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189B1 -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189B1
KR102217189B1 KR1020200061505A KR20200061505A KR102217189B1 KR 102217189 B1 KR102217189 B1 KR 102217189B1 KR 1020200061505 A KR1020200061505 A KR 1020200061505A KR 20200061505 A KR20200061505 A KR 20200061505A KR 102217189 B1 KR102217189 B1 KR 10221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ove
decorative film
thickness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0006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식 필름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 및 상기 기재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개재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제1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DECORA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데코레이션을 위하여, 사출물 표면에 도장, 수전사 공법, 인서트 몰드 공법 등을 사용하여 디자인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수전사 공법 또는 인서트 몰드 공법은 표면에 엠보 무늬를 형성하여 표면 질감을 부여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표면 질감을 부여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데코레이션 시트 또는 데코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데코레이션 시트 또는 데코 시트는 접착제 등을 통하여 사출물에 부착되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엠보 무늬를 통해 우수한 표면 질감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데코레이션 시트 또는 데코 시트가 엠보 무늬를 갖게 되며, 이러한 엠보 무늬는 통상적으로 가열하여 엠보롤(Embo roll)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식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엠보 부위에만 색을 넣는 와이핑 인쇄나, 엠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 색을 입히는 Top Printing 등의 추가적인 도장 공법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장 공법에는 별도의 색을 주입하기 위한 특수 설비가 필요하고, 또한 공정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식 필름에 형성된 특정한 무늬에 별도의 색상을 주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식 필름 및 이러한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식 필름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 및 상기 기재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개재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제1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기재층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기재층의 하면이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에 인접한 상기 인쇄층은 경사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보호층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장식 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의 깊이는, 상기 제1 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상기 장식 필름의 평균 두께의 20% 내지 300%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재층 및 보호층은, PVC, PP 및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 아래에 위치하는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0.01 ~ 0.3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0.01 ~ 0.2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장식 필름의 두께는, 상기 제1 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상기 장식 필름의 평균 두께의 20% 내지 90%일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상기 제1 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상기 기재층의 평균 두께의 20% 내지 9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은, 표면에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엠보롤을 마련하는 단계, 기재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 위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엠보롤로 상기 기재층, 상기 인쇄층 및 상기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장식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제1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장식 필름이 상기 엠보롤과 상기 엠보롤과 마주보는 지지롤 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상기 돌기부 중 상기 제1 홈부를 형성하는 돌기부의 높이는 0.1 ~ 0.7 밀리미터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장식 필름에 형성된 특정한 무늬에 별도의 색을 주입하지 않고 별도의 색을 주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엠보롤에 의해 의한 엠보 공정만으로, 장식 필름에 특정한 무늬를 형성하고 동시에 특정한 무늬에 색을 주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홈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인쇄층이 절개되지 않은 홈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의 단면을 확대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장식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장식 필름을 적층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엠보롤을 이용하여 장식 필름에 홈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3의 엠보롤의 A 영역 표면을 확대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1 홈부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인쇄층이 절개되지 않은 홈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10)은 기재층(100), 인쇄층(200), 보호층(300) 및 제1 홈부(E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엠보롤(50, 도 13 참조)에 의해 제1 홈부(E1)에서 인쇄층(200)이 절개되어 기재층(100)이 보여지게 