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077B1 -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077B1
KR102229077B1 KR1020197007043A KR20197007043A KR102229077B1 KR 102229077 B1 KR102229077 B1 KR 102229077B1 KR 1020197007043 A KR1020197007043 A KR 1020197007043A KR 20197007043 A KR20197007043 A KR 20197007043A KR 102229077 B1 KR102229077 B1 KR 102229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assembly
circuit board
b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631A (ko
Inventor
가츠마사 하기와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17Additional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5Lead-frames or other flat leads
    • H01L23/49541Geometry of the lead-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50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e.g. power bus, number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soldering or welding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6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parts during soldering or weld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742Details of leads
    • H05K2201/1075Shape details
    • H05K2201/10757Bent leads

Abstract

단위 접속 단자(26)가, 회로 기판(21)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부(29)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30)와, 접착부와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굴곡된 굴곡부(31)와, 굴곡부(31)보다 단자측에 고정되고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형성한 합성 수지제의 흡착부(28)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위 접속 단자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
본 발명은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플로우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회로 기판 상에 납땜되는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산업 기계 분야에서는, 전동 모터에 의해 기계계 제어 요소를 구동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만, 최근에는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나 회전 토크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진 전자 제어 장치를 전동 모터에 일체적으로 내장하는, 소위 기전 일체형의 전동 구동 장치가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기전 일체형의 전동 구동 장치의 예로서, 예컨대 자동차의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함으로써 회동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회동 토크를 검출하고, 이 검출치에 기초하여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전동 모터를 구동시켜 조타 어시스트 토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동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전자 제어부(ECU)가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는, 전동 모터는,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만들어진 통부를 갖는 모터 하우징에 수납되고, 전자 제어부는, 모터 하우징의 축방향의 출력축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ECU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다. ECU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전자 제어부는, 전원 회로부와,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MOSFET과 같은 파워 스위칭 소자를 갖는 전력 변환 회로부와, 파워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를 구비하고, 파워 스위칭 소자의 출력 단자와 전동 모터의 입력 단자는 버스바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ECU 하우징에 수납된 전자 제어부에는,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커넥터 조립체를 통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검출 센서류로부터 운전 상태 등의 검출 신호가 공급되고 있다. 커넥터 조립체는 덮개로서 기능하고 있고, ECU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도록 하여 전자 제어부와 접속되고, 또한 고정 볼트에 의해 ECU 하우징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 종류의 전자 제어부에서는, 전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전력 변환 회로부의 파워 스위칭 소자를 제어 회로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하기 때문에, 제어 회로부의 회로 기판과 전력 변환 회로부의 회로 기판은 접속 단자 조립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단자 조립체는, 전력 변환 회로부의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땜납에 의해 회로 기판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 종류의 접속 단자 조립체의 납땜은, 일반적으로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리플로우 프로세스」는, 미리 회로 기판의 배선 패턴의 필요 개소에 크림 땜납이라고 불리는 페이스트형의 땜납을 도포하고, 거기에 접속 단자 조립체를 배치하여 회로 기판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땜납을 녹임으로써 납땜을 행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접속 단자 조립체는 배치 안정성이 나쁜 것이며, 이 때문에, 페이스트형의 땜납의 점착력만으로는 자립시키는 것이 어렵고, 나아가 납땜 공정에서 땜납이 녹으면 접속 단자 조립체가 쓰러지는 현상이 있다. 