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132B1 -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 Google Patents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132B1
KR101438132B1 KR1020140052506A KR20140052506A KR101438132B1 KR 101438132 B1 KR101438132 B1 KR 101438132B1 KR 1020140052506 A KR1020140052506 A KR 1020140052506A KR 20140052506 A KR20140052506 A KR 20140052506A KR 101438132 B1 KR101438132 B1 KR 10143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bolt
frame member
bracke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권
안종군
Original Assignee
김영권
안종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권, 안종군 filed Critical 김영권
Priority to KR102014005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1918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onnecting nodes having flat radial connecting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Screw connections with axis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06Connection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튼월 공법에 의한 건물이나 구조물을 축조할 때 정형 또는 비정형의 커튼월을 시공하는 데에 적용되는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각형 단면의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둘레면에는 탭호울이 형성된 허브와, 이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커튼월용 외벽 패널을 지지하는 중공의 프레임 부재와, 허브의 둘레면을 향하는 프레임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허브의 탭호울과 일직선을 이루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의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래킷이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이후에 허브의 탭호울에 체결이 되어 프레임 부재를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시키는 볼트와, 프레임 부재가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이 될 때 먼저 볼트에 체결되어 허브의 둘레면과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되 허브의 탭호울 및 브래킷의 볼트 삽입공과 일직선을 이루는 슬롯호울이 형성된 너트와, 상기 볼트가 브래킷 및 너트와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의 슬롯호울을 통해 볼트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브래킷이 프레임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가 허브의 탭호울에 체결되도록 회전 조작되는 조작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Hub structure for constructing curtain wall}
본 발명은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튼월 공법에 의한 건물이나 구조물을 축조할 때 정형 또는 비정형의 커튼월을 시공하는 데에 적용되는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현대적인 건축양식에서는 외부로부터의 비와 바람을 막아주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면서 기둥과 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장용 기능을 갖는 유리 등으로 건물의 외벽면을 시공하는 커튼월(curtain wall) 공법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커튼월은,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더불어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을 건물의 주체 구조인 기둥과 보의 골조만으로 지지하는 구조에서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서,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도 한다. 커튼월용 외벽 패널로는 대표적인 외장재인 유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유리나 열선흡수(熱線吸收) 유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튼월은 특히 고층 또는 초고층 빌딩의 건축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하철역 출입구나 예술적 조형물의 축조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빌딩의 건축에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형상(예를 들면 사각형의 유리창)을 갖는 정형 커튼월을 시공하게 되는 반면, 예술적 조형물 등의 축조에는 설계자의 창작성을 충분히 발휘하여 미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비정형 커튼월을 시공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비정형 커튼월을 축조할 때는 삼각형의 유리 패널을 다양한 각도로 이어붙여 원하는 형상의 조형물을 구현하게 된다.
정형 커튼월을 구축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멀리언(mullion)과 트랜섬(transom) 등의 부재들이 사용되는 한편, 비정형 커튼월의 구축에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소정 길이로 형성된 노드(node)를 중심으로 체결공이 구비된 복수의 브래킷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방사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재(또는 '허브')를 사용하게 된다.
특허문헌 1에 예시된 지지부재를 비롯한 종래의 비정형 커튼월 구축을 위한 허브는 프레임 부재(예를 들면, 파이프 등)를 결합할 때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는데, 이때 프레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체결작업을 하게 된다.
