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485B1 -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485B1
KR102150485B1 KR1020190080028A KR20190080028A KR102150485B1 KR 102150485 B1 KR102150485 B1 KR 102150485B1 KR 1020190080028 A KR1020190080028 A KR 1020190080028A KR 20190080028 A KR20190080028 A KR 20190080028A KR 102150485 B1 KR102150485 B1 KR 102150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sprouts
weight
parts
unit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진
Original Assignee
정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진 filed Critical 정부진
Priority to KR102019008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4Peeling asparag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8Polyesters modified with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with resins or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콩을 물에 제1시간동안 불리는 1차 불림 단계, 그리고 첨가물을 투입하여 상기 콩을 물에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불리는 2차 불림 단계, 그리고 상기 콩을 재배실에서 재배하여 콩나물을 생성하는 재배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세척부에 투입하고 세척과 동시에 껍질을 분리하는 세척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소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5),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공급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콩나물이 상향 경사를 갖는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단계,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서 상기 콩나물이 낙하하여 계량부에 적재되는 단계, 상기 계량부에 적재된 상기 콩나물의 하중이 기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계량부의 하부 배출구가 개방되어 포장부로 낙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Cultivating method of soybean sprout}
본 발명은 콩나물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콩나물은 단기간에 재배가 가능하고,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및 무기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콩나물이 자라는 과정 중 체내 대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콩이 본래 포함하고 있는 지방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반면, 비타민의 함량이 증가하고, 비타민 C가 합성됨에 따라, 주식인 쌀에서 부족하기 쉬운 영양분의 공급원으로서 그 영양학적 가치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연중 이용할 수 있는 야채로서 국민 식생활에 매우 친근한 식품의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콩나물은 오랫동안 소규모 재래 방식으로 재배되어 왔는데, 재래식 재배 방법은 원료 콩을 정선하여 물에 담갔다가 재배 용기에 넣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며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물을 살포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재래식 재래 방법으로 재배된 콩나물은 원뿌리가 길고, 겉뿌리가 많으며 수확률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안출된 콩나물의 대량 재배 방법으로, 등록특허 제10-1815616호(2017년12월29일)(이하 종래기술)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양파추출물을 활용함으로써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일반 콩나물에 비해 선호도가 높고 다양한 조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발육 과정에서 양파추출물에 포함된 페쿠친, 퀘르세틴 등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흡수하여 혈액순환 및 당뇨병 개선의 효과가 있는 콩나물 재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콩나물의 포장에 관한 전 공정에 자동화되지 않고, 일부 공정만이 자동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설사 전 과정이 자동화되었다 하더라도 콩나물의 이송, 계량 및 포장의 공정이 비효율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콩나물의 포장을 위한 이송, 계량 및 포장 공정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포장 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콩나물을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콩을 물에 제1시간동안 불리는 1차 불림 단계, 그리고 첨가물을 투입하여 상기 콩을 물에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불리는 2차 불림 단계, 그리고 상기 콩을 재배실에서 재배하여 콩나물을 생성하는 재배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세척부에 투입하고 세척과 동시에 껍질을 분리하는 세척 단계,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소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5), 그리고 상기 콩나물을 공급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콩나물이 상향 경사를 갖는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단계,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서 상기 콩나물이 낙하하여 계량부에 적재되는 단계, 상기 계량부에 적재된 상기 콩나물의 하중이 기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계량부의 하부 배출구가 개방되어 포장부로 낙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상향 경사를 갖는 이송부를 따라 콩나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콩나물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 후 콩나물의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계량부에 적재되게 하며, 계량부에 적재된 양이 임계치를 넘어가면 다시 포장부로 하강하여 포장되게 하는 등, 콩나물의 자중을 활용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공정의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단계를 블록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 단계의 수행을 위한 포장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2는 적재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3은 이송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4는 리턴부재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
도 5는 계량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6은 포장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장 공정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이하 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불림 단계(S1), 2차 불림 단계(S2), 재배 단계(S3), 세척 단계(S4), 숙성 단계(S5) 및 포장 단계(S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공정 상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 단계들은 치환 또는 동시 실시될 수 있다.
