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397B1 -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397B1
KR102227397B1 KR1020140125922A KR20140125922A KR102227397B1 KR 102227397 B1 KR102227397 B1 KR 102227397B1 KR 1020140125922 A KR1020140125922 A KR 1020140125922A KR 20140125922 A KR20140125922 A KR 20140125922A KR 102227397 B1 KR102227397 B1 KR 102227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mode
control syste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4671A (ko
Inventor
최호진
차홍준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3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3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변속 모드에서는 변속단을 선택하고, DIS 모드에서는 제어 대상 기능을 선택하는 다이얼 조작부;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변속 모드 또는 DIS 모드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활성화된 모드에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변속단을 변경 또는 상기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Inter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 모드 및 DIS 모드를 하나의 다이얼 조작부를 통해 제어하고, 운전자가 차량에 무선 충전 중인 휴대 전자기기를 두고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길 안내를 해주는 네비게이션, 음악을 재생하는 오디오 장치, 차량 내에서 티비를 시청하게 해주는 DMB 장치 등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전장장치가 많이 설치되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전장장치는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전장장치들은 계속 늘어나고 있으나, 이러한 전장장치는 각각 개별적으로 부착된 조작버튼 등을 통해 조작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전장장치들을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제어하는 DIS(Driving Information System)을 도입되었고, 이러한 DIS는 운전자에게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켜주기에 운전자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DIS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작 장치가 구비되어야하며, 상기 조작 장치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콘솔박스 인근에 설치된다. 또한, 콘솔 박스의 인근에는 차량의 변속단을 변경하는 변속 레버도 설치되기에 콘솔 박스의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고, 최근에는 변속 레버도 DIS의 조작 장치와 같이 다이얼 타입으로 출시되고 있어, 운전자가 변속 다이얼과 DIS 다이얼을 혼동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보편화되었고,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기기는 상용전원이 아닌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기기를 차량에서도 충전할 수 있도록 차량 내에 충전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관상 좋지 않은 유선 충전 방식보다 무선 충전 방식의 충전 장치가 차량에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차량에서 휴대기기를 무선 충전 가능하게 되었으나, 운전자가 휴대기기를 무선 충전 중임을 깜빡하고 차량에서 내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4-017112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0435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속 모드 및 DIS 모드를 하나의 다이얼 조작부를 통해 제어하고, 차량 내에서 무선 충전 중인 휴대 단말기를 놓고 내리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변속 모드에서는 변속단을 선택하고, DIS 모드에서는 제어 대상 기능을 선택하는 다이얼 조작부;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및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변속 모드 또는 DIS 모드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활성화된 모드에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변속단을 변경 또는 상기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운행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변속 모드 또는 DIS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변속 모드에서는 변속단을 선택하고, 상기 DIS 모드에서는 제어 대상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모드에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변속단을 변경 또는 상기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변속 모드 및 DIS 모드를 하나의 다이얼 조작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내에서 무선 충전 중인 휴대 전자기기를 두고 내리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일부 구성이 차실 내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이 변속 모드일 때에 다이얼 조작부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이 DIS 모드일 때에 다이얼 조작부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에서 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차량을 주행 중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일부 구성이 차실 내에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이 변속 모드일 때에 다이얼 조작부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이 DIS 모드일 때에 다이얼 조작부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1)은 차량의 변속기 및 차량에 장착된 각종 전장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1)은 정보 획득부(200), 다이얼 조작부(300), 무선 충전부(500) 및 컨트롤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1)은 모드 변경부(400), 라이트 가이드부(600), 디스플레이부(700) 및 경고 알림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획득부(200)는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정보 획득부(200)가 획득하는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에는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현재 변속단 정보, 차량의 시동의 온/오프에 대한 정보, 무선 충전부(500)에 충전 대상체(P)의 무선 충전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에는 차량의 윈도우 열림에 관한 정보, 차량의 도어 열림에 관한 정보, 사이드 브레이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획득부(200)는 획득한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컨트롤부(100)에 전송한다.
