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608A - 에이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608A
KR20130033608A KR1020110097361A KR20110097361A KR20130033608A KR 20130033608 A KR20130033608 A KR 20130033608A KR 1020110097361 A KR1020110097361 A KR 1020110097361A KR 20110097361 A KR20110097361 A KR 20110097361A KR 20130033608 A KR20130033608 A KR 2013003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water
conveyor
tank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수
박광희
강경모
백성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3608A/ko
Priority to US13/355,126 priority patent/US9067343B2/en
Priority to MX2012001437A priority patent/MX2012001437A/es
Priority to CN2012100306380A priority patent/CN103009527A/zh
Publication of KR2013003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20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16Cooling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9Handling of moulded articles or runners, e.g. sorting, stacking, grinding of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제품이 물이 담겨진 수조로 직접 자유낙하 되도록 하여 물에 의해 제품을 급냉시킬 수 있으며,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제품을 취출할 때 로봇을 사용하지 않고, 성형된 제품이 사출기에서 수조로 직접 자유낙하 되도록 하여 제품의 취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에이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에이징 장치는 제품을 성형한 후, 성형된 제품을 자유낙하 시키는 사출기;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의 하부가 바닥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을 따라 낙하되는 제품을 냉각시키며, 낙하되는 제품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에 의해 냉각된 제품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이징 장치 및 방법{AGING APPARATUS AND METHOD}
사출기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냉각시키는 에이징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사출기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냉각을 시켜 줄 필요가 있다.
사출기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냉각시켜주는 작업을 살펴보면,
우선 사출기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로봇으로 취출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제품을 이송시킨다.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제품은 창고로 운반되고, 창고에 성형된 제품을 쌓아 두면서 자연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냉각 방식은 사출기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는데 로봇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출기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는 시간 소요되고, 로봇의 사용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장소에 쌓아 두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을 쌓아 둘 장소를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일정한 장소에 쌓아 두고 냉각시키는 자연 냉각방식은 냉각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성형된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제품이 물이 담겨진 수조로 직접 자유낙하 되도록 하여 물에 의해 제품을 급냉시킬 수 있는 에이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제품을 취출할 때 로봇을 사용하지 않고, 성형된 제품이 사출기에서 수조로 직접 자유낙하 되도록 하여 제품의 취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에이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이징 장치는 제품을 성형한 후, 성형된 제품을 자유낙하 시키는 사출기;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의 하부가 바닥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을 따라 낙하되는 제품을 냉각시키며, 낙하되는 제품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에 의해 냉각된 제품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는 제품은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는 동시에 자유낙하 할 수 있다.
상기 유도관은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을 용이하게 가이드 하기 위하여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유도관을 따라 낙하된 제품이 상기 수조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송되며, 제품의 하부가 강제 냉각될 수 있도록 제품의 하부만 잠기도록 물이 담겨질 수 있다.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수조 내부로 낙하된 제품이 상기 수조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여 제품을 이송시키는 물 분사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수조 내부에 담겨지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1차 컨베이어와, 상기 1차 컨베이어에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2차 컨베이어와, 상기 2차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3차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로 낙하된 제품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물 분사장치에 의해 상기 1차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2차 컨베이어로 이동될 수 있다.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상기 2차 컨베이어는 제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3차 컨베이어에는 상기 3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의 건조 및 냉각이 용이하도록 에어 분사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장치는 상기 3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3차 컨베이어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이징 방법은 사출기에 의해 제품을 성형한 후, 성형된 제품이 자유낙하 되도록 취출시키고;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을 유도관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여 제품의 하부가 바닥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유도관을 따라 낙하되는 제품을 물이 담겨진 수조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여 상기 수조 내부의 물에 의해 강제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수조 내부의 물에 의해 냉각된 제품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는 제품은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는 동시에 자유낙하 할 수 있다.