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957B1 -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957B1
KR102347957B1 KR1020200067872A KR20200067872A KR102347957B1 KR 102347957 B1 KR102347957 B1 KR 102347957B1 KR 1020200067872 A KR1020200067872 A KR 1020200067872A KR 20200067872 A KR20200067872 A KR 20200067872A KR 102347957 B1 KR102347957 B1 KR 102347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s
cooking
pattern
image data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888A (ko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20006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9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 조리 용기의 내측벽의 적어도 하나의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 그리고 조리 용기를 수용하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에 담긴 쌀량과 물량의 비율을 계산하고 비율에 기초하여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Cooker including inner pot on which pattern is formed}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로서 전기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 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전기 밥솥에 밥을 보온 상태로 장시간 보관해둔 경우, 사용자는 전기 밥솥의 뚜껑을 열지 않는 한 전기 밥솥에 밥이 얼만큼 남아 있는지 알 수 없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양을 정확하게 센싱하도록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내측벽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조리 용기를 수용하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쌀량과 물량의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내측벽에서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측면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내측벽에서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측면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측면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는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측면 패턴들은, 제1 색을 갖는 제1 측면 패턴 및 제2 색을 갖는 제2 측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음각 패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양각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조리 용기는,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닥 패턴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조리 용기를 수용하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쌀량과 물량의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바닥면에서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바닥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상기 바닥면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바닥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바닥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는 X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조리 공간의 상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조리 기기의 뚜껑의 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턴은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 패턴에 대한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2 패턴에 대한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조리 기기는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 및 조리 용기의 패턴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유무 또는 내용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조리 기기의 뚜껑을 열지 않더라도 내용물의 잔여량을 알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 잔여량을 표시하는 전기 밥솥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쌀량과 물량을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내솥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1 내지 제3 내솥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내솥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카메라 모듈(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메모리(150) 및 가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별개로 구성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조리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밥솥, 멀티 쿠커, 로봇 쿠커, 또는 전기레인지 등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조리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포트 또는 분유 포트 등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조리 용기(170)의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용기(170)는 내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 패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바닥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110)은 조리 용기(170)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패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패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용기(170)는 내측벽에 형성된 눈금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110)은 조리 용기(170)의 눈금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10)은 조리 기기(100)의 뚜껑(예를 들어, 도 2의 220)의 일면에서, 조리 용기(17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10)은 조리 기기(100)의 본체(예를 들어, 도 2의 210)의 내측면에서, 조리 용기(17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메라 모듈(110)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10)은 조리 기기(100)의 뚜껑의 개방 시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조리 기기(100)의 뚜껑의 개방 시에 인에이블(enable)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를 통해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센싱 대상의 이미지를 센싱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학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10)은 제어 로직 및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 및/또는 스마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은 조리 동작의 개시, 조리 동작의 선택, 조리 동작의 예약, 또는 내용물의 잔여량 확인 등을 지시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전기 밥솥일 수 있고, 입력부(120)는 취사 메뉴의 선택, 취사 동작의 시작, 취사 동작의 예약, 또는 밥 잔여량 확인 등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조리 기기(1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내용물의 잔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LCD, PDP, TFT LCD, O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잔여량 알림을 표시하도록 구현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 내용물이 있는지 판단하거나, 또는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양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단된 잔여량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판단된 잔여량이 스피커에서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잔여량을 기준치와 비교하고, 잔여량과 기준치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잔여량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잔여량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잔여량 알림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생성된 잔여량 알림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생성된 