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63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638B1
KR102225638B1 KR1020177006768A KR20177006768A KR102225638B1 KR 102225638 B1 KR102225638 B1 KR 102225638B1 KR 1020177006768 A KR1020177006768 A KR 1020177006768A KR 20177006768 A KR20177006768 A KR 20177006768A KR 102225638 B1 KR102225638 B1 KR 102225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ucture
radio frame
spdsch
tti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851A (ko
Inventor
이은종
정재훈
한진백
김진민
최국헌
노광석
이상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7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7Timing of allocation when data requirement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에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sPDSCH(short PDSCH) 영역에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2 레벨(2-level)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현재에는 폭발적인 트래픽의 증가로 인하여 자원의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요구 조건은 크게 폭발적인 데이터 트래픽의 수용, 사용자 당 전송률의 획기적인 증가, 대폭 증가된 연결 디바이스 개수의 수용, 매우 낮은 단대단 지연(End-to-End Latency), 고에너지 효율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 대규모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Massiv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이중(In-band Full Duplex),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초광대역(Super wideband) 지원, 단말 네트워킹(Device Networking) 등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래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저 지연(low latency) 데이터 통신을 요구하는 단말을 위한 2 레벨(2-level)의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레가시 단말에게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 밴드(band) 내 일부 서브 밴드에서 혹은 특정 밴드에서 저 지연(low latency) 전송을 위한 짧은 TTI 프레임 구조(short TTI frame structure)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게 정의되는 2 레벨(2-level)의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에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sPDSCH(short PDSCH) 영역에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에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고,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sPDSCH(short PDSCH) 영역에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고,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에서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sPDSCH(short PDSCH) 영역에서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영역에서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sPDSCH(short PDSCH) 영역에서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하향링크 셀과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하향링크 셀은 동일하고, 상기 하향링크 셀 내 하나 이상의 서브 밴드는 상기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제1 하향링크 셀과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제2 하향링크 셀은 상이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셀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셀이 결합(aggregation)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하향링크 셀 내 하나 이상의 서브 밴드는 상기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TTI의 크기는 상기 sPDSCH의 영역의 심볼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TTI의 크기는 sPDCCH(short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영역의 심볼 개수와 상기 sPDSCH의 영역의 심볼 개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하향링크 셀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로 설정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하향링크 셀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셀 모두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RRC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메시지,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및 RRC 연결 재확립(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 레벨(2-level)의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부터 해당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까지의 왕복 무선 레이턴시(Roundtrip OTA Latency)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 밴드(band) 내 일부 서브 밴드에서 혹은 특정 밴드에서 저 지연(low latency) 전송을 위한 짧은 TTI 프레임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기존 레가시 단말에게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GPP LTE/LTE-A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의 전송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의 전송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 및 캐리어 병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병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따른 서브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 지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짧은 TTI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측면 2 레벨 프레임 구조를 위한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캐리어 측면 2 레벨 프레임 구조를 위한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의 무선 송수신 지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일반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GPP LTE/LTE-A 시스템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이들을 이용한 일반적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다시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단말은 S101 단계에서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는 등의 초기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주 동기 채널(P-SCH: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및 부 동기 채널(S-SCH: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을 수신하여 기지국과 동기를 맞추고, 셀 ID(identifier) 등의 정보를 획득한다.
그 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물리 방송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신호를 수신하여 셀 내 방송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초기 셀 탐색 단계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DL RS: downlink reference signal)를 수신하여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초기 셀 탐색을 마친 단말은 S102 단계에서 PDCCH 및 PDCCH 정보에 따른 PDSCH 을 수신하여 조금 더 구체적인 시스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완료하기 위해 이후 단계 S103 내지 단계 S106과 같은 랜덤 액세스 절차(random access procedure)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통해 프리앰블(preamble)을 전송하고(S103), PDCCH 및 이에 대응하는 PDSCH을 통해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104).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의 경우, 단말은 추가적인 PRACH 신호의 전송(S105) 및 PDCCH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PDSCH 신호의 수신(S106)과 같은 충돌 해결 절차(contention resolutio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 단말은 이후 일반적인 상/하향링크 신호 전송 절차로서 PDCCH 신호 및/또는 PDSCH 신호의 수신(S107) 및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및/또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의 전송(S108)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정보를 통칭하여 상향링크 제어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지칭한다. UCI는 HARQ-ACK/NACK, 스케줄링 요청(SR: scheduling request), 채널 품질 지시자(CQI),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랭크 지시자(RI: rank indication) 정보 등을 포함한다.
LTE/LTE-A 시스템에서 UCI는 일반적으로 PUCCH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되지만, 제어정보와 트래픽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되어야 할 경우 PUS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요청/지시에 의해 PUSCH를 통해 UCI를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하향 링크 전송과 상향 링크 전송 간의 무선 자원을 구분하는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정의한다.
주파수 밴드를 하향 링크 전송 밴드와 상향 링크 전송 밴드로 구분하여 양방향 송수신하는 경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라고 표현한다. F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이루어진다.
동일 주파수 밴드에서 시간 영역(time domain) 무선 자원을 하향 링크 시구간(time duration) 자원과 상향링크 시구간(time duration) 자원으로 구분하여 송수신하는 경우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라고 표현한다.
TDD 방식에 의하면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차지하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진다. TDD 방식의 채널 응답은 실질적으로 상호적(reciprocal)이다. 이는 주어진 주파수 영역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과 상향링크 채널 응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채널 응답은 상향링크 채널 응답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시분할되므로 기지국에 의한 하향링크 전송과 단말에 의한 상향링크 전송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이 서브프레임 단위로 구분되는 TDD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된다.
3GPP LTE/LTE-A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2의 (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예시한다.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E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B: Resource Block)을 포함한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은 하나의 심볼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OFDM 심볼은 하나의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연속적인 부 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한다.
도 2의 (b)는 타입 2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type 2)를 나타낸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하프 프레임(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하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P: Guard Period), UpPTS(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TDD 시스템의 타입 2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은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할당(또는 예약)되는지 나타내는 규칙이다. 표 1은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17500523311-pc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의 각 서브프레임 별로, 'D'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고, 'U'는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며, 'S'는 DwPTS, GP, UpPTS 3가지의 필드로 구성되는 스페셜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을 나타낸다.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7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 별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스페셜 서브프레임,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위치 및/또는 개수가 다르다.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 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 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가 모두 지원된다. 5ms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 시점의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스페셜 서브프레임(S)은 하프-프레임 마다 존재하고, 5ms 하향링크-상향링크 전환 시점의 주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첫번째 하프-프레임에만 존재한다.
모든 구성에 있어서, 0번, 5번 서브프레임 및 DwPTS는 하향링크 전송만을 위한 구간이다. UpPTS 및 서브프레임 서브프레임에 바로 이어지는 서브프레임은 항상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구간이다.
이러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시스템 정보로써 기지국과 단말이 모두 알고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정보가 바뀔 때마다 구성 정보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구성 정보는 일종의 하향링크 제어정보로서 다른 스케줄링 정보와 마찬가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방송 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 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부 반송파의 수 또는 서브 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 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그리드 상에서 각 요소(element)를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하고, 하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은 12 × 7 개의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들의 수 NDL은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내의 첫번째 슬롯에서 앞의 최대 3개의 OFDM 심볼들은 제어 채널들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이고, 나머지 OFDM 심볼들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data region)이다. 3GPP LTE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일례로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 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 프레임 내에 제어 채널들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OFDM 심볼들의 수(즉, 제어 영역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 링크에 대한 응답 채널이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대한 ACK(Acknowledgement)/NACK(Not-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라고 한다. 하향링크 제어정보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하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또는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Tx) 파워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이를 하향링크 그랜트라고도 한다.),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이를 상향링크 그랜트라고도 한다.), PCH(Paging Channel)에서의 페이징(paging) 정보, DL-SCH에서의 시스템 정보, PDSCH에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 레이어(upper-layer) 제어 메시지에 대한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 개별 단말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들의 집합,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복수의 PDCCH들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단말은 복수의 PDCCH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coding rate)을 PDCCH에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들에 대응된다. PDCCH의 포맷 및 사용 가능한 PDCCH의 비트 수는 CCE들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 간의 연관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하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인다. CRC에는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이를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라고 한다.)가 마스킹된다. 특정의 단말을 위한 PDCCH라면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더욱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를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 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하여,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 할당된다. 일반적으로,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을 동시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에는 서브 프레임 내에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 쌍이 할당된다. RB 쌍에 속하는 RB들은 2개의 슬롯들의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 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된 RB 쌍은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된다고 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SS: Synchronization Signal)의 전송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특히, 도 6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에서 동기 신호 및 PBCH의 전송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6의 (a)는 일반 CP(normal cyclic prefix)로써 구성된 무선 프레임에서 SS 및 PBCH의 전송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확장 CP(extended CP)로써 구성된 무선 프레임에서 SS 및 PBCH의 전송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UE는 전원이 켜지거나 새로이 셀에 진입한 경우 상기 셀과의 시간 및 주파수 동기를 획득하고 상기 셀의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를 검출(detect)하는 등의 셀 탐색(initial cell search)과정(procedure)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UE는 eNB로부터 동기신호, 예를 들어, 1차 동기신호(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2차 동기신호(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수신하여 eNB와 동기를 맞추고, 셀 식별자(ID: identity)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SS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S는 PSS와 SSS로 구분된다. PSS는 OFDM 심볼 동기, 슬롯 동기 등의 시간 도메인 동기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 동기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SSS는 프레임 동기, 셀 그룹 ID 및/또는 셀의 CP 구성(즉, 일반 CP 또는 확장 CP의 사용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시간 영역에서 PSS와 SSS는 매 무선 프레임의 2개의 OFDM 심볼에서 각각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SS는 인터-RAT(inter radio access technology) 측정의 용이함을 위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프레임 길이인 4.6 ms를 고려하여 서브프레임 0의 첫 번째 슬롯과 서브프레임 5의 첫 번째 슬롯에서 각각 전송된다. 특히, PSS는 서브프레임 0의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 OFDM 심볼과 서브프레임 5의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 OFDM 심볼에서 각각 전송되고, SSS는 서브프레임 0의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OFDM 심볼과 서브프레임 5의 첫 번째 슬롯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OFDM 심볼에서 각각 전송된다.
해당 무선 프레임의 경계는 SSS를 통해 검출될 수 있다. PSS는 해당 슬롯의 맨 마지막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SSS는 PSS 바로 앞 OFDM 심볼에서 전송된다. SS의 전송 다이버시티(diversity) 방식은 단일 안테나 포트(single antenna port)만을 사용하며 표준에서는 따로 정의하고 있지 않다. 즉, 단일 안테나 포트 전송 혹은 UE에 투명한(transparent) 전송 방식(예, PVS(Precoding Vector Switching), TSTD(Time Switched Diversity), CDD(cyclic delay diversity))이 SS의 전송 다이버시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PSS는 5ms마다 전송되므로 UE는 PSS를 검출함으로써 해당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와 서브프레임 5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으나, 해당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0와 서브프레임 5 중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UE는 PSS만으로는 무선 프레임의 경계를 인지하지 못한다. 즉, PSS만으로는 프레임 동기가 획득될 수 없다. UE는 일 무선 프레임 내에서 두 번 전송되되 서로 다른 시퀀스로서 전송되는 SSS를 검출하여 무선 프레임의 경계를 검출한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SS)의 전송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파수 영역에서 PSS 및 SSS는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의 중심에 위치하는 6개 RB에 맵핑된다. 하향링크에서 전체 RB의 개수는 시스템 대역폭에 따라 상이한 RB의 개수(예를들어, 6 RB 내지 110 RB)로 구성될 수 있으나, PSS와 SSS는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에 위치하는 6개의 RB에 매핑되므로, 하향링크 시스템 대역폭과 무관하게 UE는 동일한 방법으로 PSS와 SSS를 검출할 수 있다.
PSS와 SSS는 모두 길이 62의 시퀀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6 RB 중 DC 서브캐리어 양 옆에 위치하는 가운데의 62개의 서브캐리어에 매핑되고, DC 서브캐리어와 양 쪽 끝에 위치하는 각각 5개의 서브캐리어는 사용되지 않는다.
