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616B1 -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616B1
KR102226616B1 KR1020190079703A KR20190079703A KR102226616B1 KR 102226616 B1 KR102226616 B1 KR 102226616B1 KR 1020190079703 A KR1020190079703 A KR 1020190079703A KR 20190079703 A KR20190079703 A KR 20190079703A KR 102226616 B1 KR102226616 B1 KR 10222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ooking
remaining amount
lid
coo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630A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079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61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47J36/321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조리 기기의 뚜껑의 일면에서 조리 용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조리 용기 및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 그리고 내용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고,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에서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결정된 면적에 따라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Cooker including photo 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조리 용기 내의 잔여량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로서 전기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 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전기 밥솥에 밥을 보온 상태로 장시간 보관해둔 경우, 사용자는 전기 밥솥의 뚜껑을 열지 않는 한 전기 밥솥에 밥이 얼만큼 남아 있는지 알 수 없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도록 잔여량 표시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상기 조리 기기의 뚜껑의 일면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리 용기 및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 및 상기 내용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리 용기에서 상기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면적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신호는, 상기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 생성된 제1 센싱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서 상기 제1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제1 인분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센싱 신호는, 상기 조리 완료 시점 이후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개폐 시점에 생성된 제2 센싱 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제2 인분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조리 기기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용기에서 상기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에 따른 상기 내용물의 인분수를 정의하는 잔여량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잔여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상기 일면에 장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갖는 클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토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포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제1 변화량을 측정하며, 상기 조리 기기의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제2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화량들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더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기기의 주변 온도를 기초로 상기 잔여량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상기 조리 기기의 뚜껑의 일면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리 용기 및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센서, 상기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기 위한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가능하고, 상기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은, 상기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서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제1 인분수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상기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제2 인분수를 판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조리 용기에서 상기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에 따른 상기 내용물의 인분수를 정의하는 잔여량 테이블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잔여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기는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은, 상기 내용물의 상기 조리 완료 시점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제1 변화량을 측정하며,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제2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화량들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더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포토 센서를 이용하여 조리 용기에서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내용물의 잔여량을 조리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조리 기기의 뚜껑을 열지 않더라도 내용물의 잔여량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전기 밥솥의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량 판단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 잔여량을 표시하는 전기 밥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토 센서의 제1 내지 제5 센싱 결과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량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밥솥의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포토 센서(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메모리(150) 및 가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별개로 구성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조리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밥솥, 멀티 쿠커, 로봇 쿠커, 또는 전기레인지 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조리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포트 또는 분유 포트 등일 수 있다.
포토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 및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토 센서(110)는 조리 기기(100)의 뚜껑(예를 들어, 도 4의 220)의 일면에서, 조리 용기(17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의 뚜껑의 일면에 장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갖는 클린 커버(예를 들어, 도 6a의 2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포토 센서(110)는 클린 커버의 홀(예를 들어, 도 6a의 2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포토 센서(110)는 복수의 포토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포토 센서들은 클린 커버의 복수의 홀들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포토 센서(110)는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물체의 유무뿐만 아니라, 물체의 대소, 명암 등의 판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토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에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조리 용기(170)와 내용물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센서(11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광이 조리 용기(170) 또는 내용물에 조사되고, 조리 용기(170) 또는 내용물에서 반사되는 광이 수광부에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 및/또는 스마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조리 동작의 개시, 조리 동작의 선택, 조리 동작의 예약, 또는 내용물의 잔여량 확인 등을 지시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조리 기기(1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내용물의 잔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LCD, PDP, TFT LCD, O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피커는 내용물의 잔여량을 음성 또는 부저음 등과 같은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포토 센서(11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결정된 면적을 기초로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판단된 잔여량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판단된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서, 포토 센서(110)로부터 제1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결정된 면적을 기초로 내용물의 제1 인분수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조리 기기(100)의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포토 센서(110)로부터 제2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2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결정된 면적을 기초로 내용물의 제2 인분수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내용물의 조리 단계에서 포토 센서(110)로부터 제3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3 센싱 신호를 기초로 내용물의 초기 량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내용물의 조리 단계 중 인분 판정 구간에서, 포토 센서(110)로부터 제3 센싱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4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알고리즘 및/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제어부(14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140) 내에 구비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50)는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50)는 센싱 신호에 대응하는 인분수를 나타내는 잔여량 테이블(예를 들어, 도 9의 91)을 저장할 수도 있다.