잔여량 알림이 스피커에서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되도록 스피커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생성된 잔여량 알림이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전송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들 사이의 비율을 계산하여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전기 밥솥일 수 있고, 제어부(140)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 담긴 쌀량과 물량의 비율을 계산하여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 담긴 쌀량과 물량의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비율에 따라 복수의 취사 알고리즘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취사 알고리즘에 따라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하고, 판단된 인분수에 따라 복수의 취사 알고리즘들 중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취사 알고리즘에 따라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4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알고리즘 및/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제어부(14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140) 내에 구비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50)는 복수의 취사 알고리즘들, 잔여량 판단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50)는 이미지 신호에 따른 쌀량과 물량의 비율에 대응하는 인분수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50)는 이미지 신호에 따른 쌀량과 물량의 비율에 대응하는 취사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가열부(160)는 가열 동작을 통해 조리 용기(170)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6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60)는 전기 저항 방식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16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전원부 및 가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가열 구동부를 제어함으로써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전원을 수신하고, 교류 전원에 대한 평활화 동작을 통해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가열 구동부에 제공할 수 있다. 가열 구동부는 전원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가열부(160)에 인가할 수 있다. 가열 구동부는 가열부(160)에 인가하는 전력의 온 또는 오프 타이밍을 제어하거나, 가열부(160)에 인가하는 전력의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변동시킴으로써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리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리 기기(100)의 내용물 잔여량 확인을 지시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고, 통신부(180)는 내용물 잔여량 확인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잔여량 확인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확인된 잔여량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리 기기(100)의 내용물 잔여량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200)을 나타낸다. 도 2의 전기 밥솥(200)은 도 1의 조리 기기(100)의 일 예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기기(100)가 전기 밥솥(200)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밥솥(200)은 조리 공간을 갖는 본체(210),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210)에 연결된 뚜껑(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220)은 본체(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특히,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 예를 들어, 쌀과 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조리 공간 내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조리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현재 밥 잔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200)의 뚜껑(220)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전기 밥솥(200)은 도 2의 전기 밥솥(20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밥솥(200)은 카메라 모듈들(110a, 110b), 뚜껑 개폐 감지부(115), 제어부(140) 및 가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10a)은 뚜껑(220)의 일면에서 조리 용기(17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메라 모듈(110a)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10b)은 본체(210)의 내측면에서 조리 용기(17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메라 모듈(110b)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카메라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 개폐 감지부(115), 제어부(140) 및 가열부(160)는 본체(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뚜껑 개폐 감지부(115)는 뚜껑(220)에 배치될 수 있고, 제어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200)의 뚜껑(22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의 전기 밥솥(200)은 도 2의 전기 밥솥(20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21)은 전기 밥솥(200)의 뚜껑(220)의 일면(222)에서 내솥(30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1)은 전기 밥솥(200)의 본체(210)의 내측면(212)에서 내솥(30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211)은 본체(210)의 내측면(212)에서 내솥(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200)의 뚜껑(220)이 폐쇄되면, 본체(210)의 내측면(212)은 뚜껑(220)의 측면(223)과 맞닿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21)은 내솥(300)의 내측벽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21)은 내솥(300)의 바닥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21)은 내솥(300)의 내측벽의 일부 및 바닥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11)은 내솥(300)의 내측벽의 다른 일부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11)은 내솥(300)의 바닥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211)은 내솥(300)의 내측벽의 일부 및 바닥면의 일부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데이터와 제2 이미지 데이터는, 내솥(300)에서 서로 마주보는 영역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이미지 데이터는 서로 동일한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밥 잔여량을 표시하는 전기 밥솥(2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 밥솥(200)은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인분수를 측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a)에 초기 밥량에 대응하는 제1 인분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밥량은 10인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a)는 현재 밥 잔여량을 10인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전기 밥솥(200)의 뚜껑이 개폐된 경우, 전기 밥솥(200)은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제2 인분수를 측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에 밥 잔여량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밥 잔여량은 5인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b)는 현재 밥 잔여량을 5인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전기 밥솥(200)의 뚜껑이 다시 개폐된 경우, 전기 밥솥(200)은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한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밥 잔여량을 다시 판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c)에 밥 잔여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밥 잔여량은 미리 설정한 기준 량 이하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230c)는 현재 밥 잔여량을 0인분 또는 "없음"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솥(300)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솥(300)의 