PSS와 SSS의 특정 시퀀스에 의하여 UE는 물리 계층 셀 ID를 획득할 수 있다. 즉, SS는 3개의 PSS와 168개의 SS의 조합을 통해 총 504개의 고유한 물리 계층 셀 식별자(physical layer cell ID)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물리 계층 셀 ID들은 각 물리 계층 셀 ID가 오직 하나의 물리-계층 셀-식별자 그룹의 부분이 되도록 각 그룹이 3개의 고유한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168개의 물리-계층 셀-식별자 그룹들로 그룹핑된다. 따라서, 물리 계층 셀 식별자 Ncell ID = 3N(1) ID + N(2) ID는 물리-계층 셀-식별자 그룹을 나타내는 0부터 167까지의 범위 내 번호 N(1) ID와 상기 물리-계층 셀-식별자 그룹 내 상기 물리-계층 식별자를 나타내는 0부터 2까지의 번호 N(2) ID에 의해 고유하게 정의된다.
UE는 PSS를 검출하여 3개의 고유한 물리-계층 식별자들 중 하나를 알 수 있고, SSS를 검출하여 상기 물리-계층 식별자에 연관된 168개의 물리 계층 셀 ID들 중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PSS는 ZC(Zadoff-Chu) 시퀀스에 기반하여 생성된다. 각 물리-계층 셀-ID 그룹 내 세 개의 물리-계층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세 개의 ZS PSS가 사용된다.
SSS는 M 시퀀스(M-sequence)에 기반하여 생성된다. 각 SSS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에서 길이가 31인 두 개의 SSC 1 시퀀스와 SSC 2 시퀀스를 교대로 삽입하여 하나의 시퀀스로 생성된다. 이때, SSC 1 시퀀스와 SSC 2 시퀀스는 길이 31의 M 시퀀스에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 값이 적용되어 생성된다. 이때, 순환 쉬프트 인덱스는 물리-계층 셀 ID 그룹의 함수에 의해 정해진다.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 일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고려하는 통신 환경은 멀티 캐리어(Multi-carrier) 지원 환경을 모두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멀티 캐리어 시스템 또는 캐리어 병합(CA: Carrier Aggregation) 시스템이라 함은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해서, 목표로 하는 광대역을 구성할 때 목표 대역보다 작은 대역폭(bandwidth)을 가지는 1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를 병합(aggregation)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멀티 캐리어는 캐리어의 병합(또는, 반송파 집성)을 의미하며, 이때 캐리어의 병합은 인접한(contiguous) 캐리어 간의 병합뿐 아니라 비 인접한(non-contiguous) 캐리어 간의 병합을 모두 의미한다. 또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이하, 'DL CC'라 한다.) 수와 상향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이하, 'UL CC'라 한다.)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캐리어 병합은 반송파 집성,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 스펙트럼 집성(spectrum aggregation) 등과 같은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캐리어 병합은 LTE-A 시스템에서는 100MHz 대역폭까지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표 대역보다 작은 대역폭을 가지는 1개 이상의 캐리어를 결합할 때, 결합하는 캐리어의 대역폭은 기존 IMT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유지를 위해서 기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역폭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기존의 3GPP LTE 시스템에서는 {1.4, 3, 5, 10, 15, 20}MHz 대역폭을 지원하며, 3GPP LTE-advanced 시스템(즉, LTE-A)에서는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을 위해 상기의 대역폭들만을 이용하여 20MHz보다 큰 대역폭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병합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대역폭과 상관없이 새로운 대역폭을 정의하여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도록 할 수도 있다.
LTE-A 시스템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셀(cell)의 개념을 사용한다.
상술한 캐리어 병합 환경은 다중 셀(multiple cells) 환경으로 일컬을 수 있다. 셀은 하향링크 자원(DL CC)과 상향링크 자원(UL CC) 한 쌍의 조합으로 정의되나, 상향링크 자원은 필수 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셀은 하향링크 자원 단독, 또는 하향링크 자원과 상향링크 자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단말이 단 하나의 설정된 서빙 셀(configured serving cell)을 가지는 경우 1개의 DL CC와 1개의 UL CC를 가질 수 있으나, 특정 단말이 2개 이상의 설정된 서빙 셀을 가지는 경우에는 셀의 수만큼의 DL CC를 가지며 UL CC의 수는 그와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DL CC와 UL CC가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특정 단말이 다수의 설정된 서빙 셀을 가지는 경우 DL CC의 수보다 UL CC가 더 많은 캐리어 병합 환경도 지원될 수 있다. 즉,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은 각각 캐리어 주파수(셀의 중심 주파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셀들의 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으로서의 '셀'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LTE-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셀은 프라이머리 셀(PCell: Primary Cell) 및 세컨더리 셀(SCell: Secondary Cell)을 포함한다. P셀과 S셀은 서빙 셀(Serving Cell)로 사용될 수 있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지만 캐리어 병합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캐리어 병합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 P셀로만 구성된 서빙 셀이 단 하나 존재한다. 반면, RRC_CONNECTED 상태에 있고 캐리어 병합이 설정된 단말의 경우 하나 이상의 서빙 셀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전체 서빙 셀에는 P셀과 하나 이상의 S셀이 포함된다.
서빙 셀(P셀과 S셀)은 RRC 파라미터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PhysCellId는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로 0부터 503까지의 정수값을 가진다. SCellIndex는 S셀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략한(short) 식별자로 1부터 7까지의 정수값을 가진다. ServCellIndex는 서빙 셀(P셀 또는 S셀)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략한(short) 식별자로 0부터 7까지의 정수값을 가진다. 0값은 P셀에 적용되며, SCellIndex는 S셀에 적용하기 위하여 미리 부여된다. 즉, ServCellIndex에서 가장 작은 셀 ID (또는 셀 인덱스)을 가지는 셀이 P셀이 된다.
P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또는, prim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한다. 단말이 초기 연결 설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과정을 수행하거나 연결 재-설정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핸드오버 과정에서 지시된 셀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P셀은 캐리어 병합 환경에서 설정된 서빙 셀 중 제어관련 통신의 중심이 되는 셀을 의미한다. 즉, 단말은 자신의 P셀에서만 PUCCH를 할당 받아 전송할 수 있으며,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거나 모니터링 절차를 변경하는데 P셀만을 이용할 수 있다.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은 캐리어 병합 환경을 지원하는 단말에게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ControlInfo)를 포함하는 상위 계층의 RRC 연결 재설정(RRCConnectionReconfigutaion) 메시지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절차를 위해 P셀만을 변경할 수도 있다.
S셀은 세컨더리 주파수(또는, Secondary CC) 상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단말에 P셀은 하나만 할당되며, S셀은 하나 이상 할당될 수 있다. S셀은 RRC 연결이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구성 가능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 병합 환경에서 설정된 서빙 셀 중에서 P셀을 제외한 나머지 셀들, 즉 S셀에는 PUCCH가 존재하지 않는다. E-UTRAN은 S셀을 캐리어 병합 환경을 지원하는 단말에게 추가할 때,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관련된 셀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 정보를 특정 시그널(dedicated signal)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의 변경은 관련된 S셀의 해제 및 추가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때 상위 계층의 RRC 연결 재설정 (RRCConnectionReconfigutaion)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E-UTRAN은 관련된 S셀 안에서 브로드캐스트하기 보다는 단말 별로 상이한 파라미터를 가지는 특정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 할 수 있다.
초기 보안 활성화 과정이 시작된 이후에, E-UTRAN은 연결 설정 과정에서 초기에 구성되는 P셀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S셀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캐리어 병합 환경에서 P셀 및 S셀은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PCC)는 P셀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SCC)는 S셀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컴포넌트 캐리어 및 캐리어 병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일 캐리어 구조를 나타낸다. 컴포넌트 캐리어에는 DL CC와 UL CC가 있다.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는 2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8의 (b)는 LTE_A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병합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의 (b)의 경우에 20MHz의 주파수 크기를 갖는 3 개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결합된 경우를 나타낸다. DL CC와 UL CC가 각각 3 개씩 있으나, DL CC와 UL CC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캐리어 병합의 경우 단말은 3개의 CC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향링크 신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향링크 신호/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셀에서 N개의 DL CC가 관리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는 단말에 M (M≤N)개의 DL CC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M 개의 제한된 DL CC 만을 모니터링하고 DL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L (L≤M≤N)개의 DL CC에 우선순위를 주어 주된 DL CC를 단말에 할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말은 L 개의 DL CC는 반드시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상향링크 전송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하향링크 자원의 반송파 주파수(또는 DL CC)와 상향링크 자원의 반송파 주파수(또는, UL CC) 사이의 링키지(linkage)는 RRC 메시지와 같은 상위계층 메시지나 시스템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B2(System Information Block Type2)에 의해서 정의되는 링키지에 의해서 DL 자원과 UL 자원의 조합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키지는 UL 그랜트를 나르는 PDCCH가 전송되는 DL CC와 상기 UL 그랜트를 사용하는 UL CC간의 맵핑 관계를 의미할 수 있으며, HARQ를 위한 데이터가 전송되는 DL CC(또는 UL CC)와 HARQ ACK/NACK 신호가 전송되는 UL CC(또는 DL CC)간의 맵핑 관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병합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9(a)는 인접한(contiguous) 캐리어(즉, F1, F2 및 F3) 간의 병합을 예시하고, 도 9(b)는 비 인접한(non-contiguous) 캐리어(즉, F1, F2 및 F3) 간의 병합을 예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캐리어 병합에 설정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주파수 상에서 인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영자는 단일의 광대역 스펙트럼 할당을 가능하지 않더라도 조각난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광대역에 기반한 고데이터율(high data rate)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병합은 동일한 밴드 내에서의 병합(intra-band aggregation)과 서로 다른 밴드 간 병합(inter-band aggregation)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접한 캐리어(contiguous) 간 병합은 동일한 밴드 내에서의 병합(intra-band aggregation)에 해당될 수 있다. 반면, 비 인접한(non-contiguous) 간 병합은 동일한 밴드 내에서의 병합(intra-band aggregation)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밴드 간 병합(inter-band aggregation)에 해당될 수 있다.
캐리어 병합은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셀마다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에 대한 능력(capability)이 정의된다. 이와 같이 가용 캐리어들을 어떻게 사용할지 단말 특정(user-specific)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셀 내의 가용 캐리어로 F1, F2, F4 3개의 캐리어가 있는 경우, 특정 단말은 F1, F2를 병합하여 사용하고, 또 다른 단말은 F2, F4를 병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특정 단말이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병합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 대해 P셀과 S셀을 정의하여 해당 캐리어들을 운용하도록 한다. 즉, P셀로 설정된 캐리어는 항상 활성화(activated) 상태로 동작해야 하며, S셀로 설정된 캐리어는 필요에 따라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deactivation)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S셀이 활성화된 단말에 대하여 S셀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캐리어 병합 시스템에서는 캐리어(또는 반송파) 또는 서빙 셀(Serving Cell)에 대한 스케줄링 관점에서 자가 스케줄링(Self-Scheduling) 방법 및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크로스 컴포넌트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omponent Carrier Scheduling) 또는 크로스 셀 스케줄링(Cross Cell Scheduling)으로 일컬을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은 PDCCH(DL Grant)와 PDSCH가 각각 다른 DL CC로 전송되거나, DL CC에서 전송된 PDCCH(UL Grant)에 따라 전송되는 PUSCH가 UL 그랜트를 수신한 DL CC와 링크되어 있는 UL CC가 아닌 다른 UL CC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여부는 단말 특정(UE-specific)하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 signaling)을 통해서 반정적(semi-static)으로 각 단말 별로 알려질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된 경우, PDCCH에 해당 PDCCH가 지시하는 PDSCH/PUSCH가 어느 DL/UL CC를 통해서 전송되는지를 알려주는 캐리어 지시자 필드(CIF: Carrier Indicator Field)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PDCCH는 PDSCH 자원 또는 PUSCH 자원을 CIF를 이용하여 다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들 중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즉, DL CC 상에서의 PDCCH가 다중 집성된 DL/UL CC 중 하나에 PDSCH 또는 PUSCH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CIF가 설정된다. 이 경우, LTE-A Release-8의 DCI 포맷은 CIF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CIF는 3bit 필드로 고정되거나, 설정된 CIF의 위치는 DCI 포맷 크기와 무관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LTE-A Release-8의 PDCCH 구조(동일 코딩 및 동일한 CCE 기반의 자원 매핑)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 DL CC 상에서의 PDCCH가 동일한 DL CC 상에서의 PDSCH 자원을 할당하거나 단일 링크된 UL CC 상에서의 PUSCH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에는 CIF가 설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LTE-A Release-8과 동일한 PDCCH 구조(동일 코딩 및 동일한 CCE 기반의 자원 매핑)와 DCI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가능할 때, 단말은 CC별 전송 모드 및/또는 대역폭에 따라 모니터링 CC의 제어영역에서 복수의 DCI에 대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검색 공간의 구성과 PDCCH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캐리어 병합 시스템에서, 단말 DL CC 집합은 단말이 PDSCH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된 DL CC의 집합을 나타내고, 단말 UL CC 집합은 단말이 PUSCH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된 UL CC의 집합을 나타낸다. 또한, PDCCH 모니터링 집합(monitoring set)은 PDCCH 모니터 링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DL CC의 집합을 나타낸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과 같거나, 단말 DL CC 집합의 부집합(subset)일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내의 DL CC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DL CC 집합에 상관없이 별개로 정의될 수 있다. PDCCH 모니터링 집합에 포함되는 DL CC는 링크된 UL CC에 대한 자기-스케줄링(self-scheduling)은 항상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DL CC 집합, 단말 UL CC 집합 및 PDCCH 모니터링 집합은 단말 특정(UE-specific), 단말 그룹 특정(UE group-specific) 또는 셀 특정(Cell-specific)하게 설정될 수 있다.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항상 단말 DL CC 집합과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에 대한 별도의 시그널링과 같은 지시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PDCCH 모니터링 집합이 단말 DL CC 집합 내에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에 대하여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PDCCH 모니터링 집합만을 통해 PDCCH를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에 따른 서브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LTE-A 단말을 위한 DL 서브프레임은 3개의 DL CC가 결합되어 있으며, DL CC 'A'는 PDCCH 모니터링 DL CC로 설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CIF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각 DL CC는 CIF 없이 자신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CIF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되는 경우, 단 하나의 DL CC 'A'만이 CIF를 이용하여 자신의 PDSCH 또는 다른 CC의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DCCH 모니터링 DL CC로 설정되지 않은 DL CC 'B' 와 'C'는 PDCCH를 전송하지 않는다.
