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949U -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Air Knife) 자동수입장치 - Google Patents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Air Knife) 자동수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949U
KR19980045949U KR2019960059091U KR19960059091U KR19980045949U KR 19980045949 U KR19980045949 U KR 19980045949U KR 2019960059091 U KR2019960059091 U KR 2019960059091U KR 19960059091 U KR19960059091 U KR 19960059091U KR 19980045949 U KR19980045949 U KR 199800459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port
air knife
computer
scr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6497Y1 (ko
Inventor
주교하
홍종표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59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4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9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9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6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a blast of gas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5/00Control of dimensions of material
    • G05D5/02Control of dimensions of material of thickness, e.g. of roll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립의 표면에 적정 상태의 도금층이 성되게 하는 에어 나이프(Air Knife)의 공기토출구를 청결한 상태로 지토록 하여 어느 일부분의 도금층이 두꺼워지는 빌드업현상을 방지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에어 나이프 자동수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 나이프의 출구에 드로스가 부착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된 신호를 표출시킴과 아울러 수입장치를 조정하여 주는 컴퓨터와, 이 컴퓨터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에어실린더와, 이 에어실린더에 설치되어 토출구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스크레이퍼로 구성함에 따라, 안전한 상태에서 에어 나이프의 토출구를 자동으로 수입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Air Knife) 자동수입장치
본 고안은 아연도금설비의 에어 나이프(Air Knife) 자동수입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표면에 적정 상태의 도금층이 형성되게 하는 에어 나이프의 공기토출구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토록 하여 어느 일부분의 도금층이 두꺼워지는 빌드업 현상을 방지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에어 나이프 자동수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연코일을 소재로 하는 아연도금 스트립 생산라인은 도 1의 전체공정도를 살펴보면, 페이오프릴(10)에 권취된 코일형태의 스트립(S)이 용접기(11)와 입측루퍼(12)를 거쳐 열처리로(13)에서 열처리 된 후, 아연도금조(14)를 거쳐 에어 나이프(15)에서 적정 상태의 도금층을 유지하게 부착시킨다.
이어서, 공기 냉각장치(16) 및 수 냉각장치(17)에서 냉각 된 다음 엑스레이(18)에서 도금부착량을 측정한 후, 조질압연기(19)로 들어가 형상교정 및 내부응력을 제거하게 되고, 크롬처리 설비(20)에서는 내식성 향상을 위하여 화학처리를 한다.
이와 같은 공정을 마친 아연도금강판(S1)은 건조기(21)에서 건조된 후출측 루퍼(22)를 지나 텐션릴(23)에 코일형태로 감기거나 파일러(24)에 날개로 보관됨으로서 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 나이프(15)는 아연도금조(14)에서 도금된 코일에 수요가가 요구하는 도금부착량에 따라 적정도금량을 부착해 주는 설비로서, 이는 연속적으로 진행중인 아연도금강판에 적정압력의 공기를 분사 한 후 도금 부착량을 엑스레이(18)에서 피드백 받아 에어 나피으(15) 압력이나, 간격을 조정하여 적정 도금부착량을 조절해준다.
