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652B1 -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652B1
KR102250652B1 KR1020190123974A KR20190123974A KR102250652B1 KR 102250652 B1 KR102250652 B1 KR 102250652B1 KR 1020190123974 A KR1020190123974 A KR 1020190123974A KR 20190123974 A KR20190123974 A KR 20190123974A KR 102250652 B1 KR102250652 B1 KR 102250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emperature
cooking
servings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1364A (ko
Inventor
차청록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2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65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대상물 또는 상기 조리 대상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제1 온도 센싱 값을 생성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조리 대상물 또는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제2 온도 센싱 값을 생성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제1 온도 센싱 값 및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의 인분 수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 센싱 값 또는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에 대한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적분 값 또는 미분 값을 계산하고, 상기 적분 값 및 상기 미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인분 수를 판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COOKING DEVICE DETERMINING THE NUMBER OF SERVING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조리 대상물의 인분 판정 구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솥과 같은 조리 기기에서의 불림, 뜸 과정은 시간에 의해 제어되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고, 가열, 비등 과정은 온도에 의해 제어되므로 일정온도에 도달하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조리 기기에서, 최적의 취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취사량에 따라 가열 시간 또는 가열량을 달리하여 주는 등 취사 알고리즘이 달라져야 한다. 조리 기기는 그 취사량을 구분하기 위해, 취사가 시작되면 상부 온도 센서 또는 하부 온도 센서를 통한 현재의 취사량, 즉 인분 수를 판정한다. 이를 위해, 조리 기기는 인분 수 판정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가열시간을 측정하고, 그 가열시간에 따라 취사 알고리즘을 달리한다. 조리 기기는 이렇게 결정된 판정 인분 수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취사가 이루어진다.
또한, 인분 수 별 알고리즘에 따라 조리 대상물에 가해지는 온도와 열량은 각각 다르게 나타나므로, 취사 알고리즘이 정확한 인분 수 판정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 기기는 상부 온도 센서 또는 하부 온도 센서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분 수 판정 오류로 인해 조리 대상물이 덜 조리되거나 과하게 조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분 수 판정 오류가 발생할 경우 이를 보상함으로써 오판정으로 인한 취반 상태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상 알고리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도 센서의 오류를 검출하고, 온도 센서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인분 수를 판정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대상물 또는 상기 조리 대상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제1 온도 센싱 값을 생성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조리 대상물 또는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제2 온도 센싱 값을 생성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제1 온도 센싱 값 및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의 인분 수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 센싱 값 또는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에 대한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적분 값 또는 미분 값을 계산하고, 상기 적분 값 및 상기 미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인분 수를 판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온도 센서이고, 상기 제2 온도 센서는 상기 조리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싱 값에 대한 상기 적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1 값보다 큰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분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을 종료하고, 상기 적분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인분 수를 판정하기 위한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분 값이 제1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적분 값이 제1 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열부에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에 대응하는 가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분 수를 판정하기 위한 인분 수 판정 구간에 진입하고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의 상기 미분 값을 계산하고, 상기 미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값보다 큰 지 판단하고, 상기 미분 값이 상기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조리 대상물의 인분 수를 판단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 기기에 포함된 조리 용기 또는 상기 조리 용기에 포함된 상기 조리 대상물의 상부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하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조리 대상물의 하부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온도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적분 값 또는 상기 하부 온도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미분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적분 값 및 상기 미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상부 온도에 대한 적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1 값보다 큰 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분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1 시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분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2 시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구간은 상기 제1 시구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계산 하는 단계는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에 진입하고 미리 결정된 제1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하부 온도에 대한 미분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온도에 대한 미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값보다 큰 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분 값이 상기 제2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1 시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미분 값이 상기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2 시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구간은 상기 제1 시구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온도 센서의 오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서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인분 수를 판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정확한 조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분 수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비교 예에 따른 시간 별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제1~", "제2~" 와 같은 서수적인 표현은 "제1~"이 "제2~"보다 앞선 것임을 한정하지 않으며, 유사한 구성을 달리 구분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온도 센싱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메모리(150) 및 가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싱부(110)는 하부 온도 센서(111) 및 상부 온도 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별개로 구성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조리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밥솥, 멀티 쿠커, 로봇 쿠커, 또는 전기레인지 등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조리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포트 또는 분유 포트 등일 수 있다.
