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432B1 -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432B1
KR102659432B1 KR1020240027733A KR20240027733A KR102659432B1 KR 102659432 B1 KR102659432 B1 KR 102659432B1 KR 1020240027733 A KR1020240027733 A KR 1020240027733A KR 20240027733 A KR20240027733 A KR 20240027733A KR 102659432 B1 KR102659432 B1 KR 10265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le
operating
door
tempere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인자동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인자동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인자동문
Priority to KR102024002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2007/1027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2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통로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의 작동실과 연통되도록 하부의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문틀 프레임과, 도어의 일측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와, 작동실에 결합되어 통과홀의 하부로 노출되고, 조작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승강홈이 베이스부의 하부로 개방되고, 일측에 절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승강홈 내에서 승강 가능하고,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강시 하단이 통과홀을 통해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부와,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후단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가능하고, 전단이 절개홀을 통해 걸림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 및,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작동부의 전단이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향 회동시 작동부의 하단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hinge structure of tempered glass door}
본 발명은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를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도어는 유리의 표면에 템퍼링이라는 열처리를 하여 유리패널의 표면에 압축응력을 부여하고, 유리패널의 내부에는 인장응력을 부여하여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잘 깨지지 않도록 강화시킨 것으로 건물의 내외장재나 강화유리도어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도어는 통로가 양측으로 관통되는 문틀과, 통로의 내부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는 유리패널과, 유리패널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과, 유리패널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과, 통로의 일측 하단에 구비되어 하부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측 힌지부 및, 하측 힌지부와 대응되도록 통로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측 힌지부 등으로 구성되며, 하측 힌지부와 상측 힌지부의 수직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유리패널이 회동 개폐되는 작동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의 일측 상단에는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측 힌지부는 통로의 상부에 설치되고,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하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걸림 위치로 하강시 하단이 걸림홈에 삽입되는 스토퍼와, 브라켓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이 스토퍼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바와, 체결홀의 하방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관통 결합되는 체결부재 등으로 구성되며, 회전공구를 체결부재를 회전시키는 경우 작동바의 상승 회동에 의해 스토퍼가 걸림 해제위치로 상승되는 작동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강화유리도어는 작업자가 회전공구를 체결부재의 하단에 결합시킨 후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스토퍼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야 하므로, 교체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상측 힌지부와 유리패널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키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고, 체결부재와 매칭되는 전용의 회전공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공구를 활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1567호(2006년 03월 0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힌지장치가 설치된 강화유리도어용 상부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는 통로의 일측에 수직회전중심을 형성하고, 도어의 일측이 회동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로서, 상기 통로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의 작동실과 연통되도록 하부의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문틀 프레임과, 도어의 일을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와, 상기 작동실에 결합되어 상기 통과홀의 하부로 노출되고, 조작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의 승강홈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로 개방되고, 일측에 절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승강홈 내에서 승강 가능하고,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강시 하단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후단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가능하고, 전단이 상기 절개홀을 통해 상기 걸림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의 전단이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향 회동시 상기 작동부의 하단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전단이 상기 조작홀의 상부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며,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조작홀과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간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걸림부가 걸림 위치로 하강시 전단이 상기 절개홀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하강되는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의 후단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 나란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의 전단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누름 동작을 통해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쉽고 빠르게 가변시킬 수 있어 교체 및 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체결부재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없앨 수 있어 교체 및 보수 과정에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걸림부가 복귀 탄성력에 의해 걸림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부가 상승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형태의 공구를 활용할 수 있고, 도어를 분리시 가압구를 이용해 걸림부를 걸림 해제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걸림부를 걸림해제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도어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서 걸림부가 걸림 위치로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서 걸림부가 걸림 해제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거치홈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안착홈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안착홈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하강 방지홈과 슬라이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를 걸림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서 걸림부가 걸림 위치로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서 걸림부가 걸림 해제위치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거치홈을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안착홈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안착홈을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하강 방지홈과 슬라이드부를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를 걸림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는 벽체(1)의 양측으로 관통된 통로(10)에 수직회전중심을 형성하고, 도어(30)의 일측이 회동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문틀 프레임(20)과, 걸림홈부(31)와, 베이스부(110)와, 가이드부(120)와, 걸림부(130)와, 작동부(140) 및, 자력 발생부(200)를 포함한다.