정보 획득부(200)는 차량 내에 장착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어, 상기 센서들을 통해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부(100)는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변속 모드 또는 DIS(Drive Information System) 모드 중 하나를 활성화시킨다. DIS(Drive Information System)란, 차량에 장착된 오디오 장치, AV 장치, 열선 시트, 멀티미디어, 통신, 네이게이션, 공조 장치 등 전장장치들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어 및 관리하며, 이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DIS 모드란, 상기 각종 전장 장치를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컨트롤부(100)는 하나의 모드가 활성화될 경우, 나머지 하나의 모드는 비활성화되며, 두개의 모드가 함께 활성화시킬 수는 없다. 이러한, 컨트롤부(100)는 변속기, DIS를 비롯해, 구동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의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컨트롤부(100)는 상기 운행 상태 정보 중 현재 변속단 정보 및 시동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변속단이 주차 또는 중립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에서 온된 경우에 변속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이후, 컨트롤부(100)는 기 설정된 시간까지 현재 변속단의 상태가 계속 유지될 경우에 DIS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대략 3~5분 정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설정 시간이 변경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로서, DIS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컨트롤부(100)는 상기 운행 상태 정보 중 현재 변속단 정보 및 차량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변속단이 주행 또는 후진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제어 대상 기능 중 네이게이션 기능, DMB기능 등을 비활성화시킨다. 즉, DIS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 속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운전자가 DIS 모드 중 네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등을 선택하여도 해당 기능에 대해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한다. 이는 네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등은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을 크게 방해하는 기능들로서, 운전 중에 상기 기능들을 조작할 경우,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운전 중에 DMB 시청을 법규로 금지하였다.
컨트롤부(100)는 상기 활성화된 모드에서 다이얼 조작부(300)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 또는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한다. 즉, 컨트롤부(100)는 변속 모드에서는 변속기의 변속단을 변속 모드에서 다이얼 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으로 변경하고, DIS 모드에서 다이얼 조작부의 회전 조작에 의해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한다.
그리고 다이얼 조작부(300)는 변속 모드에서는 주차, 중립, 후진 및 주행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을 선택한다. 즉, 컨트롤부(100)에 의해 변속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운전자가 다이얼 조작부(300)를 회전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변속단을 선택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변속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현재 변속단이 중립일 때, 운전자는 다이얼 조작부(300)를 소정의 각도로 정회전하면 주차가 선택되고, 다이얼 조작부(3000)를 소정의 각도로 역회전하면 후진이 선택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DIS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운전자가 다이얼 조작부(300)를 회전 조작하여 사용자가 제어하기를 원하는 전장장치 중 오디오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이얼 조작부(300)를 통해 오디오 장치 선택한 경우, 오디오 장치의 다수의 제어 대상 기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운전자가 다수의 제어 대상기능 중 볼륨 기능을 선택한 경우, 다이얼 회전 조작부를 다시 회전 조작하여 볼륨을 업하거나 다운시킬 수 있다.
다이얼 조작부(300)는 운전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된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다이얼 조작부(300)를 통해 변속단 및 제어 대상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부(600)는 현재 활성화된 모드를 운전자에게 표시해주는 구성요소로서, 변속 모드에서는 제1색으로 발광하고, DIS 모드에서는 제 2색으로 발광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라이트 가이드부(600)에서 발광하는 색을 보고 현재 활성화된 모드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속 모드가 활성화되면 블루 계열을 색을 발광하고, DIS 모드가 활성화되면 레드 계열을 색을 발광할 수 있으나, 라이트 가이드(600)가 발광되는 색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이트 가이드부(600)는 운전자에게 현재 활성화된 모드를 인식시켜 주어야 하기에, 운전자의 시야에 위치하여야한다. 따라서, 라이트 가이드부(600)는 차량의 계기판의 아이콘(700c)이나 헤드업 디스플레이(700b), 스티어링 휠(미도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라이트 가이드부(600)를 통해 현재 활성화된 모드를 인식한 후에 다이얼 조작부(300)를 회전 조작하기 때문에, 다이얼 조작부(30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얼 조작부(300)가 차량용 콘솔 어셈블리(10)에 구비될 경우, 라이트 가이드부(600)도 콘솔 어셈블리(10)에 구비될 수 있다.
