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파이프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 조립체를 천장에 고정하기 위하여 천장 슬라브에 설치공을 형성하기 위한 해머드릴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Α'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의 앵커볼트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마감패널을 벽면에 고정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마감패널을 벽면에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 조립체를 천장에 고정하기 위하여 천장 슬라브에 설치공을 형성하기 위한 해머드릴의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는 마감패널(200), 채널바(300), 패널고정바(400), 그리고 앵커볼트 조립체(600)를 포함한다.
우선,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앵커볼트 조립체(600)는 상부가 천장 슬래브에 고정설치되고 하부에 후술하는 채널바(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앵커본체(일명,앵커볼트)(610), 앵커외피(620), 조임부재(630), 전산볼트(660), 보강 파이프(670), 행거(680)를 구비한다.
앵커본체(610)는 시공 시 천장 슬래브의 설치공(도 10의 H) 내부와 접촉하여 회전하지 못하도록(헛돌지 않도록) 그 상면에 다수의 삼각뿔 형상의 돌기(612a)가 90도 간격을 두고 앵커본체(610)와 일체화되어 소정의 높이로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조임부재(630)의 조임시, 돌기(612a)가 천장 슬래브의 설치공(H) 최심부에 박혀서 앵커본체(610)의 회전(헛도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돌기(612a)가 삼각뿔 형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끝이 뾰족한 돌기의 형태이면 이용 가능하다.
또한, 돌기(612a)가 구비된 앵커본체(610)의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외경이 넓어졌다가 다시 좁아져서 측면이 '< >' 형상을 갖는 이중 단턱(612b)이 형성되며, 이러한 이중 단턱(612b)의 하부, 즉 앵커본체(610)의 몸통부 외주면에는 조임부재(630)와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앵커본체(61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해 이중 나사산(614)이 일정 높이로서 형성되며, 이는 조임부재(630)를 적게 회전시켜도 조임 또는 풀림 작용에 따른 시공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앵커외피(620)는 상·하측이 개방되고 앵커본체(610)의 하측으로 외삽되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Y'자형 제 1절개부(622a)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이 제 1절개부(62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형 제 2절개부(622b)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다수의 확장편(622)이 상호 분리되게 구성된다.
즉, 확장편(622)은 제 1, 제 2절개부(622a)(622b)에 의해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조임부재(630)의 조임작용에 의해 앵커본체(610)의 이중단턱(612b)이 앵커외피(620)의 내측으로 삽입될수록 확장편(622)이 벌어진다.
이에 따라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외피(620)가 설치공(H)최심부를 향해 상승해서 올라올 때, 앵커본체(610)의 이중 단턱(612b)의 '< >' 형상 구조와 설치공(H) 최심부의 '∧' 형상 구조에 의해 앵커외피(620)의 제 1절개부(622a)가 좌우로 '< >' 형태로 벌어지면서 앵커외피(620)의 상부가 앵커본체의 삼각뿔 돌기(612a) 쪽으로 꺾이어 모이게 되며, 이때 설치공(H)의 벽면쪽에 위치하는 앵커외피(620)의 제 2절개부(622b)가 낚시바늘의 미늘과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미늘형상 부분이 설치공(H) 벽면에 파고들어 앵커외피(620)가 벽면에 강하게 고정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설치공(H) 최심부의 '∧' 형상 구조는 설치공(H) 형성용 해머드릴(800)의 첨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 형상의 첨단돌기(810)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종래와 달리 앵커볼트 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해체하지 않고 망치와 같은 도구의 사용없이 조임부재(630)의 조임작용에 의해 천장 슬래브에 앵커볼트 조립체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고, 작업시간도 단축되며, 시공 후 진동 등에 의해 앵커볼트 조립체가 천장 슬래브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본체(610)와 앵커외피(620)를 천장 슬래브(90)에 고정 시공할 때에는 앵커본체(610) 상단부의 돌기(612a)에 의해 앵커본체(610)의 상단부가 천장 슬래브(90)에 박혀서 임팩드릴(미도시)로 앵커본체(610)의 하측에 나사결합된 조임부재(630)를 누르면서 오른쪽으로 회전시킬 때 앵커본체(610)는 회전하지 않고 앵커외피(620)만 조임부재(630)에 의해 조여지면서 앵커외피(620)가 벌어져 앵커본체(610)와 앵커외피(620)가 천장 슬래브(90)에 고정된다.
