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330B1 - 제습 장치 - Google Patents

제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330B1
KR102230330B1 KR1020140077881A KR20140077881A KR102230330B1 KR 102230330 B1 KR102230330 B1 KR 102230330B1 KR 1020140077881 A KR1020140077881 A KR 1020140077881A KR 20140077881 A KR20140077881 A KR 20140077881A KR 102230330 B1 KR102230330 B1 KR 10223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ir
heat exchange
path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653A (ko
Inventor
야스키 후지이
히로키 시모다
아야 산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4601A external-priority patent/JP62366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40459A external-priority patent/JP6205576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 장치는 본체 케이스와, 히트 펌프 장치와, 열교환부를 구비하고 있다. 히트 펌프 장치는 압축기, 방열기, 팽창부, 및 흡열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로부터 흡기된 제 1 공기가 열교환부 내의 제 1 열교환 풍로를 흘러서 제 2 공기가 된다. 그리고 제 2 공기가 분출구를 향해 열교환부 내의 제 2 열교환 풍로를 흘러서, 제 1 공기와 제 2 공기가 열교환을 실행한다. 또한 흡기구로부터 제 1 열교환 풍로, 흡열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방열기를 거쳐서 분출구까지의 제습 풍로 내에 송풍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부와 흡열기의 하방에, 제습 풍로의 일부가 되는 물받이부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습 장치{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각 제습을 실행하는 제습 장치는 일본 공개 특허 제 2005-214533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제습 장치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제습 장치 본체에는, 압축기, 방열기, 팽창부, 및 흡열기가 이 순서대로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는 히트 펌프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흡열기에 있어서, 제습 대상이 되는 공기가 냉각 제습된다. 또한 흡열기로부터 방열기로의 풍로 내에 직교류형의 열교환부가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부에서는, 다른 2개의 풍로 사이의 현열이 교환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흡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부의 일방의 풍로로 들어가고, 이미 흡열기에 의해 냉각 제습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예냉(豫冷)되고, 그 후에 흡열기를 통하여 냉각 제습된다. 게다가 냉각 제습된 공기는 열교환부의 타방의 풍로에 유입되어, 흡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가열되고, 그 후에 방열기에 있어서 더욱 가열되어 송풍부에 의해서 분출구로부터 본체 밖으로 송풍된다.
이러한 종래의 제습 장치에서는 흡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부에서 예냉될 때, 실내의 온습도 조건에 의해서 풍로 내에 있어서 수분이 결로(結露)하여 물방울이 되어 적하(滴下)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 때문에, 열교환부에 있어서의 결로수의 처리가 제 1 과제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제습 장치에서는, 소비 전력 저하를 위해서는 방열기가 냉각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방열기의 냉각을 위해 송풍량이 증대되면, 흡열기에 유입되는 공기도 증대하기 때문에, 흡열기의 현열 교환량이 증가하여 흡기된 공기가 충분히 제습되지 않고 배기된다. 그 때문에, 송풍부의 출력이 증대한다는 제 2 과제가 있다.
상술의 제 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습 장치는, 흡기구와 분출구를 갖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 내에 마련된 히트 펌프 장치와 열교환부를 구비한다. 히트 펌프 장치는 압축기, 방열기, 팽창부, 및 흡열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로부터 흡기된 제 1 공기가 열교환부 내의 제 1 열교환 풍로를 흘러서 제 2 공기가 된다. 그리고, 제 2 공기가 분출구를 향해 열교환부 내의 제 2 열교환 풍로를 흘러서, 제 1 공기와 제 2 공기가 열교환을 실행한다. 또한 흡기구로부터 제 1 열교환 풍로, 흡열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방열기를 거쳐서 분출구까지의 제습 풍로 내에 송풍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부와 흡열기의 하방에 제습 풍로의 일부가 되는 물받이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제습 장치는 실내의 습도가 높고, 제 1 공기가 열교환부에서 예냉될 때, 제 1 열교환 풍로 내에 있어서 수분이 결로하여 물방울이 되어서 적하하는 경우에도, 물받이부가 결로수를 받는다. 그 결과, 열교환부의 결로수의 처리가 확실히 실행된다.
