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307B1 -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 Google Patents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307B1
KR100856307B1 KR1020060058792A KR20060058792A KR100856307B1 KR 100856307 B1 KR100856307 B1 KR 100856307B1 KR 1020060058792 A KR1020060058792 A KR 1020060058792A KR 20060058792 A KR20060058792 A KR 20060058792A KR 100856307 B1 KR100856307 B1 KR 10085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knife
lip
air
discharge port
zin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908A (ko
Inventor
신기태
선판우
김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5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307B1/ko
Priority to PCT/KR2006/005650 priority patent/WO2007142397A1/en
Publication of KR2008000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도금강판의 도금량을 조절하는 에어 나이프용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가 제공된다.
상기 에어 나이프용 립 크리닝장치는, 에어 나이프의 내부에서 에어 토출구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로 에어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에어 토출구에 설치되어 최소한 토출구에 부착된 아연 칩을 제거하는 아연 칩 제거수단; 및, 에어 나이프의 하부 립부재에 고압 에어의 유동경로에서 벗어나 에어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 형성된 장치 안착부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부재에 안착되고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이 고정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연계되면서 에어나이프 외부에서부터 구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된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립 크리닝장치가 에어 나이프 내장형으로 제공되어 아연 비산 칩에 의한 작동불량을 예방하면서, 부가적으로 에어 나이프 내부의 고압 에어의 유동 경로에서 벗어나 배치하여 토출 에어 제트류의 불균일을 방지하여 토출 제트류의 불안정함에 따른 도금강판의 도금편차를 방지시킨다
에어 나이프, 립(Lip), 에어 토출구, 제트류, 교란, 금속 칩(부착 금속)

Description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Apparatus for Cleaning Lip of Air Knife and Air Knife having The Same Apparatus}
도 1은 통상의 아연도금설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에어 나이프를 이용한 도금강판의 도금량 제어시 비산된 아연 칩의 립(Lip) 부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나이프용 립 크리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도 4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아연 칩 제거수단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한 요부도
도 7은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 나이프와 다른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나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립 크리닝장치 10.... 아연 칩 제거수단
30.... 구동수단 32... 레일부재
34.... 이동체 36.... 구동력 전달수단
38,50.... 와이어 54.... 스크류바아
60.... 커버부재 100.... 에어나이프
110.... 에어 토출구 120.... 아연 칩
130.... 립 부재 140.... 프레임부재
150.... 쳄버 160.... 립 지지대
162.... 정류벽 164,166.... 립 지지부
본 발명은 강판의 표면에 아연 등의 용융금속을 도금하는 강판도금 설비중 하나인 에어 나이프(Air Knife)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나이프 내장형이면서 에어 나이프 내부의 고압 에어의 유동 경로에서 벗어나 배치되기 때문에, 아연 비산 칩에 의한 작동불량을 예방하여 립 크리닝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장치에 의한 토출 에어(가스) 제트류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한편, 특히 장치의 아연 칩 제거수단의 구동구조가 통상의 와이어 구동 대신에 변형이 없는 스크류바아 구동과 레일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온 환경에서도 장치 구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장치 사용 기간도 증대시키는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제조되는 냉연강판중 표면에 특정 용융금속 특히, 용융아연을 도금하는 아연도금강판은 강판의 내식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강판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특히, 근래에 들어 이와 같은 도금강판은 전자제품이나 자동차용 강판으로 사용되면서 보다 고품질의 강판 제조에 대한 기술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강판의 도금공정은 용융금속이 저장된 도금욕조에 강판을 통과시켜 도금을 수행하는 용융도금공정과 전해액을 이용한 전기도금공정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통상 아연도금강판은 전자의 공정을 통하여 생산된다.