각 단계 별로, 각 단계 별로, 불림 단계는 1차 불림 단계(S1)와 2차 불림 단계(S2)로 구성될 수 있는데, 1차 불림 단계(S1)에서는 콩을 물에 제1시간동안 불리고, 2차 불림 단계(S2)에서는 첨가물을 투입하여 콩을 물에 제2시간동안 불린다. 여기에서, 제2시간은 1차 불림 단계(S1)의 제1시간보다 긴 시간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1차 불림 단계(S1)의 불림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차 불림 단계(S2)의 불림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시간은 5시간이 되고, 제2시간은 10시간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에서, 2차 불림 단계(S2)에서 첨가되는 첨가물은 마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분말은 생육되는 콩나물의 병충해를 방지하고, 추가로 콩나물에 아삭한 식감을 부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 단계인, 재배 단계(S3)는 불림이 완료된 콩을 재배실에서 재배하여 콩나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재배 단계(S3)는 6 ~ 7일간 지속되고, 3일차에 생육되는 콩을 뒤집어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콩나물의 재배 기간은 6 ~ 7일 사이로 설정하는 것이 충분한 생육 기간 확보 및 생산량 증대라는 상호 트레이드-오프 관계에 있는 두 이슈에 대하여 가장 효과적인 기간이다.
또한 상기에서, 3일차에 생육되는 콩을 뒤집어주는 과정은 콩이 수용된 생육함에서 콩들을 뒤집어 주는 작업 또는 생육함 자체를 뒤집어 주는 작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뒤집기 과정은 상품 가치 향상을 위해 콩나물의 형태가 곱슬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다.
다음 단계인, 세척 단계(S4)는 생성된 콩나물을 세척하여 콩나물의 위생을 향상시키고 콩나물의 껍질 및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단계로, 세척 단계(S4)에서는 콩나물을 세척부에 투입하고 세척과 동시에 껍질을 분리한다.
이러한 세척 단계(S4)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척부가 와류를 생성하여 생성된 와류의 흐름을 통해 콩나물을 세척하고 껍질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 단계인, 숙성 단계(S5)는 세척된 콩나물을 소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로, 냉장실에서 약 1일 동안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숙성 단계를 통해 콩나물이 변색되지 않고 그 색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 단계인, 포장 단계(S6)는 숙성된 콩나물을 포장하는 단계로, 포장지를 공급하여 각 포장지에 기 설정된 중량만큼 포장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포장 단계(S6)는 본 발명 고유의 포장 장치를 통해 수행되며, 콩나물을 공급부(1)에 적재하는 단계, 콩나물이 상향 경사를 갖는 이송부(2)를 따라 이송되는 단계, 이송부(2)의 단부에서 콩나물이 낙하하여 계량부(3)에 적재되는 단계, 계량부(3)에 적재된 콩나물의 하중이 기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면 계량부(3)의 하부 배출구가 개방되어 포장부(4)로 낙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포장 단계(S6)의 수행을 위한 포장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들을 소개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 특징인 상기 포장 단계(S6)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포장 장치의 구성들이 갖는 특징은 곧 본 방법의 포장 단계(S6)의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먼저, 콩나물이 적재되는 공급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장치의 전단에 구비되며, 콩나물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되고, 후단에는 이송부(2)가 연결된다. 이에 공급부(1)에 적재된 콩나물을 이송부(2)를 통해 이송된다.
다음으로, 이송부(2)는 적재된 콩나물을 이송하는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이송부(2)를 따라 이송된 콩나물이 계량부(3)에서 기 설정된 중량만큼 포장되도록 할 때, 자중에 의한 낙하를 통해 계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는 콩나물이 안착되는 컨베이어(21)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컨베이어(21)는 자명하게도 콩나물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가져야 한다.