또한 상술의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습 장치는, 본체 케이스, 및 본체 케이스 내에 마련된 송풍기와, 히트 펌프 장치와, 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는 흡기구와 분출구를 구비한다. 흡기구는 본체 케이스의 본체 케이스 중심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히트 펌프 장치는 압축기, 방열기, 팽창부, 및 흡열기로 구성되어 있다. 방열기와 흡열기는 서로 대향하고, 방열기와 흡열기 사이에 열교환기가 마련되어 있다. 열교환기는 서로 열교환을 실행하는 제 1 열교환 풍로와 제 2 열교환 풍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방열기의 상단부의 위치는 열교환기의 열교환기 상단보다 높다.
이러한 제습 장치는 흡기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가 방열기의 상단부 부근을 흐른다. 그 때문에 방열기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행되어 송풍부의 출력이 증대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습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제습 장치를 평면(A)에 의해 절단하여 B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습 장치의 열교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상기 제습 장치의 제습 풍로 내의 기압 상태를 도시하는 이미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습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상기 제습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J-J선에 의해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습 장치의 상면도,
도 9는 상기 제습 장치의 열교환기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습 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제습 장치를 평면(A)에 의해 절단하여 B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의 본체 케이스(1)는 상자 형상이다. 또한 본체 케이스(1)의 측면의 일방측에는 흡기구(2)를 구비하고, 상면에는 분출구(3)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는, 본체 케이스(1) 내에 히트 펌프 장치(30)와, 열교환부(4)와, 송풍부(5)를 구비하고 있다. 히트 펌프 장치(30)는, 압축기(6), 방열기(7), 팽창부(8)로서의 모세관(capillary tube), 및 흡열기(9)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기(6), 방열기(7), 모세관, 및 흡열기(9)가 이 순서로 냉매 배관(10)에 접속되어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어 있다. 흡열기(9)에 있어서 제습 대상이 되는 공기가 냉각 제습된다. 방열기(7)와 흡열기(9)는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방열기(7)는 본체 케이스(1)에 있어서의 전면에 대향하여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습 장치의 열교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열교환부(4)는 복수의 전열판인 전열판(A11)과 전열판(B12)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전열판(A11)과 전열판(B12)에는, 적층했을 때에 풍로가 구성될 수 있도록 리브(13)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연직 방향으로 흐르는 제 1 열교환 풍로(14)와, 수평 방향으로 흐르는 제 2 열교환 풍로(15)가 구성되고, 이러한 풍로 사이에 있어서 전열판(A11)과 전열판(B12)을 거쳐서 열교환이 실행된다.
열교환부(4)는, 전열판(A11)과 전열판(B12)이 적층된 상태에서 입방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부(4)는 방열기(7)와 흡열기(9)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송풍부(5)는 스크롤 형상의 케이싱부(16)와, 케이싱부(16)에 고정된 모터부(17)와, 모터부(17)에 의해서 회전하는 날개부(18)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부(16)는 흡입구(19)와 토출구(20)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19)는 방열기(7)에 대향하여 있다. 즉, 흡열기(9)와, 열교환부(4)와, 방열기(7)와, 흡입구(19)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열기(9)의 하부의 일부는 열교환부(4)의 저부(4a)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부(5)에 의해서, 화살표(C)로 나타내는 흡기구(2)로부터 흡기된 제 1 공기(31)는 열교환부(4) 내의 제 1 열교환 풍로(14)를 흘러서 제 2 공기(32)가 된다. 그리고 제 2 공기(32)는 분출구(3)를 향해 열교환부(4) 내의 제 2 열교환 풍로(15)를 흐른다. 제 1 공기(31)는 이미 흡열기(9)에 의해 냉각 제습된 제 2 공기(32)로 열교환하여 예냉된다. 제 2 공기(32)는 흡열기(9)의 열교환부(4)의 저부(4a)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을 통과하고, 그 후에 풍향을 반전시키고, 또한 흡열기(9)의 나머지의 부분을 통과하여 냉각 제습된다.
냉각 제습된 제 2 공기(32)는, 열교환부(4)의 제 2 열교환 풍로(15)에 유입되어 흡기구(2)로부터 흡기된 제 1 공기(31)에 의해서 가열되고, 방열기(7)에서 더욱 가열되어 송풍부(5)에 의해서 본체 케이스(1) 밖으로 송풍된다. 흡기구(2)로부터 제 1 열교환 풍로(14), 흡열기(9), 제 2 열교환 풍로(15), 및 방열기(7)를 거쳐서 분출구(3)까지의 풍로가 제습을 실행하는 제습 풍로(33)가 된다. 송풍부(5)는 제습 풍로(33) 내에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습 장치의 특징은 열교환부(4) 및 흡열기(9)의 하방에 열교환부(4)의 제 1 열교환 풍로(14) 및 흡열기(9)에 있어서 생성되는 결로수(34)를 받고, 제습 풍로(33)의 일부가 되는 물받이부(21)를 구비한다는 점이다.