종래의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의 다른 예가 첨부도면 도 1에 예시되어 있는데, 다각형(도면에는 6각형으로 예시됨) 단면을 가진 중앙의 허브(1)를 중심으로 허브(1)의 각 둘레면에는 커튼월용 외벽 패널(예를 들면, 유리)을 지지하는 파이프와 같은 프레임 부재(2)가 슬리브(3)를 매개로 결합이 되어 있다. 즉, 허브(1)의 각 면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탭호울(1a)이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3)에는 탭호울(1a)과 연통되는 볼트 체결공(3a)이 형성되어 있는데, 프레임 부재(2)의 선단부에 슬리브(3)를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한 상태에서 슬리브(3)를 허브(1)의 각 둘레면에 밀착시켜 볼트 체결공(3a)과 탭호울(1a)로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프레임 부재(2)를 허브(1)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프레임 부재(2)에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처럼 허브(1)에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2)에 개구부(2a)가 형성됨으로 인해 우천시 이 개구부(2a)를 통해 프레임 부재(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고이게 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 부재(2)가 부식됨으로써 커튼월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강성이 저해된다. 또한, 프레임 부재(2)를 허브(1)에 결합할 때, 프레임 부재(2)의 개구부(2a)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볼트를 조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9023호(명칭 : 입체 커튼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은 허브에 볼팅 결합되는 파이프와 같은 프레임 부재에 볼트 체결용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데, 우천시 이 개구부를 통해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프레임 부재를 부식시킴으로써 커튼월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강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를 허브에 결합할 때,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볼트를 조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허브에 볼팅 결합되는 프레임 부재에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부식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커튼월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강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허브와 프레임 부재 간의 볼팅 결합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각형 단면의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둘레면에는 탭호울이 형성된 허브와, 이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커튼월용 외벽 패널을 지지하는 중공(中空)의 프레임 부재와, 허브의 둘레면을 향하는 프레임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허브의 탭호울과 일직선을 이루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과, 이 브래킷의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래킷이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이후에 허브의 탭호울에 체결이 되어 프레임 부재를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시키는 볼트와, 프레임 부재가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이 될 때 먼저 볼트에 체결되어 허브의 둘레면과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게 되되 허브의 탭호울 및 브래킷의 볼트 삽입공과 일직선을 이루는 슬롯호울이 형성된 너트와, 상기 볼트가 브래킷 및 너트와 결합된 상태에서 너트의 슬롯호울을 통해 볼트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브래킷이 프레임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가 허브의 탭호울에 체결되도록 회전 조작되는 조작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슬롯호울은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핀은 상기 한 쌍의 슬롯호울의 위치에 대응하여 볼트의 외주면에 한 쌍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전후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전후 한 쌍의 허브의 둘레면들 중 동일 각도 상에 위치한 둘레면 한 쌍에 대하여 프레임 부재 하나가 결합이 되는 방식으로 허브에 프레임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하나의 프레임 부재마다 하나의 브래킷이 결합됨과 아울러 하나의 브래킷에는 전후 한 쌍의 허브의 동일 각도 상에 위치한 둘레면 한 쌍에 구비된 탭호울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이 볼트 삽입공에 볼트가 삽입되면서 너트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조작핀의 회전 조작에 따른 볼트 체결에 의해 프레임 부재를 허브에 쉽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볼트를 조여야 하는 종래의 허브 구조물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은 프레임 부재에 공구 삽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프레임 부재에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부식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커튼월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강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허브에 결합되는 결합수단들의 일부 분해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허브와 프레임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예시된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이하, '허브 구조물'이라 함)은 일정한 형상을 갖는 정형 커튼월을 시공할 때뿐만 아니라 예술적 조형물과 같이 설계자의 창작성을 충분히 발휘하여 미감을 구현하게 되는 비정형 커튼월을 시공할 때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또,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허브에 결합되는 결합수단들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허브와 프레임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구조물을 구성하는 구성물은 중앙의 허브(10)와, 이 허브(10)를 중심으로 허브(10)에 결합되어 커튼월용 외벽 패널(예를 들면, 유리)을 지지하게 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20)와, 이 프레임 부재(20)를 허브(10) 측에 결합시키는 결합수단들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결합수단들은 브래킷(30)과 볼트(40) 및 너트(50)와 조작핀(6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허브(10)는 복수 개의 프레임 부재(20)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프레임 부재(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둘레면(10a)을 갖는 다각형 단면 구조의 입방체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의 허브(10)는 6개의 프레임 부재(20)가 허브(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6개의 둘레면(10a)을 가진 6각형 단면 구조로 예시되어 있다. 또한, 허브(10)는 하나만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도 3과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허브(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또 하나의 허브(10')가 후방 측에 더 구비되어 한 쌍의 허브(10,10')가 본 발명의 허브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한 쌍의 허브(10,10')는 서로 볼트로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에는 각각 탭호울(10b, 1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부재(20)는 허브(10,10')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커튼월용 외벽 패널을 지지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프레임 부재(20) 사이에 대략 삼각형 모양의 유리(커튼월용 외벽 패널 : P)가 별도의 고정부재(M)를 매개로 끼워져 지지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프레임 부재(20)는 파이프와 같은 중공(中空)의 부재로서, 스틸이나 고강도 알루미늄합금 등 커튼월용 외벽 패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프레임 부재(20)에는 종래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의 프레임 부재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필요가 없다.