되는데,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의 색이 보여짐에 따라 기재층(100)에 의해 제1 홈부(E1)에 특정한 색을 입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재층(100)은 장식 필름(10)의 베이스가 되는 층으로, 장식 필름(10)의 지지력 및 기계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홈부(E1)에 특정한 색을 입힌 효과를 내기 위해, 기재층(100)은 특정한 색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색'은 색상, 명도, 채도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기재층(100)은 PVC(폴리염화 비닐, Polyvinylchloride),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lene Terephthalate),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O(Polyolefin), PLA(Poly latic acid) 및 PA(Polyamid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폴리염화 비닐(PVC)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잘 마모되지 않고, 또한 색을 내기 쉽다. 따라서, 기재층(100)에 특정한 색을 입히기 용이하다. 또한, 폴리염화 비닐(PVC)은 연질 성질로 인해 가공이 용이하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투명도가 높고 단열성이 우수하여, 단열성이 높은 장식 필름(10)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P)은 가볍고 마찰에 강한 특성을 가진다. 한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프로필렌(PP)는 친환경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층(100)은 기재층(100) 위에 적층되는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과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재층(100)은 인쇄층(200) 또는 보호층(3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재층(100)은 인쇄층(200) 또는 보호층(30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재층(100)은 0.01 내지 0.3 밀리미터(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기재층(100)은 기재층(100) 위에 적층되는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을 지지하도록,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기재층(100)은 인쇄층(200)과 다른 색조(tone)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층(100)은 인쇄층(200)보다 밝은 색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200)은 다크 브라운(dark brown), 기재층(100)은 라이트 브라운(light brown)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홈부(E1)에서 인쇄층(200)뿐만 아니라 기재층(100)의 색조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즉, 제1 홈부(E1)에서 인쇄층(200)의 다크 브라운과 기재층(100)의 라이트 브라운이 혼합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인쇄층(200)은 기재층(100) 위에 위치하는 층으로, 특정한 색을 나타내는 층이다. 이러한 인쇄층(200)에 의해 장식 필름(10)의 전체적인 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인쇄층(200)은 장식 필름(10)의 용도에 따라 필요한 문자, 무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200)은 기재층(100) 위에 잉크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층(200)은 바인더 수지, 유기계 또는 무기계 안료, 용매,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잉크 조성물을 기재층(100) 위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인쇄층 형성 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슬롯 다이 코팅 등을 이용하여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인쇄층(200)은 0.05 내지 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쇄층(200)의 두께(T1)는 0.1 내지 2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여기에서, 인쇄층(200)의 두께(T1)는 제1 홈부(E1)와 제1 홈부(E1)에 인접한 인쇄층(200)의 경사면(S)을 제외한 대체로 평편한 인쇄층(200)의 두께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층(200)은 색을 나타내기 위한 층으로, 그 두께는 기재층(100) 및 보호층(300) 보다 작을 수 있다.
보호층(300)은 인쇄층(200) 위에 위치하는 층이다. 보호층(300)은 아래에 위치한 인쇄층(200) 및 기재층(100)을 보호하며, 또한 장식 필름(10)의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보호층(300)은 인쇄층(200)이 나타내는 색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층(300)은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과의 접착력을 위해 인쇄층(200) 또는 보호층(30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층(300)은 인쇄층(200) 또는 기재층(100)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호층(300)은 PVC(폴리염화 비닐, Polyvinylchloride),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lene Terephthalate), PP(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O(Polyolefin), PLA(Poly latic acid) 및 PA(Polyamid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300)의 두께는 0.01 내지 0.2 밀리미터 일 수 있다. 보호층(300)의 두께가 0.01 밀리미터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이 약해져 장식 필름(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가 없다. 또한, 보호층(300)의 두께가 0.2 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층(300)에 의한 가시광선의 반사 또는 굴절에 의해 인쇄층(200)이 표현하고자하는 색 또는 무늬의 표출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층(300)은 인쇄층(200) 위에 필름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보호층(300)은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형태로 인쇄층(200) 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보호층(300)의 형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식 필름(10)은 제1 홈부(E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부(E1)는 인쇄층(200)이 제거되어 기재층(100)이 드러나는 영역이다. 장식 필름(10)에서 기재층(100),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이 모두 차례로 적층된 영역과 달리, 제1 홈부(E1)는 인쇄층(200)이 제거되어 기재층(100) 및 보호층(300)이 적층된 영역이다.