가열부(160)는 가열 동작을 통해 조리 용기(170)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6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60)는 전기 저항 방식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16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전원부 및 가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가열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수신하고, 교류 전원에 대한 평활화 동작을 통해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가열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가열 구동부는 전원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가열부(160)에 인가할 수 있다. 가열 구동부는 가열부(160)에 인가하는 전력의 온 또는 오프 타이밍을 제어하거나, 가열부(160)에 인가하는 전력의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변동시킴으로써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량에 대한 정보는 현재 잔여량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량에 대한 정보는 현재 잔여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전송되는 알림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리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리 기기(100)의 내용물 잔여량 확인을 지시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고, 통신부(180)는 내용물 잔여량 확인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잔여량 확인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확인된 잔여량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리 기기(100)의 내용물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확인된 잔여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 확인된 잔여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잔여량 부족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잔여량 부족 알림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주기적으로 잔여량과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잔여량 부족 알림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조리 용기 내의 잔여량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의 조리 기기(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여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110에서, 조리 기기(100)는 포토 센서(110)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조리 용기(170)와 내용물 사이의 명암 차이를 나타내는 센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0은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0은 조리 기기(100)의 뚜껑의 개폐 시점에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0은 입력부(120)를 통해 잔여량 확인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시점에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0은 통신부(180)를 통해 잔여량 확인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시점에 개시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조리 기기(100)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와 내용물의 면적 비율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전기 밥솥일 수 있고, 이때, 조리 용기(170)는 내솥이고, 내용물은 밥일 수 있다. 내솥은 상대적으로 어둡고 밥은 상대적으로 밝으므로, 내솥과 밥 사이에는 명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센싱 신호는 내솥과 밥 사이의 명암 차이를 나타낼 수 있고, 제어부(140)는 센싱 신호를 기초로 내솥과 밥의 면적 비율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조리 기기(100)는 판단된 면적 비율 및 잔여량 테이블을 기초로 잔여량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50)는 면적 비율에 따른 잔여량을 나타내는 잔여량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잔여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판단된 면적 비율에 대응하는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70에서, 조리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잔여량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스피커를 통해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200)을 나타낸다.
도 3의 전기 밥솥(200)은 도 1의 조리 기기(100)의 일 예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기기(100)가 전기 밥솥(200)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잔여량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조리 기기(1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밥솥(200)은 조리 공간을 갖는 본체(210),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210)에 연결된 뚜껑(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220)은 본체(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특히,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 예를 들어, 쌀과 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조리 공간 내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조리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현재 밥 잔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전기 밥솥(200)의 뚜껑(220)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밥솥(200)은 포토 센서(110), 뚜껑 개폐 감지부(115), 제어부(140) 및 가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토 센서(110)는 뚜껑(220)의 일면에서 조리 용기(170)에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포토 센서(110)는 복수의 포토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포토 센서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 개폐 감지부(115), 제어부(140) 및 가열부(160)는 본체(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뚜껑 개폐 감지부(115)는 뚜껑(220)에 배치될 수 있고,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량 판단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 잔여량을 표시하는 전기 밥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은 전기 밥솥이 조리 용기 내의 잔여량을 판단하고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도 4의 전기 밥솥(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조리 용기(170)에 내용물인 밥(250)이 담겨있을 수 있고, 조리 용기(170) 위에는 클린 커버(240)가 배치될 수 있다. 