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수조로 낙하된 제품의 하부만 잠기도록 물이 담겨져 상기 수조 내부에서 제품이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며, 제품의 하부만 강제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조 내부에 담겨지는 물에 의해 상기 수조로 낙하되는 제품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조 내부에서 물에 의해 냉각되는 제품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수위센서를 통해 물의 온도 및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물 분사장치에 의해 상기 수조 내부로 낙하된 제품에 물을 분사하여 물이 담겨진 상기 수조 내부에서도 제품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1차 컨베이어와, 상기 1차 컨베이어에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2차 컨베이어와, 상기 2차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3차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장치로 제품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1차 컨베이어에서 상기 2차 컨베이어로 제품을 이송시키고, 상기 2차 컨베이어로 상기 수조 내부에서 상기 수조 외부로 제품을 이송시키고, 상기 3차 컨베이어로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2차 컨베이어의 바닥에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2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3차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에어 분사장치에 의해 상기 3차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품의 건조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장치는 상기 3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서 에어를 반복적으로 분사하여 제품의 건조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제품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키며, 사출기에서 성형된 제품을 취출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이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에이징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이징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이징 장치의 2차 컨베이어에 돌기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출기(10)에서 성형된 제품(P)에는 핫 스팟(Hot Spot)부가 존재하여 성형된 제품(P)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핫 스팟부를 냉각시켜 주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10)에서 성형된 제품(P)의 핫 스팟부를 냉각시켜주는 에이징 장치(1)는 제품(P)을 성형하는 사출기(10), 사출기(10)에서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P)의 하부가 바닥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도관(20), 유도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도관(20)을 따라 낙하되는 제품(P)을 냉각시키기 위해 내부에 물(W)이 담겨지는 수조(30), 수조(30) 내부의 물(W)에 의해 냉각된 제품(P)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40)를 포함한다.
사출기(10)는 금형을 통해 제품(P)을 성형하는 것으로, 성형된 제품(P)은 핫 스팟부의 냉각을 위해 사출기(10)에서 취출된다.
사출기(10)에서 취출되는 제품(P)은 사출기(10)에서 취출되는 동시에 자유낙하 하여 물(W)이 담겨진 수조(30) 내부로 투입된다.
사출기(10)에서 취출되는 제품(P)은 유도관(20)을 따라 낙하하여 물(W)이 담겨진 수조(30) 내부로 투입된다.
유도관(20)은 사출기(10)에서 성형되는 제품(P)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통부(21)와, 몸통부(21)의 상부에 형성되며 몸통부(21)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도부(23)를 포함한다.
유도관(20)은 사출기(10)에서 성형된 제품(P)이 자유낙하 하여 물(W)이 담겨진 수조(30) 내부로 투입될 때, 제품(P)의 하부가 바닥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가이드 한다.
유도관(20)의 유도부(23)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출기(10)에서 낙하하는 제품(P)이 용이하게 유도관(20)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유도관(20)의 몸통부(21)는 사출기(10)에서 성형되는 제품(P)의 형상에 대응되며, 제품(P)보다 약간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도부(23)로 투입된 제품(P)이 뒤집히지 않고 하부가 바닥을 향한 상태로 수조(30) 내부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유도관(20)의 몸통부(21)에는 하기할 수조(30)에 설치되는 물 분사장치(31)에 의해 제품(P)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홀(21a)이 형성될 수 있다.
수조(30)는 사출기(10)에서 성형되어 유도관(20)을 따라 낙하하는 제품(P)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물(W)이 담겨지며, 유도관(20)의 하부에 설치된다.
내부에 물(W)이 담겨진 수조(30)로 투입되는 제품(P)은 물(W)에 의해 강제 냉각되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냉각이 완료될 수 있고, 물(W)에 의해 낙하되는 제품(P)의 충격이 흡수되어 제품(P)이 받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수조(30) 내부에는 사출기(10)에서 성형된 제품(P)의 핫 스팟부인 하부를 냉각시키며, 제품(P)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제품(P)의 하부만 잠기는 정도의 물(W)이 담겨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수조(30) 내부에는 물(W)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와, 물(W)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미도시)와 수위센서(미도시)를 통해 물(W)의 온도 및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성형된 제품(P)을 냉각시키는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조(30) 내부에는 물(W)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수조(30) 내부로 낙하된 제품(P)의 이송 시에 유동 저항에 의해 이송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수조(30) 내부에는 수조(30) 내부로 낙하된 제품(P)에 물을 분사하여 제품(P)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물 분사장치(31)가 설치된다.