문틀 프레임(20)은 통로(10)의 상부에 결합되고, 문틀 프레임(20)의 하면에는 내부의 작동실(21)과 연통되도록 통과홀(22)이 상하로 관통된다. 문틀 프레임(20)은 금속(스테인레스 등) 소재로 구비될 수 있고, 통로(10)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통로(10)의 양측에 문틀 프레임(20)이 수직하게 더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통로(10)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20)의 일측 상단에는 걸림홈부(31)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도어(20)의 상단에는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한 문틀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고, 걸림홈부(31)는 문틀 프레임의 일측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은 금속(스테인레스 등) 소재로 구비될 수 있고, 통로(10)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통로(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측 힌지부(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도어(30)의 하단에 더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작동실(21)에 결합되어 통과홀(22)의 하부로 노출되고, 누름부재(드라이버 등, 40)가 하방을 통해 삽입되도록 조작홀(111)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으며, 통로(10)의 관통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10)는 가장자리측 하단이 작동실(21)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볼트, 피스 등)에 의해 작동실(21)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상하로 관통된 조작홀(111)이 통과홀(22)을 통해 하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조작홀(111)은 누름부재(드라이버 등, 40)를 수직하게 삽입시켜 후술될 작동부(140)의 전단을 상승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10)의 통과홀(22)을 통해 하방으로 노출되고, 드라이버 등의 일측을 삽입시킬 수 있는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후술될 작동부(14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문틀 프레임(20)의 하단에는 문틀 프레임(20)의 하면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커버에는 조작홀(111)과 후술될 승강홈(121)이 하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통과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고, 커버와 문틀 프레임(20)의 하단 및 베이스부(110)는 별도의 체결부재(볼트, 피스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후술될 걸림부(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10)의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의 승강홈(121)이 베이스부(110)의 하부로 개방되며, 승강홈(121)이 측부로 연통되도록 가이드부(120)의 일측에 절개홀(122)이 수평하게 관통된다.
또한, 가이드부(120)는 측면이 원주를 이루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단이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절개홀(122)은 후술될 작동부(150)의 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걸림부(130)는 후술될 작동부(150)의 회동과 연동되어 도어(30)의 걸림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승강홈(121)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위치되고, 자중에 의해 하부의 걸림위치로 하강된다.
또한, 걸림부(130)는 하단이 승강홈(121)을 통해 베이스부(110)의 하방으로 노출되고, 걸림부(130)의 하단은 걸림홈부(3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30)를 통로(10)에 위치시킨 후 걸림부(130)를 걸림 위치로 하강시키는 경우 걸림부(130)의 하단이 걸림홈부(31)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도어(30)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킨다. 반면 걸림부(130)를 걸림 해제위치로 상승시키는 경우 걸림부(130)의 하단이 걸림홈부(31)의 상부로 이탈되어 도어(30)를 잠금 해제상태로 전환시킨다.
