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735B1 - 사출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735B1
KR102225735B1 KR1020200148091A KR20200148091A KR102225735B1 KR 102225735 B1 KR102225735 B1 KR 102225735B1 KR 1020200148091 A KR1020200148091 A KR 1020200148091A KR 20200148091 A KR20200148091 A KR 20200148091A KR 102225735 B1 KR102225735 B1 KR 102225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ase
injection mold
discharg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관
이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4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03Introducing an auxiliary fluid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20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13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rmination of flow of material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8Detecting defective mould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6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power or energy, e.g. integral function of force
    • B29C2045/7673Recovering energy or power from drive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제조된 제품(1)을 상기 배출수단(40)을 이용하여 배출함으로, 이젝터와 배출장치(26)를 이용하여 제품(1)을 배출하는 종래의 사출성형장치에 비해, 제1 금형의 구조와 케이스(10)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 짐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출성형장치{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사출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사출성형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호 측방향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인접면에 제품(1)에 대응되는 형태의 캐비티(23,24)가 형성된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사출금형(21)에 연결되어 캐비티(23,24)에 원료인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27)과, 상기 제2 사출금형(2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이 상호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25)과, 상기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의 하측에서 케이스(10)의 외부로 연장된 배출장치(26)와, 상기 원료공급수단(27)과 슬라이드구동수단(25) 및 배출장치(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사출금형(21)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사출금형(22)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캐비티(23,24)의 내부에 주입된 합성수지가 경화되어 완성된 제품(1)은 상기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사출금형(21)에는 캐비티(23,24)의 내부에서 성형되어 완성된 제품(1)을 배출하기 위한 도시 안된 이젝터가 구비된다.
상기 원료공급수단(27)은 원료인 합성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시켜 상기 캐비티(23,24)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5)은 상기 제2 사출금형(22)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제2 사출금형(22)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배출장치(26)는 일반적인 컨베이어장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원료공급수단(27)을 이용하여 캐비티(23,24)의 내부로 용융된 합성수지를 공급하면 캐비티(23,24)의 내부에 합성수지가 공급되어 제품(1)이 성형되며, 제품(1)이 적정온도로 냉각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5)을 축소시켜 제2 사출금형(22)을 후퇴시키면,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이 이격되면서 제조된 제품(1)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이젝터가 작동되어,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고정된 제품(1)이 하측으로 배출되면, 배출된 제품(1)은 상기 배출장치(26)에 의해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25)을 신장시켜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이 밀착시키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제품(1)을 생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사출성형장치는 완성된 제품(1)을 배출하기 위한 이젝터가 제1 금형에 구비됨으로, 제1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금형의 유지보수가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이젝터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장치(26)가 구비됨으로, 케이스(10) 내부의 구조가 더욱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더욱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9628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사출성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호 측방향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인접면에 제품(1)에 대응되는 형태의 캐비티(23,24)가 형성된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사출금형(21)에 연결되어 캐비티(23,24)에 원료인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27)과, 상기 제2 사출금형(2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이 상호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25)과, 상기 원료공급수단(27)과 슬라이드구동수단(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0)을 포함하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출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에 의해 제조된 제품(1)을 픽업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단(40)은 하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의 상단부 전면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결합되어 양측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대(42)와, 상기 회동대(42)에 연결되어 회동대(42)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3)과, 상기 회동대(4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44)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4)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전후방향구동수단(45)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4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하단이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바(46)와, 상기 승강바(46)에 연결되어 승강바(4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47)과, 상기 승강바(46)의 하단에 구비된 피커(48)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사출금형(22)이 후퇴되어 제품(1)이 상기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고정된 상태로 노출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47)에 의해 승강바(46)와 