클린 커버(240)는 적어도 하나의 홀(240a)을 포함할 수 있고, 포토 센서(110)는 클린 커버(240)의 홀(2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포토 센서(110)는 클린 커버(240)의 홀(2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 용기(170)에서 밥(250)이 있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명도(明度, brightness)가 높고, 밥이 없는 조리 용기(170)의 측면은 상대적으로 명도가 낮을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전기 밥솥(200)은 내용물의 조리를 위해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220에서, 전기 밥솥(200)은 조리 완료 시점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조리 완료 시점인 경우 단계 S230을 수행한다. 단계 S230에서, 전기 밥솥(200)은 포토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제1 센싱 신호를 기초로 제1 인분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 6a은 조리 완료 시점에서 전기 밥솥(61)을 나타낸다. 전기 밥솥(200)은 조리 용기(170)와 내용물(250)의 명암 차이를 나타내는 제1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250)이 차지하는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제1 인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계 S230 이후에, 전기 밥솥(200)은 디스플레이부(230a)에 초기 밥량에 대응하는 제1 인분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밥량은 10인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a)는 현재 밥 잔여량을 10인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전기 밥솥(200)은 뚜껑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뚜껑이 개폐된 경우 단계 S250을 수행한다. 단계 S250에서, 전기 밥솥(200)은 포토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제2 센싱 신호를 기초로 제2 인분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도 6b는 뚜껑이 폐쇄된 시점에서 전기 밥솥(62)을 나타낸다. 전기 밥솥(200)은 조리 용기(170)와 내용물(250)의 명암 차이를 나타내는 제2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250)이 차지하는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제2 인분수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전기 밥솥(200)은 디스플레이부(230)에 밥 잔여량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밥 잔여량은 5인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b)는 현재 밥 잔여량을 5인분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60 이후에는 다시 단계 S240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뚜껑을 개폐한 경우, 전기 밥솥(200)은 밥 잔여량을 다시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c)에 밥 잔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c는 뚜껑이 다시 폐쇄된 시점에서 전기 밥솥(63)을 나타낸다. 전기 밥솥(200)은 조리 용기(170)와 내용물(250)의 명암 차이를 나타내는 제3 센싱 신호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250)이 차지하는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밥 잔여량을 다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밥 잔여량은 미리 설정한 기준 량 이하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c)는 현재 밥 잔여량을 0인분 또는 "없음"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토 센서의 제1 내지 제5 센싱 결과들(81 내지 85)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내지 제5 센싱 결과들(81 내지 85)에서 흑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250)이 없는 노출 영역을 나타내며, 백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250)이 있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5 센싱 결과들(81 내지 85)에서 백색의 비율이 높을수록 내용물(250)이 많고, 이에 따라, 조리 용기(170)에서 내용물(250)의 잔여량이 많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결과(81)에 따르면 흑백 비율이 10:0일 수 있고, 이때, 조리 기기는 내용물(250)의 잔여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 센싱 결과(82)에 따르면, 흑백 비율이 9.2:0.8일 수 있고, 이때, 조리 기기는 내용물(250)의 잔여량이 1인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3 센싱 결과(83)에 따르면, 흑백 비율이 8.4:1.6일 수 있고, 이때, 조리 기기는 내용물(250)의 잔여량이 2인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4 센싱 결과(84)에 따르면, 흑백 비율이 6.8:3.2일 수 있고, 이때, 조리 기기는 내용물(250)의 잔여량이 4인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5 센싱 결과(85)에 따르면, 흑백 비율이 2:8일 수 있고, 이때, 조리 기기는 내용물(250)의 잔여량이 10인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여량 테이블(91)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잔여량 테이블(91)은 포토 센서의 센싱 결과에서 흑백 비율에 따른 잔여량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량 테이블(91)은 조리 기기(100)의 메모리(150)에 로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잔여량 테이블(91)을 참조하여, 포토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신호에 따른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백 비율이 10:0인 경우, 제어부(140)는 잔여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잔여량 테이블(91)은 취사 동작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테이블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량 테이블(91)은 백미 취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테이블, 잡곡 취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테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잔여량 테이블(91)은 조리 동작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테이블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여량 테이블(91)은 죽 또는 갈비찜 등과 같은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a)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a)는 도 1의 조리 기기(100)의 변형 예에 대응하며, 도 1의 조리 기기(100)에 비해 온도 센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90)는 조리 용기(170) 또는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190)는 조리 용기(17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190)는 조리 용기(17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190)는 복수의 온도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90)는 조리 용기(170)의 바닥면 또는 옆면의 온도를 직접 센싱하거나 조리 용기(170)의 상부 온도를 센싱하여 조리 용기(170)의 온도를 예측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200a)의 뚜껑(220)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 밥솥(200a)은 도 10의 조리 기기(100a)의 일 구현 예에 대응할 수 있고, 도 4의 전기 밥솥(200)의 일 변형 예에 대응할 수 있다. 