제1 홈부(E1)에서, 위에서 아래를 바라볼 때, 즉 외부에서 장식 필름(10)을 바라볼 때 기재층(100)이 보호층(300)을 통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의 색이 보여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제1 홈부(E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기재층(100)이 인쇄층(200)에 의해 가려져 기재층(100)의 색이 외부에 나타나지 않는다.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쇄층(200)이 제거된 기재층(100)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층(100)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기재층(100)의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오목'은 파여 있거나 들어가 있는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변에 비해 높이가 낮은 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오목한 부분이 이루는 단면은 뾰족하게 파인 형상, 둥글게 파인 형상, 단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 상면의 오목한 정도, 즉 기재층(100) 상면의 홈의 깊이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 필름(10)에 형성된 제1 홈부(E1)의 위치에 따라, 제1 홈부(E1)에서의 기재층(100) 상면의 홈의 깊이가 다를 수 있다.
한편, 제1 홈부(E1)에서, 보호층(300)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층(300)은 기재층(100)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 대응된 홈을 가질 수 있다.
제1 홈부(E1)의 기재층(100)의 홈과 마찬가지로, 제1 홈부(E1)의 보호층(300) 상면의 홈의 깊이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장식 필름(10)에 형성된 제1 홈부(E1)의 위치에 따라, 제1 홈부(E1)에서의 보호층(300) 상면의 홈의 깊이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부(E1)의 보호층(300) 상면에 형성된 상기 홈은 외부에서 볼 때 본 실시예의 장식 필름(10)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제1 홈부(E1)에서 장식 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홈의 깊이(T5)는, 제1 홈부(E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10)의 평균 두께(T4) 대비 20% 내지 30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홈의 깊이(T5)는 상기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10) 평균 두께(T4) 대비 40% 내지 250%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홈부(E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10)의 평균 두께(T4)는, 제1 홈부, 제2 홈부 및 제3 홈부 등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임의의 5곳에서 측정한 장식 필름 두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상기 홈의 깊이(T5)가 장식 필름(10)의 평균 두께(T4) 대비 100%를 초과하는 경우는, 홈의 깊이(T5)가 장식 필름(10)의 두께(T4)보다 큰 경우이다. 이는, 후술하는 돌기부(P)의 높이(H3)가 장식 필름(10)의 두께(T4)보다 큰 엠보롤(50)을 사용하여 제1 홈부(E1)를 형성하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 필름(10)을 이루는 기재층(100),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이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이러한 홈의 깊이(T5)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의 하면이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재층(100)은 기재층(100)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되어 아래로 볼록한 돌기를 가질 수 있다. 기재층(100) 하면에 형성된 돌기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후술하는 기재층(100) 하면에 결합될 수 있는 접착층 또는 점착층과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볼록'은 돌출되거나 도드라진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변에 비해 높이가 높은 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볼록한 부분이 이루는 단면은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 둥글게 돌출된 형상, 단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홈부(E1)에서 보호층(300)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됨에 따라 장식 필름(10)의 상부가 제1 홈부(E1)에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의 하면이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장식 필름(10)의 하부가 제1 홈부(E1)에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홈부(E1)에서 인쇄층(200)이 제거되고, 기재층(100)의 상면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또한 보호층(300)의 상면에도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엠보롤(50)로 장식 필름(10)을 가압하여 제1 홈부(E1)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제1 홈부(E1)에서는 기재층(100), 인쇄층, 보호층(300)이 엠보롤(50)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제1 홈부(E1)에서의 장식 필름(10)의 두께(T6)가 제1 홈부(E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10)의 두께(T4)보다 작다.