이때, 에어 나이프의 토출구에 드로스가 부착될 경우 이 드로스가 부착된 부분은 고압의 에어가 나오지 못하게 되어 아연도금강판에 빌드업(줄무늬 모양의 과다도금 된 형태) 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틸봉 끝에 강철 선재를 체결하여 된 치공구(A)를 이용하여 일일이 에어 나이프(15)의 상부로 올라가서 작업자가 직접 제거해야 하였으므로, 제품 품질면에서나, 제거 효율 측면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도 2 참조).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에어 나이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 나이프의 토출구가 막히게 됨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아연도금설비의 에어 나이프 자동수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 나이프의 토출구에 드로스가 부착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된 신호를 표출시킴과 아울러 수입장치를 조정하여 주는 컴퓨터와, 이 컴퓨터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에어 실린더와, 이 에어 실린더에 설치되어 토출구 상에서 슬라이딩 되는 스크레이퍼로 구성함에 따라, 안전한 상태에서 에어 나이프의 토출구를 수입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연도금 스트립의 전체 라인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에어 나이프의 토출구 수입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에어 나이프 토출구의 자동수입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를 발췌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에어 나이프110:토출구
120:가이드홈200:감지센서
300:토출구수입장치310:전자밸브
320:실린더330:스크레이퍼
340,340':리미트 스위치400:컴퓨터
이하, 본 고안의 아연도금설비의 에어 나이프 자동수입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에어 나이프 자동수입장치와 그 일부 발췌도로서, 에어 나이프(100)의 상측에 에어 토출구(110)의 막힘을 감지하는 빌드업 감지센서(200)가 설치되고, 이 감지센서(200)는 다음에서 설명할 토출구 수입장치(300)에 출력신호를 보내는 컴퓨터(4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 수입장치(300)는 컴퓨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전자 밸브(310)와 유체에 의해 동작되는 실린더(320)와 에어 토출구(110)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스크레이퍼(3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320)에 의해 동작되는 스크레이퍼(330)는 에어 토출구(110)의 상·하부 어느 한측에 형성한 가이드 홈(1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스크레이퍼(330)가 동작되는 양단에는 그 동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340)(340')가 각각 부설되어 있다.
따라서, 아연도금조를 통과한 스트립의 표면에 에어 나이프(100)로부터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켜 도금층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그 에어토출구(110)에 드로스가 부착되어, 연속작업중인 아연도금 스트립에 빌드업 마크가 발생되면, 즉시 에어 나이프(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빌드업 감지센서(200)가 좌·우로 왕복하면서 빌드업 마크를 발견하고, 이와 동시에 컴퓨터(400)에 감지신호를 표출시켜 드로스가 에어 토출구(110)에 부착되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어서, 컴퓨터(400)에서 전자밸브(310)에 전진신호를 주게 되면 이에 의해 실린더(320)가 동작되고 이 실린더에 설치된 스크레이퍼(330)가 에어 토출구(110) 상에서 이동하면서 드로스를 제거시킨 후, 반대측 리미트 스위치(340')와 접촉하게 된다. 리미트 스위치(340')가 접촉되는 순간 컴퓨터(400)가 리미트 스위치(340')의 접촉신호를 받아 전자밸브(310)에 후진신호를 주게 되어 실린더가 후진되다가 원위치의 리미트 스위치(340)에 접촉되면 이 신호가 컴퓨터(400)로 들어가 컴퓨터(400)가 정지신호를 전자밸브(310)에 보내어 토출구 수입장치(300)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에어 나이프에서 발생되는 부착량 편차 불량이나 아연도금 스트립의 표면에 발생된 빌드업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 수입장치를 무인화 함으로써, 에어 나이프가 설치된 고소에서 작업할 때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제거시킴은 물론, 불량 발생을 줄이게 되어 전체적인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에어 나이프(100)의 상측에 에어 토출구(110)의 막힘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빌드업 감지센서(200)와,
    상기 감지센서(200)의 입력 신호를 토출구 수입장치(300)로 출력하여 제어하는 컴퓨터(400)와,
    상기 토출구 수입장치(300)는 컴퓨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전자밸브(310)와 유체에 의해 동작되는 실린더(320)와 에어 토출구(110)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스크레이퍼(3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320)에 의해 동작되는 스크레이퍼(330)는 에어 토출구(110)의 상·하부 어느 한측에 형성한 가이드 홈(120)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하되 스크레이퍼(330)가 동작되는 양측에 그 동작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340)(340')가 각각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금설비의 에어 나이프 자동수입장치.