예를 들어, 냉연코일을 소재로 하는 아연도금강판의 생산라인은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페이오프 릴(Pay Off Reel)에서 풀린 코일강판은 용접기와 입측 루퍼를 거쳐 열처리로에서 열처리 한 후, 스나우트와 도금욕조를 거쳐 에어 나이프에서 적정한 도금 부착량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도금 부착량이 조절된 도금강판은 에어 냉각 및 수 냉각설비를 거쳐 냉각된 다음, 도금 부착량 측정기(cold guage)에서 도금 부착량이 측정된 후, 조질 압연기에서 형상교정 및 내부 응력이 제거되고, 크롬 도금설비에서 내식성의 추가 향상을 위하여 화학 처리되고, 건조기에서 건조된 후, 출측 루퍼를 지나 텐션 릴 (Tension Reel)에 코일형태로 감기어 최종적으로 도금강판이 생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S)이 아연도금욕조(210)를 통과하면서 용융아연(220)이 강판(S)의 표면에 융착된 후에, 부착된 도금량을 수요가의 주문 도금량에 맞추기 위해서 아연도금욕조(210)의 탕면 상측에 설치된 에어 나 이프(200)에서 강판의 양 표면에 에어(A)(또는 불활성가스를 사용하기도 함)를 분사하여 아연의 부착 도금량을 적절하게 깍아 지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에어 나이프를 이용한 강판의 도금 부착량 조절은 도금욕조에서 강판 침지시, 그 표면에 부착되어 강판과 더불어 이송되어 오는 유입용융 금속량과, 상기 유입용융금속을 깍아 내는 능력(와이핑 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유입 용융금속량은 강판과 용융금속사이의 마찰력과 지구 중력간의 균형에 의해 결정되며, 강판진행속도의 증가에 따라 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와이핑력은 에어나이프의 에어 토출구(통상 슬릿(slit))를 통하여 토출되는 에어 제트류가 강판표면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돌압력 및 전단응력에 의해 결정되며, 이 값들은 에어나이프와 강판사이의 거리, 에어의 토출 속도 및 상,하부 립사이의 간극 등에 의해 조절된다.
다음, 에어 나이프를 통과하여 조절된 강판의 도금 부착량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량 측정게이지(230)에서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피드백하여 에어 나이프(200)의 에어 토출 압력이나, 강판(S)과 에어나이프 간의 간격을 조정하여 도금강판의 도금 부착량을 제어한다.
이때, 도 1에서 미설명 부호인 212와 214는 강판을 통판시키고 그 진행을 안내하고 텐션 등을 조절하는 싱크롤(Sink Roll)과 스테빌라이징 롤(Stabiling Roll)이다.
그런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나이프(200)에서 부터 고압의 에어(가스)가 에어나이프(200)의 상,하부 립(Lip)(202)(204)사이에 형성된 토출 구(206)를 통해 분사될 때, 에어의 와류현상(화살표)에 의해 아연 드로스 또는 아연 입자(이하, '아연 칩'이라 총칭한다)(zinc chip)(d)이 립(202)(204)의 경사면을 타고 성장하고 토출구를 막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의 에어가 립사이의 토출구(206)에서 토출되면 외부는 동압(+)이고 그 내부는 부압(-)으로서 에어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 에어 와류에 의하여 비산된 아연 칩(d)들이 립 토출구 및 그 주변에 부착되고, 심한 경우 립 토출구를 막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에어 나이프의 립 끝부분에서 강판 충돌 등으로 형성된 흠에 의해서도 에어 와류가 심해지고, 결국 립(202)(204) 표면과 토출구(206)에 아연 칩의 고착이 심화된다.
이때, 토출구에서 아연 칩이 부착(고착)된 부분을 통과하는 에어 압력은 저하되고, 에어 와류는 증대시키면서 강판의 폭방향으로 균일한 에어 토출이 이루어 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강판 표면에는 줄 마크 등이 발생된다.
따라서, 에어 나이프(200)의 상,하부 립(202)(204)이나 토출구(206)에 부착된 아연칩(d)은 강판의 도금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에는 에어 토출구에 들어갈 수 있는 얇은 판이나 침을 설치한 봉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부착된 아연 칩을 제거하였지만, 작업공간이 고열(도금욕조의 아연용액 온도는 460℃)이 발생하는 곳이고 진행되는 강판에 의한 안전사고 위험도 높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수작업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립 크리닝장치(에어 나이프 소제장치)들이 국내 공개특허 1998-0004722호 및, 공개실용 1998-0045949호와 1999-0017039호 등에서 개시되고 있다.