일 실시예로, 컨베이어(21)는 일 측 제1컨베이어(211), 타 측 제2컨베이어(212), 그리고 제1 및 제2컨베이어(211)(212)의 사이에 구비되어 경계를 구분하는 격벽(22) 및 각 컨베이어(21)의 외측 단부에 구비된 난간벽(23)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22)에 의해 구비된 제1컨베이어(211)와 제2컨베이어(212)는 각각 콩나물을 이송하고, 이에 콩나물을 이송부(2)를 따라 투-트랙(two track)으로 이송되며, 이에 따라 콩나물은 후술하는 계량부(3)의 제1계량기(31)와 제2계량기(32) 각각으로 이송되는데, 이러한 특징에 따라 동시간 대비 더 많은 콩나물의 포장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이송부(2)는 컨베이어(21)의 상부에 구비된 리턴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리턴부재(24)는 이송부(2)를 따라 이송되는 콩나물의 양을 조절하며, 보다 명확하게는 이송부(2)를 통해 이송되는 콩나물의 양이 설정치보다 많은 경우 콩나물의 일부를 이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돌려 보냄으로써 이송되는 콩나물의 양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부재(24)는 컨베이어(21)의 상부에 수평 배치되는 샤프트(241) 및 샤프트(241)의 외면에 샤프트(241)의 회전축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리턴 바(242)를 포함하고, 리턴 바(242)는 컨베이어(21)와 수직을 이루는 상황에서 그 단부가 컨베이어(21)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리터부재는 샤프트(241)의 회동에 따라 리턴 바(242)가 회동하면서 이송부(2)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콩나물의 높이가 컨베이어(21)와 리턴 바(242)의 단부 간의 이격 거리보다 높은 경우, 이격 거리보다 높게 적재된 만큼의 콩나물을 리턴 바(242)가 밀어서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되돌리며, 이를 통해 콩나물의 이송량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리턴 바(242)의 단부는 컨베이어(21)의 이동 방향 측으로 굴곡지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바(242)가 컨베이어(21)와 수직을 이루는 상황에서 그 단부(굴곡단부(242a))가 콩나물의 이동 방향 측으로 휘어지게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굴곡단부(242a)는 적재된 콩나물을 밀어낼 때 너무 과도하게 밀어내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콩나물을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리턴 바(242)의 단부가 콩나물에 얽혀서 회동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엉켜 있는 콩나물이 리턴 바(242)의 단부에 걸리면서 리턴 바(242)에 고정되어버리는 문제를 해소한다.
다음으로, 계량부(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계량기(31)와 제2계량기(32)로 구성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계량기(31)와 제2계량기(32)는 각각 제1컨베이어(211)와 제2컨베이어(212) 후단에 해당하는 낙하부(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저부에 배출구를 구비하여 하부에 구비된 포장부(4)의 호퍼(41)로 정량의 콩나물을 낙하시킨다.
다음으로, 포장부(4)는 계량부(3)로부터 낙하된 정량의 콩나물을 포장하는 구성으로, 계량부(3)에서 낙하된 콩나물이 초기 진입되는 호퍼(41) 및 호퍼(41) 하부에 구비되고 공급된 원통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을 밀봉하고 개구된 상부를 호퍼(41)의 하단에 배치하는 포장기(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41)는 계량부(3)에서 낙하된 콩나물이 초기 진입되는 구성으로, 계량부(3)의 계량기 하부에 구비된다. 자명하게도 호퍼(41)는 상부에는 광폭 개구부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협폭 개구부가 구비되어, 광폭 개구부로는 콩나물이 유입되고 협폭 개구부로는 콩나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포장기(42)는 공급된 원통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을 밀봉하고 개구된 상부를 호퍼(41)의 하단에 배치하는데, 당연히도 포장기(42)는 호퍼(41)의 하부에 구비되며, 구체적인 실시예로, 일 측에 구비되어 포장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재(421), 호퍼(41)의 하부에 구비되고 공급된 포장지가 장착되는 홀더(422), 홀더(4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장지를 융착하는 융착부재(423) 및 융착부재(423)의 하부에 구비되고 포장된 콩나물을 배출하는 배출부재(424)를 포함한다.
각 구성 별로, 공급부재(421)는 포장지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포장지의 텐션 유지 및 이송을 위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부재(421)에서 공급되는 포장지는 양 측단이 기 접합된 상태로 상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공급된다.