작동부(140)는 누름부재(40)의 누름 조작과 연동하여 걸림부(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10)의 상부에서 후단을 기준으로 편심된 전단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단이 절개홀(122)을 통해 걸림부(130)의 일측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140)는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후단이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편심된 전단이 절개홀(122)을 통해 걸림부(13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작동부(140)의 하단은 전술한 조작홀(111)의 상부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작동부(140)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걸림부(130)가 걸림위치로 하강시 후술될 자력 발생부(200)의 상단에 부착되도록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부(150)는 걸림부(130)가 걸림 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전방측 하단이 절개홀(122)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어 걸림부(130)가 하강되는 높이를 제한할 수 있고, 전방측 하단이 후술될 자력 발생부(200)의 상단에 부착되어 걸림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150)와, 지지대(150)의 상단에 구비되어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작동부(140)의 후단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축(160) 및, 걸림부(13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회전축(160)과 나란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작동부(140)의 전단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축(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50)는 베이스부(110)의 폭방향 양측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작동부(140)의 후단을 양측에서 감쌀 수 있고, 제1회전축(160)과 제2회전축(170)은 베이스부(110)의 폭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대(150)와 가이드부(120)의 사이구간에 조작홀(111)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처럼 조작홀(111)의 하방을 통해 수직하게 삽입되는 누름부재(40)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부(140)의 전방측 하단이 상승 회동되는 경우, 작동부(140)의 전단이 상승 회동됨과 동시에 걸림부(130)가 걸림 해제위치로 상승된다. 이때 걸림부(130)의 하단이 도어 프레임(40)의 걸림홈부(31)로부터 이탈되므로 도어(30)를 통로(1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도 3에서처럼 도어(30)를 통로(10)의 조립 위치에 배치시킨 후 누름부재(40)를 조작홀(111)의 하방으로 분리시키는 경우, 탄성 지지부(14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130)가 걸림 위치로 하강하고, 작동부(140)의 전단이 하강 회동된다. 이때 걸림부(130)의 하단이 도어 프레임(40)의 걸림홈부(31)에 삽입되므로 도어(30)를 걸림 위치시킬 수 있고, 작동부(140)는 절개홀(122)의 하부로 회동되어 걸림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는 도 5에서처럼 작동부(140)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조작홀(111)의 상부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는 거치홈(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홈(141)을 적용하는 경우 조작홀(111)의 하방을 통해 수직하게 삽입되는 누름부재(40)의 전단이 거치홈(141)에 삽입될 수 있다.
누름부재(40)의 전단을 조작홀(111)의 하방을 통해 수직하게 삽입시키는 경우, 누름부재(40)의 전단이 거치홈(141)에 걸림 위치된 상태로 상승되고, 제1회전축(160)을 기준으로 작동부(140)의 전단이 상승 회동되면서 걸림부(130)를 걸림 해제위치로 상승시킨다. 이때 누름부재(40)의 전단이 작동부(14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므로 누름부재(40)의 지지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
자력 발생부(200)는 작동부(140)를 걸림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작동부(140)의 전단이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향 회동시 작동부(140)의 하단과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자력 발생부(200)는 작동부(140)의 하단을 하방으로 끌어당기도록 극성(+/-)을 갖는 자석(magnet)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력 발생부(200)는 조작홀(111)과 가이드부(120)의 사이간격에 위치되고, 작동부(140)의 전방측 하방에 자력 발생부(200)가 위치되며, 걸림부(130)가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작동부(140)의 전단이 하향 회전된다.
이때, 작동부(140)의 전방측 하단이 자력 발생부(200)의 상단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자력 발생부(200)의 자력에 의해 작동부(140)의 전단이 상부로 회동되지 않으므로 걸림부(130)와 걸림홈부(31)의 암수 결합 상태가 쉽게 변경되지 않는다.
아울러, 자력 발생부(200)의 상단에는 작동부(140)의 하단이 암수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홈(2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안착홈(210)은 도 6과 7에서처럼 전후로 개방될 수 있고, 작동부(140)의 전단이 하부의 걸림위치로 하향 회동되는 경우 작동부(140)의 하단이 안착홈(210)에 암수로 삽입된다. 이때 안착홈(210)의 바닥면은 작동부(140)의 전방측 하단에 부착되고, 안착홈(210)의 수직한 양측면은 작동부(140)의 폭방향 양측과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즉, 안착홈(210)이 작동부(140)의 양측을 파지하므로 외력에 의해 작동부(140)가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착홈(210)의 내주면이 작동부(140)와 넓은 면적으로 밀착되므로 자력 발생부(200)와 작동부(140)의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처럼 조작홀(111)의 하방을 통해 수직하게 삽입되는 누름부재(40)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부(140)의 전방측 하단이 상승 회동되는 경우, 작동부(140)의 전방측 하단이 자력 발생부(200)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걸림해제위치로 상향 회동된다.