즉, 상기 공개특허공보 및 공개실용공보에서 개시된 에어 나이프 크리닝장치들은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기계적인 작동으로 립 또는 립 사이의 에에 토출구에 부착된 아연 칩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다른 립 크리닝장치들은 에어나이프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장형이어서 실제 라인가동시 비산되는 아연 칩들이 부착되면서 초기 가동의 짧은 시간만 가동이 가능하고, 그 이후로는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에어 나이프의 립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에어 제트류의 유동교란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토출구에 부착된 아연 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에어나이프 내장형이면서, 특히 내부 고압 에어의 유동 경로에서 벗어나 배치되어 크리닝장치에 의한 유동교란을 방지한 립 크리닝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립 크리닝장치가 에어 나이프 내장형이면서 에어 나이프 내부의 고압 에어의 유동 경로에서 벗어나 배치되기 때문에, 아연 비산 칩에 의한 작동불량을 예방하여 립 크리닝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장치에 의한 토출 에어(가스) 제트류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한편, 특히 장치의 아연 칩 제거수단의 구동구조가 통상의 와이어 구동 대신에 변형이 없는 스크류바아 구동과 레일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온 환경에서도 장치 구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장치 사용 기간도 증대시키는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 나이프의 내부에서 에어 토출구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로 에어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에어 토출구에 설치되어 최소한 토출구에 부착된 아연 칩을 제거하는 아연 칩 제거수단; 및, 에어 나이프의 하부 립부재에 고압 에어의 유동경로에서 벗어나 에어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 형성된 장치 안착부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부재에 안착되고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이 고정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연계되면서 에어나이프 외부에서 부터 구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된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아연칩 제거수단과 구동수단이 고압 에어 유동경로에서 벗어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이동체에 통과하여 체결되고 장치 안착부의 양측 베어링블록에 지지되는 스크류바아 및, 상기 스크류바아와 쳄버 또는 프레임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사이에 연결된 기어뭉치와 그 사이의 조인트부재들을 구비하여 에어나이프 내장형으로 구성된 립 크리닝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은, 상기 에어 토출구에 삽입되는 판재, 침 및, 브러쉬 중 하나로 구성되면서 상기 구동수단의 이동체와 연결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의 판재는 에어 토출구의 립 부재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된 내마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장치 안착부의 상부에는 고압 에어의 유동 교란을 방지하는 커버부재가 추가로 덮여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 다른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일 실시예의 본 발명은, 상기 립 크리닝장치;
상기 립 크리닝장치가 내장되고 도금강판의 도금 부착량을 조절하는 에어 토출구를 구성하는 상,하부 립부재; 및,
상기 상,하부 립부재와 연계되고 프레임에 고정되며 고압 에어가 공급되는 쳄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립 크리닝장치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상기 립 크리닝장치;
상기 립 크리닝장치가 내장되고 도금강판의 도금 부착량을 조절하는 에어 토 출구를 구성하는 상,하부 립부재; 및,
상기 상,하부 립부재와 프레임에 고정되는 쳄버사이에 연계 설치되어 에어 나이프의 강도 유지체로 구성되면서 고압 에어가 통과하는 립 지지대;
로 구성된 립 크리닝장치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를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립 지지대는, 고압 에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과구멍들이 형성되어 에어 토출을 균일하게 하면서 강도 유지를 위하여 제공된 정류벽 및, 상기 정류벽의 상,하측으로 상,하부 립부재와 쳄버가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는 립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에어 나이프용 립 크리닝장치(1)를 구조도 내지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1)는, 크게 도금강판의 도금 부착량을 조절하는 에어 나이프(100)의 에어 토출구(110)에 에어나이프의 내부에서 토출구를 향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에어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소한 토출구(110)에 부착된 아연 칩(120)을 제거하는 아연 칩 제거수단(10) 