다음 홀더(422)는 호퍼(41)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홀더(422)에 장착된 포장지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형태로 수직 배치되며, 콩나물의 투입 전에 융착부재(423)에 의해 하부가 융착되어 접합되고, 호퍼(41)로부터 콩나물이 투입된 후 융착부재(423)에 의해 상부가 융착되어 접합되어 밀봉된다. 여기에서, 직전 포장 단계의 포장지의 상부 융착은 다음 포장 단계의 포장지의 하부 융착과 함께 진행되며, 즉 직전 포장지의 상부 융착 과정에 의해 자연스럽게 다음 포장지의 하부 융착 과정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상부 및 하부 융착에 의해 밀봉된 콩나물은 융착된 부분이 절단되면서 배출부재(424)를 통해 배출되고, 이 후 소정의 후작업을 거쳐 출하된다.
한편, 호퍼(41)는 포장 과정에서 외부 요인에 의해 충격을 받을 수 있고, 특히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콩나물의 투입이 반복됨에 따라 세척될 필요가 있는데, 세척 과정에서 침습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바, 적절히 보호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호퍼(41)에 관한 보호수단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퍼(41)가 외면에 구비되는 보호막(G)을 더 포함하되, 이 보호막(G)이 호퍼(41)의 외면에 접하는 침투층(G1), 침투층(G1)의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G2) 및 발열층(G2)의 상부에 구비된 보호층(G3)을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호막(G)은 자체적으로 완충 및 방수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특히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면 약 300℃로 발열되어 침투층(G1)이 용융되면서 외면의 미세공이나 미세굴곡 등을 채운 후에 소결됨으로써, 향상된 결합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들뜸 현상까지 방지하고,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한 보호 및 방수를 제공한다.(첨부된 도면에는 미세공 및 미세굴곡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음)
구체적인 실시예로,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대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20 중량부 및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와 폴리브텐을 포함하는 점착제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폴리에틸렌은 석유의 나프타로부터 분취되는 구성으로, 열가소성 수지로서 첨가되며, 방수성이 우수하다는 점과 약 130℃ 내외의 녹는점을 가진다는 점에서 채택되었다. 상기 침투층(G1)의 각 조성물은 이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는 침투층(G1)의 소결 시에 과도하게 수축되어 들뜸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축방지제로서 첨가된다. 이러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는 2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수축 방지 효과가 부족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이 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점착제는 침투층(G1)에 점착성을 부여하여 미세공, 미세굴곡 등에의 결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되는데, 특히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Hydrogenated ester of Resin)와 폴리브텐(Polybutene)을 포함한다.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는 초기점착성을 부여하면서 소결 후의 내열성이 기여하고, 폴리브텐은 점착성질을 부여한다. 이러한 점착제는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소결 후의 점착성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침투층(G1)은 폴리에틸렌이 용융될 수 있는 130℃ 이상의 온도 하에서 각 조성물들을 폴리에틸렌 용액에 투입하여 교반한 다음 소결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발열층(G2)은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 대비, 은 200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기능성 결착제 20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열층(G2)을 페이스트의 형태로 침투층(G1) 상부에 도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조성물 별로, 이산화루테늄은 백금족의 전이금속으로,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이산화루테늄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우 발열온도가 너무 과하여 후술하는 보호층(G3)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발열층(G2) 전체 조성물 대비 20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층(G2)의 각 조성물은 이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은(Ag)은 이산화루테늄과 마찬가지로 전이금속으로, 역시 페이스트 형태의 발열층(G2)을 구성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은은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발열층(G2)이 전류 생성을 위한 충분히 낮은 저항값을 가지기 어려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발열 온도가 과도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능성 결착제는 이산화루테늄 및 은의 결합을 위해 첨가되며, 부가적으로 구성 간의 분산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발열 포화 시간 단축 및 발열 효과 지속을 제공한다. 기능성 결착제는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데, 이산화티타늄은 발열 효과 지속에 기여하고, 특히 이규화몰리브덴은 몰리브덴과 실리콘의 몰비가 1:2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높은 융점을 가져 발열층(G2)의 발열 시에 발열층(G2)이 용융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 하에서 실리카를 형성하여 발열 효과 지속은 물론 발열 포화시간을 상당히 단축시킨다. 이러한 기능성 결착제는 2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효과 발현이 부족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고온 발열 시의 전기 흐름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발열층(G2)은 에틸렌글리콜(테르펜), 부틸칼비톨, 에틸셀로솔브, 에틸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메틸에틸케톤, 디옥산, 아세톤, 시클로헥사논, 3-메톡시부틸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상기 조성물들을 혼합한 후 혼련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다음으로,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 대비,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충진제 300 중량부, 나프텐 오일 100중량부 및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내열제 50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부틸 합성고무는 적정 내한성과 내열성을 갖고, 비교적 고탄성을 구비하며, 단열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채용되었다. 