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795B1 -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795B1
KR102230795B1 KR1020190039103A KR20190039103A KR102230795B1 KR 102230795 B1 KR102230795 B1 KR 102230795B1 KR 1020190039103 A KR1020190039103 A KR 1020190039103A KR 20190039103 A KR20190039103 A KR 20190039103A KR 102230795 B1 KR102230795 B1 KR 10223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otrusion
hole
vehicle do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250A (ko
Inventor
최정우
이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
Priority to KR102019003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795B1/ko
Priority to EP20784465.5A priority patent/EP3950393A4/en
Priority to PCT/KR2020/004519 priority patent/WO2020204629A2/ko
Priority to US17/422,634 priority patent/US11919375B2/en
Priority to CN202090000351.1U priority patent/CN216033656U/zh
Publication of KR2020011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구멍을 가진 제1부재와, 상기 제1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구멍을 가지는 제2부재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고 최종 결합위치로 회전시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해서 결합하기 위한 크로스바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크로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로서, 임시결합위치에서 상기 샤프트를 제1부재에 걸리도록 하기 위한 후크부를 구비한 샤프트;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및 상기 제2부재의 제2구멍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샤프트에는, 최종결합위치에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밀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Coupling apparatus for car door}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어의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견고하면서도 기밀성이 있게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 조립공정은 조립라인의 축소, 작업성개선 등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단위부품을 집합하여 조립하는 모듈화의 추세가 증가되고 있고, 상기 추세에 따라 도어도 모듈화된 패널에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도어 래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등을 집합하여 조립한 후 도어 인너 패널에 결합하고 있다.
종래의 도어 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의 도어 패널(1)을 도어 아웃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2)의 양측면과 하단을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게 결합하며, 도어 모듈화 패널(3)에는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4)의 레귤레이터 모터(5)를 외면에, 레귤레이터 채널(미도시)은 내면에 결합하고, 모듈화 패널(3)의 상방 외면에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6)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6)에 케이블(6')의 일단을 연결한 후 케이블(6')의 타단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도어 래치(7)를 연결하고, 기타 필요한 케이블을 설치하여서, 상기 모듈화 패널(3)을 도어 인너 패널(2)에 근접시키면서 레귤레이터 채널과 도어 래치(7)를 도어 패널(1)에 형성한 공동에 삽입한 후 도어 모듈화 패널(3)을 도어 인너 패널(2)에 적어도 4개소 이상에서 볼트(8)로 결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듈화 패널(3)을 도어 인너 패널(2)에 볼트(8)로 결합할 때 도어 패널(1)은 통상적으로 지그(Jig)등의 지지수단에 의하여 수직을 유지하고 이동하면서 도어 인너 패널(2)에 모듈화 패널(3)을 결합하는 것임으로 볼트(8)와 그 체결공을 신속하게 일치시키기 위하여 가조립수단을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 가조립수단은 도어 모듈화 패널(3)의 양측면에 지지핀(9)(9')을 고정하고, 도어 인너 패널(2)의 상기 지지핀(9)(9') 대응위치에 지지공(10)을 형성하여서 지지핀(9)(9')을 지지공(10)에 삽입한 후 볼트(8)를 체결결합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체결결합 공정은 임시고정을 위한 지지핀(9)(9')을 볼트(8)과 별도로 마련해야 하고, 지지핀을 임시고정한 후에 볼트를 별도로 체결결합해야 하는 등 그 공정자체가 매우 불편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임시고정을 위한 지지핀(9)(9) 및 볼트(8)를 조립하는 현장에서 직접 각 구멍 내에 끼워넣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은 좁고 협소하여 정확한 위치에 지지핀 및 볼트를 정확하게 끼워넣는 것이 쉽지 않게 되어 작업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형편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158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듈화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을 서로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기밀성을 유지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는, 걸림돌기가 내측에 마련된 제1구멍을 가진 제1부재와, 상기 제1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구멍을 가진 제2부재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및 제2부재의 제2구멍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샤프트가 최종 결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고정결합하기 위한 크로스바; 및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가 임시결합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하방향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부재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임시결합위치에서 크로스바의 배면이 제2부재로부터 적어도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유지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을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수직홈부와, 상기 수직홈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평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홈부에는 임시결합위치에서 제1구멍의 걸림돌기가 수평홈부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위치유지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위치유지돌기는 상기 수직홈부와 상기 수평홈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수직홈부의 입구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직홈부에 삽입된 걸림돌기는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의하여 이탈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위치유지돌기 사이에서 상하이동하면서 임시결합위치에서 샤프트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수평홈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평홈부에서 일정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샤프트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샤프트의 걸림부에서 상기 제1부재와 마주보는 배면에는, 걸림부가 제1부재와 접촉하였을 때 수밀성 확보를 위한 실링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서,
상기 샤프트의 걸림부에는 최종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는, 도어 모듈화 패널에 임시적으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 인너 패널에 간편하게 끼워고정함으로서 도어 모듈화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결합장치는, 크로스바가 모듈화 패널의 배면에서 일부 돌출되어 있어서 도어 인너 패널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크로스바가 큰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의 수직홈부와 수평홈부 사이에 위치유지돌기를 마련함으로서 충분한 깊이까지 샤프트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샤프트의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결합위치에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을 마련함으로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림부에서 도어 모듈화 패널과 마주보는 면에 실링재를 설치함으로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의 일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을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를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임시결합위치에서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8을 도 7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Ⅸ-Ⅸ 단면도.
