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731B1 -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 Google Patents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731B1
KR102235731B1 KR1020190157353A KR20190157353A KR102235731B1 KR 102235731 B1 KR102235731 B1 KR 102235731B1 KR 1020190157353 A KR1020190157353 A KR 1020190157353A KR 20190157353 A KR20190157353 A KR 20190157353A KR 102235731 B1 KR102235731 B1 KR 10223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seat
height
link arm
sea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731B9 (ko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9015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731B1/ko
Publication of KR10223573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73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절 링크 구동방식의 적용을 통해 시트의 높낮이와 경사각도에 대한 조절을 동시에 구현하며, 시트의 높낮이와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트링크아암이 전방 크로스바아에 대해 직접적으로 틸트 선회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중 부하시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고 시트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트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는 시트레일에 대해 각각 링크아암을 매개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프레임, 상기 사이드프레임 사이를 각각 전후방에서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크로스바아, 및 상기 전방 링크아암에 대해 선회력을 제공하여 상기 시트레일에 대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틸트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틸트 조절장치는 상기 전방 링크아암의 하단부와 상기 시트레일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틸트링크아암, 및 상기 틸트링크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선회력의 제공을 위해 설치되는 틸트기어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틸트링크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틸트기어박스로부터 제공되는 선회력을 전달받는 섹터기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Seat tilting device with adjustable height}
본 발명은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절 링크 구동방식의 적용을 통해 시트의 높낮이와 경사각도에 대한 조절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차실내의 플로워패널에 고정되어 탑승자의 하체부위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시트 쿠션에 대해 경사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시트는 시트의 뼈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플로워패널에 설치되는 시트레일과, 시트레일의 전/후방부위에서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전/후방 링크아암, 및 전/후방 링크아암을 매개로 상부에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쿠션 프레임을 가지는 4절 링크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자동차의 시트는 높낮이의 조절과 경사각도의 조절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링크 구조물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4절 링크의 틸트 구조의 경우에는 링크기구의 작동에 따른 시트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때 시트 백의 각도가 고정되기 때문에 시트 백의 경사각도를 별도로 조절할 필요가 있어 피로감을 저감할 수 있는 자세의 구현에 적합하지 않았고, 특히 시트의 경사각도 조절시 틸트 힌지의 기준 전후에서 작동의 단절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개선한 5절 링크 구조의 시트의 경우에는 경사각도의 조절시 시트 백의 각도가 연동적으로 변화되어 피로감을 저감할 수는 있으나, 틸트량의 증대시 링크아암의 길이 증대로 인해 모터의 장착을 위한 공간이 협소하게 된다.
또한, 후방 충돌시 시트 백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쿠션패널이 상방향으로 들리게 되고, 하중에 의한 모멘트 발생으로 인해 전방 링크아암의 상단과 사이드프레임 사이의 힌지결합부위에서 좌우방향 비틀림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의 높낮이 조절과 경사각도 조절을 위한 장치의 구성에 있어, 하중 부하시 충분한 강성의 확보를 통해 시트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무중력 자세를 위한 밸런스 시트와 같이 탑승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여 무인자율 주행 차량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시트 프레임 구조에 대한 개발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81310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5절 링크 구동방식의 적용을 통해 시트의 높낮이와 경사각도에 대한 조절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트의 높낮이와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트링크아암이 전방 링크아암과 전방 크로스바아를 통해 좌우측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직접적으로 틸트 선회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중 부하시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고 시트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 한쌍의 시트레일에 대해 각각 전후방 링크아암을 매개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좌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를 각각 전후방에서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한쌍의 전후방 크로스바아, 및 상기 전방 링크아암에 대해 선회력을 제공하여 상기 시트레일에 대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틸트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틸트 조절장치는 상기 전방 링크아암의 하단부와 상기 시트레일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기 전방 링크아암의 하단부와는 