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932B1 -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 - Google Patents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932B1
KR102216932B1 KR1020200103893A KR20200103893A KR102216932B1 KR 102216932 B1 KR102216932 B1 KR 102216932B1 KR 1020200103893 A KR1020200103893 A KR 1020200103893A KR 20200103893 A KR20200103893 A KR 20200103893A KR 102216932 B1 KR102216932 B1 KR 10221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dried persimmon
dried
moisture content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이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석 filed Critical 이상석
Priority to KR1020200103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15Post-treatment of dried fruits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9Other cheese preparations; Mixtures of cheese with othe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4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23L19/05Stuffed or cored products; Multilayered or coated products;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23L19/15Unshaped dry products, e.g. powders, flakes, granules or agglome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4/00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 A23N4/02Machines for stoning fruit or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from fruit, characterised by their stoning or removing device for stoning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onfectioner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곶감 속에 소를 주입하여 제조되는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에 관한 것으로, 주 재료로 곶감을 이용하고 이에 다양한 식재료를 곶감 속에 넣어 먹을 수 있는 감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재료로 사용되는 감을 건조시켜서 곶감으로 만드는 단계; 상기 곶감안에 채우기 위한 소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곶감을 타공하는 단계; 조성된 소를 타공한 곶감안에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감 빵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Persimmon Bread Manufacturing Method and Persimmon Bread Manufactured by Such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감, 특히 곶감속에 소를 주입하여 제조하는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에 관한 것이다.
감의 떫은맛 성분은 디오스프린이라는 타닌(tannin) 성분인데, 디오스프린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쉽게 떫은맛을 내지만 아세트알데히드(acetaldhyde)가 타닌과 결합하여 불용성이 되면 떫은맛이 사라진다. 감에는 비타민A, B, C가 풍부하고 펙틴(pectin)과 카로티노이드(carotenoid)가 함유되어 있어 성인병 예방에 좋다. 한방에서는 성숙과의 감꼭지는 딸국질, 야뇨증, 구토 등에 좋고, 곶감은 해소, 토혈, 이질, 객혈 등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곶감은 자연건조 시키므로 육질이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과 당분 함량이 높아 달콤한 맛이 특징으로, 겨울철에 많이 먹는 간식이다.
곶감은 인체에 매우 유익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곶감의 생산량은 매해 증가하는 추세이나 선물용, 간식 외에 곶감을 이용한 상품 개발이 다른 과일에 비해 아직까지는 낮은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0476호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곶감 본연의 맛과 식감을 살리며, 유효한 성분에 다양한 재료를 더함으로써 다양한 풍미를 즐길 수 있는 감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감을 건조시켜서 곶감으로 만드는 단계; 상기 곶감안에 채우기 위한 소를 조성하는 단계; 상기 곶감을 타공하는 단계; 조성된 소를 타공한 곶감안에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빵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곶감의 영양 성분과 식감, 향 및 시각적인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다양한 소를 충전함으로 곶감이 가진 유익한 성분에 배가 되어 누구나 부담 없이 섭취하며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곶감 속에 채워지는 속재료인 소를 다양하게 마련하여 채울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기호에 따른 감 빵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감 빵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곶감은 생감을 가공해서 만드는 말린 과일이다. 곶감의 내부에 속재료를 채워 다과로 먹는 것을 감 빵 또는 곶감 말이라고 부른다.
곶감의 흰 가루는 과당, 포도당, 만니톨 등의 당류로 이루어져 있다.
덜 익은 생감의 껍질을 얇게 벗겨낸 뒤, 대꼬챙이나 싸리꼬챙이 같은 것에 꿰어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매달아 건조시킨다. 과거에는 곶감을 널 때 금속제 실핀을 이용해 고정했지만, 실핀이 녹슬어 비위생적일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전용 곶감 걸이가 출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수분이 30~45% 정도로 건조되었을 때 속의 씨를 빼내고 손질하여 다시 건조시킨다. 크기나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실내에서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면 5일 정도 걸린다. 손질한 곶감을 볏짚에 싸서 상자에 늘어놓고 밀페된 상태로 두면 감이 완전히 건조되면서 표면에 포도당의 흰 가루가 생기는데, 곶감의 표면이 하얗게 변하면 곶감을 다시 한번 건조시켜 상자에 넣고 밀폐해 두면 곶감이 된다.