도 10은 도 7에서 샤프트를 하강시킨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은 도 10의 ⅩⅡ-ⅩⅡ 단면도.
도 13은 샤프트를 제2부재를 관통시켜 크로스바가 제2부재로부터 돌출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은 도 13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5는 도 10의 ⅩⅤ-ⅩⅤ 단면도.
도 16은 최종결합위치에서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8은 도 16의 ⅩⅧ-ⅩⅧ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는, 제1구멍(501)을 가진 제1부재(500)와, 상기 제1구멍(50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구멍(601)을 가지는 제2부재(600)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부재(500)는, 제1구멍(501)을 가지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 모듈 판넬에 해당한다. 상기 도어 모듈 판넬에는 자동차의 도어에 필요한 전장품이 모듈화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윈도우 레귤레이터, 스피커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도어 모듈 판넬에 소정의 전장품이 설치된 후에 도어의 인너판넬에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제1부재(50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00)가 관통하는 제1구멍(5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구멍(501)은 장공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내면에는 걸림돌기(502)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상기 걸림돌기(502)는 샤프트(200)의 수직홈과 수평홈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제1부재(500)의 배면 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구멍(501)의 주변부에는 샤프트(200)의 걸림부(300)에 마련된 풀림방지수단(320)이 끼워걸릴 수 있는 풀림방지홈(503)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샤프트(200)가 최종결합위치(도 16 내지 도 18의 위치)까지 회전된 후에 상기 걸림부(300)의 풀림방지수단(320)이 풀림방지홈(503)에 끼워걸림으로서 최종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부재(600)는 도어의 인너판넬로서, 제1부재(500)의 제1구멍(501)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제2구멍(601)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제2구멍(601)은 장공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략 크로스바(4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에는, 샤프트(200), 걸림부(300), 크로스바(400)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200)는 상기 제1부재(500)의 제1구멍(501) 및 제2부재(600)의 제2구멍(601)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형상의 구성이다. 이러한 샤프트(200)의 상단에는 걸림부(300)가 마련되고 하단에는 크로스바(400)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00)에는 위치유지수단(210)이 마련된다. 이러한 위치유지수단(210)은 상기 샤프트(200)가 임시결합위치(도 4 내지 도 12의 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50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하방향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부재(500)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임시결합위치에서 크로스바(400)의 배면이 제2부재(600)로부터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유지수단(210)은, 상기 샤프트(200)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200)의 타단에서 상기 샤프트(200)의 일단을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돌기(502)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수직홈부(211)와, 상기 수직홈부(211)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200)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평홈부(212)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홈부(211)에는 임시결합위치에서 제1구멍(501)의 걸림돌기(502)가 수평홈부(212)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위치유지돌기(213)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유지돌기(213)는 수직홈부(211)와, 상기 수평홈부(212)를 연결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홈부(211)의 상단 입구에는 이탈방지돌기(214)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직홈부(211)에 삽입된 걸림돌기(502)는 상기 이탈방지돌기(214)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걸림돌기(502)는 상기 이탈방지돌기(214)와 상기 위치유지수단(210) 사이에서 상하이동하면서 임시결합위치에서 샤프트(200)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샤프트(200)가 제1부재(500)의 제1구멍(501) 내에 진입되면 제1부재(500)의 걸림돌기(502)가 상기 이탈방지돌기(214)를 통과하면서 수직홈부(211) 내에 삽입된다. 이때 수직홈부(211)는 상기 걸림돌기(502)가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서 샤프트(200)가 제1부재(500)에 대해서 상대회전하도록 유도한다. 즉, 수직홈부(211)는 걸림돌기(502)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수직홈부(211)에 진입한 걸림돌기(502)는 위치유지돌기(213)까지 진입될 수 있으며 임시결합위치에서 걸림돌기(502)는 이탈방지돌기(214)와 위치유지돌기(213)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샤프트(200)는 임시결합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이동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임시결합위치에서 작업자가 제1부재(500)의 배면 측에 제2부재(600)를 배치시키는 과정에서 샤프트(200)에 마련된 크로스바(400)가 간섭하는 것이 최소화된다. 특히, 임시결합위치에서 샤프트(200)의 크로스바(400)는 제1부재(500)의 배면에서 3 ~ 6.5mm 정도만큼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제1부재(500)가 제2부재(6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방해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상기 수평홈부(212)에는, 샤프트(20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돌기(215)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평홈부(212)에 진입된 후에 샤프트(200)에 일정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샤프트(200)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직홈부(211)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억제된 걸림돌기(502)는 수직홈부(211)에서 수직으로 하강하여 수평홈부(212)에 진입한 후에 바로 회전이 가능해지는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은 샤프트(200) 회전에 의하여 제2부재(600)가 제1부재(500)에 고정되는 일이 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억제돌기(21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회전억제돌기(215)를 넘어설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샤프트(200)는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이 억제된다.
