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124B1 -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124B1
KR102336124B1 KR1020190129339A KR20190129339A KR102336124B1 KR 102336124 B1 KR102336124 B1 KR 102336124B1 KR 1020190129339 A KR1020190129339 A KR 1020190129339A KR 20190129339 A KR20190129339 A KR 20190129339A KR 102336124 B1 KR102336124 B1 KR 10233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oking
time
soaking
cook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842A (ko
Inventor
민윤경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2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1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대한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부, 조리 용기 또는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 및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내용물에 대한 불림 공정에 소요되는 불림 시간을 제1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고,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불림 시간을 제1 불림 시간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으로 결정한다.

Description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Cooker having successive cooking control function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로서 전기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 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온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사용자는 이전 취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 후 소정 시간 내에 다음 취사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연속 취사 동작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연속 취사 동작의 경우, 이전 취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에 의해 전기 밥솥 내부가 상당히 뜨거울 수 있으므로, 온도 센서에서 센싱된 온도가 상당히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속 취사 동작의 경우 내용물의 인분수를 정확하게 판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연속 조리 동작 시 인분수 판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대한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부,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내용물에 대한 불림 공정에 소요되는 불림 시간을 제1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불림 시간을 상기 제1 불림 시간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으로 결정한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대한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 조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의 종료 시점과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 사이의 시간을 기초로 상기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내용물에 대한 불림 공정에 소요되는 불림 시간을 제1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불림 시간을 상기 제1 불림 시간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으로 결정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불림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함으로써, 인분수 판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밥솥의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밥솥의 연속 취사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밥솥의 연속 취사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온도 센서(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제어부(140), 메모리(150) 및 가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별개로 구성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밥솥, 멀티 쿠커, 로봇 쿠커, 또는 전기레인지 등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기기(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기기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포트 또는 분유 포트 등일 수 있다.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 또는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데이터, 즉, 센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온도 센서(111) 및 조리 용기(17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온도 센서(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온도 센서(111)는 복수의 하부 온도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온도 센서(112)도 복수의 상부 온도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입력들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버튼들 및/또는 스마트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는 조리 동작의 개시, 예약, 조리 메뉴의 선택, 보온 동작의 개시 등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감압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에 따른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조리 기기(100)의 상태 정보,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30)는 표시부(130a) 및 스피커(130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a)는 LCD, PDP, TFT LCD, O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와 표시부(130a)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입력부(12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온도 센서(110)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하며, 판단된 인분수에 따른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4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알고리즘 및/또는 제어 알고리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50)는 제어부(140)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제어부(140) 내에 구비되는 레지스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 및 메모리(150)는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40)는 로직 회로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과 같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온도 센서(110)로부터 수신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 조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의 종료 시점과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점 사이의 시간을 기초로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컴은 종료 시점과 수신 시점 사이의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내용물에 대한 불림 공정에 소요되는 불림 시간을 제1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고,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불림 시간을 제1 불림 시간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결정하고,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보다 높은 제2 목표 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시간을 제1 목표 시간으로 결정하고,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시간을 제1 목표 시간보다 긴 제2 목표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50)는 정상 조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 조리 알고리즘 및 연속 조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조리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리 알고리즘은 도 5의 단계 S240, S270, S280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리 알고리즘은 도 5의 단계 S250, S270, S280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가 정상 조리 동작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4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1 조리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가 연속 조리 동작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14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제2 조리 알고리즘을 실행함으로써 조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열부(160)는 가열 동작을 통해 조리 용기(170)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60)는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160)는 전기 저항 방식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부(16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조리 기기(100)는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 상태, 잔여량 알림 등을 외부 디바이스나 서버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리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조리 기기(100)의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고, 통신부(180)는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40)는 조리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조리 기기의 연속 조리 제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의 조리 기기(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를 참조하여 상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110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조리 개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온도 센서(110)의 센싱 동작이 개시되도록 온도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개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취사 버튼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조리 기기(100)는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10)는 조리 용기(170) 또는 조리 용기(170)에 담긴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수신한 온도 데이터를 기준 온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한다.