내측벽(310)은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320)과 적어도 하나의 눈금 영역(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320)에는 내용물의 유무, 또는 내용물의 양을 판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패턴(3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턴(320a)은 음각 패턴 또는 양각 패턴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패턴(320a)은 흑백 패턴 또는 컬러 패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턴(320a)은 뒤집어진 V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패턴(320a)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320)은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측면 패턴들(320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패턴들(320a) 각각은 뒤집어진 V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측면 패턴들(320a)은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측면 패턴들(320a)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른 색상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320)은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측면 패턴들(320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패턴들(320a) 각각은 뒤집어진 V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측면 패턴들(320a)은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측면 패턴들(320a)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른 색상들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눈금 영역(330)에는 내용물의 종류, 예를 들어, 쌀의 종류에 따른 물높이와 쌀컵수를 나타내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솥(300)은 서로 다른 내용물들의 종류(예를 들어, 백미, 현미, 죽 등)에 따른 복수의 눈금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내솥(300)의 사이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눈금 영역(330)의 크기 및 눈금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예를 들어, 도 1의 110)은 적어도 하나의 눈금 영역(330)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고, 제어부(예를 들어, 도 1의 140)은 적어도 하나의 눈금 영역(330)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쌀량과 물량을 판단할 수 있고, 밥의 잔여량을 판단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200)이 쌀량과 물량을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8a를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11 및/또는 221)은 내솥(300)의 내측벽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81)를 생성할 수 있다. 내솥(300)은 쌀(301)과 물(302)을 수용할 수 있고, 제1 이미지(81)에서 내솥(300)의 패턴(320a)은 쌀(301)이 수용된 영역의 상부만 제1 길이(L1)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이미지(81)에서 내솥(300)의 패턴(320a)은 수면에서 굴절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이미지(81)에서 내솥(300)의 패턴(320a)은 수면 위의 길이와 수면 아래의 길이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밥솥(200)은 제1 이미지(81)에서 제1 길이(L1)를 기초로 쌀량을 판단할 수 있고, 수면 위의 길이 또는 수면 아래의 길이를 기초로 물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밥솥(200)은 제1 이미지(81)로부터 쌀량과 물량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200)은 제1 이미지(81)로부터 쌀량을 10인분으로 판단할 수 있고, 쌀량과 물량의 비율이 기준 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밥솥(200)은 복수의 취사 알고리즘들 중 10인분에 대응하는 취사 알고리즘을 선택하여 취사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11 및/또는 221)은 내솥(300)의 내측벽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82)를 생성할 수 있다. 내솥(300)은 쌀(301)과 물(302)을 수용할 수 있고, 제2 이미지(82)에서 내솥(300)의 패턴(320a)은 쌀(301)이 수용된 영역의 상부만 제2 길이(L2)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미지(82)에서 내솥(300)의 패턴(320a)은 수면에서 굴절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이미지(82)에서 내솥(300)의 패턴(320a)은 수면 위의 길이와 수면 아래의 길이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밥솥(200)은 제2 이미지(82)에서 제2 길이(L2)를 기초로 쌀량을 판단할 수 있고, 수면 위의 길이 또는 수면 아래의 길이를 기초로 물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 밥솥(200)은 제2 이미지(82)로부터 쌀량과 물량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200)은 제2 이미지(82)로부터 쌀량을 5인분으로 판단할 수 있고, 쌀량과 물량의 비율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밥솥(200)은 복수의 취사 알고리즘들 중 5인분에 대응하는 취사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밥솥(200)은 사용자에게 물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는 사용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8c를 함께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11 및/또는 221)은 내솥(300)의 내측벽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83)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이미지(83)에서, 내솥(300)의 패턴(320a)은 제3 길이(L3)로서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예를 들어, 도 1의 140)는 제3 이미지(83)에서 패턴(320a)의 제3 길이(L3)에 따라 내용물의 양이 미리 설정한 기준 량 이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밥솥(200)은 디스플레이부(230c)에 현재 밥 잔여량을 0인분 또는 "없음"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밥솥(200)은 사용자에게 잔여량 알림을 제공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예를 들어, 도 1의 130), 스피커, 및/또는 통신부(예를 들어, 도 1의 18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내솥들(400a, 400b)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내솥(400a)의 내측벽(410a)에 제1 패턴들(421) 및 제2 패턴들(4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패턴들(421, 422)은 제1 내솥(400a)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턴들(421)은 제1 내솥(400a)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패턴들(422)은 제1 내솥(400a)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들(421) 각각은 기울어진 V자가 뒤집힌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패턴들(422) 각각은 기울어진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패턴들(421, 422)은 음각 패턴 또는 양각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2 내솥(400b)의 내측벽(410b)에 제1 패턴들(421) 및 제3 패턴들(4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3 패턴들(421, 423)은 제2 내솥(400b)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턴들(421)은 제2 내솥(400b)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패턴들(423)은 제2 내솥(400c)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들(421)은 제1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패턴들(423)은 제2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들(421) 각각은 기울어진 V자가 뒤집힌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패턴들(422) 각각은 기울어진 V자가 뒤집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패턴들(421, 422)은 음각 패턴 또는 양각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1 내지 제3 내솥들(500a, 500b, 500c)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제1 내솥(500a)의 측벽은 S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내솥(500a)의 내측벽(510a)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5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솥(500b)의 측벽은 타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내솥(500b)의 내측벽(510b)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5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내솥(500c)의 