즉, 실내의 습도가 높은 경우, 흡기구(2)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31)가 열교환부(4)에서 예냉될 때, 제 1 열교환 풍로(14) 내에 있어서 수분이 결로하여 물방울이 되어 적하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열교환부(4)의 하방에 물받이부(21)가 배치되어 결로수(34)를 받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열교환부(4)의 결로수(34)의 처리가 확실히 실행된다. 게다가, 물받이부(21)는 제습 풍로(33)도 겸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제습 풍로(33)가 마련될 필요가 없어, 심플한 구성이 되어 저가의 제습 장치가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부(4)의 저부(4a)는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열교환부(4)의 제 1 열교환 풍로(14) 내에 있어서 결로한 물방울이 열교환부(4)의 저부(4a)에 체류하지 않는다. 물방울이 저부(4a)의 일정 방향으로 흘러서, 물방울이 제 1 열교환 풍로(14)를 막지 않는다. 그 때문에, 풍로압 손실의 증가에 의한 풍량 저감, 즉 제습 능력의 저하가 억제된 제습 장치가 된다.
또한, 열교환부(4)의 저부(4a)는 흡열기(9)를 향해서 제습 풍로(33)의 굽힘 각도가 완만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습 풍로(33)에 있어서, 열교환부(4)의 제 1 열교환 풍로(14)를 유출된 제 2 공기(32)의 흐름 방향의 굽힘 각도가 작아진다. 그 결과, 풍로 굽힘에 수반하는 압력 손실의 증가에 의한 풍량 저감이 억제, 즉 제습 능력의 저하가 억제된 제습 장치가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열기(9)의 하단면(9a)이 열교환부(4)의 저부(4a)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열교환부(4)의 저부(4a)로부터 유출되어온 제 2 공기(32)가, 흡열기(9)의 열교환부(4)보다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을 통과하고, 그 후에 저부(4a)보다 상방의 흡열기(9)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제습 풍로(33)에 있어서, 열교환부(4)의 저부(4a)의 경사에 의해 빈 공간에 흡열기(9)의 일부가 마련된다. 그 때문에, 공간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 내의 물받이부(21)의 하방에는, 결로수(34)를 저수하는 탱크(22)가 구비되어 있다. 물받이부(21)는 제습 풍로(33)의 흡열기(9)의 상류측(9b)과 하류측(9c)을 구획하는 구획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받이부(21)로부터 탱크(22)로 결로수(34)를 도출하는 드레인 구멍(24)이 흡열기(9)의 상류측(9b)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부(23)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열교환부(4)로부터 유출되는 제 2 공기(32)가 확실히 흡열기(9)로 안내되어 확실히 냉각되고, 제습 능력이 확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습 장치의 제습 풍로 내의 기압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2의 제습 풍로(33)에 있어서는, 흡기구(2)로부터 외기의 대기압으로 유입된 제 1 공기(31)는, 각 구성 부품의 풍로 저항을 받으면서, 대기와의 압력차를 확대시키면서, 최종적으로 송풍부(5)로 흡입되어진다. 대기와의 압력차가 클수록, 그 부분에 대기와 연통하는 개구가 비었을 경우에, 공기의 누출량이 증대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물받이부(21)에는, 축적된 물방울을 탱크(22)로 도출하는 드레인 구멍(24)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드레인 구멍(24)은 대기와 연통하는 개구가 되고, 이 개구에 있어서의 대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해 제습 풍로(33) 밖의 공기가 유입되어 제습 성능이 저하한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 구멍(24)이 흡열기(9)의 상류측(9b)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흡열기(9)의 풍로압 손실에 의한 압력 저하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제습 풍로(33)의 제 2 공기(32)는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작아져서, 드레인 구멍(24)으로부터의 공기의 유입이 억제되고, 제습 능력의 저하도 억제되는 제습 장치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1의 제습 장치에 의하면, 열교환부(4)의 결로수의 처리가 확실히 실행된다.