온도 센싱부(110)는 조리 용기(170) 또는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정보를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온도 센서(111)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온도 센서(11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110)는 복수의 온도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의 바닥면 또는 옆면의 온도를 직접 센싱하거나 조리 용기(170)의 상부 온도를 센싱하여 조리 용기(170)의 온도를 예측함으로써 온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 및/또는 스마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조리 동작의 개시, 조리 동작의 선택, 조리 동작의 예약 등을 지시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조리 기기(1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LCD, PDP, TFT LCD, O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내용물을 조리하여 음식물을 완성할 수 있다. 예컨대, 조리 기기(100)는 밥솥(예컨대, 도 2의 200)일 수 있으며, 조리 기기(100)는 쌀과 물을 조리하여 밥을 지을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밥을 짓기 위한 복수의 공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조리 기기(100)는 취사 공정 및 보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취사 공정이란,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는 밥을 완성하기 위한 일련의 공정들을 말한다. 보온 공정이란, 취사가 완료된 음식물의 온도를 타겟 온도로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취사 공정은, 인분 수 판정 공정, 불림 공정, 가열 공정 및 뜸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분 수 판정 공정은 조리 용기(170)에 포함된 조리 대상물의 취사 량 또는 인분 수를 판정하기 위한 공정이고, 불림 공정은 조리 대상물을 취사하기 위하여 조리 용기(170)에 포함된 조리 대상물에 물을 충분히 침투시키기 위해 끓는점 이하의 일정 범위의 온도를 유지하는 공정을 말한다. 가열 공정은 조리 대상물과 물의 온도가 끓는점 이상까지 상승하도록 가열하는 공정을 말한다. 뜸 공정은 가열 동작을 중단하거나 가열을 약하게 하는 공정을 말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온도 센싱부(110)가 센싱한 조리 대상물의 온도 정보에 대한 시간 별 그래프의 미분 값 또는 적분 값을 이용하여 온도 센싱부(110)의 오류를 판단하고, 온도 센싱부(110)의 오류에 기초하여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온도 센싱부(110)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1 시간으로 결정하고, 제1 시간 동안 가열부(160)에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온도 센싱부(110)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2 시간으로 결정하고, 제2 시간 동안 가열부(160)에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1 시간은 제2 시간보다 더 짧은 시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하부 온도 센서(111)가 센싱한 하부 온도 정보에 대한 그래프의 적분 값을 이용하여 온도 센싱부(110)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가 센싱한 상부 온도 정보에 대한 그래프의 미분 값을 이용하여 온도 센싱부(110)의 오류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4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알고리즘 및/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제어부(14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140) 내에 구비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50)는 조리 용기(170)에 온도 센싱부(110)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이에 따라서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가열부(160)는 가열 동작을 통해 조리 용기(170)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가열부(16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160)는 전기 저항 방식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16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전원부 및 가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가열 구동부로 로직 하이 또는 로직 로우를 갖는 로직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열 구동부는 가열부(160)에 인가하는 전력의 온 또는 오프 타이밍을 제어하거나, 가열부(160)에 인가하는 전력의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변동시킴으로써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40)는 가열 구동부로 로직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가열 구동부는 가열부(160)가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40)는 가열 구동부로 로직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가열 구동부는 가열부(160)에 전류 및 전압을 인가하지 않으며, 가열부(160)는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수신하고, 교류 전원에 대한 평활화 동작을 통해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가열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가열 구동부는 전원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가열부(160)에 인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전술한 조리 기기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밥솥(200)은 본체(210) 및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온도 센서(111), 상부 온도 센서(112), 제어부(140), 가열부(160) 및 조리 용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온도 센서(112)는 조리 용기(170)의 상부에 위치하여 조리 용기(170)에 포함된 내용물의 상부 온도를 센싱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140)에 온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하부 온도 센서(111)는 조리 용기(170)의 하부에 위치하여 조리 용기(170)에 포함된 내용물의 하부 온도를 센싱하고,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140)에 온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시간에 따른 온도 정보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170)에 내용물의 인분 수를 판정하고, 판정된 인분 수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조리에 필요한 가열 신호를 가열부(160)에 출력할 수 있다. 가열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170) 또는 조리 용기(170)에 포함된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또는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조리 용기(170)가 제1 온도까지 도달하는 도달 시간을 판단할 수 있고, 도달 시간에 기초하여 인분 수를 판단할 수 있다.