따라서, 특별한 지그를 이용하여 접속 단자 조립체를 자립시키는 것이 필요해져,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자동기(칩마운터)에 의해 접속 단자 조립체를 회로 기판에 배치하여 「리플로우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행하는 방법으로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5-60958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자동적으로 접속 단자 조립체를 회로 기판 상에 배치하기 때문에, 접속 단자 조립체의 형상을, 자동기에 의한 흡착이 가능하도록 흡착면을 형성한 가늘고 긴 평판형의 배치부와, 이 배치부에 연접된 회로 기판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개개의 단위 접속 단자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기의 흡착 기능에 의해 배치부를 흡착하여 접속 단자 조립체를 회로 기판 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배치부는 접속 단자 조립체를 자립시키는 기능도 겸비하고 있고, 자동기에 흡착되어 회로 기판에 자립, 배치된 후에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한 납땜이 완료되면, 배치부와 단위 접속 단자 사이를 절단하여 단위 접속 단자를 회로 기판 상에 잔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 단자 조립체의 배치부에 의해 자동기에 의한 흡착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접속 단자 조립체를 자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지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접속 단자 조립체를 회로 기판에 납땜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5-6095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접속 단자 조립체에서는, 접속 단자 조립체를 자동기에 의해 흡착하여 회로 기판에 자립시키는 배치부는, 「리플로우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절단하여 폐기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절단 공정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해져,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경우의 저해 요인이 된다. 또한, 배치부는 단위 접속 단자로부터 절단되어 폐기되기 때문에 쓸데없는 재료가 됨과 더불어, 접속 단자 조립체가 복잡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재료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하기가 어렵고, 회로 기판의 제조 단가를 인상하는 요인도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플로우 프로세스」에서의 전술한 과제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해결하여, 자동기에 의한 흡착이 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로 기판에 자립할 수 있는 신규의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여기서, 접속 단자 조립체는, 1개의 단위 접속 단자, 및 복수의 단위 접속 단자(2개 이상)를 조합한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회로 기판은 전력 변환 회로의 회로 기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적어도 1개의 단위 접속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 단자 조립체의 단위 접속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접착부와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굴곡된 굴곡부와, 굴곡부보다 단자측에 고정되고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형성한 합성 수지제의 흡착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단위 접속 단자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복수개의 단위 접속 단자를 조합한 접속 단자 조립체의 개개의 단위 접속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접착부와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굴곡된 굴곡부로 구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개개의 단위 접속 단자의 굴곡부보다 단자측이,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결합 흡착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게다가 결합 흡착 부재의 중앙 부근에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갖는 흡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결합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전체의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를 단위 접속 단자에 설치하고 있거나, 혹은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를 구비한 결합 흡착부를 접속 단자 조립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흡착부, 혹은 결합 흡착 부재를 절단한다고 하는 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제조 단가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단위 접속 단자, 혹은 접속 단자 조립체를 단독으로 자립시켜 납땜 작업을 할 수 있고, 지그 등의 특별한 치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납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전동 구동 장치의 일례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되는 접속 단자 조립체를 실장한 전력 변환 회로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가 되는 1개의 단위 접속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3e는 도 3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가 되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4e는 도 4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가 되는 3개의 단위 접속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5d는 도 5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5e는 도 5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가 되는 4개의 단위 접속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상면도이다.
도 6e는 도 6a에 나타내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접속 단자 조립체를 실장한 전력 변환 회로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개념 중에서 여러가지 변형예나 응용예도 그 범위에 포함하는 것이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전동 구동 장치의 일례인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간단한 구성과, 도 7을 이용하여 종래의 접속 단자 조립체를 실장한 전력 변환 회로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터 하우징(11A)에는 통상은 전동 모터가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11A)과 방열 기체를 구비한 ECU 하우징(11B)은 별개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져 있지만, 양 하우징은 동일한 하우징으로 해도 좋은 것이다.
전자 제어부(12)는, 모터 하우징(11A) 내의 전동 모터의 도시하지 않는 출력축과 반대측에 결합된 ECU 하우징(11B)과, ECU 하우징(11B)에 3개의 고정 볼트(13)에 의해 결합된 덮개(14)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14)는, 커넥터 단자 조립체를 겸용하는 것이며, 합성 수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덮개(14)에는 각종 커넥터 배선부가 동시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다.