(실시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습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110)의 본체 케이스(101)는 상자 형상이다. 또한 본체 케이스(101)는 흡기구(102)와 분출구(103)를 갖고 있다. 흡기구(102)는 본체 케이스(101)의 외주벽의 상부에 마련되고, 분출구(103)는 흡기구(102)와 동일한 위치 또는 흡기구(102)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분출구(103)가 이러한 위치에 마련되면, 제습 장치(110)로부터 제습된 공기가 실내에 효과적으로 분출되기 때문에, 제습 효율이 높아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습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에서는 제습 장치(110)의 흡기구(102)가 개방된 상태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 상태의 흡기구(102)로부터 본체 케이스(101) 내부에 있는 방열기(105)의 상단부(105a)가 보인다. 흡기구(102)는, 제습 장치(110)를 마련한 경우에 본체 케이스(101)의 본체 케이스 중심 높이(101a)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습 장치(110)의 하부에는, 제습에 의해 생성된 물을 모으는 탱크(10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정면도이기 때문에, 본래, 본체 케이스(101) 내부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편의상, 본체 케이스(101) 내에 마련된 탱크(104), 압축기[컴프레서(compressor)](106), 드레인 팬(drain pan)(107) 등이 표시되어 있다. 드레인 팬(107)은 흡열기(113)의 하방에 마련되고, 흡열기(113)를 통과한 공기가 제습되는 것에 의해 생성된 물을 받아서 탱크(104)로 물을 보낸다.
도 7은 도 6의 J-J 선에 의해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110)는, 본체 케이스(101), 및 본체 케이스(101) 내에 마련된 송풍기(108)와, 히트 펌프 장치(130)와, 열교환기(현열 교환기)(1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본래, 탱크(104)가 표시되지만 편의상, 앞쪽의 압축기(106)가 표시되어 있다.
히트 펌프 장치(130)는 압축기(106), 압축기(106)의 냉매가 흐르는 하류에 순차적으로 마련한 방열기(응축기)(105), 팽창부(모세관)(112), 및 흡열기(증발기)(113)로 구성되고, 이것들이 냉매 배관에 의해 접속되어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어 있다. 흡열기(113)에 있어서, 제습 대상이 되는 공기가 냉각 제습된다.
송풍기(108)는, 스크롤 형상의 케이싱부(108a)와, 케이싱부(108a)에 고정된 모터부(108b)와, 모터부(108b)에 의해서 회전하는 날개부(108c)로 형성되어 있다. 송풍기(108)는 흡기구(10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분출구(103)로부터 공기를 분출한다. 케이싱부(108a)는 흡입구(109a)와 토출구(109b)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109a)는 흡열기(113), 열교환기(111), 및 방열기(105)에 대향하여 있다. 즉, 흡열기(113)와, 열교환기(111)와, 방열기(105)와, 흡입구(109a)는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습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열기(105)와 흡열기(113)는 서로 대향하고, 방열기(105)와 흡열기(113) 사이에 열교환기(111)가 마련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습 장치의 열교환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11)는, 예를 들면 직교류형 열교환기 등의 현열 교환기이다. 열교환기(111)는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열판(111a)과 제 2 전열판(111b)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기(111)는 서로 열교환을 실행하는 제 1 열교환 풍로(111c)와 제 2 열교환 풍로(111d)를 구비하고 있다. 도 9에서는, 제 1 열교환 풍로(111c)는 연직 방향의 풍로이며, 제 2 열교환 풍로(111d)는 수평 방향의 풍로이다.
도 7의 화살표(K)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기(108)에 의해서 흡기구(102)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도 9의 열교환기(111)의 상면인 제 1 열교환 풍로(111c)의 유입구에 유입된다. 제 1 열교환 풍로(111c)의 유입구에 유입된 공기는, 도 7의 흡열기(113)에 의해 이미 냉각 제습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예냉되고, 도 9의 열교환기(111)의 하면인 제 1 열교환 풍로(111c)의 유출구로부터 나온다. 그리고, 제 1 열교환 풍로(111c)의 유출구로부터 나온 공기는 도 7의 흡열기(113)를 통하여 냉각 제습된다.
