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485Y1 -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485Y1
KR200458485Y1 KR2020100003719U KR20100003719U KR200458485Y1 KR 200458485 Y1 KR200458485 Y1 KR 200458485Y1 KR 2020100003719 U KR2020100003719 U KR 2020100003719U KR 20100003719 U KR20100003719 U KR 20100003719U KR 200458485 Y1 KR200458485 Y1 KR 200458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olt
junction box
c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807U (ko
Inventor
임태재
이규봉
최길순
Original Assignee
영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화테크(주) filed Critical 영화테크(주)
Priority to KR2020100003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48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8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4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써, 정션박스에서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입력부재에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퓨즈 및 릴레이가 실장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하나에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전원 입력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연결볼트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동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POWER SUPPLY CONNECTOR FOR JUNCTION BOX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에서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입력부재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일종의 신경계통으로서 전기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해야만 비로소 자동차가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전기 장치는, 기관의 작동과 관련된 전기장치와 기관 이외의 차체 각부에 장치된 차체 전장품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다양한 전장품 및 모터 구동 장치들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정션 박스(Junction box)를 통한 배선이 구성된다. 정션 박스에는 예컨대, 연료탱크, 엔진, 에어컨, 등화장치, 경고 표시장치 등에 과전류 및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장치로서 퓨즈나 릴레이 등이 설치된다.
정션 박스는 자동차에서 퓨즈나 릴레이 등의 전기 회로를 집약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에 설치된 다양한 전기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각 전기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전기회로를 구비한다.
그리고, 정션박스는 자동차의 각 전자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분배 센터의 역할을 하며, 정션박스를 구성하는 부품인 퓨즈, 릴레이, 다이오드 등을 통해 누전 및 전기적인 합선에 의한 화재로부터 배선 및 차량을 보호한다. 또한, 정션박스는 램프, 전동 팬, 전원모드 등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여 관련된 전장품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정션 박스는 제 2의 하니스(Harness)로 불리우며, 차량의 고급화 및 경량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정션 박스는 하니스에서 퓨즈나 릴레이 터미널로 연결되는 배선을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처리하고, 인쇄회로 기판의 배선은 커넥터를 통해 하니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차량에 설치된 정션 박스는 작업성을 개선하여 배선의 신뢰성을 제공하며, 엔진룸과 실내 운전석 주변에 장착되어 배선 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한 정션박스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전원연결부재(4)는, 인쇄회로기판(6)에 납땜(S)으로 부착되어 돌출 설치되는 구조물인 프레임(8)과, 상기 프레임(8)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인쇄회로기판(6)을 통해 설치되는 연결볼트(10)를 포함한다.
상기한 프레임(8)에는, 연결볼트(10)가 삽입되는 볼트공(12)이 형성된 상부 가이드면(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면(14)에는, 3변에서 각각 절곡되어 3면을 형성하는 측면 가이드면(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측면 가이드면(16) 중 1면 및 상부 가이드면(14)에 마주하는 바닦면은, 연결볼트(10)를 조립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가이드면(16)에는, 연결볼트(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탄성돌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탄성돌기부(18)는 연결볼트(10)가 프레임(8)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면 가이드면(16)의 하단에는, 인쇄회로기판(6)의 홈(20)에 삽입할 수 있도록 테이퍼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인쇄회로기판(6)의 홈(22)에 삽입되는 테이퍼부(20)는, 인쇄회로기판(6)에 납땜으로 부착된다.
상기한 전원연결부재(4)의 연결볼트(10)는,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선을 통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12)을 통해 조립된다.