ECU 하우징(11B) 및 덮개(14)로 구성되는 수용 공간에는 전원 회로부(15)가 설치되고, ECU 하우징(11B)과 모터 하우징(11A)의 수납 공간에는 전력 변환 회로부(16), 제어 회로부(17)가 배치되어 있다. 전력 변환 회로부(16)에는, 본 실시형태의 적용 대상이 되는 접속 단자 조립체(18)가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해 납땜되어 고정되어 있다. 접속 단자 조립체(18)는 제어 회로부(17)에 접속되고, 제어 회로부(17)로부터의 제어 신호나 그 밖의 정보 신호를 전력 변환 회로부(16)에 전송하는 것이다. 전원 회로부(15), 전력 변환 회로부(16), 제어 회로부(17)는 전자 제어 조립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ECU 하우징(11B)의 내부에는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으로 만들어진 방열 기체(1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방열 기체(19)는 ECU 하우징(11B)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방열 기체(19)의 양면에는 편면 실장에 의해 전원 회로부(15) 및 전력 변환 회로부(16)를 구성하는 전기 부품이 배치된 금속 회로 기판(20, 21)이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회로 기판(20)과 금속 회로 기판(21) 사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방열 기체(19)가 배치되어 있고, 이 방열 기체(19)는 방열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ECU 하우징(11B)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ECU 하우징(11B)으로부터 외기에 방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금속 회로 기판(20, 21)과 방열 기체(19)는, 열적인 접촉을 높이기 위해 열전도성이 좋은 방열 접착제, 방열 시트, 방열 그리스 등의 방열 기능재가 금속 회로 기판(20, 2)과 방열 기체(19)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덮개(14)와 방열 기체(19) 사이에는,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장치에 사용되는 고압 직류 전원과,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제어 회로에 사용되는 저압 직류 전원의 생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전원 회로부(1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열 기체(19)의 전원 회로부(15)가 위치하는 쪽과 반대측에는, 전동 모터의 구동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를 실행하는 전력 변환 회로부(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방열 기체(19)를 경계로 하여 전원 회로부(15)의 금속 회로 기판(20)에 대향하도록,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금속 회로 기판(21)을 배치하고 있다.
종래의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금속 회로 기판(21) 상에, 복수의 MOSFET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소자(파워 스위칭 소자)(22), 및 이것의 출력용의 출력 커넥터 단자(도시하지 않음), 및 스위칭 소자(22)를 제어하는 게이트, 드레인, 소스 등의 입력 신호의 입력이나 스위칭 소자(22)의 동작 상황을 제어 회로부(17)에 피드백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18)가 실장되어 있다. 또한, 전원 회로부(15)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인버터측 커넥터 단자(도시하지 않음)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22)는,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6개의 스위칭 소자(22) 이외에 페일 세이프용의 3개의 스위칭 소자(22)도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접속 단자 조립체(18)는,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금속 회로 기판(21)에 납땜되어 있다. 즉, 자동기에 의해 배치부가 흡착되어 금속 회로 기판(21)에 자립, 배치된 후에,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한 납땜이 실행된다. 그리고,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한 납땜이 완료되면, 배치부와 단위 접속 단자 사이를 절단하여 단위 접속 단자를 금속 회로 기판(21) 상에 잔류시키도록 하고 있다.
금속 회로 기판(21)은, 알루미늄 기판의 위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이 절연층의 위에 레지스트막 및 동박으로 이루어진 배선 패턴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배선 패턴 상에 전기 부품이 배치되어, 각각의 전기 부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물론, 단위 접속 단자도 배선 패턴의 소정의 위치에 납땜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이해하기 쉽게 전술한 전기 부품을 배치한 쪽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1과 같이, 전기 부품이 하측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도 1로 되돌아가, 전력 변환 회로부(16)와 모터 하우징(11A) 사이에는,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스위칭 소자(22)의 스위칭 제어 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제어 회로부(17)가 배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17)는,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수지 기판(23) 상에, 스위칭 소자(22)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24) 등이 실장되어 있다. 