흡열기(113)에 의해서 냉각 제습된 공기는, 도 9의 제 2 열교환 풍로(111d)의 유입구에서 다시 열교환기(111)로 유입되어, 제 1 열교환 풍로(111c)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가열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 풍로(111d)의 유출구로부터 나온 공기는, 도 7의 방열기(105)에 있어서 더욱 가열되고, 송풍기(108)에 의해서 본체 케이스(101) 밖으로 송풍된다.
이와 같이 도 7의 제습 장치(110)는, 흡기구(102)로부터 도 9의 제 1 열교환 풍로(111c), 흡열기(113), 도 9의 제 2 열교환 풍로(111d), 및 방열기(105)를 거쳐서 분출구(103)까지의 제습 풍로(114)를 구비하고 있다.
제습 장치(110)의 특징은, 도 7의 화살표(L)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풍로(115)가 있다는 점이다. 바이패스 풍로(115)는 흡기구(102)로부터 방열기(105)를 거쳐서 분출구(103)까지이다. 즉 송풍기(108)에 의해 흡기구(102)로부터 본체 케이스(101) 내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열교환기(111)[도 9의 제 1 열교환 풍로(111c) 및 제 2 열교환 풍로(111d)]와 흡열기(113)를 거치지 않고 방열기(105)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바이패스 풍로(115)가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방열기(105)에 유입되는 총 풍량이 증가한다. 방열기(105)의 상단부(105a)의 위치는 열교환기(111)의 열교환기 상단(111e)보다 높다.
도 7의 제습 장치(110)에서는, 바이패스 풍로(115)에 의해 방열기(105)에 유입되는 공기를 증대시켜서, 방열기(105)의 냉매와 흡기된 공기의 열교환량이 증가하여 방열기(105)가 보다 냉각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기구(102)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제습 풍로(114)를 통과하는 제습 공기와 바이패스 풍로(115)를 통과하는 바이패스 공기로 나누어진다. 흡열기(113)에 유입되는 풍량은 결로에 대해 최적인 풍량이 존재한다. 제습 장치(110)에서는 흡열기(113)로의 최적 풍량이 확보되면서, 방열기(105)로의 풍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방열기(105)에 있어서의 방열량이 증가하므로 냉동 사이클이 효율적으로 가동하여 제습 능력이 향상한다. 또한, 제습 공기와 바이패스 공기는 송풍기(108)에 의해서 혼합되어 분출구(103)로부터 분출된다.
게다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105a)의 위치는 흡기구(102)의 흡기구 상단(102a)과 흡기구 하단(102b) 사이의 높이로 해도 좋다. 그 결과, 본체 케이스(101)의 외주벽의 상부에 마련된 흡기구(102)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바이패스 공기)가, 열교환기(111)의 상방을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여, 바이패스 풍로(115)의 일부인 상단부(105a)에 도달한다. 바이패스 공기는 흡기구(102)로부터 상단부(105a)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 방향이 거의 구부러지지 않고 상단부(105a)에 직접 도달한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 풍로(115)의 통풍 저항은 작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방열기(105)의 열교환기 상단(111e)으로부터 상단부(105a)까지의 상부 길이(131)는, 방열기(105)의 열교환기 상단(111e)으로부터 방열기(105)의 하단부(105c)까지의 하부 길이(132)보다 짧게 해도 좋다.
바이패스 풍로(115)는 제습 풍로(114)에 비해 통풍 저항이 작기 때문에, 상부 길이(131)가 하부 길이(132)보다 짧아도 바이패스 풍로(115)의 풍량은 확보된다. 그 때문에 제습 풍로(114)에 의한 제습과 바이패스 풍로(115)에 의한 방열기(105)의 냉각이 균형있게 실행된다. 그 결과, 제습 능력 저하가 방지되면서, 제습 장치(110)의 소비 전력이 더욱 저하된다.
또한, 도 7의 제습 풍로(114)를 통과하는 제습 공기의 양보다 바이패스 풍로(115)를 통과하는 바이패스 공기의 양이 많아도 좋다. 흡열기(113)의 최적 풍량이 확보되는 동시에, 방열기(105)의 풍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방열기(105)에 있어서의 방열량이 증가하므로, 냉동 사이클이 효율적으로 가동하여 제습 능력이 향상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의 방열기(105)의 상부에는 압축기(106)로부터 연장된 냉매 배관이 접속되고, 방열기(105)의 하부에는 팽창부(112)로부터 연장된 냉매 배관이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106)에 있어서 고온이 된 냉매는 최초로 방열기(105)의 상단부(105a)에 유입된다. 이것에 의해 방열기(105)에 있어서, 열교환기 상단(111e)으로부터 상부는 열교환기 상단(111e)으로부터 하부에 비해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제습 풍로(114)는 제 1 열교환 풍로(111c), 흡열기(113), 및 제 2 열교환 풍로(111d)를 가지므로, 바이패스 풍로(115)는 제습 풍로(114)에 비해 통풍 저항이 작다.