피커(48)가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사출금형(21)에 고정된 제품(1)을 파지하고,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45)으로 슬라이드블록(44)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피커(48)에 의해 파지된 제품(1)을 제1 사출금형(21)으로부터 분리하고, 승강구동수단(47)을 제어하여 승강바(46)와 피커(48)와 피커(48)에 고정된 제품(1)을 케이스(10)의 상측으로 상승시킨 후, 회동구동수단(43)으로 회동대(42)를 회동시키고, 승강구동수단(47)을 제어하여 승강바(46)와 피커(48) 및 제품(1)을 경사방향으로 하강시킨 후 피커(48)의 고정을 해제하여 제품(1)을 케이스(10)의 외부 일측으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사출금형(22)의 내부에는 캐비티(24)에 연결되는 급기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22a)에 연결된 급기수단(22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5)을 구동시켜 제2 사출금형(22)을 후퇴시킬 때, 상기 급기수단(22b)을 통해 캐비티(24)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캐비티(23,24)의 내부에서 제조된 제품(1)이 상기 제2 사출금형(22)의 캐비티(24)로부터 이탈되어,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수단(40)에 의해 제품(1)이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배출수단(40)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이 상면에 올려지도록 구성되며 상면에 올려진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51)과, 상기 무게측정수단(51)에 구비되어 무게측정수단(51)에 올려진 제품(1)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1 및 제2 배출수단(52,53)과, 상기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제품(1)이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을 수집하며 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케이스(54)와, 상기 냉각케이스(54)의 내부에 있는 제품(1)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55)와, 상기 배출컨베이어(55)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을 건조시키는 공기분사수단(56)과, 상기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수집하는 수집통(5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게측정수단(51)에 올려진 제품(1)의 무게를 측정하는 후 제품(1)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제1 배출수단(52)을 제어하여 제품(1)을 상기 냉각케이스(54)로 배출하고, 제품(1)의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2 배출수단(53)을 제어하여 제품(1)을 배출함으로써,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난 불량품을 선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제조된 제품(1)을 상기 배출수단(40)을 이용하여 배출함으로, 이젝터와 배출장치(26)를 이용하여 제품(1)을 배출하는 종래의 사출성형장치에 비해, 제1 금형의 구조와 케이스(10)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 짐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사출성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사출성형장치를 도시한 회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를 도시한 후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후측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제2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형성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호 측방향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인접면에 제품(1)에 대응되는 형태의 캐비티(23,24)가 형성된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사출금형(21)에 연결되어 캐비티(23,24)에 원료인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27)과, 상기 제2 사출금형(2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이 상호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25)과, 상기 원료공급수단(27)과 슬라이드구동수단(25)의 작동을 제어수단(3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는 상기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출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에 의해 제조된 제품(1)을 픽업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배출수단(40)은 상기 제어수단(3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것으로, 하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의 상단부 전면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결합되어 양측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대(42)와, 상기 회동대(42)에 연결되어 회동대(42)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3)과, 상기 회동대(4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44)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4)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전후방향구동수단(45)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4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하단이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바(46)와, 상기 승강바(46)에 연결되어 승강바(4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47)과, 상기 승강바(46)의 하단에 구비된 피커(48)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각바형태로 구성되며, 하단이 상기 케이스(10)의 개구부(11)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회동대(42)는 사각형의 프레임형태로 구성되어 후단부에 구비된 회동축(42a)이 상기 지지대(41)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은 양단이 상기 지지대(41)와 회동대(42)에 힌지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회동대(42)가 수평에서 정해진 기울기로 회동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44)은 상기 회동대(42)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45)은 상기 회동대(42)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44)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블록(44)이 전후진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승강바(4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평관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블록(44)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지지블록(46a)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47)은 상기 승강바(46)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바(46)의 지지블록(46a)에 연결된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피커(48)는 상기 지지블록(46a)의 하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핑거부재(48a)와, 상기 핑거부재(48a)에 연결되어 핑거부재(48a)가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조절하는 실린더기구(48b)로 구성되어, 상기 핑거부재(48a)가 제품(1)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성형금형의 내부에는 캐비티(24)에 연결되도록 급기공(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공(22a)에는 급기수단(22b)이 연결된다.