이때, 제1 홈부(E1)의 장식 필름(10)의 두께(T6)는, 제1 홈부(E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10)의 평균 두께(T4) 대비 20% 내지 9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홈부(E1)의 장식 필름(10)의 두께(T6)는 상기 두께(T4) 대비 30% 내지 80% 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홈부(E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10)의 평균 두께(T4)는, 제1 홈부, 제2 홈부 및 제3 홈부 등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임의의 5곳에서 측정한 장식 필름 두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층(100) 또는 보호층(300)이 연질 성질을 가짐에 따라 상기 제1 홈부(E1)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홈부(E1)에 의해 장식 필름에 엠보 무늬의 표현이 우수해지고, 페인티드 우드 느낌이 생생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의 두께(T8)는, 제1 홈부(E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기재층(100)의 평균 두께(T7) 대비 20% 내지 9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의 두께(T8)는 상기 두께(T7) 대비 30% 내지 80% 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홈부(E1)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기재층(100)의 평균 두께(T8)는, 제1 홈부, 제2 홈부 및 제3 홈부 등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임의의 5곳에서 측정한 기재층 두께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이때, 제1 홈부(E1)에서, 상기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10)의 평균 두께(T4) 대비 기재층(100)의 두께(T8)의 비율이, 상기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10)의 평균 두께(T4) 대비 보호층(300)의 두께의 비율 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홈부(E1)의 보호 효과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외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 필름(10)은 제1 홈부(E1) 외에 제2 홈부(E2) 및 제3 홈부(E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홈부(E2)에서는 제1 홈부(E1)와 달리 인쇄층(200)이 제거되지 않고, 인쇄층(200)과 보호층(300)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E3)에서는 보호층(300)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10)은, 제1 홈부(E1)의 인접한 영역에서 인쇄층(200)의 단부는 경사면(S)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층(200)의 두께는 제1 홈부(E1)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사면(S)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경사면(S)에서의 인쇄층(200)의 두께(T2)는,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경우 뿐만 아니라, 경사면(S)을 따라 내려갈 때 두께가 작아지다가 두께가 다시 커지는 일부 구간을 가지는 경우까지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의 단면을 확대 촬영한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10)의 제1 홈부(E1)에서 인쇄층(200)이 제거되고, 제1 홈부(E1)에 인접할 수록 인쇄층(200)의 두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장식 필름(10)의 제1 홈부(E1)와 그 주변을 확대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은 도 6의 X 영역, 도 8은 도 6의 Y 영역, 도 9는 도 6의 Z 영역을 확대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제1 홈부(E1)와 이격된 영역으로 기재층(100),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이 모두 적층되어 있다. 도 7에서 인쇄층(200)의 두께(H1, H2)가 각각 580.6 나노미터(nm) 591.7 나노미터로 측정되어, 인쇄층(200)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제1 홈부(E1)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기재층(100) 및 보호층(300)이 존재하고 인쇄층(200)은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제1 홈부(E1)에 인접한 영역으로, 기재층(100),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이 존재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인쇄층(200)의 두께(H1)가 401.9 나노미터로 나타나, 도 7의 인쇄층(200)의 두께와 비교할 때 인쇄층(200)의 두께가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제1 홈부(E1)에 인접할수록 인쇄층(200)의 두께가 대체로 얇아지는 경향성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홈부(E1)에 인접할수록 인쇄층(200)의 두께가 작아지는 경사진 단면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경사진 단면에서의 인쇄층의 두께는, 인쇄층이 제거된 부분과 제1 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사이의 두께일 수 있다. 