도 6, 도 12를 참조하면, 조임부재(630)는 전체적으로 너트 형태로서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을 통해 앵커본체(610)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상단 둘레를 따라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가공부(63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조임부재(630)가 회전하면서 천장 슬래브(90)의 설치공(H)에 근접할 때, 울퉁불퉁한 형태를 갖는 가공부(632)가 설치공(H)의 입구에 긴밀하게 밀착함에 따라 앵커본체(610)의 하부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공부(632)는 널링(knurling) 또는 직선 베벨기어(bevel gear)의 치차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전산볼트(660)는 머리부가 없이 볼트의 전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산볼트(660)의 상측은 조임부재(630)의 하측에 나사결합되고, 조임부재(630)의 상측에 앵커본체(610)의 하측이 나사결합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각파이프 형태를 갖는 보강 파이프(670)는 상·하측이 개방되어 전산볼트(660), 특히 길이가 긴 전산볼트(660)의 외부를 감싸서 전산볼트(660)가 휘는 것을 방지한다.
행거(680)는 상단의 수평 절곡부에 구비되는 상·하 1쌍의 너트(640)에 의해 전산볼트(660)의 하측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ㄴ'자 단면 형태로 이중 절곡되어 후술하는 채널바(300)에 결합된다.
상기 이중 절곡된 행거(680) 부분은 행거핀(682)이 수평으로 끼워져 이중 절곡된 부분을 잡아주고, 행거핀(682)과 행거(680) 사이로 'ㄷ' 자 단면 형태의 채널바(300)가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채널바(300)는 패널고정바(400)의 상부에서 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길게 배치되는 것으로, 패널고정바(400)에 양단부가 걸리는 걸림쇠(420)에 의해 빠지지 않게 결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바(300), 패널고정바(400), 걸림쇠(420)가 접촉하는 부분은 피스(710)로 연결하여 걸림쇠(420)가 빠졌을 경우 패널고정바(400)가 채널바(3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행거(680) 내측으로는 완충재(684)가 부착되어 행거의 진동이 다른 부품을 통해 상부의 앵커본체(610)까지 전달되지 못하게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패널고정바(400)는 대략 역삼각형 형상을 구비하되, 상부의 좌우 꼭지점 부분은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외측단이 하향 절곡되어 이 절곡 부위에 걸림쇠(420)의 양단부가 걸리며, 하부 중앙의 꼭지점 부분은 요철 형태로 맞대어져 인접한 마감패널(200)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220)가 상기 요철형태의 꼭지점에 끼워진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마감패널(200) 사이에는 피스(710)가 패널고정바(400)를 관통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피스(710) 하부에 자석(720)을 대어(부착하여), 피스(710)의 머리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마감패널(200)의 교체시 분해 및 설치를 종래의 커버 사용시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패널 마감된 천장의 외부미관도 향상된다.
패널고정바(400)는 채널바(300)의 하부에서 채널바와 직각으로 길게 배치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쇠(420)를 통해 채널바(300)에 결합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고정바(400)를 보강하기 위해 패널고정바의 내측에 패널고정바와 같은 형상, 즉 역삼각형 형상의 조인트(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고정바(400)에 부착되는 마감패널(200)은 불연철판, 알루미늄판, 열경화성 수지판이나 PVC 계열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부(210)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서 상측으로 끼움돌기(220)가 형성된다.
마감패널(200)의 끼움돌기(220)는 패널고정바(400)의 하부 중앙의 꼭짓점 부분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부를 굵게 형성한다.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210)는 끝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서 좌우 양단부에 패널고정바(400)가 위치하는 반홈(214)이 형성되고, 이 반홈은 이웃한 다른 마감패널(200)의 반홈과 함께 완전한 홈을 형성한다.
돌부(210)에는 장공의 걸림공(212)이 형성되어 인접한 마감패널(200)의 돌부(210) 사이의 홈에 패널고정바(400)가 놓인 상태에서, 하나의 마감패널(200)의 걸림공(212)에 걸림쇠(410)의 일단이 걸리고, 그 걸림쇠(410)가 패널고정바(400)의 상부를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다른 마감패널(200)의 걸림공(212)에 걸림으로써 패널고정바(400)에 마감패널(200)이 부착됨에 따라 마감패널(200)의 하부에서는 걸림쇠(410)가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패널(200) 상부에 단열재 또는 흡음홈(502)이 형성된 흡음재(5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단열재나 흡음재(500)는 재활용 종이에 펄프나 부직포를 합쳐서 판상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마감패널(200)을 천장 슬래브에 고정할 때 최외측에 위치한 마감패널(200)의 측단부는 일측 벽면에 고정하고, 타측 벽면을 향해 상술한 장치와 방식을 이용해 마감패널(200)을 고정하게 된다.
타측 벽면에 다다른 경우 마감패널(200)이 타측 벽면에 맞닿으면 상관이 없으나, 소정 크기로 일괄 제조되는 마감패널(200)이 타측 벽면에 맞닿지 않으면 마감패널(200)을 일부 절단하여 타측 벽면에 고정해야 한다.
