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727B1 -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727B1
KR102233727B1 KR1020200143184A KR20200143184A KR102233727B1 KR 102233727 B1 KR102233727 B1 KR 102233727B1 KR 1020200143184 A KR1020200143184 A KR 1020200143184A KR 20200143184 A KR20200143184 A KR 20200143184A KR 102233727 B1 KR102233727 B1 KR 10223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rame
contact
dron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덕주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컨트로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컨트로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컨트로맥스
Priority to KR102020014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비행이 가능한 드론에 설치하며, 물품 등이 보관된 다양한 크기의 택배용 박스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Goods transport device for drones}
본 발명은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비행이 가능한 드론에 설치하며, 물품 등이 보관된 다양한 크기의 택배용 박스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 비행이 가능한 비행체로써, 군사적 용도로 개발되었으나 민간분야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민간분야 중 각광받는 분야로 공간상의 제약을 극복하고 신속하게 무인으로 물품을 배송할 수 있는 배송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필요한 기술로 배송되는 물품이 포장된 박스를 안정적으로 드론에 고정되어 운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드론 배송용 물품의 고정수단 및 이를 구비한 드론"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드론(drone)을 이용한 배송시 다수의 동일한 물건을 1회의 비행 중에 여러 곳에 배송하거나 여러가지 물건을 1회의 비행 중에 서로 다른 장소로 원하는 수량으로 배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무선 비행이 가능한 비행유닛인 드론 몸체의 일부에 배송용 물품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모터에 연결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대응하는 랙기어부가 상부에 구성되고, 하부에는 개방된 형태의 수용홈이 형성된 무브먼트; 및 상기 무브먼트와 결합되어 수용홈의 개폐를 결정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드론 배송용 물품의 고정수단 및 이러한 배송용 물품의 고정수단이 프로펠러의 양력을 이용하여 기기를 공중에 띄워주는 공중부양 몸체의 일부에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베이스에 안착된 고정고리가 무브먼트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하여, 배송물품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배송물품케이스에는 측면에서 수평이동을 통해 고정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고정고리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배송물품케이스가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일반적인 포장박스의 운반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규격화된 배송물품케이스 보다 큰 물품을 포장할 수 없고 작음물품을 포장하여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배송물품케이스를 동시에 지지하고 있으나, 포장된 물품의 하중에 의해 배솔뭉품케이스의 홈과 고정부재가 밀착되어 원활한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32660호(2017.04.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이 보관된 배송용 박스를 드론에 고정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송용 박스의 규격에 맞춰 크기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를 통해 박스의 삽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간편한 구조를 통해 편리하게 다양한 박스를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행이 가능한 드론에 결합되어 배송용 박스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의 측면이 밀착되며, 상기 박스의 하부면을 이동 및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베이스의 하부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의 측면이 밀착고정 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단 일측면에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의 측면이 밀착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방향의 외면에 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박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외측면에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면에 밀착 또는 이탈시켜 상기 지지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단 타측면에 결합되어,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의 측면이 내측면에 밀착되며, 외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외측면에 돌출될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수평방향을 따라 체결돌기가 하니 이상 형성된 이동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브라켓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브라켓의 외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측판과, 상기 측판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박스의 전면 또는 후면이 밀착되는 밀착판으로 이루어진 밀착프레임과, 상기 체결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프레임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프레임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양측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박스의 전면과 후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에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밀착프레임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래크기어와, 상기 이동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크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밀착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지지수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동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따르면, 물품이 보관된 배송용 박스를 드론에 고정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수단 및 고정수단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송용 박스의 다양한 규격에 맞춰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박스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수단의 상/하 이동을 통해 박스의 배출 및 고정이 가능한 간편한 구조를 통해 편리하게 다양한 규격의 박스를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6면체의 박스 용이하게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재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부재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에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비행이 가능한 드론에 설치하며, 물품 등이 보관된 다양한 크기의 택배용 박스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비행이 가능한 드론에 장착하여 물품이 포장된 배송용 박스를 고정 및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베이스(10), 지지수단(20) 및 고정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드론(2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밀착되며, 상기 박스(100)의 하부면을 이동 및 지지한다.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밀착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드론(200)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10)에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을 통해 물품이 보관하여 배송이 가능한 상기 박스(10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박스(100)의 측면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박스를 유입 및 이탈 가능하게 측면 및 하단면을 지지한다.
이를 통해 물품이 포장된 상기 박스(100)를 상기 드론(200) 고정한 후, 운반 가능하다.
이러한 각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박스(100)의 규격에 맞춰 둘레가 밀착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드론(200)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지지수단(20) 및 상기 고정수단(30)이 설치될 수 있는 통상적인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어 상기 박스(100)를 이동 및 지지한다.