단계 S140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정상 조리 동작인 경우, 단계 S150에서, 조리 기기(100)는 제1 불림 시간으로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정상 조리 동작이 아닌 경우, 단계 S160에서, 조리 기기(100)는 제1 불림 시간보다 긴 제2 불림 시간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 S170에서, 조리 기기(100)는 인분수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조리 기기의 연속 조리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200)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200)은 도 1의 조리 기기(100)의 일 예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기기(100)가 전기 밥솥(200)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연속 조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가열 동작을 수행하는 다양한 조리 기기(1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밥솥(200)은 조리 공간을 갖는 본체(210), 조리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210)에 연결된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온도 센서(111), 제어부(140) 및 가열부(160)는 본체(210)에 배치될 수 있고, 상부 온도 센서(112)는 뚜껑(220)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에 예시된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50) 및 통신부(180)도 본체(210)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뚜껑(220)은 본체(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pivot)할 수 있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조리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특히, 뚜껑(220)은 조리 대상물, 예를 들어, 쌀과 물에 대한 취사가 진행되는 동안에, 조리 공간 내에 적합한 압력이 형성되도록 조리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밥솥의 동작에 따른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이때, 온도는 온도 센서(110)에서 출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는 상부 온도 센서(112)에서 출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그래프(41)는 정상 조리 동작, 즉, 정상 취사 동작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며, 제2 그래프(42)는 연속 조리 동작, 즉, 연속 취사 동작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다.
취사 구간(410)은 취사 선택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개시될 수 있고, 불림 구간(411), 인분수 판정 구간(412), 가열 구간(413) 및 뜸 구간(414)을 포함할 수 있다. 불림 구간(411)에서, 제어부(140)는 조리 용기(170) 내의 쌀에 물을 충분히 침투시키기 위하여, 쌀과 물의 온도를 끓는점 이하의 일정 범위로 유지하도록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림 구간(411)은 쌀과 물이 소정의 불림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는 불림 가열 구간과, 불림 온도를 유지하면서 소정의 시간 동안 대기하는 대기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인분수 판정 구간(412)에서, 제어부(140)는 온도 데이터가 목표 온도(Tt)까지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초로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부(160)는 일정한 가열 출력으로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고, 제어부(140)는 온도의 변화 속도, 예를 들어, 승온 속도에 따라 쌀과 물의 분량, 즉, 인분수를 판정할 수 있다.
가열 구간(413)에서, 제어부(140)는 쌀과 물의 온도가 끓는점 이상까지 상승하도록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구간(413)은 제1 비등 출력으로 온도가 제1 비등 온도에 도달하도록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비등 1단계, 및 제2 비등 출력으로 온도가 제2 비등 온도에 도달하도록 조리 용기(170)를 가열하는 비등 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등 1단계와 비등 2단계 사이에는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지연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뜸 구간(414)에서, 제어부(140)는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중단하거나 가열 동작을 약하게 제어할 수 있다. 뜸 공정은 비등 공정에서 고온 고압으로 가열된 밥을 서서히 식혀서 최상의 밥맛을 내도록 취사를 완료하는 공정이다. 보온 구간(420)은 취사 구간(41)의 종료된 시점에 개시될 수 있다.
정상 취사 동작 시, 불림 구간(411)의 시작 시점에서 온도 데이터는 제1 온도(T1)일 수 있다. 정상 취사 동작 시, 불림 구간(411)은 제1 불림 시간(t1) 동안 진행될 수 있고, 인분수 판정 구간(412)은 제1 판정 시간(t2)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반면, 연속 취사 동작 시, 이전 취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으로 인해 조리 용기(170)의 온도 또는 온도 센서(110)의 주변 온도가 상당히 높을 수 있는바, 불림 구간(411)의 시작 시점에서 온도 데이터는 제1 온도(T1)보다 높은 제2 온도(T2)일 수 있다. 이로써, 연속 취사 동작 시, 인분수 판정 구간(412)에서 온도 데이터가 목표 온도(Tt)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시간(t2')은 제1 판정 시간(t2)보다 짧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인분수 판정 구간(412)에서 내용물의 실제 인분수보다 작은 인분수로 판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밥이 설익거나 층진 밥이 조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5을 함께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220에서, 전기 밥솥(200)은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은지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밥솥(200)은 하부 온도 센서(111)에서 센싱된 온도가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은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 밥솥(200)은 상부 온도 센서(112)에서 센싱된 온도가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은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온도는 제1 기준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기준 온도와 제2 기준 온도는 동일할 수도 있다.