이와 같이 마감패널(200)을 절단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이나 PVC, 철 재질로 된 'ㄷ'자형 몰딩(130)을 벽면에 부착하고, 절단된 마감패널(200)을 'ㄷ'자형 몰딩(130) 바닥 위에 위치시키되, PVC 계열의 탄성이 있는 홀드다운 클립(140)을 이용하여 위에서 눌러 움직이지 않게 한다.
홀드다운 클립(140)에는 슬릿(도 7의 142)이 형성되어 'ㄷ'자형 몰딩(130)의 상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감패널(200)을 안정적으로 누르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마감패널(200)을 절단하지 않는 경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으로 된 'ㄷ'자형 몰딩(130)을 벽면(120)에 부착하고 마감패널(200)을 'ㄷ'자형 몰딩(130) 사이에 끼운다.
도 9를 참조하면, 패널고정바(400)가 마감패널(200)의 돌부(210)에 구비된 반홈(214)에 안착된 상태에서 피스(710)가 패널고정바(400)를 관통한 후 자석(720)이 부착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천장 슬래브(90)의 하부에 예를 들어, 스치로폼 재질의 단열재(150)가 시공되어 있는 경우, 단열재(150)의 두께보다 긴 앵커외피(620)를 앵커본체(610)에 끼워서 조임부재(630)를 조여 시공한다. 특히 습기가 많은 실내 수영장, 목욕탕이나 사우나 등의 천장에는 녹이 슬지 않는 재질의 앵커볼트 조립체(600)를 사용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90 : 천장 슬래브 120 : 벽면
130 : 몰딩 140 : 홀드다운 클립
142 : 슬릿 150 : 단열재 200 : 마감패널 210 : 돌부 212 : 걸림공 214 : 반홈 220 : 끼움돌기 300 : 채널바 400 : 패널고정바 410, 420 : 걸림쇠 430 : 조인트 500 : 흡음재 502 : 흡음홈 600 : 앵커볼트 조립체 610 : 앵커본체 612a : 돌기 612b : 이중단턱 614 : 이중나사산 620 : 앵커외피 622 : 확장편 622a : 제 1절개부 622b : 제 2 절개부 630 : 조임부재 632 : 가공부 640 : 너트 660 : 전산볼트 670 : 보강 파이프 680 : 행거 682 : 행거핀 684 : 완충재 710 : 피스 720 : 자석 800 : 해머드릴 810 : 첨단돌기

Claims (10)

  1. 상면에 다수의 끝이 뾰족한 돌기(612a)가 구비되고, 상단부에서 하측으로 외경이 넓어졌다가 다시 좁아져서 측면이 '< >' 형상을 갖는 이중 단턱(612b)이 구비되는 앵커본체(610)와;
    상·하측이 개방되고 상기 앵커본체(610)의 하측으로 외삽되며, 둘레를 따라 'Y'자형 제 1절개부(622a)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절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형 제 2절개부(622b)가 등간격으로 구비된 앵커외피(620)와;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앵커본체(610)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앵커본체(610)의 이중 단턱(612b)이 상기 앵커외피(6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확장편(622)이 벌어지도록 조여주며, 상단 둘레를 따라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부(632)가 구비된 조임부재(630)를 포함하는 앵커볼트 조립체로서,
    상기 앵커외피(620)가 상기 조임부재(630)에 의해 설치공(H)최심부를 향해 상승해서 올라올 때, 상기 앵커본체(610)의 이중 단턱(612b)의 '< >' 형상 구조와 설치공(H) 최심부의 '∧' 형상 구조에 의해 상기 앵커외피(620)의 제 1절개부(622a)가 좌우로 '< >' 형태로 벌어지면서 상기 앵커외피(620)의 상부가 상기 앵커본체(610)의 삼각뿔 돌기(612a) 쪽으로 꺾이어 모이게 되며, 이때 설치공(H)의 벽면쪽에 위치하는 상기 앵커외피(620)의 제 2절개부(622b)가 낚시바늘의 미늘과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미늘형상 부분이 설치공(H) 벽면에 파고들어 상기 앵커외피(620)가 벽면에 강하게 고정되는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앵커볼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전체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측이 상기 앵커볼트 조립체의 조임부재(630)에 나사결합되는 전산볼트(660)와;
    상기 전산볼트(660)의 하측에 나사결합되는 행거(680)와;
    상기 행거(680)의 행거 핀(682)과 행거(680) 사이로 결합되며 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채널바(300)와;
    상기 채널바(300)의 하부에서 채널바와 직각으로 배치되며 걸림쇠(420)를 통해 상기 채널바(300)에 결합되는 패널고정바(400)와;
    전후 양측에서 상측으로 돌부(210)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서 상측으로 끼움돌기(220)가 구비되며 상기 패널고정바(400)에 부착되어 천장 표면을 차폐하는 마감패널(200)을 더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200)과 그 인접 마감패널(200)의 사이에 피스(710)가 상기 패널고정바(400)를 관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피스(710)의 머리부분에 자석(72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50787A 2018-10-10 2019-04-30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2132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787A KR102132677B1 (ko) 2018-10-10 2019-04-30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PCT/KR2020/005687 WO2020222535A1 (ko) 2019-04-30 2020-04-29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US17/291,439 US11987980B2 (en) 2019-04-30 2020-04-29 Anchor bolt assembly and ceiling finishing panel fix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JP2021539324A JP7038920B2 (ja) 2019-04-30 2020-04-29 改善されたアンカーボルト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天井仕上げパネル固定装置
