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424B1 -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424B1
KR102223424B1 KR1020190080029A KR20190080029A KR102223424B1 KR 102223424 B1 KR102223424 B1 KR 102223424B1 KR 1020190080029 A KR1020190080029 A KR 1020190080029A KR 20190080029 A KR20190080029 A KR 20190080029A KR 102223424 B1 KR102223424 B1 KR 10222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sprouts
weight
parts
washing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124A (ko
Inventor
정부진
Original Assignee
정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진 filed Critical 정부진
Priority to KR1020190080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4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7Chemical peeling or cleaning of harvested fruits, vegetables or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02Open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나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콩을 물에 제1시간동안 불리는 1차 불림 단계, 그리고 첨가물을 투입하여 상기 콩을 물에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불리는 2차 불림 단계, 그리고 상기 콩을 재배실에서 재배하여 콩나물을 생성하는 재배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투입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콩나물이 상기 투입부의 후단에 구비된 제1세척부로 이동되어 와류에 의해 세척되면서 껍질이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콩나물이 상기 제1세척부의 후단에 구비된 제2세척부로 이동되어 와류에 의해 세척되면서 잔존 껍질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척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소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Cultivating method of soybean sprout}
본 발명은 콩나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콩나물은 단기간에 재배가 가능하고,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및 무기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콩나물이 자라는 과정 중 체내 대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콩이 본래 포함하고 있는 지방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반면, 비타민의 함량이 증가하고, 비타민 C가 합성됨에 따라, 주식인 쌀에서 부족하기 쉬운 영양분의 공급원으로서 그 영양학적 가치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연중 이용할 수 있는 야채로서 국민 식생활에 매우 친근한 식품의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콩나물은 오랫동안 소규모 재래 방식으로 재배되어 왔는데, 재래식 재배 방법은 원료 콩을 정선하여 물에 담갔다가 재배 용기에 넣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며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물을 살포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재래식 재래 방법으로 재배된 콩나물은 원뿌리가 길고, 겉뿌리가 많으며 수확률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출된 콩나물의 대량 재배 방법으로, 등록특허 제10-1815616호(2017년12월29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양파추출물을 활용함으로써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일반 콩나물에 비해 선호도가 높고 다양한 조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발육 과정에서 양파추출물에 포함된 페쿠친, 퀘르세틴 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흡수하여 혈액순환 및 당뇨병 개선의 효과가 있는 콩나물 재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콩나물의 세척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고, 자동화 공정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단순히 콩나물을 물로 세척하고 있기 때문에 세척 효과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콩나물 재배에 있어서 세척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대량 생산 시에도 세척 효과가 탁월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생산된 콩나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콩을 물에 제1시간동안 불리는 1차 불림 단계, 그리고 첨가물을 투입하여 상기 콩을 물에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불리는 2차 불림 단계, 그리고 상기 콩을 재배실에서 재배하여 콩나물을 생성하는 재배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투입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콩나물이 상기 투입부의 후단에 구비된 제1세척부로 이동되어 와류에 의해 세척되면서 껍질이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콩나물이 상기 제1세척부의 후단에 구비된 제2세척부로 이동되어 와류에 의해 세척되면서 잔존 껍질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척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소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2번에 걸친 1, 2차 세척을 통해 잔존하는 껍질 및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하고, 단순히 물로 세척하는 것이 아니라 발생된 와류를 통해 강한 흐름으로 콩나물을 세척하며, 분리된 껍질을 선택적으로 적절하게 배출함으로써, 세척의 자동화를 실현하면서도 향상된 세척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단계를 블록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 단계의 수행을 위한 세척 장치에 관한 실시예.
도 2는 투입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3은 제1세척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4는 이송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5는 제2세척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6은 배출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이하 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불림 단계(S1), 2차 불림 단계(S2), 재배 단계(S3), 세척 단계(S4), 숙성 단계(S5) 및 포장 단계(S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공정 상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 단계들은 치환 또는 동시 실시될 수 있다.