상기 걸림부(300)는, 상기 샤프트(20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부재(5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2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걸림부(300)는 원판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하면이 최종결합위치에서 제1부재(500)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부재(5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300)의 하면이 제1부재(500)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서 상기 제1부재(5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부(300)에서 상기 제1부재(500)와 마주보는 배면에는 걸림부(300)가 제1부재(500)와 접촉하였을 때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링재(310)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실링재(310)는 링형상을 가진 고무재질로서, 제1부재(500)의 제1구멍(501) 주변부를 수밀성이 있도록 실링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300)에는 최종결합위치로 샤프트(200)가 회전하였을 때 풀림을 방지하기 풀림방지수단(32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풀림방지수단(320)은 걸림부(300)의 배면에서 돌출된 돌기로서, 상기 제1부재(500)의 풀림방지홈(503)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샤프트(200)가 최종결하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풀림방지수단(320)이 제1부재(500)의 풀림방지홈(50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샤프트(200)가 최종결합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로스바(400)는, 상기 샤프트(200)의 타측에 마련되며 샤프트(200)가 최종 결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부재(6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부재(600)를 상기 제1부재(500)에 대하여 고정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크로스바(400)는, 샤프트(200)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바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크로스바(400)의 상면에는 상기 샤프트(200)가 일방향으로 회전시 제1부재(500)와 제2부재(600)의 간격을 좁히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41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즉, 샤프트(200)가 회전하는 경우 경사면(410)을 따라서 제1부재(500)와 제2부재(600)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크로스바(400)의 두께가 증가되도록 경사면(41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크로스바(400)는 임시결합위치에서 제2부재(600)와 마주보는 제1부재(500)의 배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제2부재(600)를 제1부재(500)의 배면에 접촉하면서 결합시킬 때 크로스바(400)가 제2부재(600)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10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9는 샤프트(200)가 제1부재(500)에 임시적으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어 모듈에 필요한 전장품(미도시)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 측으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샤프트(200)를 제1부재(500)에 장착설치하게 되면 도어 측에 제1부재(5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체결수단(볼트 등)이 필요없게 된다.