위와 같은 프레임 부재(20)를 허브(10,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 중 브래킷(30)은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을 향하는 프레임 부재(20)의 선단부에 결합이 된다. 이때 브래킷(30)의 배면부가 프레임 부재(20)의 선단부에 용접에 의해 접합이 되고, 브래킷(30)의 전면부는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을 향하게 된다. 특히, 브래킷(30)에는 마주보고 있는 허브(10,10')의 탭호울(10b,10'b)과 일직선을 이루는 볼트 삽입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 중 볼트(40)는 브래킷(30)의 볼트 삽입공(30a)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래킷(30)이 프레임 부재(20)에 결합(즉, 용접으로 접합)된 이후에 허브(10,10')의 탭호울(10b,10'b)에 체결이 되어 프레임 부재(20)를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에 결합을 시키게 된다. 즉, 볼트(40)는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에 형성된 탭호울(10b,10'b)에 체결이 됨으로써 프레임 부재(20)를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에 결합을 시키게 되는데, 볼트(40)를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에 형성된 탭호울(10b,10'b)에 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 중 너트(50)는 프레임 부재(20)가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에 결합이 되기에 앞서 브래킷(30)의 볼트 삽입공(30a)에 삽입된 볼트(40)에 체결이 됨으로써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과 브래킷(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너트(50)에는 허브(10,10')의 탭호울(10b,10'b) 및 브래킷(30)의 볼트 삽입공(30a)과 일직선을 이루는 슬롯호울(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너트(50)는 기존의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에 구비되는 슬리브의 역할을 겸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 중 나머지 하나인 조작핀(60)은 볼트(40)의 외주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이 된다. 이때 조작핀(60)이 볼트(40)의 외주면에 보다 견고하게 접합이 되도록 볼트(40)의 외주면에는 조작핀(60)이 약간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4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볼트(40)가 브래킷(30)의 볼트 삽입공(30a)에 삽입되면서 너트(50)와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핀(60)이 너트(50)의 슬롯호울(50a)을 통해 볼트(40)의 외주면에 접합이 된다. 따라서, 브래킷(30)의 볼트 삽입공(30a)에 삽입된 볼트(40)가 너트(50)와 결합이 됨과 아울러 너트(50)의 슬롯호울(50a)을 통해 볼트(40)의 외주면에 조작핀(60)이 접합된 상태에서, 브래킷(30)을 프레임 부재(20)의 선단부에 결합한 이후, 볼트(40)를 허브(10,10')의 탭호울(10b,10'b)에 삽입하면서 조작핀(60)을 회전 조작하면 볼트(40)가 허브(10,10')의 탭호울(10b,10'b)에 체결되어 들어감으로써 프레임 부재(20)가 허브(10,10')와 결합이 된다.
한편, 상기 너트(50)의 슬롯호울(50a)은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조작핀(60)은 이들 한 쌍의 슬롯호울(50a)의 위치에 대응하여 볼트(40)의 외주면에 한 쌍이 접합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조작핀(60)이 볼트(40)의 외주면에 좌우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은 하나의 조작핀(60)만이 볼트(4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볼트(40)를 허브(10,10')의 탭호울(10b,10'b)에 체결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결합수단들인 브래킷(30)과 볼트(40) 및 너트(50)와 조작핀(60)을 서로 결합시킨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30)에 구비된 볼트 삽입공(30a)으로 볼트(40)를 삽입한다. 이어서 볼트(40)에 너트(50)를 체결시키고, 너트(50)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호울(50a)을 통해 볼트(40)의 외주면에 조작핀(60)을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시킨다.
이렇게 결합이 완료된 결합수단들을 이용하여 한 쌍의 허브(10,10')에 프레임 부재(20)들을 결합시키는데, 이에 앞서 한 쌍의 허브(10,10')들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볼팅 등에 의해 결합한다.