상부 온도 센서(112) 또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조리 용기(170)가 제1 온도까지 도달하는 도달 시간이 조리 용기(170) 내부의 내용물의 양과 상관 없이 결정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인분 수를 잘못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인분 수에 따른 가열량 등이 잘못 결정될 수 있고, 내용물이 언더 쿠킹되거나 오버 쿠킹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또는 하부 온도 센서(111)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고, 오류 여부에 기초하여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또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온도 정보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에 대한 적분 값을 기초로 상부 온도 센서(112) 또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온도 정보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에 대한 미분 값을 기초로 상부 온도 센서(112) 또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또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연장함으로써 정확한 인분 수에 따른 가열량을 제공할 수 있고, 내용물이 적절하게 쿠킹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인분 수 판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는 조리 용기(170)에 내용물이 비교적 적게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시간에 따른 온도 정보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 온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는 조리 용기(170)에 내용물이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시간에 따른 온도 정보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 온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내용물의 량에 따라서 달라지는 온도 정보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에 기초하여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가열부(160)에 출력하는 가열 신호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미분 값(또는 기울기) 또는 적분 값(또는 넓이)에 기초하여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비교 예에 따른 시간 별 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에서 가로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 축은 상부 온도 센서 및 하부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내용물에 대한 온도 정보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40)는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제1 하부 온도 정보(TI_B1)를 수신하고, 상부 온도 센서(112)로부터 제1 상부 온도 정보(TI_T1)를 수신할 수 있다.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제2 하부 온도 정보(TI_B2)를 수신하고, 상부 온도 센서(112)로부터 제2 상부 온도 정보(TI_T2)를 수신할 수 있다.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제2 하부 온도 정보(TI_B2)가 제1 온도(T1)에 도달하는 제2 시간(tb)을 카운팅 할 수 있고, 제2 시간(tb)에 기초하여 인분 수를 판정할 수 있다. 하지만 상부 온도 센서(112) 및 하부 온도 센서(111) 중 적어도 하나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40)는 제1 하부 온도 정보(TI_B1)가 제1 온도(T1)에 도달하는 제1 시간(ta)을 카운팅 할 수 있고, 실제와 다른 인분 수로 판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5는 조리기기가 상부 온도 정보에 대한 적분 값을 기초로 인분 수를 판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인분 수 판정 구간에 진입하면(S110),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수신한 하부 온도 정보를 기초로 하부 온도가 제1 온도보다 큰 지 판단할 수 있다(S120). 하부 온도가 제1 온도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유지할 수 있고, 하부 온도가 제1 온도보다 큰 경우,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로부터 수신한 상부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부 온도에 대한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적분 값을 계산할 수 있다(S130).