수지 기판(23)은 전력 변환 회로부(16)와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 사이의 공간에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전기 부품과 제어 회로부(17)의 전기 부품이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 회로부(17)와 전력 변환 회로부(16)는 전술한 접속 단자 조립체(1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 조립체(18)는 배선 패턴에 납땜되어 있고, 이 납땜에는 「리플로우 프로세스」가 채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를 행하는 경우는, 자동화를 전제로 하여 접속 단자 조립체(18)를 자립시켜 두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성의 접속 단자 조립체(18)를 사용하면, 접속 단자 조립체(18)를 자동기에 의해 흡착하여 회로 기판에 자립시키는 배치부는, 「리플로우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절단하여 폐기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절단 공정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해져,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경우의 저해 요인이 된다. 또한, 배치부는 단위 접속 단자로부터 절단되어 폐기되기 때문에 쓸데없는 재료가 됨과 더불어, 접속 단자 조립체가 복잡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재료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하기가 어렵고, 회로 기판의 제조 단가를 인상하는 요인도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실시형태가 되는 접속 단자 조립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7에 대응하는 실시형태로서, 전력 변환 회로부(16)의 금속 회로 기판(21)에 본 실시형태의 접속 단자 조립체(25)를 납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각각의 접속 단자 조립체(25)는, 도 7에 비교해서 배치 위치를 변경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서, 본 실시형태가 되는 접속 단자 조립체(25)는, 복수의 단위 접속 단자(26)가 결합 흡착 부재(27)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 흡착 부재(27)에는, 자동기의 진공 흡착 노즐에 의한 흡착 기능에 의해 흡착되는 흡착면이 형성되고, 또한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접착부측(납땜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금속 회로 기판(21)에 대한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이것에 관해서는,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따라서, 흡착면을 구비한 결합 흡착 부재(27)가, 금속 회로 기판(21)에 잔류하는 단위 접속 단자(26)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치부를 절단하는 가공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하는 각각의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무게 중심 위치가, 금속 회로 기판(21)에 대한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 조립체(25)를 자립시켜 납땜 작업을 할 수 있고, 지그 등의 특별한 치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납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 흡착 부재(27)에 의해 무게 중심 위치를 낮은 쪽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안정성이 개선되어, 더욱 자립 기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접속 단자 조립체의 구성에 관해 도면을 인용하면서 설명한다. 도 3a∼도 3e 및 도 4a∼도 4e는, 1개의 단위 접속 단자(26)에 흡착면을 구비한 흡착 부재(28)를 고정한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흡착 부재(28)는 기본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결합 흡착 부재(27)와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고, 복수의 단위 접속 단자(26)를 결합하지 않는다고 하는 점에서 상이한 것이다.
도 3a∼도 3e에서, 단위 접속 단자(26)는 기본적으로는 3개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단위 접속 단자(26)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여, 대략 L자형으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회로 기판(21)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부(29)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29)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30)와, 접착부(29)와 단자부(30)를 접속하도록 굴곡된 굴곡부(31)로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31)는, 단위 접속 단자(26)의 하단부를 「ㄷ」자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굴곡부(31)의 하변이 접착부(29)로 되어 있다.
굴곡부(31)의 단자부(30)측에는, 합성 수지제의 흡착 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이 흡착 부재(28)는, 예컨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단위 접속 단자(26)와 일체화되어 있다. 흡착 부재(28)의 배치 위치는,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까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C)로부터 굴곡부(31)와의 사이의 영역(P)에 배치되어 있는 편이 좋은 것이다. 이것에 의해, 흡착 부재(28)를 포함하는 단위 접속 단자(26)의 전체의 무게 중심을 접착부(29)측으로 낮게 할 수 있어, 금속 회로 기판(21)에 배치했을 때의 안정성이 좋아지는 것이다.