2-레벨(2-level) 무선 프레임 구조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LTE/LTE-A 시스템은 1ms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비디오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데이터의 요구 지연 시간(requested delay time)은 약 10ms이다.
그러나, 미래 5G(Generation) 기술은 실시간 제어(real-time control) 및 촉감 인터넷(tactile internet)과 같은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으로 인하여 더욱 낮은 지연의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고 있으며, 5G 데이터의 요구 지연 시간은 약 1ms까지 낮춰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1ms TTI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로는 1ms 데이터 요구 지연을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 지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무선 송수신 지연의 레퍼런스를 1ms 서브프레임을 가지는 3GPP LTE 시스템의 하향링크 송수신 구현 관점으로 예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eNB)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전송을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단말(UE)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수신을 시작하기까지 확산 지연(PD: Propagation Delay)이 발생한다. 그리고, 단말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디코딩 전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버퍼링(Buff: Buffering)하게 되면서, 버퍼링 지연이 발생한다. 하향링크 서브프레임 전송에 대한 확산 지연과 단말에서의 버퍼링으로 인한 지연은 총 약 0.5ms 소요된다. 그리고, 단말에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디코딩하고, PDCCH 디코딩 정보를 기반으로 PDSCH를 디코딩한다. PDCCH 디코딩(약 0.5ms)과 PDSCH 디코딩(약 2ms 미만)으로 인한 프로세싱 지연(processing delay)은 약 2.5ms 미만이 소요된다.
이처럼,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단 방향 무선 레이턴시(one-way OTA(Over-To-Air) Latency)는 약 3ms 미만이 소요된다.
그리고, 단말에서 A/N(ACK/NACK) 준비(Prep: Preparation)(예를 들어, ACK/NACK 인코딩 등)를 위한 지연과 A/N의 전송 시 발생되는 확산 지연(PD)은 총 약 1ms 미만이 소요된다.
위와 같이, 단 방향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송신측(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수신측(예를 들어, 단말)으로부터 ACK/NACK 수신까지의 총 왕복 무선 레이턴시(Roundtrip OTA Latency)에 일반적으로 약 4ms가 소요된다.
5G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 대비 약 10배 감소된 데이터 지연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G는 더 짧은 TTI(예를 들어, 0.2ms)를 가지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안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5G 시스템은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뿐만 아니라 고용량(high capacity), 저 에너지 소비(low energy consumption), 저비용(low cost), 고 사용자 데이터율(high user data rate) 등과 같이 다양한 요구사항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이 함께 공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5G는 초 저 레이턴시(Ultra Low Latency)를 요구하는 응용부터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요구하는 응용까지 다양한 종류의 응용을 함께 지원하기 위해 종래와는 다른 구조의 시스템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단말의 데이터 수신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프레임 구조가 정의될 필요가 있으며, 새로운 프레임 구조로 인한 레가시(legacy) 단말의 영향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요구 조건을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특정 단말에 대해 하나 이상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서브밴드(sub-band)(또는 서브밴드 그룹 또는 밴드/캐리어) 별로 프레임 구조를 설정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서비스 특정(service-specific)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 또는 밴드/캐리어)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일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래의 1ms TTI 프레임 구조와 저 레이턴시(low latency)를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짧은 TTI(short TTI) 프레임 구조가 특정 단말에 대해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짧은 TTI(short TTI)는 하나의 짧은 TTI 서브프레임(short TTI subframe)(또는, 짧은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짧은 서브프레임 내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이 모두 정의되는 경우, 짧은 TTI는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크기를 가지고, 짧은 서브프레임 내 데이터 영역만이 정의되는 경우, 짧은 TTI는 데이터 영역만을 포함하는 크기를 가진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FDD 타입의 일반 CP가 적용된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DD 타입의 무선 프레임 구조 또는 확장 CP가 적용된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서브밴드 측면에서 2 레벨 프레임 구조(Subband-wise 2-level frame structure)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서브밴드는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의 묶음으로 정의된다.
Figure 112017500523311-pct00002
는 각 서브밴드의 크기를 나타내며, RB의 개수로 표현된다.
Figure 112017500523311-pct00003
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7500523311-pct00004
수학식 1에서, Nsb 는 서브밴드의 수를 나타내며, 상위 계층에 의해 설정된다.
Figure 112017500523311-pct00005
는 상향링크 대역폭 구성(uplink bandwidth configuration)을 나타내며, 자원 블록 크기(즉, 자원 블록 당 서브캐리어 수,
Figure 112017500523311-pct00006
)로 표현된다.
Figure 112017500523311-pct00007
는 PUSCH 주파수 호핑(hopping)을 위해 사용되는 오프셋)('pusch-HoppingOffset')을 나타내며, 자원 블록의 개수로 표현된다.
Figure 112017500523311-pct00008
와 호핑 모드 관련 파라미터(즉, 인터-서브프레임(inter-subframe) 또는 인트라 및 인터 서브프레임(intra and inter-subframe))는 상위 계층에 의해 설정된다.
위의 수학식에서는 상향링크 대역폭에서 서브밴드가 산출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유사하게 하향링크 대역폭 및/또는 상향링크 대역폭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가 정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하나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밴드(즉, 캐리어 또는 셀)는 복수의 서브밴드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하나의 하향링크 및/또는 상향링크 밴드 내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 또는 밴드/캐리어)를 짧은 TTI 프레임의 구조로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향링크 밴드(즉, 캐리어 또는 셀)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존의 PDCCH(1201)는 매 레가시 서브프레임에서 최대 4개의 심볼에 할당된다. 즉, 매 서브프레임의 최대 #0 내지 #3번 심볼에서 밴드(band) 전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매 서브프레임의 #0, #1번 심볼에서 밴드(band) 전대역에 걸쳐 PDCCH(1201)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PDCCH(1201)는 매 서브프레임에서 앞의 2개의 심볼에 매핑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브밴드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영역에서, PDCCH(1201)가 매핑되지 않은 나머지 심볼에서는 일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PDSCH(1202)가 할당된다. 도 12에서는 #3~#13번 심볼에서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브밴드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영역에 걸쳐 PDSCH(1202)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리고, 임의의 밴드에서 저 레이턴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는 짧은 TTI 프레임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레가시 서브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는 PDCCH(1201)가 매핑된 심볼을 제외한 심볼(즉, 레가시 서브프레임의 전체 심볼에서 PDCCH가 할당된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을 짧은 TTI 크기에 해당하는 심볼 n 개(예를 들어, 2개 내지 4개 심볼 등)로 나누어 짧은 TTI 서브프레임(sPDSCH, 1203)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짧은 TTI 서브프레임에서는 sPDSCH만이 할당되므로, 짧은 TTI 서브프레임과 sPDSCH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PDCCH(1201)가 레가시 서브프레임의 앞의 2개의 심볼에 할당되는 경우, 4개(= 12/3)의 짧은 서브프레임(sPDSCH, 1203)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 단위로 짧은 자원 블록(short RB) 또한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시간 영역에서는 n개의 심볼(즉, 짧은 TTI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도 기존 보다 적은 x개(x<12)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레가시 PDSCH와 마찬가지로 sPDSCH 영역에서 데이터의 자원 요소에의 매핑은 먼저 주파수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되고, 그리고 심볼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PDCCH(1201), sPDSCH(1203)가 매핑되는 심볼(또는 심볼의 개수), 하나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 설정되는 짧은 TTI의 개수 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의 예시와 같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짧은 TTI 서브프레임(sPDSCH, 1203)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복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DI: New Data Indicator), 리던던시 버전(RV: Redundancy Version), 전송 파워 제어(TPC: Transmit Power Control) 명령 등)는 PDCCH(1201)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이 PDCCH(1201)를 통해 sPDSCH(1203)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PDCCH(1201)는 PDSCH(1202)뿐만 아니라 sPDSCH(1203)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PDSCH(1202) 또는 짧은 TTI 서브프레임(sPDSCH, 1203) 중 어느 영역에서 자신에게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은 'sPDSCH 지시자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DCI 포맷은 12/n개 짧은 TTI 서브프레임(1203) 중에서 몇 번째 짧은 TTI 서브프레임(1203)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인지를 알리는 'TTI 번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각 필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sPDSCH 지시자 (1 비트)
본 발명에서는 sPDSCH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DCI가 sPDSCH 지시자(예를 들어, 1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종래 PDCCH의 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 포맷(즉, DCI 포맷 1, 1A, 1B, 1C)에 sPDSCH 지시자(예를 들어, 1 비트)가 추가될 수도 있다.