제어부(140)는 계산된 적분 값과 미리 결정된 제1 값을 비교할 수 있고(S140), 계산된 적분 값이 제1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연장할 수 있다(S150). 계산된 적분 값이 제1 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40)는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종료하고(S160), 결정된 인분 수에 기초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로부터 수신한 상부 온도 정보의 적분 값을 기초로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확한 인분 판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조리기기가 상부 온도 정보에 대한 적분 값을 기초로 인분 수를 판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로부터 상부 온도 정보(TI_T)를 수신하고,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하부 온도 정보(TI_B)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부 온도 정보(TI_B)가 제1 온도(T1)에 도달한 제1 시점(ta)에서 상부 온도 정보(TI_T)의 인분 수 판정 구간 진입 시점부터 제1 시점(ta)까지의 제1 적분 값(Ia)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적분 값(Ia)은 상부 온도 정보(TI_T)의 인분 수 판정 구간 진입 시점부터 제1 시점(ta)까지의 밑 넓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계산한 제1 적분 값(Ia)이 미리 결정된 제1 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적분 값(Ia)이 미리 결정된 제1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2 시점(tb)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2 시점(tb)에서 상부 온도 정보(TI_T)의 인분 수 판정 구간 진입 시점부터 제2 시점(tb)까지의 제2 적분 값(Ib)을 계산할 수 있다. 제2 적분 값(Ib)은 상부 온도 정보(TI_T)의 인분 수 판정 구간 진입 시점부터 제2 시점(tb)까지의 밑 넓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계산한 제2 적분 값(Ib)이 미리 결정된 제1 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2 적분 값(Ib)이 미리 결정된 제1 값보다 큰 경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종료하고, 카운팅 된 제2 시점(tb)에 기초하여 인분 수를 판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수신한 하부 온도 정보(TI_B)가 제1 온도(T1)에 도달하였는지 여부 외에, 상부 온도 센서(112)로부터 수신한 상부 온도 정보(TI_T)의 적분 값을 기초로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정확한 인분 판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7은 조리기기가 하부 온도에 대한 미분 값을 기초로 인분 수를 판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인분 수 판정 구간에 진입하면(S210), 인분 수 판정 구간 진입 후 제1 시간이 경과된 뒤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수신한 하부 온도 정보의 미분 값을 계산할 수 있다(S220). 제어부(140)는 계산한 미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S230).
미분 값이 제2 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40)는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1 시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고(S240), 미분 값이 제2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제2 시구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S250). 일 실시예에서, 제2 시구간은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인분 수 판정 구간에 대응할 수 있고, 제1 시구간은 하부 온도 센서(111)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의 인분 수 판정 구간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시구간은 제2 시구간보다 더 길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경과후 하부 온도의 미분 값을 계산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분 수 판정 구간의 길이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조리기기(100)는 하부 온도 센서(111)의 오류로 초기에 비이상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를 미분 값을 통해 센싱하고, 이 경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정확한 인분 수 판정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세하게는 도 8은 조리기기가 하부 온도에 대한 미분 값을 기초로 인분 수를 판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상부 온도 센서(112)로부터 상부 온도 정보(TI_T)를 수신하고, 하부 온도 센서(111)로부터 하부 온도 정보(TI_B)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인분 수 판정 구간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시간(td)이 경과된 후 하부 온도 정보(TI_B)에 대한 미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하부 온도 정보(TI_B)의 미분 값은 하부 온도 정보(TI_B)의 기울기에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부 온도 정보(TI_B)의 미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1 시간(ta)을 인분 수 판정 구간의 종료 시점으로 결정하고, 초기 시점부터 제1 시간(ta)의 제1 시구간을 기초로 인분 수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하부 온도 정보(TI_B)의 미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값보다 큰 경우 제1 시간(ta)에서 제2 시간(tb)으로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연장하고, 초기 시점부터 제2 시간(tb)의 제2 시구간을 기초로 인분 수를 판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하부 온도의 미분 값에 기초하여 인분 수 판정 구간 연장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하부 온도 센서(111)의 오류로 초기에 비이상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를 미분 값을 통해 센싱하고, 정확한 인분 수 판정이 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조리 대상물 또는 상기 조리 대상물이 담기는 조리 용기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제1 온도 센싱 값을 생성하는 제1 온도 센서;
    상기 조리 대상물 또는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제2 온도 센싱 값을 생성하는 제2 온도 센서;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및
    상기 제1 온도 센싱 값 및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인분 수 판정 시구간 동안 상기 조리 대상물의 인분 수를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 센싱 값 또는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에 대한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적분 값 또는 미분 값을 계산하고, 상기 적분 값 및 상기 미분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의 길이를 조정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온도 센서이고, 상기 제2 온도 센서는 상기 조리 용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조리 용기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온도 센싱 값에 대한 상기 적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1 값보다 큰 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분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을 종료하고,