여기에서,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성은, 두께가 부분적으로 두꺼워졌다가 얇아지거나, 또는 얇아졌다가 두꺼워지는 경우까지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홈부(E1)를 통해 미리 정해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 필름(10)의 표면에는 복수의 제1 홈부(E1)에 의해 나뭇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뭇결 무늬 뿐만 아니라, 꽃 무늬, 대리석 무늬 등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의 색이 그대로 외부에 표출될 뿐만 아니라, 기재층(100)의 색이 기재층(100) 또는 보호층(300)의 오목한 홈에 의해 반사 또는 굴절이 발생하여 기재층(100)의 색조(tone)가 변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서와 같이, 인쇄층(200)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 기재층(100)의 색은 나타나지 않고, 인쇄층(200)의 색만 외부에 나타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식 필름(10)의 제1 홈부(E1)에서 인쇄층(200)이 제거되어 기재층(100)이 나타남에 따라, 제1 홈부(E1)의 구조에 의해 인쇄층(200) 및 기재층(100)의 색이 다양한 색조(tone)로 외부에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200)이 다크 브라운(dark brown)이고, 기재층(100)이 라이트 브라운(light brown)인 경우, 제1 홈부(E1) 및 그 주변에서는 다크 브라운, 라이트 브라운 뿐만 아니라, 다크 브라운이 색조 변화되거나, 라이트 브라운이 색조 변화되거나, 다크 브라운과 라이트 브라운의 혼합된 형태의 색이 외부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인쇄층(200)과 기재층(100)이 동일한 색을 갖는 경우, 예를 들어 인쇄층(200) 및 기재층(100)이 동일한 다크 브라운인 경우에도, 제1 홈부(E1) 및 그 주변에서는 기재층(100) 및 보호층(300)의 오목한 홈 형상에 의한 반사 또는 굴절에 의해 색조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제1 홈부(E1) 주변에서, 인쇄층(200)이 경사면(S)을 가짐에 따라, 인쇄층(200)의 경사면(S)에서 인쇄층(200)의 색조(tone)가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홈부(E1)에서 특정한 색을 표현하기 위해 별도의 색을 제1 홈부(E1)에 주입할 필요가 없다. 결국, 제1 홈부(E1)에서는 기재층(100)이 외부에서 별도로 주입하는 색을 대신하게 된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나뭇결 패턴을 이루는 제1 홈부(E1)에 별도의 색을 주입할 필요 없이, 제1 홈부(E1)의 기재층(100)으로 색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10)은 인쇄층(200)이 제거된 제1 홈부(E1)의 구조에 의해 나뭇결에 별도의 색을 주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엠보롤(50, 도 13 참조)에 의한 한번의 공정으로, 제1 홈부(E1)로 이루어진 패턴을 형성하고, 또한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제1 홈부(E1)에 특정한 색을 주입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10)은 점착층 또는 접착층(400)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1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재층(100) 하부에는 점착층 또는 접착층(400)이 결합될 수 있다. 점착층 또는 접착층(400)은 장식 필름(10)을 대상물에 영구적으로 부착하거나 필요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점착층 또는 접착층(400)은 아크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아마이드계 접착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계 접착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홈부(E1)에서, 기재층(100)은 아래로 볼록한 돌기를 가질 수 있다. 기재층(100) 하면에 형성된 돌기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점착층 또는 접착층(400)과 대상물의 접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점착층 또는 접착층(400) 하부에는 이형지(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이형지는 장식 필름(10)을 보관 또는 이송할 때 점착층 또는 접착층(40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장식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장식 필름을 적층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엠보롤을 이용하여 장식 필름에 홈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3의 엠보롤의 A 영역 표면을 확대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은, 엠보롤(50)을 마련하는 단계(S100), 기재층(100)을 마련하는 단계(S200),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S400) 및 장식 필름을 가압하여 제1 홈부(E1)를 형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엠보롤(50)은 장식 필름(10)을 가압하여 장식 필름(10)에 제1 홈부(E1) 내지 제3 홈부(E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엠보롤(50)의 표면에는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돌기부(P)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부(P)는 엠보롤(50)의 표면에 미리 정해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엠보롤(50)에 형성된 패턴은 장식 필름(10)에 형성될 패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장식 필름(10)에 나뭇결 무늬(W)를 형성하려면, 엠보롤(50)의 표면에는 돌기부(P)에 의해 나뭇결 무늬가 형성된다(도 18 참조).
이때, 돌기부(P)의 높이(H3)는 0.01 내지 0.7 밀리미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돌기부(P)의 높이에 의해 장식 필름(10)에 전술한 제1 홈부(E1), 제2 홈부(E2) 및 제3 홈부(E3)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P) 중 제1 홈부(E1)를 형성하는 돌기부(P)의 높이(H3)는 0.1 내지 0.7 밀리미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내지 제3 홈부(E1, E2, E3) 중 홈의 깊이가 가장 큰 제1 홈부(E1)를 형성하는 돌기부(P)의 높이가 다른 돌기부(P)보다 높이가 클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엠보롤(50)에 의해 장식 필름(10)에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기재층(100), 인쇄층(200) 및 보호층(300)이 적층된 장식 필름(10)을 제조한다.