특정 밴드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브밴드 측면 2 레벨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짧은 TTI의 s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단말은 짧은 서브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디코딩해야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PDCCH를 수신할 때 해당 데이터가 종래의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인지, 또는 sPDSCH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인지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해당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 포맷은 sPDSCH 지시자 1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2) TTI 번호(m 비트, 예를 들어, 3 심볼의 TTI의 경우 2 비트)
하나의 TTI가 n(예를 들어, 3)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자신의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즉, TTI/sPDSCH)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sPDSCH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와 관련된 DCI는 12/n 개(예를 들어, 4개)의 짧은 TTI 중 몇 번째 TTI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DCI인지 구별하기 위한 TTI 번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래 PDCCH의 하향링크 데이터 스케줄링을 위한 DCI 포맷(즉, DCI 포맷 1, 1A, 1B, 1C)에 TTI 번호 필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TTI 번호 필드는 m 비트(예를 들어, n=3인 경우, 4개의 TTI 구별을 위해 TTI 번호 필드의 길이는 2 비트)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1ms 이내(즉, 레가시 서브프레임)에 있는 sPDSCH의 번호를 알리는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하나의 TTI가 3 심볼인 경우, 1ms 내에 4개의 sPDSCH가 존재하고, 이를 구별하기 위해 2 비트 길이의 TTI 번호 필드가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에 포함될 수 있다. 즉, 해당 필드의 값은 각각 0b00: 0번째 sPDSCH, 0b01: 1번째 sPDSCH, 0b10: 2번째 sPDSCH, 0b11: 3번째 sPDSCH를 의미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sPDSCH 지시자 정보와 TTI 번호 정보가 하나의 필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비트맵 형식으로 정의된 sPDSCH 지시 및 TTI 번호 필드에서 위의 sPDSCH 지시자 정보와 위의 TTI 번호 정보를 모두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TI가 3 심볼인 경우, 1ms 내에 4개의 sPDSCH가 존재하고, 이를 구별하기 위해 4 비트 길이의 sPDSCH 지시 및 TTI 번호 필드가 종래 PDCCH의 하향링크 그랜트(DL grant)에 포함될 수 있다. 즉, 해당 필드의 값은 각각 1000: 0번째 sPDSCH, 0100: 1번째 sPDSCH, 0010: 2번째 sPDSCH, 0001: 3번째 sPDSCH를 의미한다. 이러한 값 중 어느 하나로 sPDSCH 지시 및 TTI 번호 필드의 값이 셋팅되면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가 sPDSCH로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sPDSCH 지시 및 TTI 번호 필드가 모두 '0000'로 구성되면, 이는 해당 단말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는 sPDSCH를 통해 전송되지 않고, PDSCH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PDCCH(1301)는 매 서브프레임에서 앞의 최대 4개의 심볼에 할당된다. 즉, 매 서브프레임의 최대 #0 내지 #3번 심볼에서 밴드(band) 전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매 서브프레임의 #0, #1번 심볼에서 밴드(band) 전대역에 걸쳐 PDCCH(1301)가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PDCCH(1301)는 매 서브프레임에서 앞의 2개의 심볼에 매핑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브밴드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영역에서, PDCCH(1301)가 매핑되지 않은 나머지 심볼에서는 일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PDSCH(1302)가 할당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3~#13번 심볼에서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브밴드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영역에 걸쳐 PDSCH(1302)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리고, 저 레이턴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레가시 서브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는 PDCCH(1301)가 매핑된 영역을 제외한 심볼(즉, 레가시 서브프레임의 전체 심볼에서 PDCCH(1301)가 할당된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을 짧은 TTI 크기에 해당하는 심볼 n개(예를 들어, 2개 내지 4개 등)로 나누어 짧은 TTI 서브프레임(sPDCCH(1303) 및 sPDSCH(1304))으로 구성된다.
즉, 매 짧은 TTI 서브프레임에서 앞의 일정 심볼(예를 들어, 1개 혹은 2개 심볼)에서 sPDCCH(1303)이 할당되고, 나머지 심볼에서 sPDSCH(1304)가 할당된다.
sPDCCH(1303)의 심볼 개수를 제한되지 않으나, 만약 짧은 TTI 서브프레임이 3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 sPDCCH(1303)는 1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과 같이 PDCCH(1301)가 레가시 서브프레임의 앞의 2개의 심볼에 할당되는 경우, 4개(=12/3)의 짧은 TTI 서브프레임(sPDCCH(1303) 및 sPDSCH(1304))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매 짧은 TTI 서브프레임마다 앞의 1개의 심볼에 sPDCCH(1303)가 할당되고, 나머지 2개의 심볼에 sPDSCH(1304)가 할당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 단위로 짧은 자원 블록(short RB) 또한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시간 영역에서는 n개의 심볼(즉, 짧은 TTI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도 기존 보다 적은 x개(x<12)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가시 PDSCH와 마찬가지로 sPDSCH 영역에서 데이터의 자원 요소에의 매핑은 먼저 주파수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되고, 그리고 심볼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PDCCH(1301), sPDCCH(1303), sPDSCH(1304)가 매핑되는 심볼(또는 심볼의 개수), 하나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 설정되는 짧은 TTI의 개수 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3의 예시와 같이 짧은 TTI 서브프레임(sPDCCH(1303) 및 sPDSCH(1304))이 구성되는 경우, sPDSCH(130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예를 들어,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MCS, NDI, RV, TPC 명령 등)은 짧은 TTI 서브프레임 내에 새롭게 정의된 sPDCCH(1303)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sPDCCH(1303)은 짧은 TTI 서브프레임 내 소정의 심볼에서 서브밴드 전대역에 걸쳐 전송된다.
PDCCH(1001)은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의 집합으로 전송된다. CCE는 9개의 자원 요소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에 해당되고, REG는 4개의 자원 요소(RE)로 구성된다.
다만, 도 13과 같이 sPDCCH(1303)이 구성되는 경우, sPDCCH(1303)의 포맷은 PDCCH(1301)의 포맷과 동일할 수 있으나, 다른 포맷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PDCCH(1303) 포맷에서 하나의 CCE는 x개(x<9)의 REG로 구성되거나, sPDCCH(1303) 영역에 매핑되는 REG는 y개(y<4)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도 12 및 도 13의 예시와 같이 저 레이턴시(low latency)를 위한 새로운 무선 프레임 구조 외에도 종래 LTE/LTE-A에서 정의된 1ms 서브프레임 구조와 다른 목적(예를 들어, 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데이터 전송)으로 개발된 프레임 구조를 동일 밴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일한 프레임 구조의 물리 채널이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 별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PDCCH는 서브 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 별로 구성된다.
즉, 해당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에 할당되는 PDCCH는 해당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에 할당되는 PDSCH를 위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PDSCH 또는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MCS, NDI, RV, TPC 명령 등)를 전달한다.
이러한 방안은 종래 LTE/LTE-A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고,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비스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특정 서브밴드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 #1은 일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이고,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 #2는 저 레이턴시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저 레이턴시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의 제어 영역에 할당되는 제어 채널을 sPDCCH로 지칭하고, 데이터 영역에 할당되는 데이터 채널을 PDSCH로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4와 같이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 별로 서로 다른 목적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저 레이턴시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에서 전송되는 PDCCH(또는 sPDCCH)의 포맷은 기존의 PDCCH의 포맷과 동일할 수 있으나, 다른 포맷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 레이턴시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서브밴드 그룹(또는 서브밴드 그룹)에서 전송되는 PDCCH(또는 sPDCCH)에서 하나의 CCE는 x개(x<9)의 REG로 구성되거나, REG는 y개(y<4)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셀 측면에서 2 레벨 프레임 구조(Carrier/Cell-wise 2-level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서브밴드 측면(subband-wise)이 아닌 캐리어/셀 측면 2 레벨 프레임 구조(carrier-wise 2-level frame structure)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종래 LTE/LTE-A 프레임 구조의 캐리어와 저 레이턴시를 위한 새로운 무선 프레임 구조의 캐리어를 특정 사용자를 위해 할당할 수 있다.
이는 캐리어 병합(carrier aggregation)의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P셀(PCell: Primary Cell)은 종래 LTE/LTE-A 프레임 구조의 셀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말 특성에 따라 새로운 프레임 구조의 셀이 P셀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단말에게는 서로 다른 프레임 구조의 셀 2개를 반드시 병합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두 개의 셀이 모두 P셀로써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밴드(또는 캐리어/셀) 1은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밴드(또는 캐리어/셀)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며, 밴드 1 및 2가 특정 단말에 대하여 캐리어 병합(CA)된 경우를 예시한다.
밴드 1에서 PDCCH(1501) 및 PDSCH(1502)는 기존의 LTE/LTE-A 시스템의 정의에 따라 매핑될 수 있다. 즉, PDCCH(1501)는 매 레가시 서브프레임에서 앞의 최대 4개의 심볼에 할당된다. 즉, 매 서브프레임의 최대 #0 내지 #3번 심볼에서 밴드 1의 전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매 서브프레임의 #0, #1번 심볼에서 밴드 1의 전대역에 걸쳐 PDCCH(1501)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리고, PDCCH(1501)가 매핑되지 않은 나머지 심볼에서는 일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PDSCH(1502)가 밴드 1의 전대역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3~#13번 심볼에서 밴드 1의 전대역에 걸쳐 PDSCH(1502)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에서는 1개의 레가시 서브프레임(즉, 1ms) 내 하나 이상의 스페셜 심볼(1503) 및 n 개 심볼의 크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sPDSCH(150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밴드 2의 한 개의 레가시 서브프레임에서 1 심볼의 크기를 가지는 스페셜 심볼(1503)과 3 심볼의 크기(n=3)를 가지는 sPDSCH(1504) 2개가 매핑되고, 이어서 1 심볼의 크기를 가지는 스페셜 심볼(1503)과 3 심볼의 크기(n=3)를 가지는 sPDSCH(1504) 2개가 매핑되어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즉,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는 1 레가시 서브프레임(즉, 1ms) 이내에 4개의 짧은 TTI가 존재하는 구조로써, 하나의 짧은 TTI는 3 심볼(즉, sPDSCH 길이), 약 0.2m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서, 스페셜 심볼(1503)은 레가시 서브프레임의 전체 심볼의 개수에서 짧은 TTI의 크기(도 15에서 3 심볼)로 나눈 나머지 심볼(2=14%3)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페셜 심볼(1503)과 sPDSCH(1504)가 시간 축 상으로 매핑되는 순서는 도 15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하나의 밴드에 스페셜 심볼(1503)과 sPDSCH(1504)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sPDSCH(150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MCS, NDI, RV, TPC명령 등)는 다른 밴드(도 15에서 밴드 1)의 PDCCH(1501)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이 PDCCH(1501)를 통해 sPDSCH(150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PDCCH(1501)는 밴드 1의 PDSCH(1502)뿐만 아니라 밴드 2의 sPDSCH(1504)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PDSCH(1502) 또는 sPDSCH(1504) 중 어느 영역에서 자신에게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앞서 도 12의 예시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은 'sPDSCH 지시자 필드' 및/또는 12/n개 sPDSCH(1504) 중에서 몇 번째 sPDSCH(1504)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인지를 알리는 'TTI 번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PDSCH 지시자 정보와 TTI 번호 정보가 하나의 필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비트맵 형식으로 정의된 sPDSCH 지시 및 TTI 번호 필드에서 위의 sPDSCH 지시자 정보와 위의 TTI 번호 정보를 모두 전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 단위로 짧은 자원 블록(short RB) 또한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시간 영역에서는 n개의 심볼(즉, 짧은 TTI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도 기존 보다 적은 x개(x<12)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가시 PDSCH와 마찬가지로 sPDSCH 영역에서 데이터의 자원 요소에의 매핑은 먼저 주파수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되고, 그리고 심볼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서 스페셜 심볼(special symbol)(1503) 대신에 sPDSCH(1504)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sPDCCH(1503)가 할당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에서는 하나 이상의 sPDSCH(1504)에 대하여 sPDCCH(1503)이 매핑될 수 있다. 도 15에서 하나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에서 좌측부터 1, 2 번째 sPDSCH(1504)는 1 번째 sPDCCH(1503)에 매핑되고, 3, 4 번째 sPDSCH(1504)는 2 번째 sPDCCH(1503)에 매핑된다.
따라서, sPDSCH(150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MCS, NDI, RV, TPC 명령 등)는 해당 sPDSCH(1504)와 매핑되는 sPDCCH(1503)(즉, 해당 sPDSCH 이전 가장 최근에 전송된 sPD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sPDCCH(1503)은 밴드 전대역에 걸쳐 전송된다.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의 sPDCCH(1503) 포맷은 기존의 PDCCH(1501)의 포맷과 동일할 수 있으나, 다른 포맷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PDCCH(1503) 포맷에서 하나의 CCE는 x개(x<9)의 REG로 구성되거나 sPDCCH(1503) 영역에 매핑되는 REG는 y개(y<4)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1 또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가 P셀로써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단말에게는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1 및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를 반드시 병합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밴드 1 및 밴드 2 모두 P셀로써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PDCCH(1501), sPDCCH(1503), sPDSCH(1504)가 매핑되는 심볼(또는 심볼의 개수), 하나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 설정되는 짧은 TTI의 개수 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저 레이턴시를 위한 프레임 구조 설계를 위해서 짧은 TTI의 크기 n(심볼 개수)은 7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밴드(또는 캐리어/셀) 1은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밴드(또는 캐리어/셀)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며, 밴드 1 및 2가 특정 단말에 대하여 캐리어 병합(CA)된 경우를 예시한다.
밴드 1은 앞서 도 15의 예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에서는 1개의 레가시 서브프레임(즉, 1ms) 내 하나 이상의 스페셜 심볼(1603) 및 n 개 심볼의 크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sPDSCH(160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에서는 밴드 2의 1개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 2 심볼의 크기를 가지는 스페셜 심볼(1603)과 3 심볼의 크기(n=3)를 가지는 sPDSCH(1604) 4개가 연속적으로 매핑되어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즉,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는 1 레가시 서브프레임(즉, 1ms) 이내에 4개의 짧은 TTI가 존재하는 구조로써, 하나의 짧은 TTI는 3 심볼(즉, sPDSCH 길이), 약 0.2ms의 길이를 가진다.