상기 급기수단(22b)은 급기관(22c)을 통해 상기 급기공(22a)에 연결되는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출성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23,24)의 내부에 주입된 합성수지가 경화되어 제품(1)이 제조된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5)으로 제2 사출금형(22)을 후퇴시킬 때, 상기 제어수단(30)은 상기 급기수단(22b)을 구동시켜 상기 급기공(22a)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이때, 급기공(22a)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2 사출금형(22)의 캐비티(24)의 내부로 공급되어, 완성된 제품(1)에서 제2 사출금형(22)의 캐비티(24)의 내부에 위치된 부분은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제품(1)이 제2 사출금형(22)의 캐비티(24)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사출금형(22)이 완전히 후퇴되어 제품(1)이 상기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고정된 상태로 노출되면, 상기 제어수단(30)은 승강구동수단(47)을 제어하여 승강바(46)와 피커(48)가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사출금형(21)에 고정된 제품(1)을 파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45)을 제어하여 슬라이드블록(44)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피커(48)에 의해 파지된 제품(1)을 제1 사출금형(21)으로부터 분리하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구동수단(47)을 제어하여 승강바(46)와 피커(48)와 피커(48)에 고정된 제품(1)을 케이스(10)의 상측으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43)을 제어하여 회동대(42)를 일측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대(42)는 상기 승강바(46)가 일측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47)을 제어하여 승강바(46)와 피커(48) 및 제품(1)을 경사방향으로 하강시킨 후 피커(48)의 고정을 해제하여 제품(1)을 케이스(10)의 외부 일측으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수단(40)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수집하는 수집통(49)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출성형장치는 제조된 제품(1)을 상기 배출수단(40)을 이용하여 배출함으로, 이젝터와 배출장치(26)를 이용하여 제품(1)을 배출하는 종래의 사출성형장치에 비해, 제1 금형의 구조와 케이스(10) 내부의 구조가 간단해 짐으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사출금형(22)의 내부에는 캐비티(24)에 연결되는 급기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22a)에는 급기수단(22b)이 연결되어, 제2 사출금형(22)이 후퇴될 때, 급기수단(22b)을 이용하여 제2 사출금형(22)의 캐비티(24)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제품(1)이 밀려나도록 함으로서, 완성된 제품(1)이 정확하게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배출수단(40)에 의해 제품(1)이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배출수단(40)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이 상면에 올려지도록 구성되며 상면에 올려진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51)과, 상기 무게측정수단(51)에 구비되어 무게측정수단(51)에 올려진 제품(1)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1 및 제2 배출수단(52,53)과, 상기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제품(1)이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을 수집하며 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케이스(54)와, 상기 냉각케이스(54)의 내부에 있는 제품(1)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55)와, 상기 배출컨베이어(55)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을 건조시키는 공기분사수단(56)과, 상기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수집하는 수집통(57)이 더 구비된다.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은 하부지지대(51a)와, 상기 하부지지대(51a)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제품(1)이 올려지는 측정판(51b)과, 상기 하부지지대(51a)와 측정판(51b)의 사이에 구비되어 측정판(51b)의 상면에 올려진 제품(1)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51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정판(51b)은 상기 배출수단(40)에 의해 제품(1)이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배출수단(40)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이 측정판(51b)의 상면에 올려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수단(40)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이 상기 측정판(51b)의 상면에 올려지면, 상기 로드셀(51c)이 측정판(51b)에 올려진 제품(1)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제품(1)의 무게값을 상기 제어수단(3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배출수단(52)은 상기 측정판(51b)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푸쉬바(52a)와, 상기 제1 푸쉬바(52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제1 푸쉬바(52a)를 측정판(51b)의 반대쪽으로 전후진시키는 제1 에어실린더(52a)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에어실린더(52a)를 신축시키면 상기 제1 푸쉬바(52a)가 상기 측정판(51b)의 상면에 올려진 제품(1)을 측방향으로 밀어 배출하게 된다.
상기 제2 배출수단(53)은 상기 측정판(51b)의 상부 전방에 구비된 제2 푸쉬바(53a)와, 상기 제2 푸쉬바(53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제2 푸쉬바(53a)를 전후진시키는 제2 에어실린더(53b)로 구성되어, 제2 에어실린더(53b)를 신축시키면 상기 제2 푸쉬바(53a)가 상기 측정판(51b)의 상면에 올려진 제품(1)을 후방으로 밀어 배출하게 된다.