각 단계 별로, 불림 단계는 1차 불림 단계(S1)와 2차 불림 단계(S2)로 구성될 수 있는데, 1차 불림 단계(S1)에서는 콩을 물에 제1시간동안 불리고, 2차 불림 단계(S2)에서는 첨가물을 투입하여 콩을 물에 제2시간동안 불린다. 여기에서, 제2시간은 1차 불림 단계(S1)의 제1시간보다 긴 시간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1차 불림 단계(S1)의 불림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차 불림 단계(S2)의 불림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시간은 5시간이 되고, 제2시간은 10시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에서, 2차 불림 단계(S2)에서 첨가되는 첨가물은 마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분말은 생육되는 콩나물의 병충해를 방지하고, 추가로 콩나물에 아삭한 식감을 부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 단계인, 재배 단계(S3)는 불림이 완료된 콩을 재배실에서 재배하여 콩나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재배 단계(S3)는 6 ~ 7일간 지속되고, 3일차에 생육되는 콩을 뒤집어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콩나물의 재배 기간은 6 ~ 7일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충분한 생육 기간 확보 및 생산량 증대라는 상호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는 두 이슈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기간이다.
또한 상기에서, 3일차에 생육되는 콩을 뒤집어주는 과정은 콩이 수용된 생육함에서 콩들을 뒤집어 주는 작업 또는 생육함 자체를 뒤집어 주는 작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뒤집기 과정은 상품 가치 향상을 위해 콩나물의 형태가 곱슬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
다음 단계인, 세척 단계(S4)는 생성된 콩나물을 세척하여 콩나물의 위생을 향상시키고 콩나물의 껍질 및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세척 단계(S4)는 콩나물을 투입부(1)에 적재하는 단계, 콩나물이 투입부(1)의 후단에 구비된 제1세척부(2)로 이동되어 와류에 의해 세척되면서 껍질이 분리되는 단계 및 콩나물이 제1세척부(2)의 후단에 구비된 제2세척부(4)로 이동되어 와류에 의해 세척되면서 잔존 껍질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세척 단계(S4)의 수행을 위한 세척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들을 소개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상기 세척 단계(S4)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세척 장치의 구성들이 갖는 특징은 곧 본 방법의 세척 단계(S4)의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먼저, 콩나물이 적재되는 투입부(1)는 콩나물이 안착되는 적재함(12)과 적재함(12)의 하부에 구비되고 적재함(12)이 안착되는 리프트(11)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이러한 적재함(12)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리프트(11)가 상승 및 회전하면서 적재함(12)의 개구된 상부를 측하방으로 향하게 하면, 적재함(12)에 적재된 콩나물이 제1세척부(2) 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리프트(11)와 적재함(12)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투입하기에는 많은 양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나물을 1차 세척하는 제1세척부(2)는 내부에 세척 공간을 구비한 챔버(21), 챔버(21)의 일 측에 구비되어 세척 공간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와류발생수단(22) 및 챔버(21)의 하부에 구비되고 콩나물 껍질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챔버(21)의 세척 공간에는 물과 콩나물이 투입되고, 세척 공간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와류발생수단(22)은 특별히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세척 공간 내에서 물을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23)는 콩나물 껍질의 크기보다는 크고 콩나물 줄기의 크기보다는 작은 배출공을 구비하여 껍질만을 분리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 역시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세척 장치는 제1세척부(2)의 후단에 구비된 이송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3)는 콩나물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갖는 컨베이어(31)와 컨베이어(31)의 후단에 구비된 낙하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낙하구(32)의 하부에는 제2세척부(4)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부(3)는 제1세척부(2)에서 세척이 완료된 콩나물을 제2세척부(4)로 이송하며, 특히 제2세척부(4)로 콩나물이 투입될 때 낙하되면서 투입되기 때문에 콩나물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와류에 의해 분리되지 못한 껍질 및 이물질이 추가로 더 제거될 수 있다.
도 5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2세척부(4)는 제1세척부(2)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기 제1세척부(2)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또한 세척 장치는 제2세척부(4)의 후단에 구비된 배출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5)는 제2세척부(4)의 후단에 구비되고 콩나물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갖는 이송기(51), 이송기(51)의 하부에 구비된 계량기(52), 계량기(52) 하부에 구비된 수용기(53) 및 수용기(53)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기(54)를 포함한다.