여기서, 스페셜 심볼(1603)은 레가시 서브프레임의 전체 심볼의 개수에서 짧은 TTI의 크기(도 16에서 3 심볼)로 나눈 나머지 심볼(2=14%3)에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페셜 심볼(1603)과 sPDSCH(1604)가 시간 축 상으로 매핑되는 순서는 도 16과 상이할 수 있다.
도 16과 같이 하나의 밴드에 스페셜 심볼(1603)과 sPDSCH(1604)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sPDSCH(160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MCS, NDI, RV, TPC명령 등)는 다른 밴드(도 16에서 밴드 1)의 PDCCH(1601)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cross carrier scheduling)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이 PDCCH(1601)를 통해 sPDSCH(160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PDCCH(1601)는 밴드 1의 PDSCH(1602)뿐만 아니라 밴드 2의 sPDSCH(1604)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PDSCH(1602) 또는 sPDSCH(1604) 중 어느 영역에서 자신에게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앞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은 'sPDSCH 지시자 필드' 및/또는 12/n개 sPDSCH(1604) 중에서 몇 번째 sPDSCH(1604)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인지를 알리는 'TTI 번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PDSCH 지시자 정보와 TTI 번호 정보가 하나의 필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비트맵 형식으로 정의된 sPDSCH 지시 및 TTI 번호 필드에서 위의 sPDSCH 지시자 정보와 위의 TTI 번호 정보를 모두 전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 단위로 짧은 자원 블록(short RB) 또한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시간 영역에서는 n개의 심볼(즉, 짧은 TTI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도 기존 보다 적은 x개(x<12)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가시 PDSCH와 마찬가지로 sPDSCH 영역에서 데이터의 자원 요소에의 매핑은 먼저 주파수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되고, 그리고 심볼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서 스페셜 심볼(special symbol)(1603) 대신에 sPDSCH(1604)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sPDCCH(1603)가 할당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에서는 하나 이상의 sPDSCH(1604)에 대하여 sPDCCH(1603)이 매핑될 수 있다. 도 16에서 하나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에서 좌측부터 1 내지 4 번째 sPDSCH(1604)는 1 번째 sPDCCH(1603)에 매핑된다.
따라서, sPDSCH(160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MCS, NDI, RV, TPC 명령 등)는 해당 sPDSCH(1604)와 매핑되는 sPDCCH(1603)(즉, 해당 sPDSCH 이전 가장 최근에 전송된 sPD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sPDCCH(1603)은 밴드 전대역에 걸쳐 전송된다.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의 sPDCCH(1603) 포맷은 기존의 PDCCH(1601)의 포맷과 동일할 수 있으나, 다른 포맷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PDCCH(1603) 포맷에서 하나의 CCE는 x개(x<9)의 REG로 구성되거나 sPDCCH(1603) 영역에 매핑되는 REG는 y개(y<4)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1 또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가 P셀로써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단말에게는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1 및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를 반드시 병합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밴드 1 및 밴드 2 모두 P셀로써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sPDCCH(1603), sPDSCH(1604)가 매핑되는 심볼(또는 심볼의 개수), 하나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 설정되는 짧은 TTI의 개수 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저 레이턴시를 위한 프레임 구조 설계를 위해서 짧은 TTI의 크기 n(심볼 개수)은 7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밴드(또는 캐리어/셀) 1은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밴드(또는 캐리어/셀)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며, 밴드 1 및 2가 특정 단말에 대하여 캐리어 병합(CA)된 경우를 예시한다.
밴드 1은 앞서 도 15의 예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에서는 하나 이상의 레가시 서브프레임(즉, 3ms) 내 sPDCCH(1703) 및 sPDSCH(1704)가 교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밴드 2의 3 개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 1 심볼의 크기를 가지는 sPDCCH(1703)과 2 심볼의 크기(n=2)를 가지는 sPDSCH(1704)가 교대로 매핑되어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즉,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는 3 레가시 서브프레임(즉, 1ms)이내에 14개의 짧은 TTI가 존재하는 구조로써, 하나의 짧은 TTI는 3 심볼(즉, sPDCCH 및 sPDSCH 길이), 약 0.2ms의 길이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 단위로 짧은 자원 블록(short RB) 또한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시간 영역에서는 n개의 심볼(즉, 짧은 TTI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도 기존 보다 적은 x개(x<12)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가시 PDSCH와 마찬가지로 sPDSCH 영역에서 데이터의 자원 요소에의 매핑은 먼저 주파수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되고, 그리고 심볼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될 수 있다.
sPDSCH(170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MCS, NDI, RV, TPC 명령 등)는 해당 sPDSCH(1704)와 매핑되는 sPDCCH(1703)(즉, 해당 sPDSCH 이전 가장 최근에 전송된 sPD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sPDCCH(1703)은 밴드 전대역에 걸쳐 전송된다.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의 sPDCCH(1703) 포맷은 기존의 PDCCH(1701)의 포맷과 동일할 수 있으나, 다른 포맷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PDCCH(1703) 포맷에서 하나의 CCE는 x개(x<9)의 REG로 구성되거나 sPDCCH(1603) 영역에 매핑되는 REG는 y개(y<4)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1 또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가 P셀로써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단말에게는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1 및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를 반드시 병합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밴드 1 및 밴드 2 모두 P셀로써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sPDCCH(1703), sPDSCH(1704)가 매핑되는 심볼(또는 심볼의 개수), 하나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 설정되는 짧은 TTI의 개수 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저 레이턴시를 위한 프레임 구조 설계를 위해서 짧은 TTI의 크기 n(심볼 개수)은 7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밴드 및 캐리어 /셀 측면에서 2 레벨 프레임 구조
한편, 앞서 설명한 서브밴드 측면과 캐리어/셀 측면에서 2 레벨 프레임 구조(Carrier-wise 2-level frame structure)가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밴드(또는 캐리어/셀) 1은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밴드(또는 캐리어/셀)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브밴드 측면의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며, 밴드 1 및 2가 특정 단말에 대하여 캐리어 병합(CA)된 경우를 예시한다.
밴드 1은 앞서 도 15의 예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밴드 2는 복수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으로 구분되고, 그 중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가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PDCCH(1811)는 매 서브프레임에서 앞의 심볼에 할당되고, 앞의 최대 4개의 심볼에 할당된다. 즉, 매 서브프레임의 최대 #0 내지 #3번 심볼에서 밴드(band) 전대역에 걸쳐 전송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매 서브프레임의 #0, #1번 심볼에서 밴드(band) 전대역에 걸쳐 PDCCH(1811)가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PDCCH(1811)는 매 서브프레임에서 앞의 2개의 심볼에 매핑된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브밴드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영역에서, PDCCH(1811)가 매핑되지 않은 나머지 심볼에서는 일반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PDSCH(1812)가 할당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3~#13번 심볼에서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브밴드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영역에 걸쳐 PDSCH(1812)가 할당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리고, 저 레이턴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레가시 서브프레임에서 하나 이상의 서브밴드(또는 서브밴드 그룹)는 PDCCH(1811)가 매핑된 영역을 제외한 심볼(즉, 레가시 서브프레임의 전체 심볼에서 PDCCH(1811)가 할당된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을 짧은 TTI 크기에 해당하는 심볼 n개(예를 들어, 2개 내지 4개 등)로 나누어 짧은 TTI 서브프레임(sPDCCH(1813) 및 sPDSCH(1814))으로 구성된다.
즉, 매 짧은 TTI 서브프레임에서 앞의 일정 심볼(예를 들어, 1개 혹은 2개 심볼)에서 sPDCCH(1813)이 할당되고, 나머지 심볼에서 sPDSCH(1814)가 할당된다.
sPDCCH(1813)의 심볼 개수를 제한되지 않으나, 만약 짧은 TTI 서브프레임이 3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 sPDCCH(1813)는 1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과 같이 PDCCH(1811)가 레가시 서브프레임의 앞의 2개의 심볼에 할당되는 경우, 4개(=12/3)의 짧은 TTI 서브프레임(sPDCCH(1813) 및 sPDSCH(1814))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매 짧은 TTI 서브프레임마다 앞의 1개의 심볼에 sPDCCH(1813)가 할당되고, 나머지 2개의 심볼에 sPDSCH(1814)가 할당될 수 있다.
즉,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는 1 레가시 서브프레임(즉, 1ms) 이내에 4개의 짧은 TTI가 존재하는 구조로써, 하나의 짧은 TTI는 3 심볼, 약 0.2ms의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 채널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을 위한 자원 할당 단위로 짧은 자원 블록(short RB) 또한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기존과 동일하게 12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되고, 시간 영역에서는 n개의 심볼(즉, 짧은 TTI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짧은 RB는 주파수 영역에서도 기존 보다 적은 x개(x<12)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레가시 PDSCH와 마찬가지로 sPDSCH 영역에서 데이터의 자원 요소에의 매핑은 먼저 주파수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되고, 그리고 심볼 인덱스가 증가하는 순서로 매핑될 수 있다.
도 18의 예시와 같이 특정 밴드의 일부 서브밴드가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sPDSCH(181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sPDSCH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주파수/시간 자원 할당 정보, MCS, NDI, RV, TPC 명령 등)는 해당 sPDSCH(1814)와 매핑되는 sPDCCH(1813)(해당 sPDSCH 이전 가장 최근에 전송된 sPD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즉, 도 18에서 좌측부터 1 번째 sPDSCH(181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는 1 번째 sPDCCH(1813)에서 전송되고, 2 번째 sPDSCH(1814)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는 2 번째 sPDCCH(1813)에서 전송되고, 그 외에도 동일하다.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의 sPDCCH(1813) 포맷은 기존의 PDCCH(1811)의 포맷과 동일할 수 있으나, 다른 포맷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PDCCH(1813) 포맷에서 하나의 CCE는 X개(x<9)의 REG로 구성되거나 sPDCCH(1813) 영역에 매핑되는 REG는 y개(y<4)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1 또는 일부 서브밴드가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가 P셀로써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단말에게는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1 및 일부 서브밴드가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밴드 2를 반드시 병합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밴드 1 및 밴드 2 모두 P셀로써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PDCCH(1811), sPDCCH(1813), sPDSCH(1814)가 매핑되는 심볼(또는 심볼의 개수), 하나의 레가시 서브프레임 내 설정되는 짧은 TTI의 개수 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짧은 TTI 프레임 구조에 대한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 전송 방법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에 대한 무선 자원 정보는 셀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짧은 TTI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 짧은 TTI 프레임 구조에 대한 무선 자원 정보(이하,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한다(S1901).
여기서, RRC 메시지의 일례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메시지,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확립(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가 해당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는 셀 특정(cell-specific)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또는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 control information) 내에서 각각 공통적인 무선 자원 구성을 특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무선 자원 공통 설정('RadioResourceConfigCommon') 정보 요소(IE: Information Elemen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RadioResourceConfigCommon' IE는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ControlInfo') IE 또는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2(SIB-2: 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2)(또는, 새롭게 정의된 SIB-x)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ControlInfo') IE는 E-UTRA 내에서 네트워크가 제어하는 이동성(network controlled mobility)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IE이다.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ControlInfo') IE는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RRC 연결을 수정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이다.
또한, 이동성 제어 정보('MobilityControlInfo') IE는 SIB-2(또는 SIB-x)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2)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는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을 위한 정보이므로 단말 특정(uesr-specific) RRC 메시지를 통해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는 단말 특정 물리 채널 구성을 특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용 PDSCH 설정('pdschConfigDedicated') IE 또는 전용 물리 자원 설정('physicalConfigDedicated') IE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전용 PDSCH 설정('pdschConfigDedicated') IE 또는 전용 물리 자원 설정('physicalConfigDedicated') IE는 전용 무선 자원 설정('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E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전용 무선 자원 설정('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E는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의 셋업(setup), 수정(modify) 또는 해제(release)를 위해, MAC 메인 설정(MAC main configuration)을 수정하기 위해, 반정적 스케줄링(SPS: Semi-Persistent Scheduling) 설정을 수정하기 위해, 그리고 전용 물리 설정(dedicated physical configuration)을 수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전용 무선 자원 설정('RadioResourceConfigDedicated') IE는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재확립(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를 확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메시지이고, RRC 연결 재확립(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는 SRB를 재확립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이하,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들을 살펴본다.