기재층(100)은 장식 필름(10)의 베이스가 되는 층으로, 장식 필름(10)의 지지력 및 기계적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S200). 인쇄층(200)은 기재층(100) 위에 위치하는데, 인쇄층(200)은 기재층(100) 위에 잉크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인쇄층(200)은 바인더 수지, 유기계 또는 무기계 안료, 용매, 첨가제 등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잉크 조성물을 기재층(100) 위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인쇄층 형성 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슬롯 다이 코팅 등을 이용하여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300)은 인쇄층(200) 위에 위치하는 층으로, 외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층이다. 보호층(300)은 아래에 위치한 인쇄층(200) 및 기재층(100)을 보호하며, 또한 장식 필름(10)의 표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보호층(300)은 인쇄층(200)이 나타내는 색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층(300)은 인쇄층(200) 위에 필름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S400). 보호층(300)은 폴리염화비닐(PVC)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형태로 인쇄층(200) 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보호층(300)의 형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엠보롤(50)로 장식 필름(10)을 가압하여 장식 필름(10)에 제1 홈부(E1)를 형성할 수 있다(S500). 제1 홈부(E1)를 형성하는 과정은, 엠보롤(50)의 돌기부(P)가 장식 필름(10)의 표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고, 이때 엠보롤(50)의 돌기부(P)에 의해 인쇄층(200)이 절개되면서 제1 홈부(E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P) 중 가장 높이(H3)가 큰 돌기부(P)에 의해 인쇄층(200)이 절개되는 제1 홈부(E1)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P)가 장식 필름(10)의 표면인 보호층(300)을 가압하고, 보호층(300)이 눌러짐에 따라 얇은 두께의 인쇄층(200)이 절개되면서 제1 홈부(E1)가 형성된다.
이때, 엠보롤(50)에 의해 장식 필름을 가압하는 압력은, 3 kgf/cm2 내지 6 kgf/cm2 이다. 압력이 3 kgf/cm2 미만이면 인쇄층(200)이 절개되지 않고, 압력이 6 kgf/cm2 을 초과하면 인쇄층(200) 뿐만 아니라 기재층(100)까지 절개될 수 있다.
한편, 장식 필름(10)에 제1 홈부(E1)를 원활하게 형성하기 위해 엠보롤(50)은 일정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엠보롤(50)의 가열 온도는 100도 내지 180도일 수 있다. 엠보롤(50)의 가열 온도가 100도 미만이면 인쇄층(200)을 제거하기 어렵고, 엠보롤(50)의 가열 온도가 180도를 초과하면 높은 열에 의해 인쇄층(200) 뿐만 아니라 기재층(100)도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르면, 엠보롤(50)이 장식 필름(10)의 표면을 가압할 때, 엠보롤(50)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엠보롤(50)은 서로 마주보는 지지롤(70)과 같은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투입된 장식 필름(10)이 엠보롤(50)과 지지롤(70) 사이를 지나간다. 이때, 장식 필름(10)는 분당 5m 내지 25m를 움직이는 속도로 엠보롤(50)과 지지롤(70) 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지지롤(70)은 엠보롤(50)이 장식 필름(10)을 가압할 때, 장식 필름(10)을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롤(70)의 표면은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인쇄층(200)을 제거하여 기재층(100)의 색을 표출시켜, 특정한 패턴을 이루는 제1 홈부(E1) 내에 별도의 색을 주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엠보롤(50)에 의한 한번의 공정으로, 제1 홈부(E1)로 이루어진 패턴을 형성하고, 또한 일정한 패턴을 이루는 제1 홈부(E1)에 특정한 색을 주입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장식 필름
50: 엠보롤
100: 기재층
200: 인쇄층
300: 보호층
E1: 제1 홈부
E2: 제2 홈부
E3: 제3 홈부
P: 돌기부

Claims (16)

  1. 기재층;
    상기 기재층 위에 위치하는 보호층;
    상기 기재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개재된 인쇄층; 및
    상기 기재층 하면에 위치하는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에 인접한 상기 인쇄층은 경사진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기재층의 하면이 볼록하고,
    볼록한 상기 기재층의 하면이 상기 점착층 또는 접착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1 홈부에서 장식 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의 깊이는, 상기 제1 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장식 필름의 평균 두께의 20% 내지 300%이고,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0.01 ~ 0.3 밀리미터이고,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0.01 ~ 0.2 밀리미터이고,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0.05 ~ 5 마이크로미터인, 장식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기재층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식 필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보호층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장식 필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장식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보호층은, PVC, PP 및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식 필름.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장식 필름의 두께는, 상기 제1 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상기 장식 필름의 평균 두께의 20% 내지 90%인, 장식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상기 제1 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상기 기재층의 평균 두께의 20% 내지 90%인, 장식 필름.