판단 결과,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단계 S240을 수행하고,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지 않으면 단계 S250을 수행한다. 단계 S24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이 정상 취사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불림 시간(예를 들어, 도 4의 t1)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정상 취사 동작의 온도 변화는 도 4의 제1 그래프(41)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이 연속 취사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불림 시간(t1)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예를 들어, 도 6의 t1a)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연속 취사 동작의 온도 변화는 도 6의 그래프(61)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250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밥솥의 연속 취사 동작의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온도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는 상부 온도 센서(112)에서 출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전기 밥솥(200)이 취사 동작을 연속 취사 동작으로 판단한 경우, 취사 구간(410a)에 포함된 불림 구간(411a)은 제2 불림 시간(t1a)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불림 시간(t1a)은 정상 취사 동작의 불림 시간, 예를 들어, 도 4의 제1 불림 시간(t1)보다 길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단계 S27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 판정 구간(412) 동안 온도가 목표 온도(Tt)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초로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한다. 연속 취사 동작의 경우, 제1 불림 시간(t1) 보다 긴 제2 불림 시간(t1a) 동안 충분히 불림 공정을 수행하여, 상부 온도 및 하부 온도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상부 온도 및 하부 온도가 인분 판정을 위한 목표 온도(Tt)까지 도달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인분수 판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단계 S28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에 따른 취사 동작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은 도 5에 예시된 동작 방법의 변형 예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220에서, 전기 밥솥(200)은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은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단계 S240을 수행하고,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지 않으면 단계 S245를 수행한다.
단계 S245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이 연속 취사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불림 대기 시간(예를 들어, 도 8의 t1') 동안 가열 동작을 지연시킨다. 단계 S240에서, 전기 밥솥(200)은 제1 불림 시간(예를 들어, 도 8의 t1)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연속 취사 동작의 온도 변화는 도 8의 그래프(81)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245 및 단계 S240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기 밥솥의 연속 취사 동작의 온도 변화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온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온도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서 출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는 상부 온도 센서(112)에서 출력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전기 밥솥(200)이 취사 동작을 연속 취사 동작으로 판단한 경우, 취사 구간(410b)에 포함된 불림 구간(411b)은 불림 대기 시간(t1')과 제1 불림 시간(t1)의 합인 제2 불림 시간(t1b)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불림 시간(t1b)은 정상 취사 동작의 불림 시간, 예를 들어, 도 4의 제1 불림 시간(t1)보다 길 수 있다.
불림 대기 시간(t1') 동안, 온도는 제2 온도(T2)에서 온도(T2')로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T2')는 상온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림 대기 시간(t1') 동안, 제어부(140)는 가열부(160)의 가열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도는 상온에 가깝게 하강할 수 있다. 제1 불림 시간(t1) 동안, 그래프(81)는 정상 취사 동작의 그래프(예를 들어, 도 4의 41)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거동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단계 S27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 판정 구간(412) 동안 온도가 목표 온도(Tt)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초로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한다. 연속 취사 동작의 경우, 불림 대기 시간(t1') 동안 온도를 하강시킨 후에 제1 불림 시간(t1)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하여, 인분수 판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단계 S28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에 따른 취사 동작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은 도 5에 예시된 동작 방법의 변형 예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220a에서, 전기 밥솥(200)은 하부 온도가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은지 판단한다. 이때, 하부 온도는 하부 온도 센서(111)에서 센싱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하부 온도가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단계 S220b를 수행하고, 하부 온도가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지 않으면 단계 S220c를 수행한다.
단계 S220b에서, 전기 밥솥(200)은 상부 온도가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은지 판단한다. 이때, 상부 온도는 상부 온도 센서(112)에서 센싱된 온도 데이터에 대응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부 온도가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단계 S240을 수행하고, 상부 온도가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지 않으면 단계 S250을 수행한다. 단계 S220c에서, 전기 밥솥(200)은 상부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부 온도가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단계 S250을 수행하고, 상부 온도가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단계 S260을 수행한다.