물 분사장치(3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20)의 몸통부(21)에 형성된 분사홀(21a)을 통해 수조(30) 내부로 낙하된 제품(P)에 직접 물을 분사하여 수조(30) 내부로 낙하된 제품(P)이 물(W) 위에서도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수조(30) 내부로 낙하된 제품(P)이 물(W)에 의해 냉각되면 컨베이어(4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컨베이어(40)는 수조(30) 내부에 설치되는 1차 컨베이어(41)와, 1차 컨베이어(41)에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2차 컨베이어(43)와, 2차 컨베이어(43)에 연결되어 제품(P)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3차 컨베이어(45)를 포함한다.
1차 컨베이어(41)는 수조(30) 내부의 물(W)에 의해 잠겨 있기 때문에 1차 컨베이(41)어 위에서는 물(W)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 저항에 의해 제품(P)의 이송이 용이하지 않아 수조(30) 내부에 설치되는 물 분사장치(31)를 통해 제품(P)에 물을 분사하여 제품(P)을 1차 컨베이어(41)에서 2차 컨베이어(43)로 이송시키게 된다.
2차 컨베이어(43)는 물(W)에 잠겨 있는 1차 컨베이어(41)에 경사지도록 연결되어 제품(P)을 수조(30) 내부에서 수조(30) 외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2차 컨베이어(43)는 1차 컨베이어(41)에 경사지도록 연결되기 때문에 2차 컨베이어(43)로 이송된 제품(P)이 2차 컨베이어(43)의 경사진 면을 이동 시 미끄럼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컨베이어(43)의 바닥면에는 돌기(43a)가 형성되어 경사진 면을 이동하는 제품(P)의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3차 컨베이어(45)는 2차 컨베이어(43)에 연결되어 제품(P)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3차 컨베이어(45)에는 3차 컨베이어(45)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P)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품(P)의 건조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에어 분사장치(45a)가 설치된다.
수조(30) 내부의 물(W)에 의해 냉각된 제품(P)은 3차 컨베이어(45)를 지나면서 에어 분사장치(45a)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건조되는 동시에 다시 한 번 냉각이 이루어져 3차 컨베이어(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바로 작업에 투입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에어 분사장치(45a)는 3차 컨베이어(45)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P)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서 반복적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3차 컨베이어(45)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사출기에 의해 성형된 제품을 냉각시키는 에이징 방법을 살펴본다.
사출기(10)에 의해 제품(P)이 성형되면, 성형된 제품(P)은 사출기(10)에서 취출되는 동시에 자유낙하 하게 된다.
사출기(10)에서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P)은 유도관(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품(P)의 하부가 바닥을 향하도록 낙하하게 된다.
유도관(20)을 따라 낙하되는 제품(P)은 유도관(20)의 하부에 설치된 수조(30) 내부로 투입된다.
수조(30) 내부로 투입된 제품(P)은 수조(30) 내부에 담겨져 있는 물(W)에 의해 강제 냉각되는데, 수조(30) 내부에는 제품(P)의 하부가 잠길 만큼만 물(W)이 담겨져 있어서 제품(P)의 핫 스팟부인 하부를 냉각시키는 동시에 수조(30) 내부에서 제품(P)이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도관(20)을 따라 낙하되는 제품(P)은 수조(30) 내부에 담겨진 물(W)로 직접 낙하되기 때문에 낙하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게 된다.
수조(30) 내부로 제품(P)이 투입되어 물(W)에 의해 냉각될 때, 냉각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 수조(3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 및 수위센서(미도시)를 통해 물(W)의 온도 및 수위를 조절한다.
수조(30) 내부로 투입되어 물(W)에 의해 냉각된 제품(P)은 컨베이어(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수조(30) 내부에 설치되는 1차 컨베이어(41) 위에서는 물(W)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 저항에 의해 제품(P)의 이송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수조(30) 내부에 설치된 물 분사장치(31)를 통해 제품(P)에 물을 분사하여 제품(P)이 1차 컨베이어(41)에서 2차 컨베이어(43)로 이송되게 한다.