즉, 상기 지지수단(20)의 하부에서 상기 박스(100)를 삽입한 후 고정하거나, 고정된 박스(100)를 하부로 이탈할 수 있도록 제1수직프레임(21), 지지프레임(22), 구동부(23) 및 고정브라켓(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단 일측면에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은 내측면이 상기 박스(100)에 밀착될 수 있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외측면에는 상기 구동부(23) 및 상기 고정브라켓(24)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2)을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공(21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방향의 외면에 슬라이딩면(22a)이 형성되고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박스(100)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22)은 "ㄴ"형상을 가지며, 수직방향의 상단에는 상기 제1체결공(21a)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22b)이 형성되며, 핀, 키, 축 등을 통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면(22a)은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수직방향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4)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밀착 및 이탈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이 상기 박스(100)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다.
상기 구동부(23)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23)는 볼스크루, 실린더, 리니어모터 등 어느 하나의 구성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여 선행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24)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외측면에서 상기 구동부(23)에 의해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면(22a)에 밀착 또는 이탈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2)을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24)은 상기 구동부(23)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승하강하여 상기 고정브라켓(24)의 접촉 또는 이탈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24)의 하단은 외측을 향해 경사가 형성되어 회동 된 상기 슬라이딩면(22a)과 용이하게 접촉하는 경사면(24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상기 제2체결공(22b)을 중심으로 하향 및 상향 회전하되, 상기 고정브라켓(24)의 하강하여 상기 슬라이딩면(22a)에 밀착될 때, 상기 지지프레임(22)은 상향회전을 통해 상기 박스(100)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브라켓(24)의 상승시 상기 슬라이딩면(22a)과 이탈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2)이 하향회전하여 상기 박스(100)가 이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24)은 상기 경사면(24a)을 통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면(22a)에 외측면에 용이하게 밀착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단 타측면에서 상기 박스(1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수직프레임(31), 이동브라켓(32), 제1고정부재(33), 밀착프레임(34) 및 제2고정부재(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단 타측면에 결합되어,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내측면에 밀착되며, 외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3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밀착되어 지지한다.
이때,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1a)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브라켓(32)이 상하 위치 이동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브라켓(32)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의 상기 가이드레일(31a)을 따라 이동하며, 외측면에 돌출될 걸림돌기(32a)와 상기 걸림돌기(32a)의 수평방향을 따라 체결돌기(32b)가 하니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브라켓(32)은 상기 가이드레일(31a)에 삽입된 후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32a) 및 상기 체결돌기(32b)는 수평으로 배치된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프레임(34)을 이동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배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32a)는 상기 이동브라켓(32)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돌기(32b)는 상기 이동브라켓(32)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부재(33)는 상기 가이드레일(31a)을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브라켓(32)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의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3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브라켓(32)의 측면에는 상기 관통공(32a)에 대응하는 체결공(32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재(33)는 상기 관통공(32a)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32c)에 결합시켜 상기 이동브라켓(32)이 상기 가이드레일(31a)을 따라 이동 후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이동브라켓(32)의 외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걸림돌기(32a)와 상기 체결돌기(32b)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4c)이 형성된 측판(34a)과, 상기 측판(34a)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박스(100)의 전면 또는 후면이 밀착되는 밀착판(34b)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측판(34a)과 상기 밀착판(34b)은 "ㄴ"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측판(34a)은 상기 이동브라켓(32)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판(34b)은 상기 박스(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34c)에 상기 걸림돌기(32a) 및 상기 체결돌기(32b)가 삽입되되, 상기 걸림돌기(32a)는 상기 밀착판(34b)이 형성된 반대쪽에 위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측판(34a)은 상기 가이드홈(34c)에 삽입된 상기 걸림돌기(32a) 및 상기 체결돌기(32b)에 의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걸림돌기(32a)가 상기 가이드홈(34c)의 끝단에 접촉되어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의 양측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32)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박스(100)의 전면과 후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밀착프레임(34)의 상기 밀착판(34b)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의 양측을 향하며, 상기 이동브라켓(32)의 수직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박스(10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은 상기 박스(100)의 일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은 상기 박스(100)의 타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박스(10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지지하여, 상기 박스(100)의 4면의 측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2)을 통해 상기 박스(100)의 하단면을 지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박스(100)는 상부면을 제외한 5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35)는 상기 체결돌기(32b)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프레임(34)을 고정한다.
이러한 상기 제2고정부재(35)는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상기 체결돌기(32b)에 체결되어 위치이동이 완료된 상기 밀착프레임(34)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브라켓(3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밀착프레임(34)을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래크기어(36) 및 파지부재(4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래크기어(36)는 상기 밀착프레임(3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32)에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밀착프레임(34)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이동브라켓(3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전면 및 후면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부에 위치한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래크기어(36)가 하단면에 위치하고, 하부에 위치한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레크기어가 상단면에 위치한다.
