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559B1 -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559B1
KR102219559B1 KR1020190037655A KR20190037655A KR102219559B1 KR 102219559 B1 KR102219559 B1 KR 102219559B1 KR 1020190037655 A KR1020190037655 A KR 1020190037655A KR 20190037655 A KR20190037655 A KR 20190037655A KR 102219559 B1 KR102219559 B1 KR 102219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knife
plated steel
gas
baffle plate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216A (ko
Inventor
박성호
서현용
Original Assignee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559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atch coating of substrate
    • C23C2/00322Details of mechanisms for immersing or removing substrate from molten liquid bath, e.g. basket or lifting mechanis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는, 도금강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금강판의 양 표면으로 각각 가스를 분사하는 제1 에어나이프; 상기 제1 에어나이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도금강판의 양 엣지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제1 에어나이프 상에 한 쌍이 놓이며,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동시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로 가스를 분사하는 제2 에어나이프; 및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에어나이프를 상기 제1 에어나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일체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EDGE AREA OF PLATE FROM BEING OVERCOATED}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강판은 표면에 산화가 진행되어 녹이 슬고, 부식되는 등 내구성이 약하므로 아연이나 알루미늄 등의 용융금속으로 도금을 하고 표면처리를 거친 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도금강판은 목적에 맞는 균일한 도금 두께 및 반곡이나 굴곡이 없는 평탄도가 핵심이며, 도금 공정에서 엣지부 과도금이 발생된 상태로 권취한 이후 코일을 풀게되면 웨이브가 발생하여 상품성이 저해되는 요인이 된다.
연속 용융 도금강판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에어나이프 장치를 이용하여 도금량을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용융된 아연 또는 알루미늄 금속을 통과하면서 도금되어지는 강판의 표면에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여 그 압력으로 용융 금속을 밀어내어 도금량을 조절한다. 강판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그리고 도금량이 높아질수록 연속으로 이송되는 강판의 속도가 느려지고 에어나이프 장치로부터 분사되는 기체의 압력도 낮게 관리된다. 이 경우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용융 금속을 밀어내는 힘이 부족하게 되고 엣지부에서는 기준 도금 두께보다 높게 응고되어 과도막이 발생한다. 또한, 강판의 형상이나 떨림, 에어나이프 장치로부터 분사되는 기체의 와류 등으로 인해 엣지부에서 과도금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94450
본 발명은 도금강판의 도금량을 조절하여 엣지부에서 과도금을 방지하고, 도금강판의 폭이 변하더라도 용이하게 엣지부에서의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는, 도금강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금강판의 양 표면으로 각각 가스를 분사하는 제1 에어나이프; 상기 제1 에어나이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도금강판의 양 엣지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제1 에어나이프 상에 한 쌍이 놓이며,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동시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로 가스를 분사하는 제2 에어나이프; 및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에어나이프를 상기 제1 에어나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일체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에어나이프는 상기 도금강판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가스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도금강판을 향해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제1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는 상기 유로와 상기 제1 노즐부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부는 상기 일면의 하부에서 상기 도금강판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립 및 상기 일면의 상부에서 상기 도금강판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제2 립이 구현하는 경사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제1 에어나이프 상에 놓이며 상기 도금강판을 향해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제2 노즐부, 상기 제2 노즐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노즐부로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중공형의 관 구조를 가지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는 상기 홀더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금강판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에어나이프의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각도와 상기 제1 에어나이프의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크롬도금코팅, 크롬질화코팅, 티타늄질화코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각각의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연결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에어나이프로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금강판의 도금량을 조절하여 엣지부에서 과도금을 방지하고, 도금강판의 폭이 변하더라도 용이하게 엣지부에서의 과도금을 방지할 수 있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엣지부 과도금이 발생한 도금강판의 권취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금강판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부에 의해 배플 플레이트와 제2 에어나이프가 수평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엣지부가 과도금된 도금강판(TP)을 코일형태(TC)로 권취한 상태에서 코일의 가장자리가 부풀어 올라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코일을 풀어서 단면을 살펴보면, 소재층(C), 하면 도금층(B), 상면 도금층(A), 정상 도금두께(G), 과도금된 도금두께(E), 엣지부(D)로 구분될 수 있다. 도금두께 및 소재층이 두꺼울수록 도금강판(TP)이 생산되는 속도는 느리게 되며, 이때 에어나이프에서 분사되는 가스의 압력은 낮게 관리되어야 목표 도금두께로 도금강판(TP)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나이프에서 분사되는 가스의 압력이 낮아지면 도금강판(TP)의 폭 방향 양쪽 끝단부에서부터 50mm 이내 구간을 일컫는 엣지부(D)에서는 가스의 압력과 유량이 부족하게 되어 정상 도금두께(G)보다 높은 과도금된 도금두께(E)의 형태로 응고되어 진다.