전기 밥솥(200a)은 포토 센서(110), 뚜껑 개폐 감지부(115), 제어부(140), 가열부(160) 및 온도 센서(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도 센서(190)는 복수의 온도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부 온도 센서 및 상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온도 센서는 조리 용기(1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온도 센서는 조리 용기(17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온도 센서(190)는 전기 밥솥(200a) 외부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주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온도 센서는 디스플레이부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밥솥의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이때, 온도는 온도 센서(190)에서 출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취사 구간(121)은 취사 선택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시될 수 있고, 불림 구간(1211), 가열 구간(1212) 및 뜸 구간(1213)을 포함할 수 있다. 불림 구간(1211)에서, 제어부(140)는 조리 용기(170) 내의 쌀에 물을 충분히 침투시키기 위하여, 쌀과 물의 온도를 끓는점 이하의 일정 범위로 유지하도록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열 구간(1212)에서, 제어부(140)는 쌀과 물의 온도가 끓는점 이상까지 상승하도록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뜸 구간(1213)에서, 제어부(140)는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중단하거나 가열 동작을 약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보온 구간(122)은 취사 구간(121)의 종료된 제1 시점(t1)에 개시될 수 있고, 제1 보온 구간(1221), 개방 구간(1222) 및 제2 보온 구간(1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온 구간(1221)은 제1 시점(t1)에서 뚜껑(예를 들어, 도 11의 220)이 개방되는 제3 시점(t3)까지의 구간에 대응할 수 있고, 개방 구간(1222)은 제3 시점(t3)에서 뚜껑이 폐쇄되는 제4 시점(t4)까지의 구간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제2 보온 구간(1223)은 제4 시점(t4)부터 뚜껑의 다음 개방 시점까지의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시점(t1)에서의 온도 데이터는 제1 온도(T1)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보온 구간(1221)에서, 제어부(140)는 온도 데이터가 보온 적정 온도, 즉, 제2 온도(T2)를 유지하도록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개방 구간(1222)에서, 온도 데이터는 제2 온도(T2)에서 제3 온도(T3)로 하강할 수 있다. 개방 구간(1222)이 증가할수록 온도 하강량도 증가할 수 있다. 제2 보온 구간(1223)에서, 제어부(140)는 온도 데이터가 다시 보온 적정 온도, 즉, 제2 온도(T2)로 상승하도록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제5 시점(t5)부터 온도 데이터가 제2 온도(T2)를 유지하도록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은 전기 밥솥이 조리 용기 내의 잔여량을 판단하고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도 11의 전기 밥솥(200a)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내용물의 조리를 위해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310에서, 전기 밥솥(200a)은 조리 완료 시점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조리 완료 시점인 경우 단계 S320을 수행한다. 단계 S320에서, 전기 밥솥(200a)은 시간에 따른 온도 하강량을 측정하고, 또는 포토 센서(110)로부터 제1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310은 제1 보온 구간(1221)의 일부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시점(t1)에서의 제1 온도(T1)와 제2 시점(t2)에서의 제2 온도(T2)를 기초로, 시간에 따른 온도 하강량, 즉, 제1 기울기를 측정한다. 단계 S330에서, 전기 밥솥(200a)은 시간에 따른 온도 하강량 및/또는 제1 센싱 신호를 기초로 초기 밥량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인분수와 시간에 따른 온도 하강량을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고, 판단된 초기 밥량도 메모리(150)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전기 밥솥(200a)은 디스플레이부에 초기 밥량을 표시한다.
단계 S350에서, 전기 밥솥(200a)은 내용물의 보온을 위해 가열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S350은 제1 보온 구간(1221)의 일부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2 시점(t2)에서 제3 시점(t3)까지, 온도 데이터가 제2 온도(T2)를 유지하도록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전기 밥솥(200a)은 뚜껑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뚜껑이 개폐된 경우 단계 S370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350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뚜껑 개폐 감지부(115)는 제3 시점(t3)에서 뚜껑의 개방을 감지하고, 제4 시점(t4)에서 뚜껑의 폐쇄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 결과를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70에서, 전기 밥솥(200a)은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량을 측정하고, 또는 포토 센서(110)로부터 제2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S370은 제2 보온 구간(1223)의 일부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4 시점(t4)에서의 제3 온도(T3)와 제5 시점(t5)에서의 제2 온도(T2)를 기초로,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량, 즉, 제2 기울기를 측정한다. 단계 S380에서, 전기 밥솥(200a)은 밥 잔여량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보온 구간(1221)에서의 온도 하강량과 초기 밥량의 상관 관계를 기초로, 제2 보온 구간(1223)에서의 온도 상승량에 대응하는 밥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90에서, 전기 밥솥(200a)은 디스플레이부에 밥 잔여량을 표시한다.