이송기(51)는 계량기(52)를 통한 적정 수준의 계량을 위해 상향 경사를 가지고, 계량기(52)는 낙하된 콩나물을 계량하여 기 설정된 중량 임계치 이상의 콩나물이 적재될 때 수용기(53)로 콩나물을 낙하시킨다. 수용기(53)는 낙하된 콩나물을 수용하여 배출기(54)로 배출하며, 배출기(54)에는 중간 포장지가 배치되어 배출된 콩나물을 중간 포장한다. 여기에서, 중간 포장은 후술하는 숙성을 위해 임시적으로 포장하는 것으로, 포장지, 용기 등 다양한 포장체가 활용될 수 있으나 편의상 포장지로 기재하였다.
다음 단계인, 숙성 단계(S5)는 세척된 콩나물을 소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로, 냉장실에서 약 1일 동안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숙성 단계를 통해 콩나물이 변색되지 않고 그 색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 단계인, 포장 단계(S6)는 콩나물을 포장하는 단계로, 소정의 과정을 통해 준비된 포장지에 숙성된 콩나물을 포장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포장 단계(S6)는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어 실시되지 않으며, 기 공지된 기술 및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 상식은 물론 실시자의 다양한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챔버(21)는 콩나물 세척 과정에서 외부 요인에 의해 충격을 받을 수 있고,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챔버(21)는 세척을 위한 물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침습에 의한 부식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히 보호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챔버(21)에 관한 보호수단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챔버(21)의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G)을 더 포함하되, 이 보호막(G)이 챔버(21)의 외면에 접하는 침투층(G1), 침투층(G1)의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G2) 및 발열층(G2)의 상부에 구비된 보호층(G3)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막(G)은 자체적으로 완충 및 방수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히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면 약 300℃로 발열되어 침투층(G1)이 용융되면서 외면의 미세공이나 미세굴곡 등을 채운 후에 소결됨으로써, 향상된 결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들뜸 현상까지 방지하고,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보호 및 방수를 제공한다.(첨부된 도면에는 미세공 및 미세굴곡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음)
구체적인 실시예로,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대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20 중량부 및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와 폴리브텐을 포함하는 점착제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폴리에틸렌은 석유의 나프타로부터 분취되는 구성으로, 열가소성 수지로서 첨가되며, 방수성이 우수하다는 점과 약 130℃ 내외의 녹는점을 가진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상기 침투층(G1)의 각 조성물은 이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는 침투층(G1)의 소결 시에 과도하게 수축되어 들뜸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제로서 첨가된다. 이러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는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수축 방지 효과가 부족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이 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점착제는 침투층(G1)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미세공, 미세굴곡 등에의 결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는데, 특히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Hydrogenated ester of Resin)와 폴리브텐(Polybutene)을 포함한다.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는 초기점착성을 부여하면서 소결 후의 내열성이 기여하고, 폴리브텐은 점착성질을 부여한다. 이러한 점착제는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 후의 점착성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이 용융될 수 있는 130℃ 이상의 온도 하에서 각 조성물들을 폴리에틸렌 용액에 투입하여 교반한 다음 소결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발열층(G2)은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 대비, 은 200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기능성 결착제 2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열층(G2)을 페이스트의 형태로 침투층(G1) 상부에 도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조성물 별로, 이산화루테늄은 백금족의 전이금속으로,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이산화루테늄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 발열온도가 너무 과하여 후술하는 보호층(G3)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열층(G2) 전체 조성물 대비 20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G2)의 각 조성물은 이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은(Ag)은 이산화루테늄과 마찬가지로 전이금속으로, 역시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은은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발열층(G2)이 전류 생성을 위한 충분히 낮은 저항값을 가지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발열 온도가 과도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능성 결착제는 이산화루테늄 및 은의 결합을 위해 첨가되며, 부가적으로 구성 간의 분산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발열 포화 시간 단축 및 발열 효과 지속을 제공한다. 기능성 결착제는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데, 이산화티타늄은 발열 효과 지속에 기여하고, 특히 이규화몰리브덴은 몰리브덴과 실리콘의 몰비가 1:2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높은 융점을 가져 발열층(G2)의 발열 시에 발열층(G2)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 하에서 실리카를 형성하여 발열 효과 지속은 물론 발열 포화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킨다. 