이러한 연결볼트(10)는, 볼트공(12)에 조립시 측면 가이드면(16)의 탄성돌기부(18)에 압입되어 조립된다. 이에 따라, 연결볼트(10)는, 탄성돌기부(18)에 의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원연결부재(4)는, 볼트공(12)에 연결볼트(10)를 조립시켜 고정한 다음, 프레임(8)의 테이퍼부(20)를 인쇄회로기판(6)의 홈(22)에 테이퍼부(20)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테이퍼부(20)를 인쇄회로기판(6)에 납땝(S)을 하면 프레임(8)이 인쇄회로기판(6)에 부착된다. 상기한 프레임(8)이 인쇄회로기판(6)에 부착되면, 배터리 및 발전기의 전기는 연결볼트(10)에 체결된 전원연결판(36) 및 전선을 통해 정션박스에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전원연결부재(4)는, 프레임(8)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비 및 가이드면의 밴딩과 탄성돌기부(18)의 가공에 따른 가공비의 상승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프레임에 조립시킨 후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은 연결볼트에 가해지는 조임 토크에 의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부에 동판부를 부착시킴으로써, 연결볼트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볼트를 바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거로운 수작업이 생략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입력부재의 가공 및 설치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볼트가 접촉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부 에 동판부를 도금 처리하여 형성함으로써, 통전량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볼트의 조임시 프레임의 변형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연결볼트를 인쇄회로기판에 직접 연결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퓨즈 및 릴레이가 실장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하나에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전원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정션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연결볼트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동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판부는, 연결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동판부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부착홈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판부는, 베이스의 볼트 좌면 상부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양면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판부는, 연결볼트를 지지하는 볼트 좌면의 상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베이스의 볼트 좌면이 연결볼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 인쇄회로기판에 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터리 및 발전기에 연결되는 정션박스의 연결볼트를 인쇄회로기판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에 설치된 동판부를 이용하여 연결볼트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볼트의 설치 작업시 작업공수가 생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볼트가 접촉하는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부에 동판부를 도금 처리하여 형성함으로써, 통전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볼트의 설치 작업시 조임토크에 의한 프레임의 변형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정션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전원연결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원연결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정션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연결부재의 동판부가 형성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전원연결부재에 전원연결판이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에 나타낸 볼트 좌면이 베이스의 커넥터 상측면에 돌출 형성됨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용 정션박스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퓨즈 및 릴레이가 실장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인쇄회로기판(6)과, 상기 인쇄회로기판(6) 중 하나에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전원연결부재(4)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특징부인 전원연결부재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연결부재(4)는,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볼트(10)를 구비한다. 상기한 연결볼트(10)는, 배터리 및 발전기에 전선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연결볼트(10)는, 전원연결판(36)을 연결하여 배터리 및 발전기의 전원이 정션박스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연결부재(4)의 연결볼트(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5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6)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상기한 전원연결부재(4)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볼트(10)에 설치된 전원 연결판(36)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복층 인쇄회로기판(6) 중 상측 인쇄회로기판(6a)의 모서리에 동판부(30)가 부착된다.
상기한 동판부(30)는, 인쇄회로기판(6)에 부착될 수 있도록 박막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6)에는, 동판부(30)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홈(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착홈(32)에 압착되는 동판부(30)에는, 인쇄회로기판(6)을 관통하는 볼트 삽입공(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판부(30)는, 인쇄회로기판(6)에 부착됨으로써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동판부(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6a)의 코너부 상하 양면에 형성된 부착홈(32a)(32b)에 동판부(30a)(30b)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판부(30)는, 인쇄회로기판(6a)의 코너부 상하 양면을 도금함으로써, 동판부(30a)(30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도금층으로 형성되는 동판부(30)는, 연결볼트(10)에 의한 통전량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볼트(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6)의 동판부(30)에 접속이 용이하도록 베이스(50)의 볼트 좌면(52)으로 지지된다. 상기한 볼트 좌면(52)은, 연결볼트(1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50)의 일측에 돌출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6)에는, 볼트 좌면(52)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측 인쇄회로기판(6b)에 절단부(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절단부(7)는, 베이스(50)의 볼트 좌면(52)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연결볼트(10)가 볼트 좌면(52)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판부(3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장부품에 대한 전원공급이 용이하도록 전원연결판(36)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좌면(52)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볼트(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50)의 커넥터 상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연결부재(4)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복층 인쇄회로기판(6)의 상층 모서리에 부착홈(32)을 형성한다. 상기한 상측 인쇄회로기판(6a)의 부착홈(32)에는 박막의 동판부(30)를 부착한다.
상기한 동판부(30)는, 박막의 동판 및 도금에 의한 도금층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동판부(30)측 두께는, 주변의 인쇄회로기판(6a)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인쇄회로기판(6a)에 부착된 동판부(30)에는, 연결볼트(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 삽입공(34)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한 판상의 동판부(30)를 통해 연결볼트(10)를 인쇄회로기판(6a)에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전원연결판(36)을 연결볼트(10)에 체결하면 전원연결부재(4)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8)을 인쇄회로기판(6)에 납땜(S)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공수 및 제조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결볼트(10)는, 베이스(50)에 돌출된 볼트 좌면(52)에 의하여 하측 인쇄회로기판(6)의 절단부(7)를 통해 하부에서 정확히 지지된다. 이에 따라, 연결볼트(10)가 동판부(30)에 정확히 접촉됨에 따라 통전량은 향상된다.