상기 파지부재(40)는 상기 이동브라켓(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크기어(36)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41)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밀착프레임(34)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재(40)는 상기 밀착프레임(34)과 상기 밀착프레임(34)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피니언기어(41)가 상기 래크기어(36)와 맞물리도록 상기 이동브라켓(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파지부재(40)를 파지한 후, 회전시 상기 피니언기어(41)와 맞물린 상기 래크기어(36)가 수평방향이동을 통해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밀착프레임(34)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파지부재(40)를 중심으로 양측이 동일한 하게 이동하여 상기 박스가 상기 제2수직프레임(31) 중앙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레일(5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동부(50)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의 양측단이 이동가능하게 안착되어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 사이에 유입된 상기 박스(100)의 크기에 맞춰 위치를 이동하여 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5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이 상기 이동레일(51)을 향해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51)을 따라 이동한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을 나비볼트 등의 구성을 통해 체결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부(50)를 통해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박스(100)의 크기에 맞춰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박스(100)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밀착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10)를 상기 드론(200)의 하부면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하면 일측에 상기 지지수단(20) 위치하고, 타측에는 고정수단(30)이 위치하도록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이동부(50)를 통해 상기 베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30)의 양측으로 배치된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위치를 조작하거나, 상기 파지부재(40)를 통해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밀착프레임(34)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드론(200)에 상기 베이스(10), 상기 지지수단(20) 및 상기 고정수단(30)이 결합되어 상기 박스(100)를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23)를 작동시켜 상기 고정브라켓(24)을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상단으로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면(22a)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면(22a)에서 상기 고정브라켓(24)이 이탈되면,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상기 제2체결공(22b)을 중심으로 하부를 향해 회전하여 상기 박스(100)가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 사이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렇게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박스(100)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3)를 작동시켜 상기 고정브라켓(24)을 하강하면서 상기 슬라이딩면(22a)에 밀착되면, 상기 지지프레임(22)의 상기 제2체결공(22b)을 중심으로 상부를 향해 회전하여 상기 박스(100)의 하단을 지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박스(100)는 상기 지지수단(20)을 통해 일측면과 하단면에 밀착 지지되고, 상기 고정수단(30)에 의해 타측면, 전면 및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박스(100)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밀착되어 지지한다.
이렇게 상기 박스(100)가 고정된 상기 드론(200)은 통해 운반한 후, 상기 고정브라켓(24)을 상승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2)의 하부를 개방하여 박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품이 보관된 상기 박스(100)를 상기 드론(200)을 통해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스(100)의 규격에 맞춰 상기 지지수단(20) 및 상기 고정수단(30)을 위치를 상기 박스(100)의 규격에 맞춰 조절한다.
즉,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박스(100)의 폭에 맞춰 상기 이동브라켓(32)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나.
이때,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제2고정부재(35)와 상기 파지부재(40)를 통해 위치이동 및 고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착프레임(34)과 상기 밀착프레임(34)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박스(100)의 전면과 후면에 용이하게 밀착시켜 상기 박스(100)의 전면과 후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박스(100)의 폭에 맞춰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이동부(50)의 상기 이동레일(51)을 따라 이동하여 조절한다.