이러한 기능성 결착제는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효과 발현이 부족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고온 발열 시의 전기 흐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발열층(G2)은 에틸렌글리콜(테르펜), 부틸칼비톨, 에틸셀로솔브,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메틸에틸케톤, 디옥산,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상기 조성물들을 혼합한 후 혼련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다음으로,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 대비,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충진제 300 중량부, 나프텐 오일 100중량부 및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내열제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부틸 합성고무는 적정 내한성과 내열성을 갖고, 비교적 고탄성을 구비하며,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채용되었다. 상기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충진제는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데, 탄산칼슘은 방수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벤토나이트는 양이온 교환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보호층(G3)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흡습을 통해 팽창하면서 누수를 막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충진제는 모두 결합력이 우수한 조성물로 구성되어 보호층(G3)과 침투층(G1) 간의 융화가 훌륭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는 특별히 그 사용량이 한정되지는 않으나, 결합력 증대 및 경제성 측면에서 3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프텐 오일은 가소제로서 첨가되며, 고온에서의 증발 손실이 적고, 내한성이 우수하며, 탄성유지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채용되었다. 이러한 나프텐 오일은 1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저하되어 발열층(G2)의 동작 시에 흘러내림이 발생하고 또한 보호층(G3)의 울음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내열제는 발열층(G2)의 발열에 보호층(G3)이 용융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내열 특성을 부가하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보호층(G3)이 300℃ 이상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열제는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데, 바룸알루미네이트는 지르코니아를 기타 조성물과 결합시키는 결합재로서 부가되고, 지르코니아는 녹는점이 약 2700℃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최소 1000 ℃ 이상의 고온 하에서도 낮은 열전도도와 내열성 및 내화성을 통해 보호층(G3)이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가된다. 특히 상기 내열제에 의하여 보호층(G3)은 복수의 내부 기공을 갖게 되고, 이러한 기공들은 열전도도를 낮추고 내열성을 부가하게 된다. 이러한 내열제는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내열 특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상기 보호층(G3)은 각 조성물을 분말형태로 구비하여 나프텐 오일에 혼화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 소정의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막(G)의 시공에 관한 실시예로, 미세공과 미세굴곡을 형성한 시험용 블록에 침투층(G1)을 적층하고, 그 상부에 발열층(G2)을 도포한 후, 그 상부에 보호층(G3)을 적층한 다음,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여 보호막(G)을 형성하였다. 보호막(G)이 형성된 시험용 블록을 잘라 단면을 확대 관찰한 결과, 미세공과 미세굴곡 내에 침투층(G1)이 침투되어 경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형성된 보호막(G)에 크로스-컷(cross-cut) 시험, 스크래칭 시험, 물 분사를 통한 내부 침습도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박리율은 0.5% 미만이었으며, 파손율은 3% 미만이었고, 내부 침습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투입부
11: 리프트 12: 적재함
2: 제1세척부
21: 챔버 22: 와류발생수단
23: 배출구
3: 이송부
31: 컨베이어 32: 낙하구
4: 제2세척부
5: 배출부
51: 이송기 52: 계량기
53: 수용기 54: 배출기

Claims (4)

  1. 콩을 물에 제1시간동안 불리는 1차 불림 단계(S1);
    첨가물을 투입하여 상기 콩을 물에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불리는 2차 불림 단계(S2);
    상기 콩을 재배실에서 재배하여 콩나물을 생성하는 재배 단계(S3);
    상기 콩나물을 투입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콩나물이 상기 투입부의 후단에 구비된 제1세척부로 이동되어 와류에 의해 세척되면서 껍질이 분리되는 단계 및 상기 콩나물이 상기 제1세척부의 후단에 구비된 제2세척부로 이동되어 와류에 의해 세척되면서 잔존 껍질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척 단계(S4);
    상기 콩나물을 소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5); 및
    상기 콩나물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S6);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세척부는 내부에 세척 공간을 구비한 챔버, 상기 챔버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 공간 내의 물을 순환시키는 와류발생수단 및 상기 챔버의 하부에 구비되고 콩나물 껍질만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막은 상기 챔버의 외면에 접하는 침투층, 상기 침투층의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상부에 구비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침투층은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대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20 중량부 및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와 폴리브텐을 포함하는 점착제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은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 대비, 은 200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기능성 결착제 2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 대비,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충진제 300 중량부, 나프텐 오일 100중량부 및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내열제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불림 단계(S1)의 상기 제1시간은 5시간이고,
    상기 2차 불림 단계(S2)의 상기 제2시간은 10시간이고,
    상기 2차 불림 단계(S2)에서 첨가되는 상기 첨가물은 마늘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배 단계(S3)는 6 ~ 7일간 지속되고, 3일차에 생육되는 콩을 뒤집어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 방법.