선회힌지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시트레일과는 틸트힌지지점을 설정하는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 및 상기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선회력의 제공을 위해 설치되는 틸트기어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틸트링크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틸트기어박스로부터 제공되는 선회력을 전달받는 섹터기어부를 갖추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의 틸트힌지지점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동 크로스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틸트링크아암은 상기 전방 링크아암의 하단부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1관통구멍, 및 상기 시트레일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섹터기어부는 제2관통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둘레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틸트기어박스는 상기 섹터기어부의 선회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핀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핀은 일단부가 상기 틸트기어박스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시트레일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틸트링크아암은 상기 가이드핀의 삽입을 위해 상기 제2관통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둘레부위에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후방 링크아암에 대해 선회력을 제공하여 상기 시트레일에 대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이트 조절장치는 상기 좌우 한쌍의 후방 링크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섹터 기어부, 및 상기 섹터 기어부에 치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갖추고서 상기 시트레일에 고정되는 하이트 기어박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는 시트레일과 사이드프레임과 크로스바아 및 쿠션패널 사이에 높낮이 조절 및 경사각도 조절을 위한 5절 링크 구동방식의 링크 연결구조를 적용하여 시트의 높낮이와 경사각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는 시트의 높낮이와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틸트기어박스로부터 선회력을 제공받는 틸트링크아암이 전방 링크아암과 전방 크로스바아를 통해 좌우측 사이드프레임에 대해 직접적으로 틸트 선회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하중 부하시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트의 유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가 적용된 시트의 프레임 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에 대한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에서 틸트 조절장치에 대한 구성만을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틸트 조절장치에 대한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틸트 조절장치에 대한 동작 전후의 상태를 각각 비교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가 적용된 시트 프레임에 대한 정상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가 적용된 시트 프레임에서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가 적용된 시트 프레임에서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가 적용된 시트 프레임에서 경사각도와 높낮이가 모두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 장치를 갖춘 시트의 프레임 구조는 차실내의 플로워패널에 설치되는 시트레일(10), 상기 시트레일(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사이드프레임(20), 상기 시트레일(10)과 사이드프레임(20) 사이를 링크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링크아암(30), 상기 사이드프레임(20)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크로스바아(40),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의 경사각도(Tilt angle) 또는 릴렉세이션 각도(Relaxation angle)의 조절을 위한 틸트링크아암(50)을 포함하는 5절 링크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5절 링크 구조의 시트 프레임에 설치되어, 시트레일(10)에 대한 사이드프레임(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조절장치(60) 및 시트레일(10)에 대한 사이드프레임(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틸트 조절장치(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레일(10)은 차실내에서 플로워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부재로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시트레일(10)은 플로워패널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고정레일, 및 고정레일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 프레임의 저면부를 지지하는 이동레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시트레일(10)은 고정레일에 설치되는 이동레일에 해당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은 좌우 한쌍의 시트레일(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부재로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시트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쿠션패널(미도시)을 하부에서 장착하여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링크아암(30)은 좌우 한쌍의 시트레일(10)과 좌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20)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 한쌍의 부재로서, 양단부가 시트레일(10)과 사이드프레임(20)에 대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크로스바아(40)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20) 사이를 전후방부위에서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전후방 한쌍의 부재로서,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의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은 전방 링크아암(30)의 하단부와 시트레일(10)의 