1차 컨베이어(41)에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2차 컨베이어(43)로 제품(P)이 이송되면, 2차 컨베이어(43)를 통해 제품(P)은 수조(30) 내부에서 수조(30) 외부로 이송된다.
2차 컨베이어(43)는 경사지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제품(P)의 이송 시 미끄럼이 발생될 수 있어서, 2차 컨베이어(43)의 바닥면에는 제품(P)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43a)가 형성될 수 있다.
3차 컨베이어(45)로 제품(P)이 이송되면, 3차 컨베이어(45)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 분사장치(45a)를 통해 제품(P)에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제품(P)은 3차 컨베이어(45)를 지나면서 에어에 의해 건조되고, 다시 한 번 제품(P)에 냉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3차 컨베이어(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곧바로 작업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에이징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에이징 장치
10 : 사출기
20 : 유도관 21 : 몸통부
21a : 분사홀 23 : 유도부
30 : 수조 31 : 물 분사장치
40 : 컨베이어 41 : 1차 컨베이어
43 : 2차 컨베이어 43a : 돌기
45: 3차 컨베이어 45a : 에어 분사장치
W : 물 P : 제품

Claims (21)

  1. 제품을 성형한 후, 성형된 제품을 자유낙하 시키는 사출기;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의 하부가 바닥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가이드하는 유도관;
    상기 유도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도관을 따라 낙하되는 제품을 냉각시키며, 낙하되는 제품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의 물에 의해 냉각된 제품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는 제품은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는 동시에 자유낙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을 용이하게 가이드 하기 위하여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확장되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유도관을 따라 낙하된 제품이 상기 수조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송되며, 제품의 하부가 강제 냉각될 수 있도록 제품의 하부만 잠기도록 물이 담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수조 내부로 낙하된 제품이 상기 수조 내부에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여 제품을 이송시키는 물 분사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수조 내부에 담겨지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1차 컨베이어와, 상기 1차 컨베이어에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2차 컨베이어와, 상기 2차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3차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로 낙하된 제품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물 분사장치에 의해 상기 1차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2차 컨베이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상기 2차 컨베이어는 제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컨베이어에는 상기 3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의 건조 및 냉각이 용이하도록 에어 분사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장치는 상기 3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3차 컨베이어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장치.
  12. 사출기에 의해 제품을 성형한 후, 성형된 제품이 자유낙하 되도록 취출시키고;
    취출되어 자유낙하 하는 제품을 유도관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여 제품의 하부가 바닥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유도관을 따라 낙하되는 제품을 물이 담겨진 수조 내부로 낙하되도록 하여 상기 수조 내부의 물에 의해 강제 냉각되도록 하고;
    상기 수조 내부의 물에 의해 냉각된 제품은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는 제품은 상기 사출기에서 취출되는 동시에 자유낙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는 상기 수조로 낙하된 제품의 하부만 잠기도록 물이 담겨져 상기 수조 내부에서 제품이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며, 제품의 하부만 강제 냉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 담겨지는 물에 의해 상기 수조로 낙하되는 제품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서 물에 의해 냉각되는 제품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수위센서를 통해 물의 온도 및 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물 분사장치에 의해 상기 수조 내부로 낙하된 제품에 물을 분사하여 물이 담겨진 상기 수조 내부에서도 제품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1차 컨베이어와, 상기 1차 컨베이어에 경사지도록 연결되는 2차 컨베이어와, 상기 2차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3차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물 분사장치로 제품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1차 컨베이어에서 상기 2차 컨베이어로 제품을 이송시키고, 상기 2차 컨베이어로 상기 수조 내부에서 상기 수조 외부로 제품을 이송시키고, 상기 3차 컨베이어로 제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컨베이어의 바닥에는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2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에어 분사장치에 의해 상기 3차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제품에 에어를 분사하여 제품의 건조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장치는 상기 3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제품의 상하부 및 좌우측에서 에어를 반복적으로 분사하여 제품의 건조 및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징 방법.
KR1020110097361A 2011-09-27 2011-09-27 에이징 장치 및 방법 KR20130033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61A KR20130033608A (ko) 2011-09-27 2011-09-27 에이징 장치 및 방법
US13/355,126 US9067343B2 (en) 2011-09-27 2012-01-20 Aging apparatus and method
MX2012001437A MX2012001437A (es) 2011-09-27 2012-02-01 Aparato y metodo de envejecimiento.