그리고, 프레임 부재(20)들을 허브(10,10')에 결합할 때는, 전후 한 쌍의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들 중 동일한 각도 상에 위치한 둘레면(10a,10'a) 한 쌍에 대하여 프레임 부재(20) 하나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허브(10,10')에 프레임 부재(20)를 결합한다. 즉, 도 3에 보이는 것처럼 전후 한 쌍의 허브(10,10')로부터 분리 도시된 프레임 부재(20)가 결합수단들을 사이에 두고서 동일한 각도 상에 위치한 둘레면(10a,10'a) 한 쌍과 대향하고 있는데, 이들 둘레면(10a,10'a) 한 쌍에 대하여 프레임 부재(20) 하나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하나의 프레임 부재(20)에는 하나의 브래킷(30)이 결합이 되는데, 하나의 브래킷(30)에는 상기 전후 한 쌍의 허브(10,10')의 동일 각도 상에 위치한 둘레면(10a,10'a) 한 쌍에 구비된 탭호울(10b,10'b)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공(30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볼트 삽입공(30a)에 볼트(40)가 삽입되면서 너트(50)와 체결이 된다.
이처럼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마다 프레임 부재(20)들을 하나씩 결합시키는데, 이때는 앞의 설명과 같이 결합이 완료된 결합수단들을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과 프레임 부재(20) 사이에 배치하되, 브래킷(30)을 프레임 부재(20)의 선단부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먼저 결합한다. 그 다음, 볼트(40)를 허브(10,10')의 탭호울(10b,10'b)에 삽입하면서 조작핀(60)을 회전 조작하면 볼트(40)가 허브(10,10')의 탭호울(10b,10'b)에 체결되어 들어감으로써 프레임 부재(20)가 허브(10,10')와 간단히 결합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허브 구조물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조작핀(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볼트(40)를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에 쉽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를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볼트를 조여야 하는 종래의 허브 구조물에 비해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허브 구조물에서는 프레임 부재(20)에 공구 삽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프레임 부재(20)에 빗물 등의 유입으로 인한 부식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커튼월을 지지하는 구조체의 강성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허브 구조물은 정형 커튼월의 구축과 비정형 커튼월의 구축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데, 도 3에서와 같이 전후 한 쌍의 허브(10,10')에서 둘레면(10a,10'a)의 높이에 차이를 두거나,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과 마주보는 브래킷(30)의 대향면에 경사각을 줌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커튼월용 외벽 패널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의 높이라든가 브래킷(30)의 경사각은, 커튼월 시공 전에 미리 설계 및 가공하여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의 높이라든가 브래킷(30)의 경사각을 비롯하여 허브(10,10')의 둘레면(10a,10'a)의 각도 등에 변화를 줌으로써 정형 또는 비정형의 커튼월을 구축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10' : 허브 10a,10'a : 둘레면
10b,10'b : 탭호울 20 : 프레임 부재
30 : 브래킷 30a : 볼트 삽입공
40 : 볼트 40a : 끼움홈
50 : 너트 50a : 슬롯호울
60 : 핀 M : 고정부재
P : 커튼월용 외벽 패널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다각형 단면의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둘레면에는 탭호울이 형성된 허브; 이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커튼월용 외벽 패널을 지지하는 중공(中空)의 프레임 부재; 상기 허브의 둘레면을 향하는 프레임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허브의 탭호울과 일직선을 이루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 이 브래킷의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이 상기 프레임 부재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허브의 탭호울에 체결이 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를 상기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시키는 볼트; 상기 프레임 부재가 상기 허브의 둘레면에 결합이 될 때 먼저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허브의 둘레면과 상기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허브의 탭호울 및 상기 브래킷의 볼트 삽입공과 일직선을 이루는 슬롯호울이 형성된 너트; 상기 볼트가 상기 브래킷 및 상기 너트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의 슬롯호울을 통해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상기 브래킷이 상기 프레임 부재의 선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가 상기 허브의 탭호울에 체결되도록 회전 조작되는 조작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전후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전후 한 쌍의 허브의 둘레면들 