단계 S24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이 정상 취사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불림 시간(예를 들어, 도 4의 t1)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 S25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이 연속 취사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불림 시간(t1)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예를 들어, 도 6의 t1a 또는 도 8의 t1b)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 S260에서, 전기 밥솥(200)은 제1 불림 시간(t1)보다 길고 제2 불림 시간(t1a 또는 t1b)보다 짧은 제3 불림 시간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전 취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과 다음 취사 동작 사이의 시간 간격이, 연속 취사 동작보다는 길고 정상 취사 동작보다는 짧은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상부 온도는 충분히 하강하여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지만, 하부 온도는 제1 기준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쌀을 고온의 물로 씻고, 조리 용기(170)에 고온의 물을 부을 경우, 상부 온도는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지만, 하부 온도는 제1 기준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때에는, 정상 취사 동작에서의 제1 불림 시간과 연속 취사 동작에서의 제2 불림 시간의 중간 값에 대응하는 제3 불림 시간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7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 판정 구간(412) 동안 온도가 목표 온도(Tt)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초로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한다. 단계 S28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에 따른 취사 동작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조리 기기의 연속 조리 제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도 1의 조리 기기(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은 도 2에 예시된 동작 방법의 변형 예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조리 개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40)는 온도 센서(110)의 센싱 동작이 개시되도록 온도 센서(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조리 기기(100)는 이전 조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의 종료 시점과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점 사이의 시간을 기초로,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메모리(150)에 액세스함으로써, 이전 조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의 종료 시점을 획득하고, 획득한 종료 시간을 기초로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마이컴은 종료 시점을 체크하고, 종료 시점에서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정상 조리 동작인 경우, 단계 S150에서, 조리 기기(100)는 제1 불림 시간으로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한편, 정상 조리 동작이 아닌 경우, 단계 S160에서, 조리 기기(100)는 제1 불림 시간보다 긴 제2 불림 시간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 S170에서, 조리 기기(100)는 인분수에 따른 가열 동작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밥솥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을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23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이전 조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의 종료 시점과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점 사이의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은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종료 시점과 수신 시점 사이의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으면 단계 S240을 수행하고,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짧지 않으면 단계 S250을 수행한다.
단계 S24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이 정상 취사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불림 시간(예를 들어, 도 4의 t1)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 S250에서, 전기 밥솥(200)은 취사 동작이 연속 취사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불림 시간(t1)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예를 들어, 도 6의 t1a)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한다. 단계 S27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를 판정한다. 단계 S280에서, 전기 밥솥(200)은 인분수에 따른 취사 동작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방법은 이전 조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의 종료 시점과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점 사이의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길고 제2 기준 시간보다 짧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과 상기 제2 기준 시간 사이인 경우, 전기 밥솥(200)은 제1 불림 시간보다 길고 제2 불림 시간보다 짧은 제3 불림 시간 동안 불림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대한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부;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제1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부 온도 센서;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내용물에 대한 불림 공정에 소요되는 불림 시간을 제1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불림 시간을 상기 제1 불림 시간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온도를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높은 제2 목표 온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조리 동작을 상기 정상 조리 동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지 않으면, 상기 조리 동작을 상기 연속 조리 동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 온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하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 데이터가 제1 기준 온도보다 낮거나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불림 시간을 상기 제1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2 온도 데이터가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지 않거나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상기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지 않으면, 상기 불림 시간을 상기 제2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온도 데이터가 상기 제1 기준 온도 이상이고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상기 제2 기준 온도보다 낮으면, 또는 상기 제2 온도 데이터가 상기 제1 기준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상기 제2 기준 온도 이상이면, 상기 불림 시간을 상기 제1 불림 시간보다 길고 상기 제2 불림 시간보다 짧은 제3 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불림 구간에서, 상기 제1 불림 시간 또는 상기 제2 불림 시간 동안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끓는점 이하의 일정 범위로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 동작을 제어하고,