  4. 삭제
KR1020190080029A 2019-07-03 2019-07-03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 KR10222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29A KR102223424B1 (ko) 2019-07-03 2019-07-03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29A KR102223424B1 (ko) 2019-07-03 2019-07-03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24A KR20210004124A (ko) 2021-01-13
KR102223424B1 true KR102223424B1 (ko) 2021-03-04

Family

ID=7414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029A KR102223424B1 (ko) 2019-07-03 2019-07-03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2792A (zh) * 2021-12-23 2022-04-15 河北宙西森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豆芽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084B1 (ko) * 2003-06-26 2005-08-30 김재옥 인삼성분을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0433582Y1 (ko) * 2006-09-25 2006-12-11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01248847B1 (ko) 2012-04-04 2013-04-02 정희경 혼합식품 제조장치
KR102045706B1 (ko) 2019-06-11 2019-11-18 하봉호 식물 재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275B1 (ko) * 2010-06-25 2013-04-25 이인순 흑마늘 추출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재배된 흑마늘 콩나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084B1 (ko) * 2003-06-26 2005-08-30 김재옥 인삼성분을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0433582Y1 (ko) * 2006-09-25 2006-12-11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01248847B1 (ko) 2012-04-04 2013-04-02 정희경 혼합식품 제조장치
KR102045706B1 (ko) 2019-06-11 2019-11-18 하봉호 식물 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24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249007T1 (de) Schnellkochreis und -gemuese
US7709043B2 (en) Method of preparing processed root vegetables or fruit vegetables
KR102223424B1 (ko)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
KR20170031361A (ko) 현미시리얼의 제조방법
KR101615931B1 (ko) 견과류를 포함하는 무균포장 즉석 약밥의 제조방법
KR20160115242A (ko) 황칠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황칠차
JP2005218442A (ja) 押圧成型乾燥食材の製造方法
CN105104973B (zh) 一种酱油炒饭及其制作方法
CN117016746A (zh) 用于加工蔬菜的方法
KR100508819B1 (ko) 해초류 및 채소류를 함유하는 기능성 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0485B1 (ko)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
CN103393042A (zh) 一种糯米藕的新加工工艺
KR101697521B1 (ko) 냉동 군고구마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냉동 군고구마
Nansereko et al. Exploring the potential of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Lam)
CN104431229A (zh) 一种无糖果丹皮的制备方法
KR101589411B1 (ko) 치즈를 함유한 군고구마 페이스트 말랭이 제조방법
KR102062719B1 (ko) 곡물류 분말 가공 방법
EP2008526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eißgetränks aus einem Lebensmittel
CN104054889B (zh) 一种保山甜柿果脯的制作方法
CN105962195B (zh) 一种无花果休闲食品及其制备方法
CN101926445A (zh) 一种风味醋菜的制备方法
CN104738281A (zh) 一种人参果果脯及其制备方法
CN107684057A (zh) 梅干菜制作方法
KR101308224B1 (ko) 경화 방지 떡의 제조 방법 및 경화 방지 떡
WO2023275866A1 (en) Food lamina and use of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