CN2012100306380A CN103009527A (zh) 2011-09-27 2012-02-10 时效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61A KR20130033608A (ko) 2011-09-27 2011-09-27 에이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08A true KR20130033608A (ko) 2013-04-04

Family

ID=4791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61A KR20130033608A (ko) 2011-09-27 2011-09-27 에이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67343B2 (ko)
KR (1) KR20130033608A (ko)
CN (1) CN103009527A (ko)
MX (1) MX20120014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735B1 (ko) * 2020-11-06 2021-03-10 주식회사 정우이엔지 사출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2522A (zh) * 2016-07-07 2016-12-07 浙江翔宇密封件有限公司 一种预成型机的出料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7573A (en) * 1972-01-12 1978-06-27 Rieber & Son A/S Method for bending thermoplastic pipes
US3852011A (en) * 1972-10-25 1974-12-03 Beloit Corp Oriented removal structure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US4364466A (en) * 1980-11-13 1982-12-21 Fleetwood Systems, Inc. Can end separator-conveyor
JPS61143525A (ja) * 1984-12-14 1986-07-01 Sumitomo Electric Ind Ltd 鋼線材の多機能熱処理設備
JPS63299913A (ja) * 1987-05-30 1988-12-07 Nec Home Electronics Ltd 射出成形における冷却方法
CA2333053C (en) * 1998-07-31 2006-06-1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mpact post-mold cooling device
US6887406B2 (en) * 2000-08-15 2005-05-03 Ames Planter, Inc. Molded article having hollow rim por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articles
JP3914936B2 (ja) * 2003-06-17 2007-05-1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ホッパ下温調部の温度調整装置
CN2763003Y (zh) * 2005-01-27 2006-03-08 牟昌山 注塑产品冷却输送装置
AU2009206205B2 (en) * 2008-01-22 2011-08-11 Barge's Belting Solution Pt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veyor belt
DE102008014958B4 (de) * 2008-03-19 2012-02-16 Braunform Gmbh Vorrichtung zum Spritzen von Kunststoffteilen sowie deren Entnah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735B1 (ko) * 2020-11-06 2021-03-10 주식회사 정우이엔지 사출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2001437A (es) 2013-03-26
CN103009527A (zh) 2013-04-03
US20130075951A1 (en) 2013-03-28
US9067343B2 (en)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608A (ko) 에이징 장치 및 방법
KR20160108520A (ko) 조정 가능한 반송 경화 방법
JP2018008510A5 (ko)
US9744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ing and filling containers with release of liquid overpressure
CN110027194A (zh) 用于底部的后冷却的设备
KR101502019B1 (ko) 열처리 시스템 및 열처리 방법
KR200432869Y1 (ko) 사출기용 취출 로봇
JPS5511488A (en) Lifting conveyer for piece
CN209455555U (zh) 一种牛角锁钩组装机弹簧送料装置
KR20140122543A (ko) 금속 열처리용 냉각장치 및 이를 갖는 금속 열처리장치
KR101240349B1 (ko) 유도가열을 통한 단봉의 열처리방법 및 장치
US20180311882A1 (en) Blow molding apparatus
KR20120066090A (ko) 금형 장치
KR20120004357U (ko) 이종 내용물 주입장치
KR20100109092A (ko) 프리폼 사출성형기용 프리폼 냉각장치
CN111923314B (zh) 一种聚氨酯发泡机
KR101666150B1 (ko) 주사용 앰플 캡 세척장치
CN210415348U (zh) 一种物流传送带用高强度的多色注塑模具
KR101398492B1 (ko) 고무전보울
JP5740780B2 (ja) レトルト装置
KR20090021748A (ko) 사출물 자동적재 장치
KR101584982B1 (ko) 열처리 장치 및 열처리 방법
CN203712979U (zh) 针阀式热流道的基座
KR0162057B1 (ko) 리튬배터리의 전해액 주입장치
KR100957268B1 (ko) 강화 유리 용기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