중 동일 각도 상에 위치한 둘레면 한 쌍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 부재 하나가 결합이 되는 방식으로 상기 허브에 상기 프레임 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하나의 프레임 부재마다 하나의 브래킷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하나의 브래킷에는 상기 전후 한 쌍의 허브의 동일 각도 상에 위치한 둘레면 한 쌍에 구비된 탭호울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삽입공에 상기 볼트가 삽입되면서 상기 너트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KR1020140052506A 2014-04-30 2014-04-30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KR10143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506A KR101438132B1 (ko) 2014-04-30 2014-04-30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506A KR101438132B1 (ko) 2014-04-30 2014-04-30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132B1 true KR101438132B1 (ko) 2014-09-12

Family

ID=5175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506A KR101438132B1 (ko) 2014-04-30 2014-04-30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1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8889A (zh) * 2017-07-31 2017-11-10 无锡恒尚装饰工程有限公司 异形曲面幕墙管构件连接节点受力装置
KR102224713B1 (ko) 2020-03-25 2021-03-08 (주)위드웍스에이앤이건축사사무소 비정형 다면체의 그리드 쉘 구조물용 노드 조인트
CN113622515A (zh) * 2021-09-15 2021-11-09 山东建筑大学 一种单层网壳结构用格构式杆件和螺栓连接节点及其施工安装方法
KR102433263B1 (ko) 2022-04-26 2022-08-18 주식회사 위시스테크놀로지 그리드 쉘 구조물의 노드 조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019A (ja) * 1993-02-05 1994-08-16 Tatsumi Tanaka 立体トラスにおける弦材の連結構造
JP2683190B2 (ja) 1992-09-30 1997-11-26 株式会社巴コーポレーション 立体トラスの球継手と杆材との接合方法
JP2005325535A (ja) 2004-05-12 2005-11-24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フレーム材と被連結部材との連結方法
KR101368691B1 (ko) 2013-03-14 2014-03-13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커튼월 용 브래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3190B2 (ja) 1992-09-30 1997-11-26 株式会社巴コーポレーション 立体トラスの球継手と杆材との接合方法
JPH06229019A (ja) * 1993-02-05 1994-08-16 Tatsumi Tanaka 立体トラスにおける弦材の連結構造
JP2005325535A (ja) 2004-05-12 2005-11-24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フレーム材と被連結部材との連結方法
KR101368691B1 (ko) 2013-03-14 2014-03-13 주식회사 쓰리디에스패밀리 커튼월 용 브래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8889A (zh) * 2017-07-31 2017-11-10 无锡恒尚装饰工程有限公司 异形曲面幕墙管构件连接节点受力装置
CN107338889B (zh) * 2017-07-31 2023-04-07 无锡恒尚装饰工程有限公司 异形曲面幕墙管构件连接节点受力装置
KR102224713B1 (ko) 2020-03-25 2021-03-08 (주)위드웍스에이앤이건축사사무소 비정형 다면체의 그리드 쉘 구조물용 노드 조인트
CN113622515A (zh) * 2021-09-15 2021-11-09 山东建筑大学 一种单层网壳结构用格构式杆件和螺栓连接节点及其施工安装方法
KR102433263B1 (ko) 2022-04-26 2022-08-18 주식회사 위시스테크놀로지 그리드 쉘 구조물의 노드 조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132B1 (ko) 커튼월 구축용 허브 구조물
CN209443580U (zh) 一种房建施工用抗震活动板房
JP4628212B2 (ja) 締結具
JP2007239388A (ja) ドーム構築用金具とドーム構築方法
JP2008088784A (ja) プレハブ構造物用フレームおよび連結金具
JP2007321499A (ja) 木造軸組家屋の補強装置
JP2010281192A (ja) 建築用接合金具、固定金具、及び、固定ピン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JP4988631B2 (ja) 屋外構造体
KR20090069399A (ko) 스페이스 프레임 연결구
CN210949436U (zh) 一种装配式饰面挂板系统构件
KR101147999B1 (ko) 입체구조물 시공용 스페이스 트러스
JP2007056594A (ja) 外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936634B2 (ja) テンショントラス構造体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
TWI592547B (zh) Bamboo-style steel construction method
KR20210048144A (ko) 커튼 월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결합구조
JP2007321428A (ja) 横架材と他の構造材との接合構造
WO2016098798A1 (ja) 建物の壁構造
JP2024008920A (ja) フレーム構造体、間仕切り構造およびフレーム構造体施工方法
WO2018020520A1 (en) Modular housing unit structure with prefabricated components
KR200285492Y1 (ko) 다목적 조인트볼 구조
JPH08158480A (ja) 増殖可能な建築物におけるジョイント構造
JP6446405B2 (ja) 金属製腕木
CN206754685U (zh) 三双锥销孔连接件、抗震斜杆组件和抗震吊架
JP2006097449A (ja) ニューアイ.ディ.ア.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