모드 변경부(400)는 활성화되는 모드를 변경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변속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모드 변경부(400)를 조작하면 변속 모드는 비활성화되고 DIS 모드는 활성화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모드 변경부(400)는 터치 패널, 버튼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변경부(400)가 터치 패널로 이루어질 경우, 운전자가 터치 패널을 한번 또는 두번 연속하여 터치하면 활성화되는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모드 변경부(400)는 운전자의 조작하기 편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드 변경부(400)는 스티어링 휠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모드 변경부를 사용하는 이유는 활성화되는 모드를 변경하여 다이얼 조작부를 통해 변속단 또는 제어 대상 기능를 선택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모드 변경부(400)는 다이얼 조작부(300)에 인접한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모드 변경부(400)는 콘솔 어셈블리(10)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700)는 DIS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DIS 모드에서 다이얼 조작부(30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제어 대상 기능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부(100)에 의해 DIS 모드가 활성화될 경우, 디스플레이부(700)에는 제어 대상 기능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운전자가 DIS 모드에서 제어 대상 기능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대상 기능의 아이콘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장착된 전장장치에 관한 기능을 상징하는 아이콘들이 될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다이얼 조작부(300)를 통해 제어 대상 기능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부(700)는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의 세부 기능에 관한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의 실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DIS 모드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을 선택할 경우, 디스플레이부(700)에는 네비게이션 기능의 세부 기능인 목적지 탐색 기능, 최근 목적지 탐색 기능, 환경 설정 기능 등을 표시하고, 운전자는 다이얼 조작부를 통해 상기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700)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인스트루패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700a), 계기판의 아이콘(700c), 헤드 업 디스플레이(700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충전부(500)는 충전 대상체(P)를 무선 충전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충전 대상체(P)는 스마트폰, PMP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가 될 수 있고, 충전 대상체(P)에는 무선 전력 수신기(미도시)가 내장되어 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500)는 자기 유도, 자기 공명 등의 방식으로 전력을 충전 대상체에 무선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 대상체(P)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무선 전력 송신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야 충전 효율이 높기 때문에, 무선 충전부는 충전 대상체를 무선 전력 송신기의 위치로 거치시키는 거치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컨트롤부(100)는 정보 획득부(200)를 통해 획득한 무선 충전 정보를 기초로 하여, 무선 충전부(500)에서 무선 충전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부(100)는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무선 충전부(500)가 충전 대상체(P)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컨트롤부(100)는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부(500)가 충전 대상체(P)를 계속 무선 충전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경고신호는 경고 알림부(800)로 입력되며, 경고 알림부(800)는 경고 신호에 대응되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에 충전 대상체(P)를 놓고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상태라도 차량에는 잔류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무선 충전부(500)는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막 오프된 상태에서 충전 대상체(P)를 소정의 시간 동안 계속 무선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라도 차량의 배터리 전력을 통해 무선 충전부(500)에서 충전 대상체(P)를 무선 충전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 획득부(200)는 무선 충전부(500)의 무선 충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경고 알림부(800)는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경고 알림부(800)는 컨트롤부(100)에서 생성한 경고 신호를 입력받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경고 알림부(800)는 음성, 진동, 시각 효과 등을 통해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경고 알림부(800)는 경고음, 스티어링 휠, 좌석 등에 진동, 헤드 램프의 깜빡임 등의 시각 효과 등을 통해서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정보 획득부(200)에서 차량에 장착된 각종 센서들을 통해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110). 획득된 상기 운행 상태 정보는 컨트롤부로 전달된다. 컨트롤부는 획득된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변속 모드 또는 DIS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킨다(S120).
컨트롤부에 의해 변속 모드 또는 DIS 모드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될 경우, 다이얼 조작부는 변속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변속단을 선택하고, DIS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어 대상 기능을 선택한다(S130).