및,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10)을 이동시키도록 에어 나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과 연계 설치된 구동수단(30)을 포함하여 에어나이프 내장형으로 제공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특히, 부가적으로 상기 구동수단(30)은 에어 나이프(100)의 내부에서 흐르는 고압 에어의 유동 경로(P)상에서 벗어나 배치한 다른 구성적 특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에어 나이프용 립 크리닝장치(1)는 에어 나이프의 내부에 제공되는 에어 나이프 내장형이면서 고압 에어의 유동에 간섭되어 교란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 것에 그 구성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는 종래 외장형 립 크리닝장치들이 실제 가동시 비산되는 아연 칩(용융아연 드로서, 아연 비산 입자 등)으로 인하여 장치 가동이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1)는 아연 칩(120)을 제거하는 소정 폭이나 직경의 아연 칩 제거수단(10)을 립 부재사이의 에어 토출구(110)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수단(30)을 에어 나이프의 내부에서 흐르는 고압 에어의 유동경로(P)에서 벗어나 배치함으로서, 에어 토출시 크리닝장치 특히, 구동부품들에 의한 어떠한 유동 교란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강판의 도금불량을 예방시킨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10)은 다음에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적어도 에어 나이프(100)의 상부 립부재(130a)와 하부 립부재(130b)의 끝단 사이에서 형성되는 에어 토출구(110)에 맞추어 두께(또는 침인 경우 직경)가 형성되는 얇은 금속판재나 침 또는 브러쉬(미도시)일 수 있고, 이때 적어도 립부재의 에어 토출구에 부착되는 아연 칩(아연 칩)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연 칩 제거수 단(10)이 연계되어 에어 나이프의 가동시에도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아연 칩 제거수단(10)을 립부재의 에어 토출구에서 에어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구동수단(30)은 에어 나이프의 에어 토출구(110)를 형성하는 립부재(130) 즉, 상부 립부재(130a)와 하부 립부재(130b)중 하부 립부재(130b)에 형성된 장치 안착부(132)에 안착되어 고압에어의 유동경로(P)에서 벗어나 배치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 안착부(132)는 에어 토출구에 근접하여 하부 립부재(130b)에 에어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오목하게 파여져 형성된 홈(groov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장치 안착부(132)는 상부 립부재(130a)에 형성시키고 구동수단(30)을 배치하고 아연 칩 제거수단(10)을 절곡시킨 형태로 하여 에어 토출구(110)에 삽입되도록 하여 아연 칩(120)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에어 나이프용 립 크리닝장치(1)에서 상기 구동수단(30)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립부재(130b)에 형성된 장치 안착부(132)에 설치된 레일부재(32)상에 안착되면서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10)이 연결 고정되는 이동체(34) 및, 상기 이동체(34)와 연계되고 에어나이프 외부에서 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력 전달수단(36)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실질적으로 에어 토출구(110)에 부착된 아연 칩(120)을 제거하는 아연 칩 제거수단(10)은 구동수단(30)의 이동체(34)에 연결 고정되되, 이 구동수단(30)은 에어 유동경로에서 벗어나 있고, 상기 이동체(34)는 구동력 전달수단(36)과 연 계되어 장치안착부상의 레일부재(32)에서 하부 립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결국 얇은 판재 등으로 된 아연 칩 제거수단(10)은 에어 토출구를 따라 이동하여 아연 칩을 제거한다.
이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10)의 폭은 소정길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강판의 최대 폭 보다 길이가 긴 에어나이프 양측으로 여유공간에 대기하고 있어 에어 나이프의 내부 고압 에어의 유동시 교란원인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력 전달수단은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형태의 본 발명의 구동력 전달수단(36)은, 장치 안착부 양측의 종동풀리(40)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구동되면서 상기 이동체(34)가 연결된 종동와이어(38)와 상기 종동풀리(40)와 연결되면서 립부재를 통과하는 구동축(42)에 고정된 연결풀리(44)와 에어나이프의 쳄버 또는 프레임측에 설치된 구동모터(46)의 구동풀리(48)사이에 체결된 구동와이어(5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쳄버 후면이나 프레임에 배치된 구동모터(46)가 에어 나이프 조작 제어판넬(미도시)에서의 조작으로 가동되면 구동풀리(48)와 연결풀리(44) 및 종동풀리(40)로서 연계 구동되는 구동와이어(50)와 종동와이어(38)가 구동된다.
결국, 무한궤도로 작동되는 종동풀리(48)에 전,후면이 연결 고정된 이동체(34) 즉, 사각블록으로 하부에는 레이부재 안착부(34a)가 형성된 이동체(34)는 종동와이어의 구동에 따라 에어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46)는 에어나이프의 길이에 맞추어 정,역 회전량이 미리 설정되어 구동되어 이동체의 왕복 이동 길이나 그 속도가 제어된다.