과도금된 도금두께(E)의 코일로 권취할 경우 엣지부(D)가 부풀어오른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생산된 코일을 가공하기 위해 풀어서 사용하게 되면 엣지부(D)가 정상 도금두께(G)인 부분보다 더 늘어나 있으므로 반곡, 굴곡 등의 웨이브가 발생되어 형상 불량으로 인한 상품성 저하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는 도금강판의 엣지부에서 발생되는 과도금 도금두께 발생을 방지하고, 도금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금강판의 폭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부에 의해 배플 플레이트와 제2 에어나이프가 수평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1)는 제1 에어나이프(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나이프(10)는 한 쌍이 도금강판(TP)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에어나이프(10)는 도금강판(TP)의 양 표면으로 각각 가스를 분사하여 도금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에어나이프(10)는 몸체부(11)와 제1 노즐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는 도금강판(TP)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가스가 흐르는 유로(11a)가 형성된 중공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노즐부(12)는 몸체부(11)의 일면에 제공되어 도금강판(TP)을 향해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몸체부(11)의 일면에는 유로(11a)와 제1 노즐부(12)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관통홀(11b)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11) 내의 유로(11a)로 공급된 가스는 복수의 관통홀(11b)을 통해서 제1 노즐부(12)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노즐부(12)는 몸체부(11) 일면의 하부에서 도금강판(TP)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립(12a) 및 몸체부(11) 일면의 상부에서 도금강판(TP)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립(12b)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 일면의 복수의 관통홀(11b)을 통해 제1 립(12a)과 제2 립(12b)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가스는 제1 립(12a)과 제2 립(12b)의 선단에 제공되는 노즐(12c)을 통해서 전방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에어나이프(10)의 몸체부(11)와 제1 노즐부(12)의 구조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측면을 개방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1)는 배플 플레이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30)는 서로 마주하는 제1 에어나이프(10) 사이에 위치하며, 도금강판(TP)의 양 엣지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30)는 도금강판(TP)의 양 엣지부에서 도금강판(TP)과 접하지 않는 상태로 대략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30)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1 에어나이프(10)에서 각각 분사되는 가스가 도금강판(TP)의 엣지부 외측에서 충돌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1 에어나이프(10)의 제1 노즐부(12)는 도금강판(TP)의 폭보다 긴 구조를 가지므로, 도금강판(TP)의 폭을 벗어난 엣지부 외측에도 가스가 분사되며, 배플 플레이트(30)가 없는 경우 각 제1 에어나이프(10)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상호 충돌하여 소음 및 와류를 발생시키고, 와류로 인하여 불특정 무늬가 발생되는 등 악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플 플레이트(30)는 도금강판(TP)의 양 엣지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1)는 제2 에어나이프(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에어나이프(20)는 각각의 제1 에어나이프(10)의 상에 한 쌍이 놓일 수 있다. 즉, 네 개의 제2 에어나이프(20)가 제공되며, 두 쌍의 제2 에어나이프(20)가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에어나이프(20)는 도금강판(TP)의 엣지부와 배플 플레이트(30)를 동시에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도금강판(TP)의 양 엣지부에서 엣지부와 배플 플레이트(30) 사이에 위치하여 도금강판(TP)의 엣지부의 일부 및 배플 플레이트(30)의 일부와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에어나이프(20)는 도금강판(TP)의 엣지부와 배플 플레이트(30)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도금조(미도시)에서 용융된 도금액(MC)이 도금강판(TP)의 표면에 부착되어 도금강판(TP)과 함께 상승하면, 도금강판(TP)의 양 표면에 배치된 제1 에어나이프(10)에 의해 일정량 이상의 도금액(MC)은 아래로 흘러내려가게 되며 그중 일부는 도금강판(TP)의 엣지부로 모이게 된다. 도금강판(TP)의 엣지부로 모이는 도금액(MC)은 제2 에어나이프(20)가 분사하는 가스에 의해 아래로 밀려내려가게 된다. 즉, 제1 에어나이프(10)가 분사하는 가스와 제2 에어나이프(20)가 분사하는 가스가 합류되어 증가된 가스의 압력과 유량으로 도금액(MC)을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도금강판(TP)의 엣지부가 과도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플 플레이트(30)와 도금강판(TP) 사이에 끼이는 도금액(MC)을 제거할 수 있다.