KR2019960059091U 1996-12-27 1996-12-27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 자동청소장치 KR200206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091U KR200206497Y1 (ko) 1996-12-27 1996-12-27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 자동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091U KR200206497Y1 (ko) 1996-12-27 1996-12-27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 자동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949U true KR19980045949U (ko) 1998-09-25
KR200206497Y1 KR200206497Y1 (ko) 2001-01-15

Family

ID=5399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091U KR200206497Y1 (ko) 1996-12-27 1996-12-27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 자동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49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265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용융아연 도금설비의 에어나이프용 가공장치
KR100856307B1 (ko) * 2006-06-28 2008-09-03 주식회사 포스코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KR100880572B1 (ko) * 2002-06-03 2009-01-30 주식회사 포스코 취입능이 향상된 아연도금 강판의 에어나이프 장치
KR100963426B1 (ko) * 2003-07-07 2010-06-15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 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연마 및 립 조정장치
KR101580665B1 (ko) 2015-06-16 2015-12-28 효성산업 주식회사 아연도금강판의 테이크 업 롤 장치
KR101583550B1 (ko) 2015-06-16 2016-01-19 효성산업 주식회사 에어나이프의 립클리너 이송장치
CN114774825A (zh) * 2022-03-10 2022-07-22 冠县仁泽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锌层厚度自动控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566B1 (ko) * 2002-04-23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형 에어나이프의 노즐 청소장치
KR101075916B1 (ko) 2008-11-07 2011-10-26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나이프의 립 크리너
KR101290318B1 (ko) * 2011-09-23 2013-07-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통기공을 구비한 에어 나이프용 립 클리너
KR101290317B1 (ko) 2011-09-23 2013-07-2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칭 구조를 이용한 에어 나이프용 립 클리너
KR101624576B1 (ko) 2015-02-25 2016-06-08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클리너 팁 탈착장치
KR101773507B1 (ko) 2015-09-07 2017-09-0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용 분할형 클리너 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1265A (ko) * 2000-12-22 2002-06-28 이구택 용융아연 도금설비의 에어나이프용 가공장치
KR100880572B1 (ko) * 2002-06-03 2009-01-30 주식회사 포스코 취입능이 향상된 아연도금 강판의 에어나이프 장치
KR100963426B1 (ko) * 2003-07-07 2010-06-15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 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연마 및 립 조정장치
KR100856307B1 (ko) * 2006-06-28 2008-09-03 주식회사 포스코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KR101580665B1 (ko) 2015-06-16 2015-12-28 효성산업 주식회사 아연도금강판의 테이크 업 롤 장치
KR101583550B1 (ko) 2015-06-16 2016-01-19 효성산업 주식회사 에어나이프의 립클리너 이송장치
CN114774825A (zh) * 2022-03-10 2022-07-22 冠县仁泽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锌层厚度自动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497Y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45949U (ko) 아연도금 설비의 에어 나이프(Air Knife) 자동수입장치
EP01953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ld-rolled steel strip
KR101910756B1 (ko) 연속 용융 금속 도금 방법 및 용융 아연 도금 강대와 연속 용융 금속 도금 설비
FI101944B (fi) Teräsnauhan valu
CN103531303B (zh) 采用焊接包覆法生产软态铜包钢线的工艺
DE69827569T2 (de) Bandsteuerung
CA1174460A (en) Continuous gold rolling and annealing apparatus for steel strip
CN113953479A (zh) 一种改善薄带钢钢卷翻边的方法
JP6500846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設備
KR101069991B1 (ko) 강판 도금 라인의 스나우트 장치
CN112813233B (zh) 一种热镀锌带钢温度过渡方法
KR100362674B1 (ko) 열간압연강판의 무주수 선단부 냉각장치
KR100711387B1 (ko) 열연강판의 길이방향 온도 제어방법
KR20020050858A (ko) 에어나이프의 노즐 갭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807665B1 (ko) 연속 용융도금라인의 소음 제거장치
JPH0254746A (ja) 帯状物の幅方向反り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0052734A (ko) 수세용액 중성화를 이용한 열연강판의 부식 발생 방지법및 그 시스템
KR950006405Y1 (ko) 아연도금 강판의 과도금 발생 방지장치
KR950004238B1 (ko) 아연도금강판의 이물질 제거용 공기분사장치
JPS6344166Y2 (ko)
KR100478848B1 (ko) 산세강판의 표면결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623996B2 (ja) エッジマスクの絶縁監視制御装置
KR100469303B1 (ko) 산세공정의 수세구역에서 발생하는 열연강판 부식방지방법
CN112756990A (zh) 一种不锈钢多卷连续作业研磨机组的控制方法
KR20040048263A (ko) 폭방향 에어 송풍량이 조절이 가능한 에어나이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