이때, 상기 연결풀리(44)와 종동풀리(40)가 설치되는 구동축(42)은 하부 립부재(130b)의 장치 안착부 바닥을 관통하여 베어링(42a)을 통하여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조립되어 회전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1)가 배치된 장치 안착부(132)의 상부에는 얇은 판의 커버부재(60)가 하부 립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장치안착부를 전부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따라서, 쳄버측에서 공급되는 고압 에어는 그 유동경로상에 어떠란 방해부품없이 커버부재(60)를 통과하여 아연 칩 제거수단(10)으로 에어 토출구의 부착 아연 칩(120)에 제거된 상태에서 매우 균일하게 토출될 수 있고, 이는 결국 강판의 아연도금 부착량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하여 도금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정밀한 도금으로 과도금에 의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시키게 한다.
다음,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립 크리닝장치(1)의 아연 칩 제거수단(10)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에어나이프(100)의 에어 토출구(110)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소정 직경의 침(10')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도 6b 및 도 6c와 같이, 소정 폭의 판재형태(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재의 선단부 양면에는 에어 토출구의 립부재면과 직접 접촉하여 부착 아연 칩을 제거하는 내마모층(10a) 예를 들어, 내 열성이 우수한 세라믹, 또는 텅스턴, 티탄층을 형성시키면 금속 칩 제거효율도 높이고, 사용수명도 길게 할 것이므로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도 6d와 같이, 립 부재의 에어 토출구 외측면에 밀착되어 부착된 아연 칩을 제거하는 선단부(10b)를 구비하는 아연 칩 제거수단(10")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6에서는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구동력 전달수단(36')을 도시하고 있는데, 장치안착부 양측의 종동풀리(40)에 지지되어 무한궤도로 구동되면서 상기 이동체(34)가 연결된 구동와이어(38) 및 상기 종동풀리(40)와 연결되면서 립부재를 통과하는 종동축(42)과 에어나이프의 쳄버 또는 프레임측에 설치된 구동모터(46)사이에 다단으로 연결 구비된 조인트부재(49)와 기어뭉치(49a)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쳄버나 프레임측의 구동모터가 구동되면 여러개의 기어뭉치와 조인트부재가 구동되어 종동와이어의 무한궤도 이동에 따라 이동체(34)가 레일부재상에서 이동하면서 아연 칩 제거수단(10)이 에어 토출구상의 금속 칩(120)을 제거한다.
이때,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중 립부재의 외부에 배치되는 부분에는 금속 칩이 비산 부착되지 않도록 커버체(4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에서 또 다른 형태의 구동력 전달수단(36")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이동체(34)에 체결되고 안착부 양측 베어링블록(52)으로 지지되는 스크류바아(54) 및, 상기 스크류바아(54)와 쳄버 또는 프레임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사이 에 연결되는 다단의 조인트부재(56)와 기어뭉치(56a)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쳄버나 프레임측에 설치된 구동모터(도 4의 46)가 구동되면 조인트부재(56)가 구동되고 기어뭉치(56a)를 통하여 스크류바아(54)가 회전 구동되면서 체결된 이동체(34)가 레일부재(32)를 따라 이동한다.
결국,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1)는, 여러 형태의 구동력 전달수단(36) (36')(36")을 선택하여 장치를 운영할 수 있다.
다음, 지금까지 설명한 립 크리닝장치(1)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100)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1)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100)는, 크게 도 3 내지 도 5의 상,하부 립부재와 쳄버가 연결된 형태와 도 8과 같이 별도의 립 지지대를 구비하는 에어나이프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제 1 형태의 본 발명의 에어 나이프는 상기 립 크리닝장치(1)를 구비하되, 상기 크리닝장치(1)가 내장되고 도금강판의 도금 부착량을 조절하는 에어 토출구(110)를 구성하는 상,하부 립부재(130a)(130b) 및, 상기 상,하부 립부재(130a) (130b)와 연계되고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쳄버(15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쳄버(150)에 연결된 에어 또는 가스의 에어 공급관(미도시)를 통하여 공급된 고압 에어는 쳄버와 상,하부 립부재사이의 공간에서 에어 토출구(110)의 간격에 따라 소정의 토출압으로 강판에 토출되게 되고, 이때 립 크리닝장치의 아연 칩 제거수단(10)이 온라인 상으로 에어 토출구를 따라 이동하여 에어의 유동교란을 발생하지 않고 아연 칩을 제거한다.