제2 에어나이프(20)는 제2 노즐부(21)와 홀더(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노즐부(21)는 제1 에어나이프(10) 상에 놓이며 도금강판(TP)을 향해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홀더(22)는 제2 노즐부(21)와 연결되어 제2 노즐부(21)를 지지하는 한편 제2 노즐부(21)와 추후 설명하는 구동부(4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홀더(22)는 제2 노즐부(21)로 가스를 공급하는 중공형의 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플 플레이트(30)는 홀더(22)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즉, 배플 플레이트(30)와 제2 에어나이프(20)는 상호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에어나이프(20)는 제1 에어나이프(10) 중에서 제1 노즐부(12)의 제2 립(12b)이 구현하는 경사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에어나이프(20)의 제2 노즐부(21)는 제1 노즐부(12)의 도금강판(TP)을 향해 소정 기울기로 하향 경사진 제2 립(12b)의 경사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금강판(TP)의 표면을 기준으로 제2 에어나이프(20)의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각도와 제1 에어나이프(10)의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어나이프(10)는 도금강판(TP)의 표면에 대해 대략 직각의 분사각도로 수직하게 분사할 수 있고, 제2 에어나이프(20)는 예각의 분사각도로 비스듬히 분사할 수 있다. 물론, 제1 에어나이프(10)의 분사각도는 직각이 아닌 예각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에어나이프(20)의 분사각도와는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에어나이프(20)는 하향으로 비스듬히 가스를 분사하도록 배치되므로 도금강판(TP)의 엣지부로 모이는 도금액(MC)을 보다 용이하게 아래로 밀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에어나이프(20)는 고압의 가스를 분사하므로 밀려내려가는 도금액(MC)이 일부 비산되어 제2 에어나이프(20)에 부착되기도 하고, 제2 립(12b)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있어서 마찰 및 마모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금액(MC)이 잘 부착되지 않고, 부착되더라도 제거가 용이하며, 마찰 및 마모에 우수한 성능이 확보되도록 제2 에어나이프(20)는 크롬도금코팅, 크롬질화코팅, 티타늄질화코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에어나이프(10)도 마찬가지로 처리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1)는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제2 에어나이프(20)와 연결되며, 제2 에어나이프(20)와 함께 배플 플레이트(30)를 제1 에어나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40)는 각각의 제2 에어나이프(20)와 연결되는 액츄에이터(41), 제2 에어나이프(20)와 연결되어 제2 에어나이프(20)로 가스를 공급하는 케이블(미도시)을 지지하는 케이블베이어(4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41)는 실린더 또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케이블베이어(42)는 제2 에어나이프(20)로 가스를 공급하는 케이블 외에 액츄에이터(4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케이블(미도시) 또는 유압(공압)케이블(미도시) 등을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도금강판(TP)의 폭 사이즈에 대응하여 제2 에어나이프(20)와 배플 플레이트(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0)는 감지수단을 통해 도금강판(TP)의 엣지부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배플 플레이트(30)와 제2 에어나이프(20)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금강판(TP)의 폭 사이즈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변화되는 폭 사이즈에 대응하여 배플 플레이트(30)와 제2 에어나이프(20)를 이동시킴으로써 도금강판(TP)의 엣지부의 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다. 감지수단으로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부(40)가 제2 에어나이프(20)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40)는 배플 플레이트(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배플 플레이트(30)와 연결된 제2 에어나이프(20)는 배플 플레이트(30)와 함께 일체로 수평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1)는 도금강판(TP)의 도금량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제1 에어나이프(10)로 가스를 분사하여 와이핑하고, 추가로 도금강판(TP)의 양 엣지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에어나이프(20)로 가스를 분사하여 와이핑함으로써 엣지부가 과도금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금량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2 에어나이프(20)와 배플 플레이트(30)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구동부(40)를 통해 제2 에어나이프(20)와 배플 플레이트(30)를 일체로 수평이동시킴으로써 도금강판(TP)의 폭 사이즈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도금강판(TP)의 엣지부의 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금강판(TP)의 폭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10... 제1 에어나이프
20... 제2 에어나이프
30... 배플 플레이트
40... 구동부

Claims (7)

  1. 도금강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도금강판의 양 표면으로 각각 가스를 분사하는 제1 에어나이프;
    상기 제1 에어나이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도금강판의 양 엣지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플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제1 에어나이프 상에 한 쌍이 놓이며,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를 동시에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도금강판의 엣지부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로 가스를 분사하는 제2 에어나이프; 및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에어나이프를 상기 제1 에어나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배플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일체로 수평이동하고,