상기 냉각케이스(54)는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의 측방향 하측에 위치되어,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이 냉각케이스(54)로 낙하하여 수집되도록 한다.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케이스(54)에 수집된 제품(1)을 냉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55)장치는 벨트가 그물망형태로 구성되어, 냉각케이스(54)에 수집된 제품(1)을 배출할 때, 제품(1)에 묻은 냉각수가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분사수단(56)은 상기 배출컨베이어(55)의 중간부 상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56a)과, 상기 분사노즐(56a)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56b)로 구성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1)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제품(1)에 묻은 냉각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30)에는 상기 제품(1)의 무게값의 오차범위가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의 후방에는 상기 제2 배출수단(53)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수집하는 보조수집통(58)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출성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배출수단(40)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이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이 측정판(51b)에 올려지면,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은 상기 제품(1)의 무게값을 측정하여 제어수단(3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0)은 수신된 제품(1)의 무게값이 미리 입력된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제1 배출수단(52)을 제어하여 제품(1)을 상기 냉각케이스(54)로 배출하고, 제품(1)의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2 배출수단(53)을 제어하여 제품(1)을 상기 보조수집통(58)으로 배출함으로써,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난 불량품을 선별한다.
이때, 상기 냉각케이스(54)로 배출된 제품(1)은 냉각케이스(54)에 저장된 냉각수에 의해 신속하게 냉각된 후, 상기 배출컨베이어(55)장치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공기분사수단(56)에 의해 건조된 후, 수집통(57)으로 배출되어 수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출성형장치는 상기 무게측정수단(51)과 제1 및 제2 배출수단(52,53)을 이용하여, 제품(1)의 무게를 측정하여 불량이 발생된 제품(1)을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제품(1)은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에 형성된 캐비티(23,24)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제조되는데, 이때, 캐비티(23,24)의 내부 전체에 합성수지가 주입되지 못하는 불량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제품(1)은 무게가 정상적인 제품(1)의 무게에 비해 가벼워지게 됨으로,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을 이용하여 제품(1)의 무게를 측정하여 제품(1)의 불량여부를 확인하고,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난 불량품은 제2 배출수단(53)을 이용하여 별도로 배출함으로써, 불량이 발생된 제품(1)은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을 수집하며 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케이스(54)와, 상기 냉각케이스(54)의 내부에 있는 제품(1)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55)와, 상기 배출컨베이어(55)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을 건조시키는 공기분사수단(56)과, 상기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수집하는 수집통(57)을 이용하여,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신속하게 냉각시킨 후, 수집통(57)에 수집할 수 있다.
즉, 사출성형기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제품(1)은 매우 뜨거우며, 이와 같이 뜨거운 상태의 제품(1)에서는 제품(1) 특유의 플라스틱 냄새가 발생되어,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케이스(54)로 배출하면, 냉각수에 의해 신속하게 냉각됨으로써 제품(1)에서 냄새가 발생되어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케이스 21,22. 제1 및 제2 금형
25. 슬라이드구동수단 30. 제어수단
40. 배출수단

Claims (3)

  1.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호 측방향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인접면에 제품(1)에 대응되는 형태의 캐비티(23,24)가 형성된 제1 사출금형(21) 및 제2 사출금형(22)과,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사출금형(21)에 연결되어 캐비티(23,24)에 원료인 합성수지를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27)과,
    상기 제2 사출금형(2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이 상호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25)과,