다음,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에어나이프는, 상 기 본 발명의 립 크리닝장치(1)가 내장되고 도금강판의 도금 부착량을 조절하는 에어 토출구(110)를 구성하는 상,하부 립부재(130a)(130b) 및, 상기 상,하부 립부재(130a)(130b)와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쳄버(150)사이에 연계 설치되어 에어 나이프 강도 유지체로 구성되고 고압 에어가 통과하는 립 지지대(1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립 지지대(160)는, 고압 에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과구멍(162a)들이 형성되어 에어 토출을 균일하게 하도록 구성되되 강도 유지를 위하여 소정두께로 된 정류벽(162)과, 상기 정류벽(162)의 상,하측으로 상,하부 립부재와 쳄버가 각각 고정되는 립 지지부(164)(166)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에어 나이프에서의 상기 립 지지대(160)는 소정 두께로 되어 있으면서 에어 나이프의 강도 유지체 역할을 하여 도 4의 경우 쳄버(150)에 상,하부 립부재를 연결하기 때문에 쳄버의 강도를 유지하는 것에 따른 에어 나이프의 제작이나 운영상 어려움을 피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립 지지대(160)의 정류벽(162)에는 소정 형태로 배열된 에어 통과구멍(162a)들이 형성되어 있어 쳄버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나 가스 등의 고압 에어가 가능한 균일하게 에어 토출구(110)를 통하여 토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에어나이프(100)에서는 하부 립부재(130b)측에 장치 안착부(132)를 제공하기 때문에, 하부 립부재의 두께가 도금량 조정작업시 떨림 등이 발생되지 않고 쳄버 또는 립 지지대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두께나 강도가 조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에어나이프에서 립 크리닝장치(1)에서 구동수단(30)은 가능한 경량부품을 이용하여 하부 립부재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의 에어낭프(100)는 립 토출구에 부착된 아연 칩(120)을 에어 나이프의 가동중에도 최대한 유동 교란을 발생시키지 않고 에어 토출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균일한 도금 부착량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에 의하면, 립 크리닝장치가 에어 나이프 내장형이면서 에어 나이프 내부의 고압 에어의 유동 경로에서 벗어나 배치되기 때문에, 아연 비산 칩에 의한 작동불량을 예방하여 립 크리닝장치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장치에 의한 토출 에어(가스) 제트류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한편, 특히 장치의 아연 칩 제거수단의 구동구조가 통상의 와이어 구동 대신에 변형이 없는 스크류바아 구동과 레일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고온 환경에서도 장치 구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장치 사용 기간도 증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 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4)

  1. 에어 나이프의 내부에서 에어 토출구 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로 에어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에어 토출구에 설치되어 최소한 토출구에 부착된 아연 칩을 제거하는 아연 칩 제거수단; 및, 에어 나이프의 하부 립부재에 고압 에어의 유동경로에서 벗어나 에어 나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 형성된 장치 안착부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부재에 안착되고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이 고정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연계되면서 에어나이프 외부에서 부터 구동력을 전달토록 구성된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아연칩 제거수단과 구동수단이 고압 에어 유동경로에서 벗어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이동체에 통과하여 체결되고 장치 안착부의 양측 베어링블록에 지지되는 스크류바아 및, 상기 스크류바아와 쳄버 또는 프레임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사이에 연결된 기어뭉치와 그 사이의 조인트부재들을 구비하여 에어나이프 내장형으로 구성된 립 크리닝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은, 상기 에어 토출구에 삽입되는 판재, 침 및 브러쉬 중 하나로 구성되면서 상기 구동수단의 이동체와 연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 크리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칩 제거수단의 판재는 에어 토출구의 립 부재와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된 내마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 크리닝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안착부의 상부에는 고압 에어의 유동 교란을 방지하는 커버부재가 추가로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 크리닝장치.
  12. 제 1항, 제 3항, 제 4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립 크리닝장치;
    상기 립 크리닝장치가 내장되고 도금강판의 도금 부착량을 조절하는 에어 토출구를 구성하는 상,하부 립부재; 및,
    상기 상,하부 립부재와 연계되고 프레임에 고정되며 고압 에어가 공급되는 쳄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립 크리닝장치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13. 제 1항, 제 3항, 제 4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립 크리닝장치;
    상기 립 크리닝장치가 내장되고 도금강판의 도금 부착량을 조절하는 에어 토출구를 구성하는 상,하부 립부재; 및,
    상기 상,하부 립부재와 프레임에 고정되는 쳄버사이에 연계 설치되어 에어 나이프의 강도 유지체로 구성되면서 고압 에어가 통과하는 립 지지대;
    로 구성된 립 크리닝장치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립 지지대는,
    고압 에어가 통과하는 다수의 통과구멍들이 형성되어 에어 토출을 균일하게 하면서 강도 유지를 위하여 제공된 정류벽; 및,
    상기 정류벽의 상,하측으로 상,하부 립부재와 쳄버가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는 립 지지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나이프.