또한, 이 흡착 부재(28)의 단자부(30)측의 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흡착면(32)이 되어 있다. 이 흡착면(32)은, 「리플로우 프로세스」를 행할 때에 자동기에 의해 흡착되며, 금속 회로 기판(21)의 배선 패턴으로 도포한 크림 땜납 위에, 단위 접속 단자(26)의 접착부(29)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치부를 절단하는 가공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흡착 부재(28)의 흡착면(32)측의 선단은, 접착부(29)의 길이 방향에서 볼 때 굴곡부(3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선단에는 금속 회로 기판(21)에 배치된 상태에서, 접착부(29)측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33)은, 단위 접속 단자(26)가 금속 회로 기판(21)에 납땜된 상태에서, 금속 회로 기판(21)과 접착부(29)의 접착 상태(필렛의 형성 상태 등)를 외관 화상 관찰 장치로 관찰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화상 관찰은 화살표 A로 나타내는 경사 방향으로부터 관찰하기 때문에, 경사면(33)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충분한 관찰을 실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착면(32)측의 선단에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33)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d와 같이, 흡착 부재(28)의 흡착면(32)의 선단측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진공 흡착하는 진공 흡착 노즐의 형상에 맞추기 위한 것과, 선단이 직사각형이면 모서리 부분이 여분의 중량이 되기 때문에 중량을 저감할 목적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단위 접속 단자(26)에 흡착 부재(28)를 부착했기 때문에, 「리플로우 프로세스」의 공정에서,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치부를 절단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흡착 부재(28)를 사용할 뿐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은 배치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접속 단자의 재료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a∼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부재(28)를 포함한 단위 접속 단자(26)의 전체의 무게 중심 G1이, 접착부(29)의 길이 방향의 길이 「L」의 범위에 내포되고, 게다가 접착부(29)의 폭 방향의 길이 「W1」의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즉, 전체의 무게 중심 G1을 접착부(29)측에 투영시킨 상태에서, 접착부(29)의 접착 범위 내에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흡착 부재(28)를 포함한 단위 접속 단자(26)를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C)로부터 굴곡부(31)와의 사이의 영역(P)에 흡착 부재(28)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 접속 단자(26)의 전체의 무게 중심 G1을 접착부(29)측으로 낮게 할 수 있어, 금속 회로 기판(21)에 배치했을 때의 안정성이 좋아져, 더욱 자립 기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4a∼도 4e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도 3a에 나타내는 접착부(29)와 굴곡부(31)의 폭 「W1」을 폭 「W2」로 확폭한 점에서 상이하다. 그 외에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 부재(28)보다 굴곡부(31)측을 포함하는 접착부(29B)와 굴곡부(31B)의 폭 「W2」는, 도 3a의 접착부(29)와 굴곡부(31)의 폭 「W1」에 비교해서 길게 되어 있다. 즉, 흡착 부재(28)로부터 접착부(29B)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의 폭이, 흡착 부재(28)로부터 단자부(30)의 선단까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흡착 부재(28)로부터 접착부(29B)까지의 폭이, 흡착 부재(28)로부터 단자부(30)의 선단까지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부분의 중량이 무거워지므로, 무게 중심 G2는 접착부(29)측에 근접하고 자립 기능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접착부(29)의 접착 범위(접착 면적)가 넓어지고, 단위 접속 단자(26)의 안정성이 좋아져, 더욱 자립 기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4a∼도 4e에 나타낸 단위 접속 단자(26)를 3개 연접한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예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 흡착 부재(27)에 의해, 3개의 단위 접속 단자(26)가 연접, 고정되어 있다.
도 5a∼도 5e에서, 각각의 단위 접속 단자(26)의 굴곡부(31B)의 단자부(30)측에는, 합성 수지제의 결합 흡착 부재(27)가 고정되어 있다. 이 결합 흡착 부재(27)는, 예컨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각각의 단위 접속 단자(26)를 등간격으로 연접, 고정하도록 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결합 흡착 부재(27)의 배치 위치는,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B)까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C)로부터 굴곡부(31B)와의 사이의 영역(P)에 배치되어 있는 편이 좋은 것이다. 이것에 의해,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하는 단위 접속 단자(26)의 전체의 무게 중심 G3을 접착부(29)측으로 낮게 할 수 있어, 접속 단자 조립체(25)를 금속 회로 기판(21)에 배치했을 때의 안정성이 좋아지는 것이다.