여기서, 건조 상태에 따라 건시 또는 반건시로 될 수 있고, 반건시는 수분이 아주 적은 건시인 곶감보다 수분이 많아 맛이 더 차지고, 부드러워서 씹기도 편하다. 또한 표면에 포도당 결정 '하얀 가루'가 맺히지 않는다. 이 때문에 빛깔도 곱고 모양도 보기 좋아 건시보다 상품 가치가 높다.
그러나 본래 곶감을 만드는 이유는 장기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인데, 반건시는 수분이 많은 만큼 변질되기가 쉬워 유통기한이 길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감의 종류는 단감과 떫은감으로 분류하기도 하며 크기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는 대봉시(대봉감) 품종에는 사곡시, 단성시, 고종시, 분시, 원시, 횡야, 평핵무 등이 있다.
대봉시(대봉감)는 끝이 뾰족하고 길쭉하며 크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수 있는 감이 대봉시이다. 대봉시는 과육이 단단했을 때는 떫은맛이 강해 먹기가 힘들지만 완전히 익어서 물렁물렁한 홍시가 되면 무척이나 당도가 높고 맛이 좋다. 본 발명의 감 빵 제조 방법에서는 대봉시를 주재료로 활용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단감을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감을 건조시켜서 곶감으로 만들고, 곶감 속에 소를 충전하여 감빵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제조 방법은 감을 건조시켜서 곶감(12)으로 만드는 단계(S1), 곶감(12)안에 채우기 위한 소(14)를 조성하는 단계(S2), 상기 곶감(12)을 타공하는 단계(S3), 조성된 소(14)를 상기 타공한 곶감(12)안에 충전하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감의 껍질을 벗겨낸 다음, 소정의 기간 동안 감을 건조시켜서 곶감(12)으로 만드는데, 건조 상태에 따라 곶감(12), 곶감(12)보다 수분율이 높은 반건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곶감(12)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감의 꼭지는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둘 수 있다. 이는 감을 말릴 때 활용하기 위함과 동시에 데코레이션 효과도 있을 수 있다.
곶감(12)안에 채워지는 소(14)는 앙금, 견과류, 아이스크림, 치즈, 크림, 빵가루, 다과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곶감(12)안에 소(14)를 채우기 전에 곶감(12)안에 식용 가스를 충전하여 곶감(12)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용 가스는 식용 탄산 가스일 수 있다.
또한, 곶감(12)안에 충전되는 소(14)에 의해 곶감(12)의 수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함량이 있는 앙금 또는 아이스크림 등을 소(14)로 채울 경우 곶감(12)이 갖는 수분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소(14)를 충전한 곶감(12)은 충전하는 소(14)의 종류에 따라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여 감빵(10)으로 조성할 수 있다. 즉, 소(14)를 아이스크림으로 조성하여 곶감(12)안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냉동 보관을 하고, 나머지 종류의 소(14)로 곶감(12)안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다.
소(14)를 조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소(14)가 경질의 식재료인 경우에는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14)를 견과류로 하는 경우, 소정의 분쇄기에 견과류를 넣고 분쇄하고, 분쇄된 견과류를 충전기를 통해 곶감(12)안에 소정량을 주입시킬 수 있다.
충전기를 통한 주입 시, 충전기의 단부에는 주사기 바늘과 같이 가늘고 뾰족한 형태의 주입기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주입기를 통해 곶감(12)의 꼭지 부분 또는 꼭지 주변 부분을 찔러서 타공한 다음 소(14)를 충전시킬 수 있다. 곶감(12)의 꽂지 부분을 타공하는 이유는 곶감(12)의 다른 부분을 통해 충전할 수 있으나, 미관상 이유로 타공한 흔적이 보이지 않도록 꼭지 부분을 타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감빵(10)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겉은 곶감(12)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곶감(12)의 내부에는 소(14)가 충전된 구조일 수 있다. 겉은 곶감(12) 즉, 건시 또는 반건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곶감을 도시하였다.
구체적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 예]
1. 감을 건조시켜서 곶감으로 만드는 단계(S1)
예를 들어 반건시를 만드는 단계로서 먼저 적당히 붉은 빛이 도는 감을 마련한다.