상기한 인쇄회로기판(6)의 동판부(30)상에 전원연결판(36)이 연결볼트(10)에 의해 설치되면, 배터리 및 발전기의 전원이 입력되거나 다른 전장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볼트가 설치되도록 하는 판상의 동판부를 단순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원가 및 작업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동차용 정션박스 제조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4: 전원연결부재 6: 인쇄회로기판
10: 연결볼트 30: 동판부
32: 부착홈 34: 볼트 삽입공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다수의 퓨즈 및 릴레이가 실장되고 상하로 적층되는 인쇄회로기판(6) 중 하나에 설치되어 배터리 및 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4)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재(4)는,
    연결볼트(1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6)의 일측면에 상기 연결볼트(10)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볼트 삽입공(34)이 형성된 동판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동판부(30)는, 인쇄회로기판(6)에 형성되는 부착홈(3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판부(30)는, 베이스(50)의 볼트 좌면(52) 상부에 해당하는 인쇄회로기판(6)의 양면에 도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좌면(52)은, 연결볼트(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50)의 커넥터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6)은, 베이스(50)의 볼트 좌면(52)이 연결볼트(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 인쇄회로기판(6b)에 절단부(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KR2020100003719U 2010-04-09 2010-04-09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KR200458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19U KR200458485Y1 (ko) 2010-04-09 2010-04-09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19U KR200458485Y1 (ko) 2010-04-09 2010-04-09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07U KR20110009807U (ko) 2011-10-17
KR200458485Y1 true KR200458485Y1 (ko) 2012-02-22

Family

ID=4593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719U KR200458485Y1 (ko) 2010-04-09 2010-04-09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48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202B1 (ko) 2000-08-10 2003-01-24 영화테크(주) 정션박스
JP2004221002A (ja) 2003-01-17 2004-08-05 Toyota Industries Corp 電源開閉装置
KR200414929Y1 (ko) * 2006-01-20 2006-04-28 지원정보(주) 방수형 접지 단자함
KR20100001900U (ko) * 2008-08-13 2010-02-23 영화테크(주) 정션박스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202B1 (ko) 2000-08-10 2003-01-24 영화테크(주) 정션박스
JP2004221002A (ja) 2003-01-17 2004-08-05 Toyota Industries Corp 電源開閉装置
KR200414929Y1 (ko) * 2006-01-20 2006-04-28 지원정보(주) 방수형 접지 단자함
KR20100001900U (ko) * 2008-08-13 2010-02-23 영화테크(주) 정션박스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07U (ko) 201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5220B1 (en) Electric distribution block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4304111B2 (ja) 電気接続箱
US10141660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connection terminal component
US10090657B2 (en) Circuit assembly, connected busbar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JP5150291B2 (ja) 電気接続箱
US20180026381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connection terminal component
US7470130B2 (en) Junction box having components combined to an inner cover
JP2007228757A (ja) 電気接続箱
KR200458485Y1 (ko) 자동차 정션박스용 전원연결부재
KR101209559B1 (ko) 정션 박스용 전원연결부재
JP5561521B2 (ja) 電気接続箱
JP5376209B2 (ja) 回路構成体
JP2015084613A (ja) 電気接続箱
JP2007068308A (ja) 電気接続箱
JP2006203976A (ja) 電気接続箱
JP5605635B2 (ja) 回路構成体及び電気接続箱
JP2012228082A (ja) 回路構成体及び電気接続箱
KR102229077B1 (ko) 접속 단자 조립체 및 이 접속 단자 조립체를 사용한 회로 기판
US20190115683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assembly
JP5531565B2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
KR20130029299A (ko) 자동차용 배터리 전원 분배 장치
WO2022224677A1 (ja) 回路構成体
JP4914247B2 (ja) 電子制御装置
JP2006191732A (ja) 回路構成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接続箱
KR101188679B1 (ko) 차량용 정션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