이러한 임시체결상태에서는, 제2부재(600) 측에 지지되는 크로스바(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500)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일단이 3mm 정도만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1부재(500)를 제2부재(600) 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샤프트(200)가 별도의 방해물로서 기능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약간 돌출된 상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부재(5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부재(500)에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부재(500)의 배면에서 3mm 돌출된 크로스바(400)는 제2부재(6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방해물로 작용하지 않으면서도 위치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임시결합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샤프트(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최종위치로 체결을 위한 전단계로서 샤프트(200)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이다. 도 7과 대비하여 도 10의 샤프트(200)는 제1부재(500)의 상단에서 아래로 하강하였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502)는 여전히 수직홈부(211) 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위치유지돌기(213) 전까지 하강하여 있게 된다. 이때 샤프트(200)의 크로스바(400)는 6.5mm 정도까지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샤프트(200)는 크로스바(400)가 제2부재(600)의 배면에서 3mm ~ 6.5mm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200)는 제1부재(500)의 걸림돌기(502)가 수직홈부(211) 내에 존재하고 있어서 샤프트(200)의 상하방향 이동만 가능하게 하고, 샤프트(200)의 회전은 억제한 상태를 이루고 있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제2부재(600)의 제2구멍(601) 내에 크로스바(400)를 끼워넣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크로스바(400)가 돌출된 상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2부재(600)의 제2구멍(601)과 크로스바(400)의 위치정렬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즉, 크로스바(400)가 제1부재(500) 내에 유지된 상태이면서 제1부재(500)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크로스바(400)와 제2부재(600)의 제2구멍(601)의 위치정렬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 제2부재(600)는 제1부재(500)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제1부재(500)의 제1구멍(501)과 제2부재(600)의 제2구멍(601)은 서로 위치가 정렬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크로스바(4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최종결합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8에서는 최종결합위치에서의 모습을 나타낸다. 샤프트(200)를 90° 이상 회전시키면 걸림부(300)는 제1부재(500)를 지지하고, 크로스바(400)의 상면이 제2부재(600)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제1부재(500)와 제2부재(600)를 서로 클램핑 결합시키게 된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500)는 걸림부(300)가 제1부재(500)를 지지하고, 제2부재(600)는 크로스바(40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제1부재(500)와 제2부재(600)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에는 풀림방지수단(320)이 풀리방지샤프트(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어 제1부재(500)와 제2부재(600) 간의 클램핑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300)의 실링재(310)는 제1부재(500)와 표면과 접촉되어 밀착되어 있음에 따라서 제1부재(500)와 걸림부(300) 사이에 물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서 도어 내부 공간을 확실하게 수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는, 도어 모듈화 패널에 임시결합임시적으로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 인너 패널에 간편하게 끼워고정함으로서 도어 모듈화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을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결합장치는, 샤프트에 실링재를 마련함으로서, 샤프트와 도어 모듈화 패널 사이의 틈새를 확실하게 기밀처리함으로서 도어 내부에 수밀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시결합위치에서 크로스바는 3 ~ 6.5 mm 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서 도어 인터 패널을 도어 모듈화 패널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방해요소로 작용하지 않게 된다.
또한, 임시결합위치에서는 걸림돌기가 수직홈부 내에서 상하방향으로만 가이드됨으로서 샤프트가 회전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서, 수직홈부가 없는 경우에는 일부만 삽입된 상태에서도 회전할 수 있어서 충분하게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헛도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홈부에 회전억제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평홈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의도되지 않은 샤프트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전체결위치에서 풀림방지수단이 풀림홈에 걸리게 함으로서 완전 체결후에 풀리는 것(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200...샤프트
210...위치유지수단 211...수직홈부
212...수평홈부 213...위치유지돌기
214...이탈방지돌기 215...회전억제돌기
300...걸림부 310...실링재
320...풀림방지수단 400...크로스바
410...경사면 500...제1부재
501...제1구멍 502...걸림돌기
503...풀림방지홈 600...제2부재
601...제2구멍

Claims (7)

  1. 걸림돌기가 내측에 마련된 제1구멍을 가진 제1부재와, 상기 제1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구멍을 가진 제2부재를 서로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제1구멍 및 제2부재의 제2구멍에 끼워져서 회전가능하게 통과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마련되며 샤프트가 최종 결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상기 제2부재를 지지하면서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고정결합하기 위한 크로스바; 및