상기 보호층(G3)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충진제는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데, 탄산칼슘은 방수성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벤토나이트는 양이온 교환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보호층(G3)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흡습을 통해 팽창하면서 누수를 막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충진제는 모두 결합력이 우수한 조성물로 구성되어 보호층(G3)과 침투층(G1) 간의 융화가 훌륭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충진제는 특별히 그 사용량이 한정되지는 않으나, 결합력 증대 및 경제성 측면에서 3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프텐 오일은 가소제로서 첨가되며, 고온에서의 증발 손실이 적고, 내한성이 우수하며, 탄성유지 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채용되었다. 이러한 나프텐 오일은 10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유연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저하되어 발열층(G2)의 동작 시에 흘러내림이 발생하고 또한 보호층(G3)의 울음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내열제는 발열층(G2)의 발열에 보호층(G3)이 용융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내열 특성을 부가하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보호층(G3)이 300℃ 이상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열제는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데, 바룸알루미네이트는 지르코니아를 기타 조성물과 결합시키는 결합재로서 부가되고, 지르코니아는 녹는점이 약 2700℃로, 급격한 온도 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최소 1000 ℃ 이상의 고온 하에서도 낮은 열전도도와 내열성 및 내화성을 통해 보호층(G3)이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가된다. 특히 상기 내열제에 의하여 보호층(G3)은 복수의 내부 기공을 갖게 되고, 이러한 기공들은 열전도도를 낮추고 내열성을 부가하게 된다. 이러한 내열제는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내열 특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상기 보호층(G3)은 각 조성물을 분말형태로 구비하여 나프텐 오일에 혼화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필요에 따라 소정의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막(G)의 시공에 관한 실시예로, 미세공과 미세굴곡을 형성한 시험용 블록에 침투층(G1)을 적층하고, 그 상부에 발열층(G2)을 도포한 후, 그 상부에 보호층(G3)을 적층한 다음, 발열층(G2)에 전기를 인가하여 보호막(G)을 형성하였다. 보호막(G)이 형성된 시험용 블록을 잘라 단면을 확대 관찰한 결과, 미세공과 미세굴곡 내에 침투층(G1)이 침투되어 경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형성된 보호막(G)에 크로스-컷(cross-cut) 시험, 스크래칭 시험, 물 분사를 통한 내부 침습도 시험을 수행한 결과, 박리율은 0.5% 미만이었으며, 파손율은 3% 미만이었고, 내부 침습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공급부
2: 이송부
21: 컨베이어 22: 격벽
23: 난간벽 24: 리턴부재
241: 샤프트 242: 리턴 바
3: 계량부
4: 포장부
41: 호퍼 42: 포장기

Claims (4)

  1. 콩을 물에 제1시간동안 불리는 1차 불림 단계(S1);
    첨가물을 투입하여 상기 콩을 물에 상기 제1시간보다 긴 제2시간동안 불리는 2차 불림 단계(S2);
    상기 콩을 재배실에서 재배하여 콩나물을 생성하는 재배 단계(S3);
    상기 콩나물을 세척부에 투입하고 세척과 동시에 껍질을 분리하는 세척 단계(S4);
    상기 콩나물을 소정 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S5); 및
    상기 콩나물을 공급부에 적재하는 단계, 상기 콩나물이 상향 경사를 갖는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는 단계, 상기 이송부의 단부에서 상기 콩나물이 낙하하여 계량부에 적재되는 단계, 상기 계량부에 적재된 상기 콩나물의 하중이 기 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면 상기 계량부의 하부 배출구가 개방되어 포장부로 낙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 단계(S6);
    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부는 상기 계량부에서 낙하된 콩나물이 초기 진입되는 호퍼 및 상기 호퍼 하부에 구비되고 공급된 원통 형태의 포장지의 하단을 밀봉하고 개구된 상부를 상기 호퍼의 하단에 배치하는 포장기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는 외면에 구비된 보호막을 포함하되, 상기 보호막은 상기 호퍼의 외면에 접하는 침투층, 상기 침투층의 상부에 구비된 발열층 및 상기 발열층의 상부에 구비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침투층은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 대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계 저수축제 20 중량부 및 수소첨가 로젠이스테르 수지와 폴리브텐을 포함하는 점착제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은 이산화루테늄 100 중량부 대비, 은 200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과 이규화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기능성 결착제 2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부틸 합성고무 100 중량부 대비, 탄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충진제 300 중량부, 나프텐 오일 100중량부 및 바륨알루미네이트와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내열제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콩나물이 안착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된 리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부재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수평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외면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축의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리턴 바를 포함하고,
    상기 리턴 바는 상기 컨베이어와 수직을 이루는 상황에서 그 단부가 상기 컨베이어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턴 바의 단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 측으로 굴곡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콩나물 재배 방법.