이때, 걸림부(130)가 걸림해제위치로 상승되고, 걸림부(130)의 하단이 도어 프레임(40)의 걸림홈부(31)로부터 이탈되므로, 걸림이 해제된 도어(30)를 통로(10)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도 3에서처럼 도어(30)를 통로(10)의 조립 위치에 배치시킨 후 누름부재(40)를 조작홀(111)의 하방으로 분리시키는 경우 걸림부(130)가 하강하고, 작동부(140)의 전단이 자중에 의해 하향 회동되면서 자력 발생부(200)의 상단에 부착된다.
이때, 걸림부(130)의 하단이 도어 프레임(40)의 걸림홈부(31)에 삽입되므로 도어(30)를 걸림 위치시킬 수 있고, 작동부(140)는 절개홀(122)의 하부로 회동되어 걸림 위치될 수 있으며, 자력 발생부(200)의 자력에 의해 작동부(140)의 전단이 상부로 회동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는 도 8과 9에서처럼 걸림부(130)의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하강 방지홈(131)과,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조작홀(111)과 승강홈(121)의 사이에 형성되고, 양측이 승강홈(121)과 조작홀(111)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걸림부(130)가 걸림해지위치로 상승시 하강 방지홈(131)과 동일 높이에 위치되는 가이드홈(112)과, 가이드홈(112)에 삽입되어 작동부(140)의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후방영역이 조작홀(111)의 내부로 수평하게 돌출되며, 전방의 걸림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 전단이 하강 방지홈(131)에 삽입되어 걸림 위치되는 슬라이드부(300) 및, 누름부재(40)가 통과되도록 슬라이드부(300)의 후방영역에 상하로 관통되는 보조 조작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12)은 작동부(140)의 전방측 하방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될 수 있고, 걸림부(130)가 걸림해지위치로 상승 위치되는 경우, 도 9에서처럼 하강 방지홈(131)과 가이드홈(112) 및 슬라이드부(300)가 동일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보조 조작홀(310)은 조작홀(111)의 내부에서 걸림위치와 걸림해지위치로 수평하게 이동 가능하고, 누름부재(40)를 보조 조작홀(310)의 하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킨 후 슬라이드부(300)를 걸림위치와 걸림해지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부재(40)를 보조 조작홀(310)의 하방을 통해 관통 결합시켜 작동부(140)의 전방측 하단을 상부로 들어 올리는 경우, 도 9에서처럼 걸림부(130)의 상승에 의해 하강 방지홈(131)이 가이드홈(112)과 슬라이드부(300)와 동일 높이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부재(40)를 수평하게 이동시켜 슬라이드부(300)를 걸림위치로 전진시키는 경우, 슬라이드부(300)의 전단이 하강 방지홈(131)에 수평하게 삽입되고, 하강 방지홈(131)의 상단이 슬라이드부(30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300)와 하강 방지홈(131)이 걸림 위치되므로 걸림부(130)가 걸림위치로 하강하지 않고, 누름부재(40)를 보조 조작홀(310)의 하부로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걸림부(130)가 걸림위치로 하강하지 않는다.
이후, 누름부재(40)를 수평하게 이동시켜 슬라이드부(300)를 하강 방지홈(13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슬라이드부(300)의 전단이 하강 방지홈(131)으로부터 분리되고, 걸림부(130)가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강되며, 걸림부(130)의 하단이 도어(30)의 걸림홈부(31)에 결합된다.