- 짧은 TTI 서브프레임을 위한 주파수 자원 정보(Frequency resource information for short TTI sub-frame)
주파수 밴드 내에서 짧은 TTI가 적용되는 서브밴드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의미한다. 서브밴드 측면 및/또는 캐리어 측면 2 레벨 무선 프레임 구조가 이용되는 경우, 이 정보가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짧은 TTI 서브프레임을 위한 주파수 자원 정보는 서브캐리어 또는 RB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및/또는 끝 자원(즉, 서브캐리어 또는 RB)에 대한 인덱스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시작 또는 끝 자원(즉, 서브캐리어 또는 RB)에 대한 인덱스와 자원(즉, 서브캐리어 또는 RB)의 개수로 표현될 수 있다.
서브밴드 측면의 2 레벨 프레임 구조의 경우(도 12 내지 도 14, 도 18), 특정 밴드 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특정 서브밴드에 대한 주파수 자원 정보를 나타낸다.
반면, 특정 밴드의 전 밴드에서 짧은 TTI가 적용되는 경우(도 15 내지 도 17), 가장 높은/낮은 자원(즉, 서브캐리어 또는 RB) 인덱스로 표현되거나, 미리 정해진 특정 값(예를 들어, '0')로 셋팅될 수 있다.
- 짧은 TTI 서브프레임을 위한 심볼 수(The number of symbols for a short TTI sub-frame)
하나의 짧은 TTI 서브프레임에 대한 심볼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짧은 각 짧은 TTI 서브프레임이 3개의 심볼로 구성되는 '3'으로 셋팅될 수 있다.
서브밴드 측면 및/또는 캐리어 측면에서 2 레벨 무선 프레임 구조가 이용되는 경우, 이 정보가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 sPDCCH를 위한 심볼 수(The number of symbols for a sPDCCH)
각 짧은 TTI 서브프레임 내에서 sPDCCH에 대한 심볼 수를 의미한다.
짧은 TTI 서브프레임 내 sPDCCH가 존재한다면(도 13, 도 17 및 도 18), 이 정보가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 스페셜 심볼 수(The number of special symbols)
레가시 서브프레임(즉, 1ms)이내에 존재하는 스페셜 심볼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또는 '2'의 2가지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짧은 TTI 서브프레임 내 스페셜 심볼이 존재한다면(도 15 및 도 16), 이 정보가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저 레이턴시(Low latency)를 요구하는 단말은 앞서 도 19와 같이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밴드에서의 짧은 TTI에 대한 무선 자원 정보를 확인하고, 짧은 TTI 구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캐리어/셀 측면 2 레벨 프레임 구조(carrier/cell-wise 2-level frame structure)는 캐리어 병합(CA)를 이용하는 단말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단말은 레가시 단말과는 다른 방법으로 P셀 및 S셀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측면 2 레벨 프레임 구조를 위한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 짧은 TTI 프레임 구조에 대한 무선 자원 정보(이하,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한다(S2001).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송수신 방법 및 이에 포함되는 정보는 앞서 도 19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기지국은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기 위하여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단말로 전송한다(S2002).
단말이 짧은 TTI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캐리어/셀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attach) 절차를 수행한 경우,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레가시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셀을 S셀로 추가할 수 있다. 즉, 레가시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캐리어/셀이 s셀로 설정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전용 S셀 무선 자원 설정('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 필드를 포함한다.
전용 S셀 무선 자원 설정('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 필드는 S셀 추가('SCellToAddMod') 필드를 포함한다. S셀 추가('SCellToAddMod') 필드는 S셀을 추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필드이다.
S셀 추가('SCellToAddMod') 필드는 S셀 인덱스('sCellIndex') 필드 및 셀 식별자('cellIdentification') 필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셀 식별자('cellIdentification') 필드는 물리 셀 식별자('physCellId') 필드 및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dl-CarrierFreq') 필드를 포함한다.
S셀 인덱스('sCellIndex') 필드는 S셀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략한(short) 식별자를 지시하는 필드로써,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 캐리어/셀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셀 식별자('physCellId') 필드는 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를 지시하는 필도로써,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 캐리어/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dl-CarrierFreq') 필드는 셀의 주파수 정보를 지시하는 필드로써, 레가시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 캐리어/셀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캐리어 측면 2 레벨 프레임 구조를 위한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에 짧은 TTI 프레임 구조에 대한 무선 자원 정보(이하,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RRC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전송한다(S2101).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송수신 방법 및 이에 포함되는 정보는 앞서 도 19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기지국은 캐리어 병합을 설정하기 위하여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단말로 전송한다(S2102).
단말이 레가시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캐리어/셀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attach) 절차를 수행한 경우, 기지국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단말에 짧은 TTI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셀을 세컨더리 P셀(sPCell: secondary PCell)로 추가할 수 있다. 즉, 레가시 프레임 구조의 캐리어/셀과 짧은 TTI 프레임 구조의 캐리어/셀이 모두 P셀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캐리어/셀이 P셀로 설정되는 경우, 각 캐리어/셀에 대한 제어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짧은 TTI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캐리어/셀의 경우에는 저 레이턴시(low latency)를 요구하는 서비스를 위해 특화된 제어만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P셀이 2개라는 하는 것은, 단말이 유휴(IDLE) 상태 또는 도먼트(dormant) 상태에 진입하더라도 두 개의 캐리어/셀을 모두 모니터링(즉, PDCCH 또는 sPDCCH 또는 페이징 구간(paging interval) 등)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의미를 가지거나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S셀로 정의될 수도 있다.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는 전용 S셀 무선 자원 설정('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 필드를 포함한다.
전용 S셀 무선 자원 설정('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 필드는 세컨더리 P셀 추가('sPCellToAddMod') 필드를 포함한다. 세컨더리 P셀 추가('sPCellToAddMod') 필드는 세컨더리 P셀을 추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필드이다.
P셀 추가('sPCellToAddMod') 필드는 세컨더리 P셀 인덱스('sCellIndex') 필드 및 셀 식별자('cellIdentification') 필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셀 식별자('cellIdentification') 필드는 물리 셀 식별자('physCellId') 필드 및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dl-CarrierFreq') 필드를 포함한다.
세컨더리 P셀 인덱스('sPCellIndex') 필드는 세컨더리 P셀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간략한(short) 식별자를 지시하는 필드로써,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 캐리어/셀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셀 식별자('physCellId') 필드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 캐리어/셀의 물리 계층 식별자를 포함하고,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dl-CarrierFreq') 필드는 짧은 TTI 프레임 구조로 구성된 캐리어/셀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도 20 및 도 21과 같이 단말에게 S셀 또는 sP셀을 추가할 때, 단말에게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앞서 도 19의 예시에서 설명한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는 앞서 도 20의 S2002 단계 또는 도 21의 S2102 단계에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0의 S2001 단계 또는 도 21의 S2101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제1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 영역에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매핑한다(S2201).
기지국은 앞서 도 12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 레이턴시(low latency)가 요구되지 않는 일반 하향링크 데이터를 레가시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에 매핑한다. 여기서 제1 TTI는 기존의 레가시 TTI(즉, 1ms) 일 수 있다.
기지국은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sPDSCH 영역에 제2 하향링크 데이터 매핑한다(S2202).
기지국은 앞서 도 12 내지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 레이턴시(low latency)가 요구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에 매핑한다. 여기서 제2 TTI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sPDSCH 영역의 심볼 개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sPDCCH 및 sPDSCH 영역의 심볼 개수(예를 들어, 3 심볼)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밴드 내에서 서브밴드 측면의 2 레벨 무선 프레임 구조(subband-wise 2-level radio frame structure)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밴드에서 캐리어 측면의 2 레벨 무선 프레임 구조(carrier-wise 2-level radio frame structure)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밴드에서 캐리어 측면의 2 레벨 무선 프레임 구조(carrier-wise 2-level radio frame structure)로 구성되는 경우,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셀이 P셀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레가시 무선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셀과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셀 모두 P셀로 설정될 수도 있다.
PDSCH 영역에 매핑되는 제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와 sPDSCH 영역에 매핑되는 제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 모두 레가시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PDSCH 영역에 매핑되는 제1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는 레가시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CCH을 통해 전송되나, sPDSCH 영역에 매핑되는 제2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sPDCCH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PDCCH 또는 sPDCCH를 통해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2 내지 도 18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및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이전에 기지국은 앞서 도 19의 예시와 같이 셀 특정한 RRC 메시지 또는 단말 특정한 RRC 메시지를 통해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S2201 단계가 S2202 단계보다 앞서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S2202 단계가 S2201 단계 보다 앞서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2201 단계와 S2202 단계가 시간 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단말은 제1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PDSCH 영역에서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다(S2301).
단말은 PDCCH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PDSCH 영역에서 자신에게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단말은 제2 TTI 기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sPDSCH 영역에서 제2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한다(S2302).
단말은 PDCCH 영역 또는 sPDCCH 영역을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sPDSCH 영역에서 자신에게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도 23은 단말 측면에서 서브밴드 측면의 2 레벨 무선 프레임 구조(subband-wise 2-level radio frame structure) 또는 서로 다른 밴드에서 캐리어 측면의 2 레벨 무선 프레임 구조(carrier-wise 2-level radio frame structure)를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단말은 S2301 단계 및 S2302 단계 이전에 앞서 도 19의 예시와 같이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의 S2002 단계 또는 도 21의 S2102 단계에서 기지국에 의해 캐리어 병합이 설정될 때(즉, S셀 추가 또는 sP셀 추가), 짧은 TTI 무선 자원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향링크 밴드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심볼의 TTI(예를 들어, 3 심볼)를 통해 하나의 레가지 서브프레임에 14/n개(일반 CP 적용된 경우)의 짧은 서브프레임(정수값, n=3인 경우, 4개의 짧은 서브프레임 )과 14%n개의 스페셜 심볼(n=3인 경우, 2개의 스케셜 심볼)이 존재하는 구조로 동작하도록 한다. 여기서 14%n개의 스페셜 심볼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UL grant) 없이 단말 간의 경쟁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경쟁 기반 자원(contention-based resource)으로 사용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2-레벨 프레임 구조는 레가시 단말에게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밴드에서 동작하는 레가시 단말은 데이터 수신을 위해 매 서브프레임의 전대역 PDCCH 를 블라인드 디코딩한다. 그리고, 레가시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되는 제어 정보가 있는 경우,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PDCCH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수신한다.
다만, 기지국은 저 레이턴시를 위해 할당된 서브밴드로 레가시 단말을 위한 데이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레가시 단말에게 어떤 새로운 동작의 수행을 요구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만약 해당 1ms 서브프레임에서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브밴드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은 저 레이턴시를 위한 서브밴드 자원을 레가시 단말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기존과 동일한 자원 할당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PDCCH에 대한 PDSCH 자원 할당은 기지국 제어에 의해 수행되므로 레가시 단말을 위해서는 레가시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저 레이턴시를 요구하는 5G 단말은 sPDSCH 자원 영역에서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짧은 TTI를 이용하여 더욱 빠르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앞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sPDSCH에 대한 PDCCH 매핑방법에 따라 데이터 수신 지연은 다소 다른 효과를 가질 수 있지만, 종래의 1ms 서브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 지연보다는 모두 짧은 지연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짧은 TTI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의 무선 송수신 지연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서는 1 TTI 가 3 심볼(즉, 0.213ms)로 설정되는 경우, 하향링크 송수신 구현 관점으로 무선 송수신 지연을 예시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기지국(eNB)이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단말(UE)이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을 시작하기까지 확산 지연(PD: Propagation Delay)이 발생한다. 그리고,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의 디코딩 전에 하향링크 데이터를 버퍼링(Buff: Buffering) 하게 되면서, 버퍼링 지연이 발생한다. 단말에서의 버퍼링으로 인한 지연은 총 약 0.071ms 소요될 수 있다. 단말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및 제어 정보) 디코딩으로 인한 프로세싱 지연(processing delay)은 약 0.525ms 미만이 소요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단 방향 무선 레이턴시(one-way OTA(Over-To-Air) Latency)는 약 0.6ms 미만이 소요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에서 A/N(ACK/NACK) 준비(Prep: Preparation)(예를 들어, ACK/NACK 인코딩 등)를 위한 지연과 A/N의 전송 시 발생되는 확산 지연(PD)은 총 약 0.3ms 미만이 소요된다.