결합 흡착 부재(27)는 결합부(34)와 흡착부(3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단위 접속 단자(26)가 결합부(3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흡착 부재(27)의 중앙 부근, 즉 3개의 단위 접속 단자(26) 중 한복판의 단위 접속 단자(26) 부근에 흡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착부(35)의 기능은 제1 실시형태의 흡착 부재(28)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a∼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한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전체의 무게 중심 G3이, 접착부(29B)의 길이 방향의 길이 「L」의 범위에 내포되고, 게다가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3개의 접착부(29B)가 이어진 방향의 길이 「W3」의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즉, 전체의 무게 중심 G3을 접착부(29B)측에 투영시킨 상태에서,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3개의 접착부(29B)가 이어진 폭 「W3」과 접착부(29B)의 길이 방향의 길이 「L」로 결정되는 전체의 접착 범위에 내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한 접속 단자 조립체(25)를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a에 나타내 바와 같이, 접착부(29B)와 굴곡부(31B)의 폭 「W2」는, 도 3a의 접착부(29)와 굴곡부(31)의 폭 「W1」에 비교해서 길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접한 경우는, 이 부분의 폭의 길이가 길어짐과 더불어 중량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무게 중심 G3은, 접착부(29B)측에 근접하여 자립 기능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3개의 접착부(29B)를 합한 전체적인 접착 범위(접착 면적)이 넓어지고,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안정성이 좋아져, 더욱 자립 기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C)로부터 굴곡부(31)와의 사이의 영역(P)에 결합 흡착 부재(27)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위 접속 단자(26)의 전체의 무게 중심 G3을 접착부(29)측으로 낮게 할 수 있어, 금속 회로 기판(21)에 배치했을 때의 안정성이 좋아져, 더욱 자립 기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흡착면을 구비하는 결합 흡착 부재(27)가, 금속 회로 기판(21)에 잔류하는 단위 접속 단자(26)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치부를 절단하는 가공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 흡착 부재(27)를 사용할 뿐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은 배치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접속 단자의 재료 제거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제조 단가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하는 각각의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무게 중심 위치가, 금속 회로 기판(21)에 대한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 조립체(25)를 자립시켜 납땜 작업을 할 수 있고, 지그 등의 특별한 치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납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 흡착 부재(27)에 의해 무게 중심 위치를 낮은 쪽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안정성이 개선되어 더욱 자립 기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도 3a∼도 3e에 나타낸 단위 접속 단자(26)를 4개 연접한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예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 흡착 부재(27)에 의해 4개의 단위 접속 단자(26)가 연접, 고정되어 있다.
도 6a∼도 6e에서, 각각의 단위 접속 단자(26)의 굴곡부(31)의 단자부(30)측에는, 합성 수지제의 결합 흡착 부재(27)가 고정되어 있다. 이 결합 흡착 부재(27)는, 예컨대 인서트 성형에 의해 각각의 단위 접속 단자(26)를 등간격으로 연접, 고정하도록 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결합 흡착 부재(27)의 배치 위치는,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까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C)로부터 굴곡부(31B)와의 사이의 영역(P)에 배치되어 있는 편이 좋은 것이다.
이것에 의해,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하는 단위 접속 단자(26)의 전체의 무게 중심 G4를 접착부(29)측으로 낮게 할 수 있어, 접속 단자 조립체(25)를 금속 회로 기판(21)에 배치했을 때의 안정성이 좋아지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결합 흡착 부재(27)는 결합부(34)와 흡착부(3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단위 접속 단자(26)가 결합부(34)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흡착 부재(27)의 중앙 부근, 즉 4개의 단위 접속 단자(26) 중 중간의 2개의 단위 접속 단자(26)측에 흡착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착부(35)의 기능은 제1 실시형태의 흡착 부재(28)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a∼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한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전체의 무게 중심 G4가 접착부(29)의 길이 방향의 길이 「L」의 범위에 내포되고, 게다가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4개의 접착부(29)가 이어진 방향의 길이 「W4」의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즉, 전체의 무게 중심 G4를 접착부(29)측에 투영시킨 상태에서,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4개의 접착부(29)가 이어진 폭 「W4」와 접착부(29)의 길이 방향의 길이 「L」로 결정되는 전체의 접착 범위에 내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한 접속 단자 조립체(25)를 자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자부(30)의 선단으로부터 접착부(29)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C)로부터 굴곡부(31)와의 사이의 영역(P)에 결합 흡착 부재(27)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전체의 무게 중심을 접착부(29)측으로 낮게 할 수 있어, 금속 회로 기판(21)에 배치했을 때의 안정성이 좋아져, 더욱 자립 기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흡착면을 구비하는 결합 흡착 부재(27)가, 금속 회로 기판(21)에 잔류하는 단위 접속 단자(26)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배치부를 절단하는 가공 공정을 추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 흡착 부재(27)를 사용할 뿐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은 배치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접속 단자의 재료 제거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제조 단가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결합 흡착 부재(27)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무게 중심 위치가, 금속 회로 기판(21)에 대한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 조립체(25)를 자립시켜 납땜 작업을 할 수 있고, 지그 등의 특별한 치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납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 흡착 부재(27)에 의해 무게 중심 위치를 낮은 쪽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단자 조립체(25)의 안정성이 개선되어 더욱 자립 기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접속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접착부와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굴곡된 굴곡부와, 굴곡부보다 단자측에 고정되고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형성한 합성 수지제의 