  14. 표면에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된 엠보롤을 마련하는 단계;
    기재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기재층 위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엠보롤로 상기 기재층, 상기 인쇄층 및 상기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장식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돌기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 제1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홈부에서 하면이 볼록한 상기 기재층 아래에 접착층 또는 점착층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홈부에 인접한 상기 인쇄층은 경사진 단면을 가지고,
    볼록한 상기 기재층의 하면이 상기 점착층 또는 접착층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제1 홈부에서 상기 장식 필름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의 깊이는, 상기 제1 홈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상기 장식 필름의 평균 두께의 20% 내지 300%이고,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0.01 ~ 0.3 밀리미터이고,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0.01 ~ 0.2 밀리미터이고,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0.05 ~ 5 마이크로미터인,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장식 필름이 상기 엠보롤과 상기 엠보롤과 마주보는 지지롤 사이를 지나가는,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중 상기 제1 홈부를 형성하는 돌기부의 높이는 0.1 ~ 0.7 밀리미터인, 장식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200061505A 2020-05-22 2020-05-22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7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05A KR102217189B1 (ko) 2020-05-22 2020-05-22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05A KR102217189B1 (ko) 2020-05-22 2020-05-22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189B1 true KR102217189B1 (ko) 2021-02-18

Family

ID=7468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505A KR102217189B1 (ko) 2020-05-22 2020-05-22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931B1 (ko) * 2022-10-21 2023-08-09 주식회사 재현인텍스 선명한 엠보 패턴이 형성된 pvc 필름을 포함하는 문짝용 abs 패널을 포함하는 문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9834A (ja) * 1989-05-12 1990-12-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の製造方法
JP2019120014A (ja) * 2017-12-28 2019-07-22 東リ株式会社 内装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9834A (ja) * 1989-05-12 1990-12-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材の製造方法
JP2019120014A (ja) * 2017-12-28 2019-07-22 東リ株式会社 内装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931B1 (ko) * 2022-10-21 2023-08-09 주식회사 재현인텍스 선명한 엠보 패턴이 형성된 pvc 필름을 포함하는 문짝용 abs 패널을 포함하는 문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032B1 (ko) 가식 시트와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 동시 가식 방법
JP5221634B2 (ja) 立体感形成外装材
JP4951895B2 (ja) 加飾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70013A1 (en) Low Glossing-Metallic Luster Decorative, Sheet, And Laminated Body Laminating The Same
JP7026692B2 (ja) 装飾面を有する成形プラスチック部品の製造方法及び装飾面を有する成形プラスチック部品
KR102217189B1 (ko) 장식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8162165A (ja) 樹脂成形品の表面加飾方法及び樹脂成形品
KR101470645B1 (ko) 인서트 가식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2010234562A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KR101283863B1 (ko) 전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KR100665169B1 (ko) 디지털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물
KR102100669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차량용 내장재
JP3951667B2 (ja) 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JP5569801B2 (ja) 加飾合成樹脂成形品
JP2006255915A (ja) エンボス加飾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紙製容器
JP3710858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フィルム
JP2003094592A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06034158U (zh) 一种表面加饰定位防伪镭射效果的pu人造革
JPH0852760A (ja) 印刷化粧積層材
US20090289389A1 (en)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712242B (zh) 立体视觉的模内成型标签
CN214694733U (zh) 一种具有立体纹理效果的洗衣机显示面板
JP5794033B2 (ja) インモールド用転写箔
CN216074536U (zh) 一种具有镭射图案的电化铝烫印水松纸
JP2010162808A (ja) 射出成形用化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