따라서, 컨트롤부는 활성화된 모드에서 다이얼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 또는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한다(S140). 즉, 컨트롤부는 다이얼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변속단으로 변속기를 제어하고, 다이얼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부가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출력한다(S150).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 내에서 무선 충전 중인 충전 대상체를 차량에 두고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세부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에서 온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변속단이 주차인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을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하면(S210), 컨트롤부는 변속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라이트 가이드부를 제 1색으로 발광하게 한다(S220). 다만, 소정의 실시예에서 컨트롤러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에서 온된 경우, 컨트롤부는 변속 모드를 활성화시키면서 현재의 변속단을 주차로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부는 상기 주차의 변속단이 기 설정된 시간까지 유지되는지를 판단한다(S230). 컨트롤부는 기 설정된 시간(Ts)까지 상기 변속단을 주차로 유지되는 될 경우, DIS 모드를 활성화시킨다(S240). 즉, 운전자가 기 설정된 시간(Ts)까지 다이얼 조작부를 통해 변속단을 후진 또는 주행으로 변경하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의지가 없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모드 변경부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컨트롤부는 변속 모드에서 DIS 모드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3 내지 5분 정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전자에 의해 시간이 설정될 수도 있다.
운전자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다이얼 조작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변속단을 주행 또는 후진을 선택할 경우, 컨트롤러는 변속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도 8은 차량을 주행 중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정보 획득부는 주행 중인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S310), 컨트롤부는 현재 활성화된 모드가 DIS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20). DIS 모드가 활성화 된 경우, 컨트롤부는 정보 획득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운행 정보 중 차량의 속도 정보를 기초로하여, 차량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값(Ta)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320). 이에 컨트롤부는 획득된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값(Ta)보다 큰 경우, 제어 대상 기능 중 네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등을 비활성화시킨다(S340). 즉, 컨트롤부는 DIS 모드에서 운전자가 다이얼 조작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을 선택하여도 상기 기능을 활성화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능은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을 크게 저하시키는 기능이므로 상기 기능을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차량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경우(S410), 정보 획득부를 통해 무선 충전부에 관한 정보 및 도어의 열림 정보를 획득한다(S420). 컨트롤부는 획득된 무선 충전부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하여 무선 충전부의 무선 충전여부를 판단한다(S430).
무선 충전부에서 무선 충전이 계속되는 경우, 컨트롤부는 도어 열림 정보를 기초로하여 도어의 열림 여부를 판단한다(S440). 만약, 도어 열림이 인식될 경우, 컨트롤부는 경고 알림부에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450). 또한, 컨트롤부는 경고 메시지의 알림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Tp)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460). 컨트롤부는 경고 메시지의 알림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Tp)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알림부의 경고 메시지 출력을 멈춘다(S480).
다만, 컨트롤부는 경고 메시지 알림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Tp)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무선 충전부에서 무선 충전이 계속되는지를 판단한다S(S470). 컨트롤러부는 무선 충전부에서 무선 충전이 멈추면 경고 알림부에서의 경고 메시지 출력을 멈추고, 무선 충전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경고 알림부에서 경고 메시지를 계속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경우, 차량의 윈도우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열린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컨트롤부는 차량의 시동이 온에서 오프된 경우(S510), 정보 획득부를 통해 무선 충전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S520). 컨트롤부는 획득된 무선 충전부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하여 무선 충전부의 무선 충전여부를 판단한다(S530).
무선 충전부에서 무선 충전이 계속되는 경우, 컨트롤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의 무선 충전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Tb)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540). 상기 무선 충전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Tb)보다 큰 경우, 컨트롤부는 경고 알림부에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S550). 또한, 컨트롤부는 경고 메시지의 알림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Tp)을 초과하는 지를 판단한다(S560). 컨트롤부는 경고 메시지의 알림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Tp)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알림부의 경고 메시지 출력을 멈춘다(S580).