흡착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단위 접속 단자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단위 접속 단자를 조합한 접속 단자 조립체의 개개의 단위 접속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접착부와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굴곡된 굴곡부로 구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개개의 단위 접속 단자의 굴곡부보다 단자측이,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결합 흡착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게다가 결합 흡착 부재의 중앙 부근에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갖는 흡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결합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전체의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를 단위 접속 단자에 설치하고 있거나, 혹은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이 되는 흡착부를 구비한 결합 흡착부를 접속 단자 조립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흡착부 혹은 결합 흡착 부재를 절단한다고 하는 가공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제조 단가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접속 단자, 혹은 접속 단자 조립체를 단독으로 자립시켜 납땜 작업을 할 수 있고, 지그 등의 특별한 치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납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관해, 다른 구성의 추가ㆍ삭제ㆍ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기초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로는, 예컨대 이하에 설명하는 양태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접속 단자 조립체에서는, 그 하나의 양태에서, 적어도 1개의 단위 접속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 단자 조립체의 상기 단위 접속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접착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접착부와 상기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굴곡된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보다 상기 단자부측에 고정되고,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형성한 합성 수지제의 흡착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단자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접착부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와 상기 굴곡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양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단위 접속 단자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상기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상기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양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상기 접착부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의 폭이,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단자부까지의 폭보다 길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양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위 접속 단자를 조합한 접속 단자 조립체의 개개의 단위 접속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접착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접착부와 상기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굴곡된 굴곡부로 구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개개의 상기 단위 접속 단자의 상기 굴곡부보다 상기 단자부측이,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결합 흡착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게다가 상기 결합 흡착 부재의 중앙 부근에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갖는 흡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양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결합 흡착 부재는, 개개의 상기 단위 접속 단자의 상기 단자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접착부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와 상기 굴곡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양태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결합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상기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전체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어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기초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에 부수된 회로 기판으로는, 예컨대 이하에 설명하는 양태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회로 기판에서는, 그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전기 부품이 배치된 회로 기판과 상대측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가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해 납땜되어 있다.

Claims (8)

  1. 적어도 1개의 단위 접속 단자로 이루어진 접속 단자 조립체의 상기 단위 접속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접착부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대측 회로 기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접착부와 상기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상기 단자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굴곡된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상기 접착부의 방향으로 굴곡된 제2 굴곡부를 갖는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보다 상기 단자부측에 고정되고,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형성한 합성 수지제의 흡착 부재
    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상기 접착부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의 폭이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상기 단자부까지의 폭보다 길며,
    상기 흡착면이,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단자부의 고정 위치보다 상기 제1 굴곡부가 굴곡되는 상기 길이 방향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단자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접착부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와 상기 굴곡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단위 접속 단자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상기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상기 접착부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
  4. 삭제
  5. 복수개의 단위 접속 단자를 조합한 접속 단자 조립체의 개개의 단위 접속 단자가,
    회로 기판에 납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착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접착부에 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대측 회로 기판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대측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단자부와,