    상기 원료공급수단(27)과 슬라이드구동수단(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0)을 포함하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출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사출금형(21,22)에 의해 제조된 제품(1)을 픽업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단(40)은
    하단이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의 상단부 전면에 전후방향의 회전중심축을 갖도록 결합되어 양측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대(42)와,
    상기 회동대(42)에 연결되어 회동대(42)를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43)과,
    상기 회동대(4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44)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4)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4)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전후방향구동수단(45)과,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44)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시 하단이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바(46)와,
    상기 승강바(46)에 연결되어 승강바(46)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47)과,
    상기 승강바(46)의 하단에 구비된 피커(48)를 포함하여,
    상기 제2 사출금형(22)이 후퇴되어 제품(1)이 상기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고정된 상태로 노출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47)에 의해 승강바(46)와 피커(48)가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1 사출금형(21)에 고정된 제품(1)을 파지하고, 상기 전후방향구동수단(45)으로 슬라이드블록(44)을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피커(48)에 의해 파지된 제품(1)을 제1 사출금형(21)으로부터 분리하고, 승강구동수단(47)을 제어하여 승강바(46)와 피커(48)와 피커(48)에 고정된 제품(1)을 케이스(10)의 상측으로 상승시킨 후, 회동구동수단(43)으로 회동대(42)를 회동시키고, 승강구동수단(47)을 제어하여 승강바(46)와 피커(48) 및 제품(1)을 경사방향으로 하강시킨 후 피커(48)의 고정을 해제하여 제품(1)을 케이스(10)의 외부 일측으로 배출하되,
    상기 배출수단(40)에 의해 제품(1)이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배출수단(40)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이 상면에 올려지도록 구성되며 상면에 올려진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수단(51)과, 상기 무게측정수단(51)에 구비되어 무게측정수단(51)에 올려진 제품(1)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출하는 제1 배출수단(52) 및 제2 배출수단(53)을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은 하부지지대(51a)와, 상기 하부지지대(51a)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제품(1)이 올려지는 측정판(51b)과, 상기 하부지지대(51a)와 측정판(51b)의 사이에 구비되어 측정판(51b)의 상면에 올려진 제품(1)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51c)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배출수단(52)은 상기 측정판(51b)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푸쉬바(52a)와, 상기 제1 푸쉬바(52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제1 푸쉬바(52a)를 측정판(51b)의 반대쪽으로 전후진시키는 제1 에어실린더(52a)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에어실린더(52a)를 신축시키면 상기 제1 푸쉬바(52a)가 상기 측정판(51b)의 상면에 올려진 제품(1)을 측방향으로 밀어 배출하며,
    상기 제2 배출수단(53)은 상기 측정판(51b)의 상부 전방에 구비된 제2 푸쉬바(53a)와, 상기 제2 푸쉬바(53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제2 푸쉬바(53a)를 전후진시키는 제2 에어실린더(53b)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에어실린더(53b)를 신축시키면 상기 제2 푸쉬바(53a)가 상기 측정판(51b)의 상면에 올려진 제품(1)을 후방으로 밀어 배출하며,
    상기 승강바(4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평관체를 이용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44)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하단에는 지지블록(46a)이 구비되며,
    상기 피커(48)는 상기 지지블록(46a)의 하측면에 구비된 한 쌍의 핑거부재(48a)와, 상기 핑거부재(48a)에 연결되어 핑거부재(48a)가 상호 인접 또는 이격되도록 조절하는 실린더기구(48b)로 구성되어, 상기 핑거부재(48a)가 제품(1)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출금형(22)의 내부에는 캐비티(24)에 연결되는 급기공(22a)이 형성되고,
    상기 급기공(22a)에 연결된 급기수단(22b)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25)을 구동시켜 제2 사출금형(22)을 후퇴시킬 때, 상기 급기수단(22b)을 통해 캐비티(24)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캐비티(23,24)의 내부에서 제조된 제품(1)이 상기 제2 사출금형(22)의 캐비티(24)로부터 이탈되어, 제1 사출금형(21)의 캐비티(23)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제품(1)이 배출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1 배출수단(52)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을 수집하며 내부에는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케이스(54)와,