따라서 물품이 포장된 상기 박스(100)의 규격에 맞춰 상기 지지수단(20)과 상기 고정수단(30)의 간격과, 상기 밀착프레임(3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의 상기 박스(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6면체의 상기 박스(100)의 규격에 맞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다양한 상기 박스(100)를 상기 드론(200)을 통해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은 간편한 구성을 통해 무게를 최소화 하며, 견고하게 상기 박스(1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베이스
20: 지지수단 21: 제1수직프레임 21a: 제1체결공
22: 지지프레임 22a: 슬라이딩면
22b: 제2체결공 23: 구동부
24: 고정브라켓 24a: 경사면
30: 고정수단 31: 제2수직프레임 31a: 가이드레일
31b: 관통공 32: 이동브라켓
32a: 걸림돌기 32b: 체결돌기
32c: 체결공 33: 제1고정부재
34: 밀착프레임 34a: 측판
34b: 밀착판 34c: 가이드홈
35: 제2고정부재 36: 래크기어
40: 파지부재 41: 피니언기어
50: 이동부 51: 이동레일
100: 박스
200: 드론

Claims (6)

  1. 비행이 가능한 드론에 결합되어 배송용 박스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론(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하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밀착되며, 상기 박스(100)의 하부면을 이동 및 지지하는 지지수단(20);
    상기 베이스(10)의 하부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밀착고정 하는 고정수단(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단 일측면에 결합되며,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밀착되는 제1수직프레임(21)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방향의 외면에 슬라이딩면(22a)이 형성되고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박스(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23)와,
    상기 제1수직프레임(21)의 외측면에서 상기 구동부(23)에 의해 상하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면(22a)에 밀착 또는 이탈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2)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단 타측면에 결합되어,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스(100)의 측면이 내측면에 밀착되며, 외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31a)이 형성된 제2수직프레임(31)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의 상기 가이드레일(31a)을 따라 이동하며, 외측면에 돌출될 걸림돌기(32a)와 상기 걸림돌기(32a)의 수평방향을 따라 체결돌기(32b)가 하니 이상 형성된 이동브라켓(32)과,
    상기 가이드레일(31a)을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브라켓(32)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33)와,
    상기 이동브라켓(32)의 외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걸림돌기(32a)와 상기 체결돌기(32b)가 삽입되는 가이드홈(34c)이 형성된 측판(34a)과, 상기 측판(34a)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상기 박스(100)의 전면 또는 후면이 밀착되는 밀착판(34b)으로 이루어진 밀착프레임(34)과,
    상기 체결돌기(32b)에 결합되어 상기 밀착프레임(34)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3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프레임(34)은 상기 제2수직프레임(31)의 양측을 향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32)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박스(100)의 전면과 후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프레임(3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브라켓(32)에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밀착프레임(34) 상단면 및 하단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래크기어(36)와,
    상기 이동브라켓(3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크기어(36)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41)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밀착프레임(34)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부재(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단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수단(20) 및 상기 고정수단(3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레일(5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수단(30)과 상기 지지수단(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동부(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KR1020200143184A 2020-10-30 2020-10-30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KR10223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84A KR102233727B1 (ko) 2020-10-30 2020-10-30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84A KR102233727B1 (ko) 2020-10-30 2020-10-30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727B1 true KR102233727B1 (ko) 2021-03-30

Family

ID=7526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184A KR102233727B1 (ko) 2020-10-30 2020-10-30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7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913A1 (ko) * 2022-11-09 2024-05-16 주식회사 나우로보틱스 물류 로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60B1 (ko) 2015-11-16 2017-05-24 다이텍연구원 드론 배송용 물품의 고정수단 및 이를 구비한 드론
JP2018529571A (ja) * 2015-09-23 2018-10-11 ウォルマート アポロ,エルエルシー 携帯型無人配送航空機発射システム及び航空機発射システムを利用して製品を配送する方法
KR102018845B1 (ko) * 2019-06-04 2019-09-05 주식회사 이노컨 탈부착 기능을 갖는 드론의 물품 탑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9571A (ja) * 2015-09-23 2018-10-11 ウォルマート アポロ,エルエルシー 携帯型無人配送航空機発射システム及び航空機発射システムを利用して製品を配送する方法
KR101732660B1 (ko) 2015-11-16 2017-05-24 다이텍연구원 드론 배송용 물품의 고정수단 및 이를 구비한 드론
KR102018845B1 (ko) * 2019-06-04 2019-09-05 주식회사 이노컨 탈부착 기능을 갖는 드론의 물품 탑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913A1 (ko) * 2022-11-09 2024-05-16 주식회사 나우로보틱스 물류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1810A1 (en) Self-service parcel cabinet
KR102233727B1 (ko) 드론용 물품 운반장치
US20140367220A1 (en) Cargo container comprising a storage rack module and a transport module
US9469403B2 (en) Monument for an aircraft comprising a lift apparatus
KR100858654B1 (ko) 제품 케이싱 시스템
JP2001122439A (ja) 容器の段積み装置
KR101082323B1 (ko) 포장박스용 로드 포머
WO2013136370A1 (ja) 容器充填装置
WO2020024841A1 (zh) 货物管理装置
JP2004155569A (ja) 板状体の取り扱い設備
JP6528205B2 (ja) 除水装置
KR101964672B1 (ko) 기판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이동 시스템
KR102441807B1 (ko) 대량 이송을 위한 적재물 하역 매니퓰레이터
US20120234852A1 (en) Automate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JP7401060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0702402B1 (ko) 반송 시스템
US3534525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JP7384132B2 (ja) 物品収容装置
US20240124226A1 (en) Storage arrangement
JPH04112108A (ja) ケース取出し装置
US11597133B2 (en) Molded article extracting device
KR20200101280A (ko) 물품 보관 설비
KR102227859B1 (ko) 스토커
JP289620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及び搬出装置
JPS58203802A (ja) 箱詰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