그 결과, 바이패스 풍로(115)의 상단부(105a)의 단위 면적당 흐르는 풍량은 제습 풍로(114)의 방열기(105)의 단위 면적당 흐르는 풍량보다 증가한다.
즉, 방열기(105)의 온도가 높은 상단부(105a)의 단위 면적당, 제습 공기량보다 많은 양의 바이패스 공기량이 흐르므로, 방열기(105)의 온도가 높은 상단부(105a)가 보다 냉각되기 용이하여 방열기(105)의 방열량이 증가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열기(113)가 열교환기 상단(111e)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열교환기 상단(111e)보다 하방에 마련되어도 좋다. 그 결과, 본체 케이스(101)의 상부에 마련된 흡기구(102)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일부(바이패스 공기)는, 흡열기(113) 및 열교환기(111)의 상방을 진행하여 상단부(105a)에 도달한다. 바이패스 공기는, 흡기구(102)로부터 상단부(105a)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 방향이 빈번히 구부러지지 않고 상단부(105a)에 직접 도달한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 풍로(115)의 통풍 저항은 작다.
또한 흡입구(109a)는 흡열기(113), 열교환기(111), 및 방열기(105)와 대향하여 있다.
또한, 바이패스 공기는, 히트 펌프 장치(130)의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부(105a)의 하류측에 송풍되는 풍량보다 상류측에 송풍되는 풍량이 크게 해도 좋다.
히트 펌프 장치(130)의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부(105a)의 상류측은 방열기(105)의 고온 부분이다. 그 때문에, 바이패스 공기가 히트 펌프 장치(130)의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부(105a)의 상류측에 많이 송풍되면, 방열기(105)의 열교환량이 커진다. 그 때문에, 방열기(105)가 효율적으로 냉각되어 히트 펌프 장치(130)의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부(105a)는 흡기구(102)의 흡기구 상단(102a)보다 흡기구 하단(102b)에 가까운 위치로 하면 좋다. 그리고, 상단부(105a)와 본체 케이스(101) 사이에 공간부(116)가 구비되어 있으면 좋다. 본체 케이스(101) 내에는, 흡기구(102)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흡열기(113), 열교환기(111), 방열기(105), 및 송풍기(108)가 배치되어 있다. 공간부(116)의 일부는 상단부(105a)와, 케이싱부(108a)의 외면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이것에 의해, 바이패스 공기는 상단부(105a) 부근에 하기의 2개의 면으로부터 유입되기 용이해진다.
상기의 2개의 면중 제 1 면은 방열기(105)의 상단부(105a) 부근에 있어서의 흡기구(102)에 대향한 면이다. 제 2 면은 본체 케이스(101)의 상면에 대향한 상단부(105a)이다. 상단부(105a) 부근에는 바이패스 공기, 및 공간부(116)로부터의 공기가 유입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공간부(116)에 도달한 공기의 일부는, 흡기구(102)에 대향한 케이싱부(108a)의 외면에 접하는 것에 의해, 하방으로 방향을 바꿔서 상단부(105a)에 유입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상단부(105a), 및 상단부(105a) 부근에 있어서의 2개의 면으로부터 공기가 상단부(105a)에 유입된다. 그 때문에, 바이패스 공기는 방열기(105)의 열교환기 상단(111e) 부근보다 상단부(105a) 부근에 많이 유입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히트 펌프 장치(130)의 냉매가 흐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부(105a)의 상류측으로, 바이패스 공기가 상단부(105a) 부근에 많이 흐른다. 그 때문에, 상단부(105a)의 냉각이 균형있게 실행된다.