    상기 샤프트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가 임시결합위치에서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상하방향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1부재에 임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임시결합위치에서 크로스바의 배면이 제2부재로부터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유지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상기 샤프트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을 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수직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홈부에는 임시결합위치에서 제1구멍의 걸림돌기가 수직홈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는 위치유지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상기 수직홈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샤프트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평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유지돌기는 수직홈부에서 수평홈부로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유지돌기는 상기 수직홈부와 상기 수평홈부를 연결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홈부의 입구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직홈부에 삽입된 걸림돌기는 상기 이탈방지돌기에 의하여 이탈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위치유지돌기 사이에서 상하이동하면서 임시결합위치에서 샤프트의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홈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돌기가 마련되어 있어서, 수평홈부에서 일정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샤프트의 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걸림부에서 상기 제1부재와 마주보는 배면에는, 걸림부가 제1부재와 접촉하였을 때 수밀성 확보를 위한 실링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걸림부에는 최종결합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1020190039103A 2019-04-03 2019-04-03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10223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03A KR102230795B1 (ko) 2019-04-03 2019-04-03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EP20784465.5A EP3950393A4 (en) 2019-04-03 2020-04-02 VEHICLE DOOR COUPLING DEVICE
PCT/KR2020/004519 WO2020204629A2 (ko) 2019-04-03 2020-04-02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US17/422,634 US11919375B2 (en) 2019-04-03 2020-04-02 Vehicle door coupling device
CN202090000351.1U CN216033656U (zh) 2019-04-03 2020-04-02 车门联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03A KR102230795B1 (ko) 2019-04-03 2019-04-03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50A KR20200117250A (ko) 2020-10-14
KR102230795B1 true KR102230795B1 (ko) 2021-03-22

Family

ID=7266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103A KR102230795B1 (ko) 2019-04-03 2019-04-03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19375B2 (ko)
EP (1) EP3950393A4 (ko)
KR (1) KR102230795B1 (ko)
CN (1) CN216033656U (ko)
WO (1) WO2020204629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232Y1 (ko) 1997-06-30 2000-03-02 김태구 유동방지 기능을 갖는 카울 고정용 클립
KR101964413B1 (ko) * 2017-12-27 2019-04-01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8156A (en) * 1955-04-08 1958-10-28 United Carr Fastener Corp Sealing bushing for a fastening device
US2922211A (en) * 1955-10-04 1960-01-26 Illinois Tool Works Quick fastener unit
US4911726A (en) * 1988-09-13 1990-03-27 Rexnord Holdings Inc. Fastener/retaining ring assembly
US5399053A (en) * 1993-04-27 1995-03-21 Avibank Mfg., Inc. Quick action panel fastener assembly including a cup enclosed retainer receiving a bolt therein
US6860689B1 (en) * 2001-05-02 2005-03-01 Pilgrim Screw Corporation Fastening assemblies and components thereof
KR100460466B1 (ko) * 2002-06-25 2004-12-14 (주)파크랜드 트레일러 적재용 컨테이너의 자동 록킹장치
KR20060015895A (ko) 2004-08-16 2006-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모듈 결합구조
US20130076019A1 (en) 2010-06-30 2013-03-28 Terumo Kabushiki Kaish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WM449183U (zh) * 2012-10-11 2013-03-21 Hanwit Prec Ind Ltd 板對板快速定位裝置
JP6216210B2 (ja) * 2013-10-25 2017-10-18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スコネクタ
US10266994B2 (en) * 2015-09-10 2019-04-23 Newpark Mats & Integrated Servic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components of a support surface
FR3058484B1 (fr) * 2016-11-08 2020-01-24 Illinois Tool Works Inc Dispositif et procede de fixation d'au moins deux elements, tels qu'un module de porte et une structure de porte d'un vehicule automobile
US10968938B2 (en) * 2017-11-03 2021-04-06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 with enhanced mounting process
TWI761062B (zh) * 2021-02-03 2022-04-11 伍鐌科技股份有限公司 扣件結構及其組裝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232Y1 (ko) 1997-06-30 2000-03-02 김태구 유동방지 기능을 갖는 카울 고정용 클립
KR101964413B1 (ko) * 2017-12-27 2019-04-01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89006A1 (en) 2022-03-24
CN216033656U (zh) 2022-03-15
US11919375B2 (en) 2024-03-05
EP3950393A4 (en) 2022-11-23
KR20200117250A (ko) 2020-10-14
WO2020204629A2 (ko) 2020-10-08
WO2020204629A3 (ko) 2020-11-19
EP3950393A2 (en)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3224B2 (en) Wire bundle routing assembly and installation method
KR102230795B1 (ko)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101964413B1 (ko)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JP5813563B2 (ja) 改装サッシ及びサッシの改装方法
KR102099198B1 (ko) 작업대 및 배선 덕트
KR102273864B1 (ko) 자동차 도어용 결합장치
KR20170025240A (ko) 차량의 델타 글라스 고정 구조물
JP5304342B2 (ja) ドア建付け方法及びヒンジ締結構造
KR102239610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맨홀뚜껑
KR101753677B1 (ko)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KR200400601Y1 (ko) 전망용 승강기의 유리 고정구조
JP4622867B2 (ja) ドア取付用位置決め治具
EP1808401A1 (en) Doorway device for elevator
KR200451550Y1 (ko) 난간 포스트
KR20170119959A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KR101562356B1 (ko) 맨홀덮개 잠금장치
KR102659432B1 (ko)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JP2007321413A (ja) ケーブル式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のガラス連結構造
KR101209682B1 (ko) 자동차 도어 글래스 고정장치
KR20060015895A (ko) 자동차의 도어 모듈 결합구조
KR100831616B1 (ko) 자동차용 도어 유리 그립
KR20240076186A (ko) 자동차용 도어 결합장치
JP4012122B2 (ja) 開閉装置
KR101205704B1 (ko) 해치커버 잠금장치
US20240101394A1 (en) Elevator Motor Moun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