    상기 냉각케이스(54)의 내부에 있는 제품(1)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55)와,
    상기 배출컨베이어(55)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배출되는 제품(1)을 건조시키는 공기분사수단(56)과,
    상기 배출컨베이어(55)에 의해 배출된 제품(1)을 수집하는 수집통(5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0)은 상기 무게측정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게측정수단(51)에 올려진 제품(1)의 무게를 측정하는 후 제품(1)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제1 배출수단(52)을 제어하여 제품(1)을 상기 냉각케이스(54)로 배출하고, 제품(1)의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제2 배출수단(53)을 제어하여 제품(1)을 배출함으로써,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난 불량품을 선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KR1020200148091A 2020-11-06 2020-11-06 사출성형장치 KR102225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091A KR102225735B1 (ko) 2020-11-06 2020-11-06 사출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091A KR102225735B1 (ko) 2020-11-06 2020-11-06 사출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735B1 true KR102225735B1 (ko) 2021-03-10

Family

ID=75147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091A KR102225735B1 (ko) 2020-11-06 2020-11-06 사출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773A (zh) * 2022-01-13 2022-04-26 辽宁工业大学 一种制作血管支架的便捷式注塑模具
CN114407310A (zh) * 2022-01-21 2022-04-29 浙江嘉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注塑系统及其使用方法
CN115946310A (zh) * 2022-12-30 2023-04-11 徐州市宝盛新田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注塑机取模机构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260A (ja) * 1998-12-28 2000-07-11 Yushin Precision Equipment Co Ltd 2関節型移載機構を備えたロボット
KR100979667B1 (ko) * 2007-04-18 2010-09-02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도광판 취출 장치 및 도광판 취출 방법
KR101196285B1 (ko) 2010-12-16 2012-11-06 (주)진영에이치앤에스 사출성형 장치
KR20130033608A (ko) * 2011-09-27 201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260A (ja) * 1998-12-28 2000-07-11 Yushin Precision Equipment Co Ltd 2関節型移載機構を備えたロボット
KR100979667B1 (ko) * 2007-04-18 2010-09-02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도광판 취출 장치 및 도광판 취출 방법
KR101196285B1 (ko) 2010-12-16 2012-11-06 (주)진영에이치앤에스 사출성형 장치
KR20130033608A (ko) * 2011-09-27 201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징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3773A (zh) * 2022-01-13 2022-04-26 辽宁工业大学 一种制作血管支架的便捷式注塑模具
CN114393773B (zh) * 2022-01-13 2023-12-12 辽宁工业大学 一种制作血管支架的便捷式注塑模具
CN114407310A (zh) * 2022-01-21 2022-04-29 浙江嘉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注塑系统及其使用方法
CN114407310B (zh) * 2022-01-21 2023-12-01 东莞市正弘橡塑有限公司 一种注塑系统及其使用方法
CN115946310A (zh) * 2022-12-30 2023-04-11 徐州市宝盛新田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注塑机取模机构及其工作方法
CN115946310B (zh) * 2022-12-30 2024-01-05 徐州市宝盛新田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注塑机取模机构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735B1 (ko) 사출성형장치
EP3315281B1 (en) Sort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product and injection molding system
CN110091463A (zh) 注射成型方法及模具装置
US2242189A (en) Automatic molding press
CN213860457U (zh) 一种可自动顶出的注塑模具
KR100701595B1 (ko) 게이트 절단장치
KR101874916B1 (ko) 사출물 제조장치
US3040378A (en) Automatic transfer and compression plastic molding press
KR101686482B1 (ko) 자동차 머플러 고정용 행거 제조장치
KR100771940B1 (ko) 생분해성 용기 성형장치
CN212097097U (zh) 一种硫化模具投料工装
US1029559A (en) Molding apparatus.
KR100928809B1 (ko) 주물기용 주형 성형장치
CN208946535U (zh) 一种基于plc的塑件自动识别收集排出的智能生产装置
CN220548652U (zh) 高效精密液压注塑机
JP3826710B2 (ja) 封止成形装置
JP3989225B2 (ja) せんべい製造装置
CN220883590U (zh) 一种模压托盘生产线的铺料装置
CN218803622U (zh) 一种自动收料的注塑机
JPH09272132A (ja) 電子部品の樹脂成形装置
CN220482462U (zh) 一种插头的注塑模具
CN220897845U (zh) 一种茶叶饼压制装置
KR102625192B1 (ko) 사출물 취출 장치
CN208801576U (zh) 一种良品工件智能识别收集不溢料的注塑生产装置
CN217514152U (zh) 一种用于氧化锆静压成型的高效自动加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