즉, 걸림부(130)가 걸림해지위치에 상승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도어(30)를 통로(10)의 설치위치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누름부재(40)의 누름 동작 없이도 도어(30)의 설치위치를 조정하는 작업이 가능하므로 도어(30)의 설치 및 해체 과정이 편리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누름 동작을 통해 걸림부(130)의 걸림 상태를 쉽고 빠르게 가변시킬 수 있어 교체 및 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체결부재(볼트, 피스 등)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없앨 수 있어 교체 및 보수 과정에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걸림부(130)가 복귀 탄성력에 의해 걸림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어(3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 동작에 의해 걸림부(130)가 상승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다양한 형태의 공구를 활용할 수 있고, 도어(30)를 분리시 가압구(230)를 이용해 걸림부(130)를 걸림 해제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걸림부(130)를 걸림해제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도어(30)의 설치가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벽체 10: 통로
20: 문틀 프레임 21: 작동실
22: 통과홀 30: 도어
31: 걸림홈부 40: 누름부재
110: 베이스부 111: 조작홀
112: 가이드홈 120: 가이드부
121: 승강홈 122: 절개홀
130: 걸림부 131: 하강 방지홈
140: 작동부 141: 거치홈
150: 지지대 160: 제1회전축
170: 제2회전축 200: 자력 발생부
210: 안착홈 300: 슬라이드부
310: 보조 조작홀

Claims (4)

  1. 벽체의 양측으로 관통된 통로의 일측에 수직회전중심을 형성하고, 도어의 일측이 회동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로서,
    상기 통로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작동실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실과 연통되도록 통과홀이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관통되는 문틀 프레임;
    상기 도어의 일측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부;
    상기 작동실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통과홀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고, 상기 통과홀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도록 조작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에 형성된 승강홈이 상기 베이스부를 통과하여 하부로 개방되며, 일측에 절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승강홈의 내부에서 승강 가능하고,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강하는 경우 하단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후단이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단이 상기 절개홀을 통해 상기 걸림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의 전단이 자중에 의해 걸림위치로 하향 회동시 상기 작동부의 하단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전단이 상기 조작홀의 상부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며,
    상기 자력 발생부는,
    상기 조작홀과 상기 가이드부의 사이간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걸림부가 걸림 위치로 하강시 전단이 상기 절개홀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걸림부가 하강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의 후단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 나란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부의 전단이 상하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KR1020240027733A 2024-02-27 2024-02-27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KR102659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7733A KR102659432B1 (ko) 2024-02-27 2024-02-27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7733A KR102659432B1 (ko) 2024-02-27 2024-02-27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432B1 true KR102659432B1 (ko) 2024-04-22

Family

ID=9088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733A KR102659432B1 (ko) 2024-02-27 2024-02-27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4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108B1 (ko) * 2023-02-02 2023-07-19 이흥만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108B1 (ko) * 2023-02-02 2023-07-19 이흥만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9432B1 (ko)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KR102557108B1 (ko) 강화유리도어의 힌지구조
CN109098630B (zh) 一种金库门
KR102143886B1 (ko) 문틀 시공 보조장치
KR102358796B1 (ko)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KR101952261B1 (ko) 여닫이문의 피봇힌지
KR20210133014A (ko) 컨트롤 패널 구조
EP2626325B1 (en) Elevator car
KR102240231B1 (ko) 납골 안치단의 전면도어 조립구조
CN211573059U (zh) 一种三维可调耐火铰链
KR102356019B1 (ko) 지게차 캐빈의 도어
KR20190002968A (ko) 슬라이딩 도어용 피봇홀더 선택 설치형 연동장치
CN217925425U (zh) 一种门窗三联动组件
CN214062720U (zh) 一种金库门的铰链装置
CN215595274U (zh) 一种用于大型门的门锁装置
CN110761646A (zh) 一种三维可调耐火铰链
JP4017615B2 (ja) 袖パネル付ドア
KR20200133641A (ko) 도어용 잠금장치
CN210636928U (zh) 用于门锁可调节面板结构
AU2019101781A4 (en) Glass Barrier Fastening Assembly
CN218438866U (zh) 一种隐藏式合页
KR102633802B1 (ko) 기능성 토글볼트
JP6902128B2 (ja) 引き戸装置、引き戸吊り下げ装置、及び引き戸装置の施工方法
CN114856401B (zh) 一种围栏门组件
CN210048460U (zh) 一种机电设备辅助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