위와 같이, 단 방향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송신측(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수신측(예를 들어, 단말)으로부터 ACK/NACK 수신까지의 총 왕복 무선 레이턴시(Roundtrip OTA Latency)에 약 1ms가 소요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짧은 TTI 프레임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앞서 도 11의 예시와 비교하면 종 왕복 무선 레이턴시(Roundtrip OTA Latency)은 약 3ms가 감소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장치 일반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2510)과 기지국(2510) 영역 내에 위치한 다수의 단말(2520)을 포함한다.
기지국(2510)은 프로세서(processor, 2511), 메모리(memory, 2512)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251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511)는 앞서 도 1 내지 도 23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25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512)는 프로세서(25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5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513)는 프로세서(25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단말(2520)은 프로세서(2521), 메모리(2522) 및 RF부(252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521)는 앞서 도 1 내지 도 23에서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25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522)는 프로세서(25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25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2523)는 프로세서(252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메모리(2512, 2522)는 프로세서(2511, 252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2511, 252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510) 및/또는 단말(2520)은 한 개의 안테나(single antenna) 또는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안은 3GPP LTE/LTE-A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3GPP LTE/LTE-A 시스템 이외에도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제1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PDSCH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1 TTI는 제1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과 관련되며;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2 TTI 기반 제2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sPDSCH(short PDSCH)에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sPDSCH 또는 sPDCCH(short PD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2 TTI는 제2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과 관련되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보다 더 적은 수의 심볼들을 포함하며; 및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 및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복수의 서비스들에 기초하여 지연 요구 사항을 위해 각각 설정되며,
    상기 PDSCH 및 상기 sPDSCH는 동일한 단말에 할당되고,
    상기 sPDCCH와 관련된 CCE(control channel element)를 구성하는 REG(resource element group)의 개수는 상기 PDCCH와 관련된 CCE를 구성하는 REG의 개수보다 적고,
    상기 제 2 무선 프레임 구조가 상기 sPDSCH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CCH는 상기 PDSCH 및 상기 sPDSCH를 스케쥴링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하향링크 셀과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하향링크 셀은 동일하고,
    상기 하향링크 셀 내 하나 이상의 서브 밴드는 상기 제2 TTI 기반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제1 하향링크 셀과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가 매핑되는 제2 하향링크 셀은 상이하고,
    상기 제1 하향링크 셀과 상기 제2 하향링크 셀이 결합(aggregation)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향링크 셀 내 하나 이상의 서브 밴드는 상기 제2 TTI 기반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TTI의 크기는 상기 sPDSCH의 심볼 개수와 동일한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TTI의 크기는 sPDCCH(short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심볼 개수와 상기 sPDSCH의 심볼 개수의 합과 동일한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셀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로 설정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로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링크 셀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셀 모두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로 설정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의해, 상기 제2 TTI 기반 제2 무선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제어 정보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메시지, RRC 연결 설정(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 및 RRC 연결 재확립(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데이터 전송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제1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PDSCH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1 TTI는 제1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과 관련되며,
    제2 TTI 기반 제2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sPDSCH(short PDSCH)에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매핑하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sPDSCH 또는 sPDCCH(short PD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2 TTI는 제2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과 관련되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보다 더 적은 수의 심볼들을 포함하며,
    제1 하향링크 데이터 및 상기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 및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복수의 서비스들에 기초하여 지연 요구 사항을 위해 각각 설정되며,
    상기 PDSCH 및 상기 sPDSCH는 동일한 단말에 할당되고,
    상기 sPDCCH와 관련된 CCE(control channel element)를 구성하는 REG(resource element group)의 개수는 상기 PDCCH와 관련된 CCE를 구성하는 REG의 개수보다 적고,
    상기 제 2 무선 프레임 구조가 상기 sPDSCH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CCH는 상기 PDSCH 및 상기 sPDSCH를 스케쥴링하는 기지국.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의해,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제1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PDSCH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1 TTI는 제1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과 관련되며; 및
    상기 단말에 의해, 제2 TTI 기반 제2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sPDSCH(short PDSCH)에서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sPDSCH 또는 sPDCCH(short PD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2 TTI는 제2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과 관련되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보다 더 적은 수의 심볼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 및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복수의 서비스들에 기초하여 지연 요구 사항을 위해 각각 설정되며,
    상기 PDSCH 및 상기 sPDSCH는 동일한 단말에 할당되고,
    상기 sPDCCH와 관련된 CCE(control channel element)를 구성하는 REG(resource element group)의 개수는 상기 PDCCH와 관련된 CCE를 구성하는 REG의 개수보다 적고,
    상기 제 2 무선 프레임 구조가 상기 sPDSCH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CCH는 상기 PDSCH 및 상기 sPDSCH를 스케쥴링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유닛;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기반 제1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제1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PDSCH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1 TTI는 제1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과 관련되며,
    제2 TTI 기반 제2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초하여 sPDSCH(short PDSCH)에서 제2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sPDSCH 또는 sPDCCH(short PDC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2 TTI는 제2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과 관련되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보다 더 적은 수의 심볼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구조 및 상기 제2 무선 프레임 구조는 복수의 서비스들에 기초하여 지연 요구 사항을 위해 각각 설정되며,
    상기 PDSCH 및 상기 sPDSCH는 동일한 단말에 할당되고,
    상기 sPDCCH와 관련된 CCE(control channel element)를 구성하는 REG(resource element group)의 개수는 상기 PDCCH와 관련된 CCE를 구성하는 REG의 개수보다 적고,
    상기 제 2 무선 프레임 구조가 상기 sPDSCH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PDCCH는 상기 PDSCH 및 상기 sPDSCH를 스케쥴링하는 단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PDCCH와 관련된 CCE를 구성하는 REG에 포함된 RE(resource element)의 개수는 상기 PDCCH와 관련된 CCE를 구성하는 REG에 포함된 RE의 개수보다 적은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프레임 구조와 관련된 RB(resource block)를 구성하는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개수는 상기 제 1 무선 프레임 구조와 관련된 RB를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의 개수보다 적은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TTI에 포함된 sPDCCH(short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심볼 개수와 상기 sPDSCH의 심볼 개수의 합은 3개인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77006768A 2014-10-21 2015-05-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25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66860P 2014-10-21 2014-10-21
US62/066,860 2014-10-21
US201462073033P 2014-10-31 2014-10-31
US62/073,033 2014-10-31
US201462074097P 2014-11-03 2014-11-03
US62/074,097 2014-11-03
PCT/KR2015/004996 WO2016064059A1 (en) 2014-10-21 2015-05-19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851A KR20170074851A (ko) 2017-06-30
KR102225638B1 true KR102225638B1 (ko) 2021-03-12

Family

ID=5576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768A KR102225638B1 (ko) 2014-10-21 2015-05-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5) US10560245B2 (ko)
EP (1) EP3210320B1 (ko)
JP (1) JP6781152B2 (ko)
KR (1) KR102225638B1 (ko)
CN (1) CN106797248B (ko)
WO (3) WO2016064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8178B2 (en) 2014-05-19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band pairing of carriers for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 and receive-switching
US11357022B2 (en) * 2014-05-19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tilizing thin control
WO2016064039A1 (ko) 2014-10-21 2016-04-28 엘지전자(주) 저 지연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04683B2 (en) * 2015-02-06 2018-10-16 Qualcomm Incorporated Parallel low latency awareness
WO2016137532A1 (en) * 2015-02-26 2016-09-01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adio access technology coordination
US9936519B2 (en) 2015-03-1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10075970B2 (en) * 2015-03-15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Mission critical data support in self-contain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CN107431588B (zh) * 2015-03-20 2020-08-07 Lg 电子株式会社 用于短tti的时间频率资源的分配方法及其设备
KR102316775B1 (ko) * 2015-04-02 2021-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시간구간 감소를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944552A1 (en) 2015-04-02 2022-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mission time interva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6741966B2 (ja) * 2015-04-17 2020-08-1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
US20160345311A1 (en) * 2015-05-22 2016-11-2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cheduling data communications with shortened time duration
EP3304998B1 (en) * 2015-06-01 2022-08-03 Apple Inc. Latency reduction techniques for radio access networks
US10863492B2 (en) * 2015-07-16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992790B2 (en) 2015-07-2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 (TDD) subframe structure supporting single and multiple interlace modes
EP3327975B1 (en) * 2015-07-24 2021-03-03 LG Electronics Inc.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an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CN106413106B (zh) * 2015-07-28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行数据的传输方法及装置
CN114698121A (zh) * 2015-08-11 2022-07-01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系统
CN112087802A (zh) * 2015-08-12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11153868B2 (en) 2015-09-02 2021-10-19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lengths
WO2017045128A1 (zh) * 2015-09-15 2017-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发送或者接收方法、装置和系统
CN106550459B (zh) * 2015-09-18 2020-03-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方法及装置
US10973078B2 (en) * 2015-09-25 2021-04-06 Apple Inc. Supporting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vari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CN106571901B (zh) * 2015-10-13 2020-03-27 华为技术有限公司 媒体接入控制实体创建的方法、设备及系统
US10939423B2 (en) * 2015-10-30 2021-03-02 Apple Inc. Multiplexing transmission time intervals (TTIs) wit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puncturing detection
US11419110B2 (en) * 2015-11-03 2022-08-16 Apple Inc. 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KR102123169B1 (ko) * 2015-11-03 2020-06-16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업링크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TW201722184A (zh) * 2015-11-04 2017-06-16 內數位專利控股公司 不同tti期間多工傳輸
US10367579B2 (en) * 2015-11-20 2019-07-30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ommunication operation
WO2017099461A1 (ko) 2015-12-07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채널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채널 수신 방법 및 기지국
RU2697267C1 (ru) * 2015-12-18 2019-08-13 Фраунхофер-Гезелльшафт Цур Фердерунг Дер Ангевандтен Форшунг Е.Ф. Передача сигнал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уменьшенной сквозной задержкой
CN106937383B (zh) * 2015-12-30 2021-12-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确定缩短子帧调度的方法及设备
CN116647910A (zh) 2016-01-26 2023-08-25 索尼公司 终端设备、基站设备和通信方法
JPWO2017130990A1 (ja) * 2016-01-29 2018-11-2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
US11102675B2 (en) * 2016-02-03 2021-08-24 Son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676994B2 (ja) * 2016-02-03 2020-04-0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13660728B (zh) 2016-02-05 2024-05-07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基站、终端和通信方法
US20190053256A1 (en) * 2016-02-19 2019-02-1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6707892B2 (ja) * 2016-02-22 2020-06-10 ソニー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の制御方法
EP3424174A1 (en) * 2016-03-04 2019-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hort tti within special subframes of ttd communication systems
CN106714325B (zh) * 2016-03-15 2019-04-05 北京展讯高科通信技术有限公司 Tti可变的无线通信方法及装置
WO2017156787A1 (zh) 2016-03-18 2017-09-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T3370358T (pt) * 2016-03-18 2021-01-0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transmissão de dados, dispositivo de terminal e dispositivo de rede
US10568081B2 (en) * 2016-03-21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NZ746536A (en) * 2016-03-25 2024-02-23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437408A1 (en) * 2016-03-30 2019-02-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procedures for downlink physical channels to reduce latency in an lte advanced system
CN116599631A (zh) * 2016-03-31 2023-08-15 索尼公司 终端装置、基站装置和通信方法
WO2017183912A1 (en) * 2016-04-19 2017-10-26 Lg Electronics Inc. Ways for supporting multiple ttis
JP7078532B2 (ja) * 2016-04-28 2022-05-31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US11310809B2 (en) * 2016-05-04 2022-04-1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sing a portion of a transmission time interval to transmit a transmission that is shorter than a duration of the transmission time interval
WO2017193300A1 (zh) * 2016-05-11 2017-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通信的定时方法、基站及用户设备
JP6805541B2 (ja) 2016-05-11 2020-12-23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
WO2017195479A1 (ja) * 2016-05-11 2017-11-16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
US10356778B2 (en) 2016-05-12 2019-07-16 Asustek Computer Inc. Facilitating detection of control channels with different transmission time interv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252981A3 (en) 2016-05-12 2018-04-18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792628B2 (ja) * 2016-05-12 2020-11-25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基地局、ユーザ機器、およびワイヤレス通信方法
CN107371267B (zh) * 2016-05-13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
JP7028798B2 (ja) * 2016-05-13 2022-03-0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ワイヤレスデバイスへのリソースの割当て
WO2017194022A1 (zh) * 2016-05-13 2017-1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WO2017193382A1 (zh) * 2016-05-13 2017-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发送、接收方法和设备