전방부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힌지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시트레일(10)과는 틸트힌지지점(A)을 설정하고 상기 전방 링크아암(30)의 하단부와는 선회힌지지점(B)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이트 조절장치(60)는 시트레일(10)에 대한 사이드프레임(2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후방 링크아암(30)에 대해 선회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이트 조절장치(60)는 상기 시트레일(10)에 고정되고 전동모터를 갖춘 하이트 기어박스(61,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섹터 기어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섹터 기어부(31)는 좌우 한쌍의 후방 링크아암(3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일체로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후방 링크아암(30)은 시트레일(10)의 후단부와 사이드프레임(20)의 후단부에 대해 양단부가 각각 힌지결합되는 부재로서, 좌우 한쌍의 후방 링크아암(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하이트 기어박스(61)의 피니언 기어와의 치결합을 위한 섹터 기어부(31)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하이트 기어박스는 피니언 기어에 대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피니언 기어에 제공하는 감속기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틸트 조절장치(70)는 시트레일(10)에 대해 사이드프레임(20)의 경사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틸트링크아암(50)과 전방 링크아암(30)을 통해 전방 크로스바아(40)에 대해 선회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은 상기 전방 링크아암(30)의 하단부와 상기 시트레일(10)의 전방부 사이에서 양단부가 각각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은 상기 전방 링크아암(30)의 하단부와의 사이에서 선회힌지지점(B)을 설정하면서 상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트레일(10)의 전방부와의 사이에서 틸트힌지지점(A)을 설정하면서 시트레일(10)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의 틸트힌지지점(A)은 시트레일(10)에 대해 직접적인 힌지결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시트레일(10)에 별도로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트(80)와의 힌지결합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도 있는 데,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마운팅브라켓트(80)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간접적인 힌지결합을 통해 틸트링크아암(50)의 후방부가 시트레일(1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시트레일(10)과 마운팅브라켓트(80)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틸트링크아암(50)의 힌지결합 구조는 전후방 링크아암(30)의 전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에서는 이에 대한 구조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틸트 조절장치(70)는 도 3과 도 4, 및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5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선회력의 제공을 위해 설치되는 틸트기어박스(71)를 구비하고, 상기 틸트링크아암(5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틸트기어박스(71)로부터 제공되는 선회력을 전달받는 섹터기어부(53)를 일체로 갖추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틸트기어박스(71)는 전동모터(미도시), 및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섹터기어부(53)와 치결합되는 피니언기어(72)를 갖추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는 상기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50)의 틸트힌지지점(A) 사이를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연동 크로스바아(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연동 크로스바아(90)는 시트의 경사각도 조절시 상기 틸트기어박스(71)로부터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50) 중 어느 하나의 틸트링크아암(50)에 구비되는 섹터기어부(53)로 전달되는 선회력을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틸트링크아암(5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은 상기 전방 링크아암(30)의 하단부와의 힌지결합을 통해 선회힌지지점(B)을 형성하도록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관통구멍(51), 상기 시트레일(10)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트(80)와의 힌지결합을 통해 틸트힌지지점(A)을 형성하도록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관통구멍(52), 및 상기 제2관통구멍(52)의 외측에서 상기 틸트 조절장치(70)의 피니언기어(72)와의 치결합을 위한 섹터기어부(53)를 일체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섹터기어부(53)는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의 제2관통구멍(52)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호상 둘레부위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관통구멍(52)은 상기 연동 크로스바아(9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동 크로스바아(90)의 양단부는 상기 시트레일(10)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트(80)의 제1관통구멍(81)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틸트기어박스(71)는 상기 섹터기어부(53)의 선회를 정위치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핀(73)을 구비하는 바, 상기 가이드핀(73)은 일단부가 상기 틸트기어박스(71)의 하우징에 형성되는 관통구멍(71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시트레일(10)의 마운팅브라켓트(80)의 형성되는 제2관통구멍(8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은 상기 가이드핀(73)에 의한 위치규제를 목적으로 가이드핀(73)을 삽입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이드슬롯(54)을 구비하는 바, 상기 가이드슬롯(54)은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의 제2관통구멍(52)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호상 