    인분수 판정 구간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하고,
    가열 구간에서, 판단된 상기 인분수를 기초로 상기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불림 시간은 불림 대기 시간과 상기 제1 불림 시간의 합에 대응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불림 구간에서, 상기 불림 대기 시간 동안 상기 가열 동작을 지연시키고, 상기 불림 대기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 불림 시간 동안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끓는점 이하의 일정 범위로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 동작을 제어하며,
    인분수 판정 구간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하고,
    가열 구간에서, 판단된 상기 인분수를 기초로 상기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9. 조리 용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가열부;
    상기 조리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대한 조리 동작의 개시를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이전 조리 동작 또는 이전 보온 동작의 종료 시점과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점 사이의 시간을 기초로 상기 조리 동작이 정상 조리 동작 또는 연속 조리 동작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내용물에 대한 불림 공정에 소요되는 불림 시간을 제1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불림 시간을 상기 제1 불림 시간보다 긴 제2 불림 시간으로 결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시간을 제1 목표 시간으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시간을 상기 제1 목표 시간보다 긴 제2 목표 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료 시점과 상기 수신 시점 사이의 상기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길면, 상기 조리 동작을 상기 정상 조리 동작으로 판단하고,
    상기 종료 시점과 상기 수신 시점 사이의 상기 시간이 상기 기준 시간보다 길지 않으면, 상기 조리 동작을 상기 연속 조리 동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불림 구간에서, 상기 제1 불림 시간 또는 상기 제2 불림 시간 동안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끓는점 이하의 일정 범위로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 동작을 제어하고,
    인분수 판정 구간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하고,
    가열 구간에서, 판단된 상기 인분수를 기초로 상기 가열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온도를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높은 제2 목표 온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 용기 또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센싱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부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불림 시간은 불림 대기 시간과 상기 제1 불림 시간의 합에 대응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불림 구간에서, 상기 불림 대기 시간 동안 상기 가열 동작을 지연시키고, 상기 불림 대기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 불림 시간 동안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끓는점 이하의 일정 범위로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 동작을 제어하며,
    인분수 판정 구간에서, 상기 온도 데이터의 변화량을 기초로 상기 내용물의 인분수를 판단하고,
    가열 구간에서, 판단된 상기 인분수를 기초로 상기 가열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상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온도를 제1 목표 온도로 결정하고, 상기 연속 조리 동작의 경우 인분 판정 목표 온도를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높은 제2 목표 온도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KR1020190129339A 2019-10-17 2019-10-17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39A KR102336124B1 (ko) 2019-10-17 2019-10-17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339A KR102336124B1 (ko) 2019-10-17 2019-10-17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42A KR20210045842A (ko) 2021-04-27
KR102336124B1 true KR102336124B1 (ko) 2021-12-08

Family

ID=7572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339A KR102336124B1 (ko) 2019-10-17 2019-10-17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1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7493A (ko) * 1997-02-05 1998-10-15 이영서 전기밥솥의 인분 판정방법
KR100257623B1 (ko) * 1997-12-27 2000-06-01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연속조리시에 온도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26277B1 (ko) * 2009-12-29 2012-03-19 주식회사 리홈 전기 밥솥의 연속 취사 제어 방법
KR20190051126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842A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2814B2 (en) Cooking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for cook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cooking device
WO2021218083A1 (zh) 烹饪电器的控制方法、烹饪电器及可读存储介质
US11255548B2 (en) Cooktop appliance control system
JP4470115B2 (ja) 表示部カスタマイズ機能を有する電気炊飯器
WO2019184188A1 (zh) 用于压力烹饪器具的控制设备、方法及压力烹饪器具
CN111061202A (zh) 烹饪方法、烹饪电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75845B1 (ko) 메뉴 변경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336124B1 (ko)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788220B2 (en) Determining cookware location on a cooktop appliance based on temperature response
KR102261564B1 (ko) 연속 조리 제어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JP6579936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KR102142406B1 (ko)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6610B1 (ko)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재취사 방법
CN115245286A (zh) 用于向待烹饪产品供应热量的方法和系统
KR102275844B1 (ko) 메뉴 변경 기능을 갖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126076B1 (ko) 패킹 교체 시기 판단 기능을 구비한 조리 기기 및 패킹 교체 시기 판단 방법
KR102201064B1 (ko)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재취사 방법
KR102226617B1 (ko)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383767B1 (ko)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79453A (ko) 패킹 교체 시기 판단 기능을 구비한 조리 기기 및 패킹 교체 시기 판단 방법
KR102275840B1 (ko) 모드에 따라서 출력을 제어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26616B1 (ko) 포토 센서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CN113349642B (zh) 烹饪控制方法、装置、烹饪器具、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098403B (zh) 烹饪的方法、烹饪器具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518774B (zh) 烹饪温度控制方法、烹饪设备控制装置、烹饪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