한편, 단계 S390 이후에는 다시 단계 S350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뚜껑을 개폐한 경우, 전기 밥솥(200a)은 밥 잔여량을 다시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 밥 잔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기 밥솥(200a)은 주변 온도를 더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온도 센서(190)로부터 수신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주변 온도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200a)은 주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주변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주변 온도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량 및 주변 온도를 기초로 밥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주변 온도를 기초로 밥 잔여량을 보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조리 기기로서,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상기 조리 기기의 뚜껑의 일면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리 용기 및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센싱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 센서들;
    상기 내용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조리 용기에서 상기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면적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및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상기 일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홀(hole)들을 갖는 클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토 센서들은,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신호들 각각은, 상기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 생성된 제1 센싱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서 상기 제1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제1 인분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 신호들 각각은, 상기 조리 완료 시점 이후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개폐 시점에 생성된 제2 센싱 신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상기 제2 센싱 신호를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제2 인분수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 또는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에서 상기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에 따른 상기 내용물의 인분수를 정의하는 잔여량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잔여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제1 변화량을 측정하며, 상기 조리 기기의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제2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화량들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 기기의 주변 온도를 기초로 상기 잔여량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0. 조리 기기로서,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상기 조리 기기의 뚜껑의 일면에서 상기 조리 용기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리 용기 및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센싱 신호들을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포토 센서들;
    상기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기 위한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 가능하고, 상기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상기 일면에 장착 가능하고, 복수의 홀(hole)들을 갖는 클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토 센서들은,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상기 일면에서, 상기 복수의 홀들에 대응하는 위치들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은, 상기 내용물의 조리 완료 시점에서 상기 복수의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제1 인분수를 판단하고,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상기 복수의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제2 인분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잔여량에 대한 정보가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조리 용기에서 상기 내용물이 차지하는 면적에 따른 상기 내용물의 인분수를 정의하는 잔여량 테이블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잔여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은, 상기 내용물의 상기 조리 완료 시점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제1 변화량을 측정하며, 상기 조리 기기의 상기 뚜껑의 개폐 시점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시간에 따른 제2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변화량들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상기 잔여량을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KR1020190079703A 2019-07-02 2019-07-02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03A KR102226616B1 (ko) 2019-07-02 2019-07-02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03A KR102226616B1 (ko) 2019-07-02 2019-07-02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30A KR20210003630A (ko) 2021-01-12
KR102226616B1 true KR102226616B1 (ko) 2021-03-11

Family

ID=7412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703A KR102226616B1 (ko) 2019-07-02 2019-07-02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6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150A (ja) * 2003-10-14 2005-05-1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9616A (ja) * 1989-11-17 1991-07-09 Iseki & Co Ltd 自動炊飯装置
JPH07265204A (ja) * 1994-04-01 1995-10-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米飯保温器
KR20060020062A (ko) * 2004-08-30 2006-03-06 권현옥 밥솥의 잔량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150A (ja) * 2003-10-14 2005-05-1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30A (ko)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5583B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WO2021218083A1 (zh) 烹饪电器的控制方法、烹饪电器及可读存储介质
JP4470115B2 (ja) 表示部カスタマイズ機能を有する電気炊飯器
CN109871050B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及烹饪器具
KR102142406B1 (ko)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6616B1 (ko)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12015091B (zh) 一种控制方法及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102226617B1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0892157B1 (ko) 전기밥솥 표시 제어방법
KR102250651B1 (ko) 잔여량 알림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5367042B2 (ja) 炊飯器
KR102238453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가열 보상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5840B1 (ko) 모드에 따라서 출력을 제어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47957B1 (ko)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347955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347956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261564B1 (ko)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06334126A (ja) 炊飯器
KR20200137783A (ko) 파우셋부가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이용한 자동조리 제어방법
KR102336124B1 (ko)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86964B1 (ko) 센싱된 온도를 기초로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조리기기
KR102250652B1 (ko)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18391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83767B1 (ko)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57792B1 (ko) 전기 압력조리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