둘레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레일(10)에 대한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의 경사각도 조절시 선회힌지지점에 대한 선회궤적을 정위치로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마운팅브라켓트(80)는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의 제2관통구멍(52)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틸트힌지지점(A)의 형성을 위해 상기 연동 크로스바아(90)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1관통구멍(81), 상기 틸트기어박스(71)의 가이드핀(73)에 대한 타단부를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제2관통구멍(82), 및 상기 틸트기어박스(71)의 피니언기어(72)를 장착하는 전동모터의 회전축의 자유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3관통구멍(83)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는 시트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경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트 조절장치(70)에 구비되는 틸트기어박스(71)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기어(72)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피니언기어(72)의 회전에 따라 이에 치합된 섹터기어부(53)의 선회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은 틸트힌지지점(A)을 중심으로 전방측 상부를 향해 선회하게 되고,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의 선회에 따라 선회힌지지점(B)을 매개로 연결된 전방 링크아암(30)의 선회에 의해 시트레일(10)로부터 사이드프레임(20)의 전방단부는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피니언기어(7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은 후방에 위치한 틸트힌지지점(A)을 중심으로 전방에 위치한 선회힌지지점(B)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은 후방에 위치한 마운팅브라켓트(80)와의 틸트힌지지점(A)을 매개로 이동이 구속되고 회전만이 허용된 상태이므로, 전방에 위치한 선회힌지지점(B)을 상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어 전방 링크아암(30)의 상방향 거동에 필요한 작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연동 크로스바아(90)는 반대편에 위치한 다른 틸트링크아암(50)에 대해서도 상방향 선회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좌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20)에 대한 경사각도의 조절은 동일한 수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틸트 조절장치(70)의 틸트기어박스(71)의 관통구멍(71a)과 상기 마운팅브라켓트(80)의 제2관통구멍(82) 사이에 양단부가 고정된 상기 가이드핀(73)은,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의 가이드슬롯(54)의 내부로 삽입된 결합을 통해 틸트링크아암(50)에 대한 선회방향 정위치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는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이트 조절장치(60)에 구비되는 하이트 기어박스(61)의 작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의 회전(미도시)이 이루어지고,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후방 링크아암(30)에 형성된 섹터 기어부(31)의 선회가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후방 링크아암(30)의 기립에 의해 전방 링크아암(30)도 함께 기립하게 되므로, 상기 시트레일(10)로부터 사이드프레임(20)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경사각도와 높낮이가 모두 조절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트 조절장치(60)와 틸트 조절장치(7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후방 링크아암(30)의 상방향 선회와 상기 틸트링크아암(50)의 상방향 선회가 모두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사이드프레임(20)은 시트레일(10)에 대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높이가 상승한 상태에서 전방측 부위가 상방향으로 더욱 선회하여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시트레일 20-사이드프레임
30-링크아암 31-섹터 기어부
40-크로스바아 50-틸트링크아암
51-제1관통구멍 52-제2관통구멍
53-섹터기어부 54-가이드슬롯
60-하이트 조절장치 61-하이트 기어박스
70-틸트 조절장치 71-틸트기어박스
72-피니언기어 73-가이드핀
80-마운팅브라켓트 90-연동 크로스바아

Claims (8)

  1. 좌우 한쌍의 시트레일에 대해 각각 전후방 링크아암을 매개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좌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를 각각 전후방에서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한쌍의 전후방 크로스바아; 및
    상기 전방 링크아암에 대해 선회력을 제공하여 상기 시트레일에 대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틸트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틸트 조절장치는
    상기 전방 링크아암의 하단부와 상기 시트레일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기 전방 링크아암의 하단부와는 선회힌지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시트레일과는 틸트힌지지점을 설정하는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 및
    상기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선회력의 제공을 위해 설치되는 틸트기어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틸트링크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틸트기어박스로부터 제공되는 선회력을 전달받는 섹터기어부를 갖추도록 구성되고,
    상기 틸트링크아암은 상기 전방 링크아암의 하단부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1관통구멍, 및 상기 시트레일과의 힌지결합을 위한 제2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섹터기어부는 제2관통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둘레부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틸트링크아암의 틸트힌지지점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동 크로스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기어박스는 상기 섹터기어부의 선회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일단부가 상기 틸트기어박스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시트레일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틸트링크아암은 상기 가이드핀의 삽입을 위해 상기 제2관통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 둘레부위에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링크아암에 대해 선회력을 제공하여 상기 시트레일에 대한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하이트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이트 조절장치는