    상기 접착부와 상기 단자부를 접속하도록 상기 단자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굴곡된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 상기 접착부의 방향으로 굴곡된 제2 굴곡부를 갖는 굴곡부로 구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개개의 상기 단위 접속 단자의 상기 굴곡부보다 상기 단자부측이,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결합 흡착 부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게다가 상기 결합 흡착 부재의 중앙 부근에 자동기에 의한 흡착면을 갖는 흡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상기 접착부까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의 폭이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상기 단자부까지의 폭보다 길며,
    상기 흡착면이,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단자부의 고정 위치보다 상기 제1 굴곡부가 굴곡되는 상기 길이 방향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흡착 부재는 개개의 상기 단위 접속 단자의 상기 단자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접착부까지의 사이의 중간 위치와 상기 굴곡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전체의 무게 중심 위치를 상기 접착부측에 투영한 투영 위치가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의 전체의 접착 범위에 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
  8. 전기 부품이 배치된 회로 기판과 상대측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 조립체가 「리플로우 프로세스」에 의해 납땜된 회로 기판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 조립체가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속 단자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KR1020197007043A 2016-09-29 2017-08-09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 KR102229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0826 2016-09-29
JP2016190826A JP6783606B2 (ja) 2016-09-29 2016-09-29 接続端子組立体、及びこの接続端子組立体を使用した回路基板
PCT/JP2017/028877 WO2018061490A1 (ja) 2016-09-29 2017-08-09 接続端子組立体、及びこの接続端子組立体を使用した回路基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631A KR20190038631A (ko) 2019-04-08
KR102229077B1 true KR102229077B1 (ko) 2021-03-18

Family

ID=6176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043A KR102229077B1 (ko) 2016-09-29 2017-08-09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0812B2 (ko)
JP (1) JP6783606B2 (ko)
KR (1) KR102229077B1 (ko)
CN (1) CN109661753B (ko)
DE (1) DE112017004895T5 (ko)
WO (1) WO2018061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5815B2 (en) * 2020-12-23 2023-09-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rinted circuit board based solid state re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6009A (ja) * 2011-01-26 2012-08-16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ピンヘッダー、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4014A (en) * 1972-05-01 1975-02-04 Amp Inc Coined post for solder stripe
NL8900920A (nl) * 1989-04-13 1990-11-01 Philips Nv Inrichting bevattende een drager met openingen voor het plaatsen van pennen.
DE69426344T2 (de) * 1993-09-14 2001-08-09 Zierick Mfg Corp Oberflächenmontierter elektrischer Verbinder
GB9407137D0 (en) * 1994-04-11 1994-06-01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suction platform for facilitating picking
FR2721161B1 (fr) * 1994-06-13 1996-09-06 Valeo Electronique Module électronique en technologie SMI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tel module.
JP3843514B2 (ja) * 1995-12-15 2006-11-08 イビデン株式会社 電子部品搭載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5957739A (en) * 1996-01-11 1999-09-28 Autosplice Systems Inc. Continuous electronic stamping with offset carrier
US6471538B2 (en) * 1998-11-30 2002-10-29 Advantest Corp.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US6997727B1 (en) * 2003-03-14 2006-02-14 Zierick Manufacturing Corp Compliant surface mount electrical contacts for circuit board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4100694B2 (ja) * 2004-05-31 200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060958A (ja) * 2013-09-19 2015-03-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リードフレームを使用した電子制御装置及びリードフレーム搭載方法
CN203883183U (zh) * 2014-06-14 2014-10-15 安费诺凯杰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新型表贴连接器
KR101644123B1 (ko) * 2014-10-07 2016-07-29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CN204538287U (zh) * 2015-02-26 2015-08-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
JP6258370B2 (ja) * 2016-02-02 2018-0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6009A (ja) * 2011-01-26 2012-08-16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ピンヘッダー、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631A (ko) 2019-04-08
US10770812B2 (en) 2020-09-08
CN109661753A (zh) 2019-04-19
WO2018061490A1 (ja) 2018-04-05
JP6783606B2 (ja) 2020-11-11
US20190221952A1 (en) 2019-07-18
JP2018055961A (ja) 2018-04-05
DE112017004895T5 (de) 2019-06-06
CN109661753B (zh)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060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20160204670A1 (en) Drive device
US8659194B2 (en) Motor drive apparatus
JP6361807B2 (ja) 電子部品搭載用放熱基板
WO2015040868A1 (ja) リードフレーム、リードフレームを使用した電子制御装置及びリードフレーム搭載方法
KR102229077B1 (ko)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
WO2017159341A1 (ja) 回路構成体
US20110254148A1 (en) Semiconductor apparatus
JP5991605B1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4479522B2 (ja) 電子装置
JP200212792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US11634170B2 (en) Electric power-steering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unit
JP3600560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回路装置
JP6499735B2 (ja) 電子制御装置
JP2004345643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回路装置
JP2007195289A (ja) 回路構成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58485Y1 (ko)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JP2016225629A (ja) 電子部品搭載用放熱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