측벽은 일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내솥(500c)의 내측벽(510c)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5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내솥들(500a, 500b, 500c)의 측벽의 형상이 서로 상이함에 따라, 바닥면에서의 높이에 따라 측벽의 곡률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한 패턴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내솥들(600a, 600b)을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내솥(600a)의 내측벽(610)은 제1 패턴 영역(620) 및 제2 패턴 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 영역(620)과 제2 패턴 영역(63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턴 영역(6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62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턴 영역(630)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벽(610) 전체에 걸쳐 복수의 패턴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내솥(600b)의 바닥면(640)에는 복수의 바닥 패턴들(65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바닥 패턴들(650) 각각은 X자 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바닥 패턴들(650) 각각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바닥 패턴들(650)은 음각 패턴 또는 양각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바닥 패턴들(650)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바닥 패턴들(650)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조리 기기로서,
    내측벽 및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에 제1 패턴들 및 제2 패턴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패턴들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며, 상기 제2 패턴들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제1 패턴들과 상기 제2 패턴들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닥면에 바닥 패턴들이 형성된,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를 수용하는 조리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조리 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내측벽의 상기 제1 패턴들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조리 기기의 뚜껑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내측벽의 상기 제2 패턴들 및 상기 바닥면의 상기 바닥 패턴들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쌀량과 물량의 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잔여량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들과 상기 제2 패턴들은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내측벽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들은 상기 내측벽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제2 패턴들은 상기 내측벽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상기 내측벽에는,
    상기 제1 패턴들에 대해 상기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측면 패턴들; 및
    상기 제2 패턴들에 대해 상기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측면 패턴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는 V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측면 패턴들은 제1 색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제2 측면 패턴들은 제2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턴들은, 적어도 하나의 음각 패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양각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턴들은,
    상기 바닥면에서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제1 바닥 패턴들; 및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둘레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제2 바닥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턴들은,
    상기 바닥면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제1 바닥 패턴들; 및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반지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제2 바닥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턴들 중 적어도 하나는 X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067872A 2020-06-04 2020-06-04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347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872A KR102347957B1 (ko) 2020-06-04 2020-06-04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872A KR102347957B1 (ko) 2020-06-04 2020-06-04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888A KR20210150888A (ko) 2021-12-13
KR102347957B1 true KR102347957B1 (ko) 2022-01-07

Family

ID=78831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872A KR102347957B1 (ko) 2020-06-04 2020-06-04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9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150A (ja) 2003-10-14 2005-05-1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JP2011056075A (ja) * 2009-09-10 2011-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18082844A (ja) 2016-11-22 2018-05-31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062A (ko) * 2004-08-30 2006-03-06 권현옥 밥솥의 잔량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150A (ja) 2003-10-14 2005-05-1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JP2011056075A (ja) * 2009-09-10 2011-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18082844A (ja) 2016-11-22 2018-05-31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888A (ko) 202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9533A (zh) 基于重量检测的烹饪装置及方法
CN106539488B (zh) 烹饪器具
KR20180083167A (ko) 조리 기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KR102347957B1 (ko) 패턴이 형성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347956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347955B1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75845B1 (ko) 메뉴 변경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42406B1 (ko)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6616B1 (ko)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6617B1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50651B1 (ko) 잔여량 알림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7361627B (zh) 烹饪器具和应用烹饪器具进行烹饪的方法
KR102238453B1 (ko) 주변 환경에 따라 가열 보상을 수행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0892157B1 (ko) 전기밥솥 표시 제어방법
JP2006055562A (ja) 炊飯器
KR102418391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9959427B (zh) 储量检测方法、装置、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61564B1 (ko)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06334126A (ja) 炊飯器
KR102275844B1 (ko) 메뉴 변경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6124B1 (ko)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24017101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76962A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N209883853U (zh) 烹饪器具
KR20190132136A (ko) 패킹 교체 시기 판단 기능을 구비한 조리 기기 및 패킹 교체 시기 판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