    상기 좌우 한쌍의 후방 링크아암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섹터 기어부; 및
    상기 섹터 기어부에 치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를 갖추고서 상기 시트레일에 고정되는 하이트 기어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KR1020190157353A 2019-11-29 2019-11-29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KR10223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53A KR102235731B1 (ko) 2019-11-29 2019-11-29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53A KR102235731B1 (ko) 2019-11-29 2019-11-29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731B1 true KR102235731B1 (ko) 2021-04-05
KR102235731B9 KR102235731B9 (ko) 2021-12-07

Family

ID=7546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353A KR102235731B1 (ko) 2019-11-29 2019-11-29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7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8176A (zh) * 2021-10-18 2022-01-25 麦格纳宏立汽车系统集团有限公司 一种高度及倾角可调的舒适座框机构
US11235685B2 (en) * 2018-07-25 2022-02-01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Vehicle seat
WO2023093199A1 (zh) * 2021-11-28 2023-06-01 麦格纳座椅研发(重庆)有限公司 一种高度调节及角度调节一体化的汽车座椅
WO2023201917A1 (zh) * 2022-04-21 2023-10-26 延锋国际汽车技术有限公司 坐垫调节机构及座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620U (ja) * 1992-11-27 1994-06-14 日本発条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のチルト機構
JP2009202844A (ja) * 2008-02-29 2009-09-10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フタ装置
JP2011173496A (ja) * 2010-02-24 2011-09-08 Toyota Boshoku Corp 乗物シート用シート高さ調整装置
JP2017065550A (ja) * 2015-09-30 2017-04-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813105B1 (ko) 2011-09-23 2018-01-02 주식회사 다스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JP7023075B2 (ja) * 2011-12-16 2022-02-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切り替え可能ドレープを用いるシ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620U (ja) * 1992-11-27 1994-06-14 日本発条株式会社 パワーシートのチルト機構
JP2009202844A (ja) * 2008-02-29 2009-09-10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フタ装置
JP2011173496A (ja) * 2010-02-24 2011-09-08 Toyota Boshoku Corp 乗物シート用シート高さ調整装置
KR101813105B1 (ko) 2011-09-23 2018-01-02 주식회사 다스 시트쿠션의 높낮이 및 경사 조절구조가 단일화된 차량시트
JP7023075B2 (ja) * 2011-12-16 2022-02-2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切り替え可能ドレープを用いるシー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7065550A (ja) * 2015-09-30 2017-04-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35685B2 (en) * 2018-07-25 2022-02-01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Vehicle seat
CN113968176A (zh) * 2021-10-18 2022-01-25 麦格纳宏立汽车系统集团有限公司 一种高度及倾角可调的舒适座框机构
WO2023093199A1 (zh) * 2021-11-28 2023-06-01 麦格纳座椅研发(重庆)有限公司 一种高度调节及角度调节一体化的汽车座椅
WO2023201917A1 (zh) * 2022-04-21 2023-10-26 延锋国际汽车技术有限公司 坐垫调节机构及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731B9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731B1 (ko) 하이트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틸트장치
US4435011A (en) Seat with a dual-adjustable armrest
US7374245B2 (en) Vehicular seat
JP6524843B2 (ja) 乗物用シート
US20150091338A1 (en) Conveyance seat
JP5420192B2 (ja) 車両座席
JP2008302921A6 (ja) 車両座席
JP416372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80108955A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KR20090031413A (ko) 조정식 볼스터 조립체
CN112140955A (zh) 可调节的座椅总成
KR101628579B1 (ko) 시트 쿠션의 틸팅 장치
JP6885162B2 (ja) 乗物用シート
CA3038553C (en) Diving cushion for a reversible seat
US6264158B1 (en) Structural support for seat track assembly
JP6398795B2 (ja) 乗物用シート
US4799733A (en) Seat structure having a pivotable backrest and in particular a front seat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KR20210067581A (ko) 시트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
JP2000272395A (ja) 車両用シート
US20180264976A1 (en) Seat back with power shoulder pivot
KR102271851B1 (ko) 시트의 자세조절 장치
JP2003276489A (ja)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構造
KR100506678B1 (ko) 차량용 시트 상하 조절장치의 모터 및 기어박스 지지구조
KR102284665B1 (ko) 자동차의 시트쿠션 경사 조절 장치
JP2001010378A (ja) 車両用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