  4. 삭제
KR1020190080028A 2019-07-03 2019-07-03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 KR102150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28A KR102150485B1 (ko) 2019-07-03 2019-07-03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28A KR102150485B1 (ko) 2019-07-03 2019-07-03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485B1 true KR102150485B1 (ko) 2020-09-02

Family

ID=7246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028A KR102150485B1 (ko) 2019-07-03 2019-07-03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4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221A (zh) * 2021-07-06 2021-08-27 萧县逸飞农作物种植农民专业合作社 一种豆芽培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084B1 (ko) * 2003-06-26 2005-08-30 김재옥 인삼성분을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0433582Y1 (ko) * 2006-09-25 2006-12-11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01248847B1 (ko) * 2012-04-04 2013-04-02 정희경 혼합식품 제조장치
KR102045706B1 (ko) * 2019-06-11 2019-11-18 하봉호 식물 재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084B1 (ko) * 2003-06-26 2005-08-30 김재옥 인삼성분을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KR200433582Y1 (ko) * 2006-09-25 2006-12-11 김원철 콩나물이나 숙주나물의 정량 포장장치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01248847B1 (ko) * 2012-04-04 2013-04-02 정희경 혼합식품 제조장치
KR102045706B1 (ko) * 2019-06-11 2019-11-18 하봉호 식물 재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3221A (zh) * 2021-07-06 2021-08-27 萧县逸飞农作物种植农民专业合作社 一种豆芽培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4575B1 (en) Container with adhesive
TW209199B (ko)
KR102150485B1 (ko) 포장 작업이 개선된 콩나물 재배 방법
US8499765B2 (en) Process for producing smokeless tobacco pouche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AR053479A1 (es) Composiciones comestibles de liberacion de sabor mejoradas y sus metodos
CN107200150A (zh) 中药饮片自动称重包装机
KR102223424B1 (ko) 세척 효과가 향상된 콩나물 재배 방법
CN108820286A (zh) 一种中空纤维自动包裹装置及自动包裹方法
CN101578036B (zh) 用于包裹黄瓜和南瓜的袋及其制造方法
KR20200043745A (ko) 김부각 제조장치
CN105875813A (zh) 一种龙眼保鲜纸
US2336291A (en) Method of packing perishables and package
CN102482460A (zh) 含有益添加剂的有利生态的组合物
ITBO20110595A1 (it) Metodo, e relativo impiant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solidi; in particolare di snack o paste alimentari
CA2345188A1 (en) Double chip sauce delivery system
US7076933B2 (en) Method for packing products prone to decay
JP2009136184A (ja) ドライフルーツ成形食品
WO2003064282A2 (en) Multiple pack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U2003206713A1 (en) Multiple pack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8883236B2 (en) Wrapping for food products to be cooked in an oven
CN207566128U (zh) 一种载带结构
KR101203684B1 (ko) 깻잎의 세척포장 방법
EP2030511A1 (en) Jam and its method of production
CN108215325A (zh) 一种纸箱生产用涂胶装置
KR100306785B1 (ko) 농산물 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