다만, 컨트롤부는 경고 메시지 알림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Tp)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무선 충전부에서 무선 충전이 계속되는지를 판단한다(S570). 컨트롤러부는 무선 충전부에서 무선 충전이 멈추면 경고 알림부에서의 경고 메시지 출력을 멈추고, 무선 충전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경고 알림부에서 경고 메시지를 계속 출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100: 컨트롤부
200: 정보 획득부 300: 다이얼 조작부
400: 모드 변경부 500: 무선 충전부
600: 라이트 가이드부 700: 디스플레이부
800: 경고 알림부

Claims (16)

  1.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변속 모드에서는 변속단을 선택하고, DIS 모드에서는 제어 대상 기능을 선택하는 다이얼 조작부;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및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현재 변속단 정보, 차량의 시동의 온/오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운전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상기 변속 모드 또는 DIS 모드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활성화된 모드에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변속단을 변경 또는 상기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가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알리는 경고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변속단이 주차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에서 온된 경우, 상기 변속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기 설정된 시간까지 상기 변속단의 주차 상태가 유지될 경우, 상기 DIS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DIS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능 중 네비게이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모드에서는 제1색으로 발광하고, 상기 DIS 모드에서는 제2색으로 발광하는 라이트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변속단 또는 제어 대상 기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11.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의 속도 정보, 차량의 현재 변속단 정보, 차량의 시동의 온/오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운행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운전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변속 모드 또는 DIS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상기 변속 모드에서는 변속단을 선택하고, 상기 DIS 모드에서는 제어 대상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모드에서 다이얼 조작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변속단을 변경 또는 상기 선택된 제어 대상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 및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무선 충전부가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가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부가 상기 충전 대상체를 무선 충전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변속단이 주차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에서 온된 경우, 상기 변속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까지 상기 변속단의 주차 상태가 유지될 경우, 상기 DIS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DIS 모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값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 대상 기능 중 네비게이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40125922A 2014-09-22 2014-09-22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7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22A KR102227397B1 (ko) 2014-09-22 2014-09-22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22A KR102227397B1 (ko) 2014-09-22 2014-09-22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671A KR20160034671A (ko) 2016-03-30
KR102227397B1 true KR102227397B1 (ko) 2021-03-15

Family

ID=5566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922A KR102227397B1 (ko) 2014-09-22 2014-09-22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897B1 (ko) * 2016-11-25 2018-11-2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62697B1 (ko) * 2017-06-30 2022-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3013966A (zh) * 2019-12-20 2021-06-22 新加坡商华科全球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其警示信号产生方法
CN115071635A (zh) * 2022-07-20 2022-09-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车辆启动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3575A (ja) * 2006-09-14 2010-02-04 フィコ トリアド,エセ.ア.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変速制御レバー
JP2013038870A (ja) * 2011-08-05 2013-02-21 Panasonic Corp 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889A (ko) * 2003-08-11 2005-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다기능 변속 레버
KR101404358B1 (ko) 2012-11-21 2014-06-09 현대다이모스(주)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암레스트
KR20140073672A (ko) * 2012-12-06 2014-06-17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운전자 경고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71123A1 (en) 2012-12-13 2014-06-1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Reconfiguration of mobil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lo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3575A (ja) * 2006-09-14 2010-02-04 フィコ トリアド,エセ.ア.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変速制御レバー
JP2013038870A (ja) * 2011-08-05 2013-02-21 Panasonic Corp 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4671A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62982B (zh) 车辆操作功能的提示方法及系统和汽车
EP2729878B1 (en) Method of dynamically changing content displayed in a vehicular head unit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JP5624632B2 (ja) 自動車のディスプレイおよび操作システム
KR102227397B1 (ko) 차량용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2730449B1 (en) Vehicular display system
JP6033804B2 (ja) 車載機器操作装置
US201502030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 vehicle personalization via human machine interface
JP2014069592A (ja) 車載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1079517A (ja) 車両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用の適応型可聴フィードバックキュー
US20110130921A1 (en) In-vehicle display system
KR20160041519A (ko)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608436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JP514166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5000421B2 (ja) 輝度調整機能付車載装置
US2013023818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objects,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CN106799990B (zh) 车辆及其控制方法
US20140146168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f a reverse view camera system of a motor vehicle on a display
KR20140145041A (ko) 차량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7024539A (ja) 電子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588187B1 (ko) 내비게이션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45054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17211510A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JP2014091379A (ja) 無線送信装置、無線制御システムおよび無線受信装置
KR102622388B1 (ko) 차량용 복합 무선 조작계
JP2005205984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