KR1020060058792A 2006-06-08 2006-06-28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KR100856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792A KR100856307B1 (ko) 2006-06-28 2006-06-28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PCT/KR2006/005650 WO2007142397A1 (en) 2006-06-08 2006-12-22 Gas wip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792A KR100856307B1 (ko) 2006-06-28 2006-06-28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08A KR20080000908A (ko) 2008-01-03
KR100856307B1 true KR100856307B1 (ko) 2008-09-03

Family

ID=3921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792A KR100856307B1 (ko) 2006-06-08 2006-06-28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3591A (zh) * 2017-08-29 2019-03-05 宝钢新日铁汽车板有限公司 一种在线气刀自动清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319B1 (ko) * 2011-09-23 2013-07-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통기성이 개선된 에어 나이프용 립 클리너
KR101290318B1 (ko) * 2011-09-23 2013-07-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통기공을 구비한 에어 나이프용 립 클리너
KR101290317B1 (ko) * 2011-09-23 2013-07-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칭 구조를 이용한 에어 나이프용 립 클리너
KR101583550B1 (ko) * 2015-06-16 2016-01-19 효성산업 주식회사 에어나이프의 립클리너 이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55A (ja) * 1994-07-12 1996-01-30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用スリットノズル
KR19980045949U (ko) * 1996-12-27 1998-09-25 김종진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Air Knife) 자동수입장치
KR19990017039U (ko) * 1997-10-31 1999-05-25 이구택 도금량 조절기의 자동 수입장치
KR20030093586A (ko) * 2002-06-03 2003-12-11 주식회사 포스코 취입능이 향상된 아연도금 강판의 에어나이프 장치
KR20060055923A (ko) *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한도엔지니어링 비산금속의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55A (ja) * 1994-07-12 1996-01-30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用スリットノズル
KR19980045949U (ko) * 1996-12-27 1998-09-25 김종진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Air Knife) 자동수입장치
KR19990017039U (ko) * 1997-10-31 1999-05-25 이구택 도금량 조절기의 자동 수입장치
KR20030093586A (ko) * 2002-06-03 2003-12-11 주식회사 포스코 취입능이 향상된 아연도금 강판의 에어나이프 장치
KR20060055923A (ko) *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한도엔지니어링 비산금속의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3591A (zh) * 2017-08-29 2019-03-05 宝钢新日铁汽车板有限公司 一种在线气刀自动清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08A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307B1 (ko)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AU758268B2 (en) Method for galvanizing and galvannealing employing a bath of zinc and aluminum
JP5549050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
KR100775226B1 (ko) 강판 용융도금 라인의 에어 나이프
JP6667641B2 (ja) メッキ装置およびメッキ方法
EP24719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metal-plated steel pipe
KR101359079B1 (ko) 가스 와이핑 장치
JP3217122U (ja) 鋼管内面処理装置
KR930003029B1 (ko) 금속판의 도금방법
JP4840570B2 (ja) ガスパイピングノズル、溶融めっき金属帯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付着量の調整方法
JP6394578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
WO2007142397A1 (en) Gas wiping apparatus
CN214813640U (zh) 一种抗腐蚀的耐磨耐热型轧钢导卫装置
JPH05156417A (ja) 溶融金属メッキ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焼鈍炉
JP5194612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及び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JP2007314851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EP3901317A2 (en) Apparatus for cooling metal material
JPH02111859A (ja) 溶融めつき金属板の製造方法
JPH02111860A (ja) 溶融めつき金属板の製造方法
JPH02111858A (ja) 金属板の溶融めつき方法
JPH02111857A (ja) 溶融めつき金属板の製造方法
JPH02298246A (ja) 金属ストリップの連続溶融めっき方法
JPH0623561Y2 (ja) ガルバニール炉内の酸化亜鉛除去装置
JPH02111861A (ja) 金属板の溶融めっき方法
RU2249059C1 (ru) Установка непрерывного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металлическую полос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1108

Effective date: 200807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