CN202080001776.9A CN112204200B (zh) 2019-04-30 2020-04-29 改善的锚栓组件及包括其的天花板饰板固定装置
EP20798927.8A EP3964660A4 (en) 2019-04-30 2020-04-29 IMPROVED ANCHOR BOLT ASSEMBLY AND FIXATION DEVICE OF A CEILING TRIM PANEL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466 2018-10-10
KR20180120466 2018-10-10
KR1020190050787A KR102132677B1 (ko) 2018-10-10 2019-04-30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643A KR20200040643A (ko) 2020-04-20
KR102132677B1 true KR102132677B1 (ko) 2020-07-13

Family

ID=7046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787A KR102132677B1 (ko) 2018-10-10 2019-04-30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4660A4 (en) * 2019-04-30 2023-01-25 Cha, Ju Byeong IMPROVED ANCHOR BOLT ASSEMBLY AND FIXATION DEVICE OF A CEILING TRIM PANEL THERETO
KR102267744B1 (ko) * 2020-12-30 2021-06-24 삼성물산(주) 내진 설치 구조를 갖는 천장 그리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56Y1 (ko) * 2005-03-14 2005-05-24 김용길 앵커 볼트의 고정장치
JP2008185076A (ja) * 2007-01-29 2008-08-14 Kfc Ltd ボルト接続用ナ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ー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542Y1 (ko) 2001-06-11 2001-10-29 홍기남 천정 마감용 천정재 구조
DE50101511D1 (de) * 2001-07-12 2004-03-25 Fischer Artur Werke Gmbh Dübel zur Befestigung an Hohl- und an Vollbaustoffen
KR20090010031U (ko) * 2008-03-31 2009-10-06 주식회사 유 창 천정틀 구조
KR101845007B1 (ko) * 2016-02-24 2018-04-04 대천볼트(주) 앵커볼트 조립체
KR101823555B1 (ko) * 2016-03-09 2018-01-30 차주병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56Y1 (ko) * 2005-03-14 2005-05-24 김용길 앵커 볼트의 고정장치
JP2008185076A (ja) * 2007-01-29 2008-08-14 Kfc Ltd ボルト接続用ナ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ー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643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25008B2 (en) A self-drilling masonry bolt
KR102132677B1 (ko) 개선된 앵커볼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JP2008150940A (ja) 反回転接着インサート
KR101617779B1 (ko)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KR102011716B1 (ko) 건축 슬래브용 인서트
JP7038920B2 (ja) 改善されたアンカーボルト組立体及びこれを含む天井仕上げパネル固定装置
KR100897721B1 (ko) 패널용 앵커볼트 및 그 설치방법
JP4675363B2 (ja) アフターボンド工法に於けるpc鋼棒定着方法、及び該方法の実施に用いる器具
JP5132009B1 (ja) 斜面安定化工法に用いられる定着用ナ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斜面安定化構造並びに斜面安定化工法
KR101502600B1 (ko) 스트롱 앵커
KR100920933B1 (ko) 조립식 내외장재
KR101168164B1 (ko) 앵커볼트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1823555B1 (ko) 천장 마감패널 고정장치
JP4616060B2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物の外壁構造
KR102645027B1 (ko) 고정와이어를 이용한 내진 보강 경량칸막이벽
KR20190002896U (ko) 천장용 세트앵커
RU190992U1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JP2005090220A (ja) 筒状建築材、建築材取付具および建築材の施工方法
KR200227292Y1 (ko) 앵커페그
KR200140850Y1 (ko) 걸림수단이 부설된 고정구
JP2006063756A (ja) 壁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7198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재 결속구
JP2007023708A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及びその取付方法
RU25057U1 (ru) Дюб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