    상기 제1 에어나이프는 상기 도금강판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가스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제공되어 상기 도금강판을 향해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제1 노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는 상기 유로와 상기 제1 노즐부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노즐부는 상기 일면의 하부에서 상기 도금강판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립 및 상기 일면의 상부에서 상기 도금강판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제2 립이 구현하는 경사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도금강판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에어나이프의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각도와 상기 제1 에어나이프의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분사각도는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하향으로 비스듬히 가스를 분사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상기 제1 에어나이프 상에 놓이며 상기 도금강판을 향해 상기 가스를 분사하는 제2 노즐부, 상기 제2 노즐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노즐부로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중공형의 관 구조를 가지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배플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어나이프는 크롬도금코팅, 크롬질화코팅, 티타늄질화코팅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각각의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연결되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제2 에어나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에어나이프로 상기 가스를 공급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KR1020190037655A 2019-04-01 2019-04-01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KR102219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55A KR102219559B1 (ko) 2019-04-01 2019-04-01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55A KR102219559B1 (ko) 2019-04-01 2019-04-01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16A KR20200116216A (ko) 2020-10-12
KR102219559B1 true KR102219559B1 (ko) 2021-02-23

Family

ID=7288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55A KR102219559B1 (ko) 2019-04-01 2019-04-01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5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227Y1 (ko) * 1998-12-12 2002-06-20 신현준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강판 가장자리 과도금 방지장치
KR100775226B1 (ko) * 2006-06-05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용융도금 라인의 에어 나이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088A (ko) * 2010-11-03 2012-05-11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부착 방지 장치
KR101449148B1 (ko) * 2012-11-23 2014-10-08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와이핑 설비용 배플 장치
KR101694450B1 (ko) 2015-09-15 2017-01-09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판 엣지부 빌드업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227Y1 (ko) * 1998-12-12 2002-06-20 신현준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강판 가장자리 과도금 방지장치
KR100775226B1 (ko) * 2006-06-05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용융도금 라인의 에어 나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16A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9050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
JP4451194B2 (ja) 液体ワイピング装置
KR102219559B1 (ko)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JP5109671B2 (ja) 溶融金属めっき設備及び溶融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TW201030182A (en) Electromagnetic vibration control device
JP2018009220A5 (ko)
KR100856307B1 (ko)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JP6205753B2 (ja)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及びガスワイピング方法
KR101143190B1 (ko) 가스 와이핑 장치
JP3184790B2 (ja) 溶融金属めっきの余剰めっき液の除去装置
JP5375150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
JP3498613B2 (ja)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JPH0639678B2 (ja) ガスワイピング装置
JP2007197782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JPH01230758A (ja) 溶融めつき金属の付着量制御方法及び気体噴射ノズル
JP4840570B2 (ja) ガスパイピングノズル、溶融めっき金属帯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付着量の調整方法
JP2005256055A (ja) 連続溶融金属メッキ方法及び装置
CN110325659B (zh) 连续热镀金属处理装置及使用该装置的热镀金属处理方法
JP4853107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JP2005171336A (ja) 溶融金属めっき方法及び設備
JP3069525B2 (ja) 溶融金属めっきの余剰めっき液の除去装置
JP2013181196A (ja) 目詰まり除去治具を備えるワイピングノズル
JPH04365846A (ja) 鋼帯の連続溶融亜鉛メッキ装置
JP2923060B2 (ja) 連続溶融メッキにおけるエッジワイピング装置
JP5194613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及び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