CN109076541B (zh) 2016-05-13 2023-01-24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在tdd中引入短tti的子框架选择
KR102202612B1 (ko) * 2016-05-13 2021-01-13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다운링크 송신들의 구성
US10404823B2 (en) 2016-05-27 2019-09-03 Home Box Office, Inc. Multitier cache framework
JPWO2017208286A1 (ja) * 2016-06-03 2019-04-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420088B2 (en) * 2016-06-06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slot structure, channel placement, and processing timeline options
KR102384527B1 (ko) * 2016-06-15 2022-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471361B1 (en) 2016-06-17 2021-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CN109743145B (zh) * 2016-07-13 2021-07-2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方法和装置
CN107645777B (zh) * 2016-07-22 2020-05-26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传输中的方法和装置
CN110545585B (zh) * 2016-07-28 2023-02-2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方法和装置
ES2969369T3 (es) * 2016-07-29 2024-05-17 Ntt Docomo Inc Aparato y sistema
CN107689851B (zh) 2016-08-04 2021-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动态确定上行dmrs的传输位置的方法及设备
EP3496486A4 (en) * 2016-08-04 2020-04-01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8025948A1 (ja) * 2016-08-04 2018-02-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7708219A (zh) * 2016-08-08 2018-02-16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低时延通信制式的子帧上行调度定时方法
EP3499981B1 (en) * 2016-08-10 2020-09-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200990B2 (en) 2016-08-10 2019-02-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dynamic signaling of downlink control usage
US10368345B2 (en) * 2016-08-10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CN107734666B (zh) * 2016-08-11 2021-07-0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控制信道传输指示方法、检测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10873437B2 (en) * 2016-08-11 2020-12-22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division duplex transmission time interval operation
KR20190034670A (ko) 2016-08-11 2019-04-02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단축된 프레임 구조들을 이용한 사운딩 피드백
WO2018027942A1 (zh) * 2016-08-12 2018-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US10278167B2 (en) 2016-08-12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low latency applications
US10602567B2 (en) * 2016-08-12 2020-03-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for a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and processing time
SG11201901003UA (en) 2016-08-12 2019-03-2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Resource scheduling method, scheduler, base station, terminal, and system
US11051208B2 (en) 2016-08-25 2021-06-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existence of low latency and latency tolerant downlink communication
US20180063858A1 (en) * 2016-08-25 2018-03-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existence of Low-Latency and Latency-Tolerant Communication Resources
US11071136B2 (en) 2016-08-25 2021-07-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xing traffic
US11252717B2 (en) 2016-09-02 2022-0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existence of latency tolerant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US10306627B2 (en) * 2016-09-16 2019-05-2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low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s
US10432387B2 (en) 2016-09-26 2019-10-0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ime division duplexing
CN109804657B (zh) * 2016-09-28 2022-09-06 Idac控股公司 针对灵活无线电服务的5g nr数据传送
CN106254038B (zh) * 2016-09-29 2020-02-1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与设备
WO2018062961A1 (ko) * 2016-09-29 2018-04-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및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306630B2 (en) 2016-09-29 2019-05-28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frame structure and association timing
KR102288064B1 (ko) * 2016-09-29 2021-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및 데이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EP3515002B1 (en) 2016-09-30 2024-01-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feeding bac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owledgement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8024340B (zh) * 2016-11-03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的检测方法与发送方法及设备
EP3681084B1 (en) * 2016-11-04 2024-04-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hort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spdcch) mapping design
CN108023714A (zh) 2016-11-04 2018-05-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短传输时间间隔的监听指示及监听方法、装置
MX2019005181A (es) 2016-11-04 2019-07-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csson Publ Programacion semi-persistente en operacion de sub-subtrama.
CN109863798A (zh) * 2016-11-04 2019-06-07 华为技术有限公司 物理下行控制信道的传输方法、终端设备和基站
CN108023713B (zh) * 2016-11-04 2021-01-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导频映射方法及装置
US10397915B2 (en) * 2016-11-09 2019-08-27 Qualcomm Incorporated Latency reduction in shared or unlicensed spectrum
WO2018087585A1 (en) * 2016-11-12 2018-05-17 Nokia Technologies Oy Mixed latency communications
US11362766B2 (en) * 2016-11-14 2022-06-1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HARQ feedbac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ARQ feedback
EP3549290A1 (en) * 2016-11-29 2019-10-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le communication for short transmission time interval in long term evolution through repetitions
CN114364044A (zh) * 2016-12-16 2022-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无线通信网络的基站和用户设备
KR20190099425A (ko) * 2016-12-26 2019-08-27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CN110192371B (zh) 2017-01-09 2022-05-1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使用nr tdd进行控制
US10595313B2 (en) * 2017-01-24 2020-03-1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ross-carrier scheduling using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 durations
US11601820B2 (en) * 2017-01-27 2023-03-07 Qualcomm Incorporated Broadcast control channel for shared spectrum
CN110383928B (zh) * 2017-01-31 2023-01-1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复用上行链路控制信道信令
US11153866B2 (en) * 2017-05-05 2021-10-19 Qualcomm Incorporated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configuration based on user equipment capabilities
JP6961718B2 (ja) * 2017-05-12 2021-11-0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送信電力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1516747B2 (en) 2017-05-1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t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JP6916304B2 (ja) 2017-05-15 2021-08-1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下りリンク信号を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624072B2 (en) * 2017-06-10 2020-04-14 Qualcomm Incorporated Shorten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STTI) configuration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s
US11019642B2 (en) * 2017-06-23 2021-05-2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14269021A (zh) * 2017-07-04 2022-04-01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用户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307599A3 (en) * 2017-08-08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for requesting random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032343A1 (en) * 2017-08-09 2019-02-14 Intel IP Corporation TIME ADVANCE ADJUSTMENT DELAY FOR SHORTCUT TRANSMISSION TIME INTERVAL IN CARRIER AGGREGATION OR DOUBLE CONNECTIVITY
CN117202362A (zh) * 2017-09-28 2023-12-08 诺基亚技术有限公司 指示连续的资源分配
CN111818650B (zh) 2017-10-20 202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的传输、盲检测次数的获取方法和装置
US20190141730A1 (en) * 2017-11-09 2019-05-0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s in low-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
US11930534B2 (en) 2018-04-11 2024-03-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device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9209085A1 (ko) 2018-04-27 2019-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194757B2 (ja) * 2018-08-07 2022-12-2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10911919B2 (en) 2018-12-24 2021-02-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reless access method, wireless receiving method for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base station therefor with a low-latency mechanism
US10805942B1 (en) * 2019-06-10 2020-10-13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communications of user equipment that support different transmission time interval lengths
US11463227B2 (en) 2019-08-16 2022-10-04 Mediatek Inc. Activated secondary cells transition between dormancy behavior and active behavior in 5G NR system
WO2022040984A1 (zh) * 2020-08-26 2022-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与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71954A1 (en) * 2012-09-12 2014-03-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Structure
US20140226607A1 (en) * 2011-09-21 2014-08-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2808B2 (ja) * 2005-06-14 2011-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パラメータ群を生成する装置
KR101433834B1 (ko) * 2007-09-21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시간 간격 재구성 장치 및 방법
US20100017242A1 (en) * 2008-07-15 2010-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wer standard compliance method and system
US20100097937A1 (en) * 2008-10-16 2010-04-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specific pilot signal transmission an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specific pilot signal power boosting
KR20110138421A (ko) * 2008-12-30 2011-12-2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수의 다운링크 캐리어 동작을 위한 제어 채널 피드백
JP4656610B2 (ja) * 2009-03-31 2011-03-23 Toto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5396238B2 (ja) * 2009-11-02 2014-01-2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制御方法、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KR101907528B1 (ko) * 2011-02-18 2018-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송수신 방법
US8837304B2 (en) 2011-04-08 2014-09-16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US20130003604A1 (en) * 2011-06-30 2013-01-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S9503239B2 (en) * 2011-08-11 2016-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IN2014DN05676A (ko) * 2012-01-26 2015-04-03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WO2013113158A1 (en) 2012-02-01 2013-08-08 Renesas Mobile Corporation Random access channel enhancement for carrier aggregation with different uplink/downlink configuration
WO2013184178A2 (en) * 2012-02-10 2013-12-12 Deere &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aterial handling using one or more imaging devices on the transferring vehicle to control the material distribution into the storage portion of the receiving vehicle
JP2013183299A (ja) * 2012-03-02 2013-09-12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922922B2 (en) * 2012-07-20 2014-12-30 HGST Netherlands B.V. Method to reduce written-in errors in storage media
US9621310B2 (en) * 2013-12-23 2017-04-11 Apple Inc. TTI bundling for downlink communication
US10200137B2 (en) * 2013-12-27 2019-02-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TI coexistence with LTE
JP2017053362A (ja) 2014-01-21 2017-03-16 ジヤトコ株式会社 無段変速機構
US20150231673A1 (en) * 2014-02-14 2015-08-20 Milton Dallas Medication Disposal System
KR20170008734A (ko) 2014-04-07 2017-01-24 라이트 플렉스 테크놀로지, 에스.엘. 소형 전계발광 적층 소자
US11357022B2 (en) * 2014-05-19 2022-06-07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erence mitigation utilizing thin control
US10278178B2 (en) * 2014-05-19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band pairing of carriers for time division duplex transmit- and receive-switching
JP6789211B2 (ja) 2014-09-08 2020-11-25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異なる送信時間間隔(tti)持続時間により動作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60088594A1 (en) * 2014-09-18 2016-03-24 Gang Xiong Device and method of supporting reduced data transmission bandwidth
US11212779B2 (en) * 2014-09-22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downlink communications
US10117268B2 (en) 2014-09-22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downlink frame structure
US9794922B2 (en) * 2014-09-26 2017-10-17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hannel design for LTE with low latency
US9955462B2 (en) * 2014-09-26 2018-04-24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control data communication
US9980257B2 (en) * 2014-09-26 2018-05-22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JP2016072843A (ja) 2014-09-30 2016-05-09 Kddi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0064165B2 (en) 2014-10-03 2018-08-28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uplink channel with low latency
US10149293B2 (en) * 2014-10-16 2018-12-0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reemption for enhanced component carriers
WO2016064039A1 (ko) 2014-10-21 2016-04-28 엘지전자(주) 저 지연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437408A1 (en) 2016-03-30 2019-02-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procedures for downlink physical channels to reduce latency in an lte advance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26607A1 (en) * 2011-09-21 2014-08-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20140071954A1 (en) * 2012-09-12 2014-03-13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0320A1 (en) 2017-08-30
US20170318564A1 (en) 2017-11-02
US20180041325A1 (en) 2018-02-08
US20180219666A1 (en) 2018-08-02
US11171761B2 (en) 2021-11-09
JP2017530653A (ja) 2017-10-12
CN106797248A (zh) 2017-05-31
US20190372742A1 (en) 2019-12-05
WO2016064059A1 (en) 2016-04-28
US10411869B2 (en) 2019-09-10
KR20170074851A (ko) 2017-06-30
US10361836B2 (en) 2019-07-23
WO2016064039A1 (ko) 2016-04-28
EP3210320A4 (en) 2018-04-25
US10560245B2 (en) 2020-02-11
JP6781152B2 (ja) 2020-11-04
US20220038247A1 (en) 2022-02-03
CN106797248B (zh) 2019-09-03
EP3210320B1 (en) 2019-12-18
WO2016064049A1 (en) 2016-04-28
US11716188B2 (en)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6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54745B1 (ko) 협대역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9047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임의 접속 프리앰블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6664706B (zh) 在支持未授权带的无线接入系统中配置传输机会时段的方法和设备
US10455503B2 (en) Method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960518B1 (ko)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32849B1 (ko)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20473B2 (en) Method for receiving data for each service from particular fra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method
US9549395B2 (en) Method for dynamic allocation of radio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212695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0193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JP730962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無線信号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102086513B1 (ko)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5341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259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182597B1 (ko) 시간 분할 듀플렉싱을 지원하는 협대역 IoT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