    상기 적분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인분 수를 판정하기 위한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분 값이 제1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적분 값이 제1 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열부에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에 대응하는 가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분 수를 판정하기 위한 인분 수 판정 시구간에 진입하고 미리 결정된 제1 시간 이후에 상기 제2 온도 센싱 값의 상기 미분 값을 계산하고,
    상기 미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값보다 큰 지 판단하고,
    상기 미분 값이 상기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을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8. 조리 대상물의 인분 수를 판단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 기기에 포함된 조리 용기 또는 상기 조리 용기에 포함된 상기 조리 대상물의 상부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하부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조리 대상물의 하부 온도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상부 온도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적분 값 또는 상기 하부 온도의 시간에 따른 그래프의 미분 값을 계산하는 단계;및
    상기 적분 값 및 상기 미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인분 수를 판단하기 위한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의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의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온도가 미리 결정된 제1 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하부 온도가 상기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상부 온도에 대한 적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1 값보다 큰 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분 수 판정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분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을 제1 시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및
    상기 적분 값이 상기 제1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을 제2 시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구간은 상기 제1 시구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하는 단계는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에 진입하고 미리 결정된 제1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하부 온도에 대한 미분 값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의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온도에 대한 미분 값이 미리 결정된 제2 값보다 큰 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의 길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분 값이 상기 제2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을 제1 시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및
    상기 미분 값이 상기 제2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인분 수 판정 시구간을 제2 시구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시구간은 상기 제1 시구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190123974A 2019-10-07 2019-10-07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50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74A KR102250652B1 (ko) 2019-10-07 2019-10-07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74A KR102250652B1 (ko) 2019-10-07 2019-10-07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64A KR20210041364A (ko) 2021-04-15
KR102250652B1 true KR102250652B1 (ko) 2021-05-12

Family

ID=7544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974A KR102250652B1 (ko) 2019-10-07 2019-10-07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6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048A (ja) 2003-01-24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5046492A (ja) 2003-07-31 2005-02-2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76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전기 보온 밥솥의 취사 량 판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3048A (ja) 2003-01-24 2004-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5046492A (ja) 2003-07-31 2005-02-24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64A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9031B1 (ja) 調理器
KR102250652B1 (ko) 인분 수 판정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5496168B2 (ja) 加熱調理器
KR102142406B1 (ko)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5841B1 (ko) 가열량 보상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5290877B2 (ja) 炊飯器および該炊飯器の容量判別方法
KR102275840B1 (ko) 모드에 따라서 출력을 제어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16158895A (ja) 加熱調理器
JP4270075B2 (ja) 加熱調理器
JP5855056B2 (ja) 炊飯器
JP4823152B2 (ja) 加熱調理器
KR102383767B1 (ko)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26616B1 (ko)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6617B1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05304517A (ja) 電気ジャー炊飯器
JP4127165B2 (ja) 炊飯器
JP2006228757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10050320A (ko) 용기 감지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JP2018007865A (ja) 電気炊飯器
KR100942572B1 (ko) 전자레인지의 온도보상방법
JP426539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831597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8175497A (ja) 加熱調理装置
KR20210045843A (ko)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45842A (ko)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