Claims (13)

  1. 흡기구와 분출구를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마련된 히트 펌프 장치와 열교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히트 펌프 장치는 압축기, 방열기, 팽창부, 및 흡열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흡기된 제 1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 내의 제 1 열교환 풍로를 흘러서 제 2 공기가 되고, 상기 제 2 공기가 상기 분출구를 향해 상기 열교환부 내의 제 2 열교환 풍로를 흘러서 상기 제 1 공기와 상기 제 2 공기가 열교환을 실행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제 1 열교환 풍로, 상기 흡열기, 상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상기 방열기를 거쳐서 상기 분출구까지의 제습 풍로 내에 송풍부가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흡열기의 하방에 상기 제습 풍로의 일부가 되는 물받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물받이부의 하방에는 결로수를 저수하는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제습 풍로의 상기 흡열기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받이부로부터 상기 탱크로 상기 결로수를 도출하는 드레인 구멍이 상기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복수의 전열판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부의 저부는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는 상기 흡열기를 향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기의 하단면은 상기 저부보다 하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77881A 2013-06-27 2014-06-25 제습 장치 KR102230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4601A JP6236624B2 (ja) 2013-06-27 2013-06-27 除湿装置
JPJP-P-2013-134601 2013-06-27
JPJP-P-2013-140459 2013-07-04
JP2013140459A JP6205576B2 (ja) 2013-07-04 2013-07-04 除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53A KR20150001653A (ko) 2015-01-06
KR102230330B1 true KR102230330B1 (ko) 2021-03-19

Family

ID=5218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881A KR102230330B1 (ko) 2013-06-27 2014-06-25 제습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230330B1 (ko)
CN (1) CN104251521B (ko)
HK (1) HK1205555A1 (ko)
TW (1) TWI6188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19877B2 (ja) * 2017-06-08 2021-01-27 Smc株式会社 圧縮空気用の熱交換器、その熱交換器を用いた除湿ユニット、及びその除湿ユニットを備えた除湿システム
CN107726479A (zh) * 2017-09-23 2018-02-23 张曦曦 一种空气除湿装置
CN107975883B (zh) * 2017-12-22 2024-03-2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
CN108151166A (zh) * 2017-12-22 2018-06-1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
CN108709257B (zh) * 2018-06-15 2023-12-19 广东芬尼克兹节能设备有限公司 一种除湿机
CN113048583A (zh) * 2019-12-27 2021-06-2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除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533A (ja) * 2004-01-30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JP2007029833A (ja) *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7090B2 (ja) * 1995-09-29 1999-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JP2006132846A (ja) * 2004-11-05 2006-05-2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装置
JP5655310B2 (ja) * 2010-01-19 2015-0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CN102644972A (zh) * 2012-05-18 2012-08-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202792704U (zh) * 2012-08-17 2013-03-13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风侧换热器、风冷热泵机组及空调系统
CN103040086B (zh) * 2012-12-28 2015-04-22 广州晟启能源设备有限公司 除湿热泵组件及烟草除湿热泵烘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4533A (ja) * 2004-01-30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JP2007029833A (ja) *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8898B (zh) 2018-03-21
HK1205555A1 (en) 2015-12-18
TW201506329A (zh) 2015-02-16
CN104251521A (zh) 2014-12-31
KR20150001653A (ko) 2015-01-06
CN104251521B (zh)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330B1 (ko) 제습 장치
KR102476426B1 (ko) 제습 장치
KR101954633B1 (ko) 제습기
US20100011803A1 (en) Horizontal discharge air conditioning unit
TWI650516B (zh) 除濕裝置
US11639800B2 (en) Dehumidification drainage system with mist eliminator
JP6205576B2 (ja) 除湿装置
JP6337272B2 (ja) 除湿装置
JP6646805B2 (ja) 除湿装置
JP5807668B2 (ja) 空気調和機
JP2019027614A (ja) 熱交換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6236624B2 (ja) 除湿装置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CN104930596B (zh) 除湿装置
JP2017070925A (ja) 除湿装置
JP6646804B2 (ja) 除湿装置
JP7213404B2 (ja) 除湿装置
KR100615786B1 (ko) 전면 흡토출 방식의 공기조화기용 대용량 실외기
JP7316487B2 (ja) 除湿装置
TWI840486B (zh) 除濕裝置
JP7266162B2 (ja) 除湿装置
JP7245974B2 (ja) 除湿装置
JP7324970B2 (ja) 除湿装置
TW202100916A (zh) 除濕裝置
JP2020121247A (ja) 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