무르거나 덜 익어서 푸른 감은 사용할 수 없다. 대봉시는 크고 과육이 단단해서 반건시로 만들어 내부에 소(14)(속재료)를 채워 넣기에 바람직한 품종일 수 있다. 또는 씨앗이 없는 품종을 활용하여 반건시로 만들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도 반시 또는 둥시는 씨없는 감으로 알려져 있다.
대봉시를 사용할 경우, 개당 중량이 250~300g 인 대봉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감을 건조시킬 경우 수분 증발과 씨앗 제거 과정에서 감의 크기가 작아지고 중량 또한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은 감을 사용할 경우보다 내부에 소(14)를 더 많이 채울 수 있고, 큰 크기로 인해 먹음직스럽게 보일 수도 있다.
씨앗이 없는 감의 경우 그 크기가 대봉시보다 대체로 작은 경우가 많다. 대봉시와 다르게 씨앗이 없으므로 씨앗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손실되는 중량이 없다. 그러므로 내부에 소(14)를 채우기 위해 중량 120g 이상의 감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은 감꼭지 부분을 정리하는 것이다. 감꼭지의 날개부분을 깔끔하게 떼어준다. 단, 감꼭지의 가지와 연결되는 부분은 자르면 안된다. 감을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감을 걸어두는 것 이외에도 과일을 고르는 기준 중에 예들 들어 수박 꼭지가 마르지 않은 것을 신선한 과일로 여기듯이 감꼭지는 건조과일 일지라도 사람들의 무의식에 자리잡은 편견이 존재하기에 꼭지를 자르지 않고 두는 것이 구매 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일 수 있다.
그 다음 감을 깍는다. 살을 많이 도려내지 않게 깎는 것이 중요하다. 매끈하게 깎는다. 보통 과도로 깎는데 손질이 어려우면 감자칼로 깎을 수도 있다.
손질한 감을 매달아야 한다. 감꼭지의 가지와 연결되는 부분에 실을 감아준다. 하지만 이 방법은 힘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곶감(12) 걸이를 구입해서 걸 수 있다.
감을 말린다. 감을 말리기에 좋은 곳은 낮에 햇볕이 잘 들고, 바람이 선선하게 잘 통하는 곳이다. 습도와 온도가 높아지면 감이 썩을 수 있으므로 낮은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습도 30% 이하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연 건조를 할 경우 감을 약 두 달 정도 말려주면 속까지 쫀득쫀득한 곶감(12)이 되고, 3주에서 5주 정도 말리면 겉은 쫀득하고 속은 촉촉한 반건조 곶감(12) 즉 반건시가 될 수 있다. 단, 자연 건조를 할 경우에는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실내에서 외부 공기를 차단하고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실내에서 열풍 건조기를 이용할 경우 반건시 제조 과정이 2주일 이내로 단축될 수 있다. 열풍 건조기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실내 기온을 20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감을 건조시키는 과정은 2주 이상을 소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짧은 기간으로 건조시키면 모양은 곶감의 형태를 띄더라도 감의 겉부분만 건조해지고 속은 숙성되지 않아 감의 떫은맛이 잔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건조 전 대비하여 건조 후 수분 30~45% 를 가지는 반건시를 만들 수 있다.
수분 함량에 따라서 30~50%의 수분 함량을 갖는 건조감을 반건시라고 하며, 수분 함량 30% 미만의 건시를 곶감(12)이라고 한다. 수분 함량 60% 이상의 건조감은 겉은 젤리같이 말랑하지만 내부가 홍시 상태에 가깝다.
그러므로, 수분 함량이 많은 반건시의 경우, 내부에 건조한 재료 예를 들어 베이커리류 또는 견과를 채울 경우, 촉촉한 홍시의 맛과 겉부분의 곶감 그리고 속재료의 풍미를 느낄 수도 있다.
건조 전 대비 수분 함량이 30% 미만으로 내려갈 경우, 감의 크기가 작아져 감 내부에 소(14)를 채우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 경우 소를 채우기 위한 과정으로서 곶감 내에 식용 가스로서, 탄산 또는 질소 가스를 충진하여 소를 채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분 함량이 적다 하더라도 수분 함량이 많은 소를 채울 경우라면 수분 함량이 적은 곶감(1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크림, 아이스크림, 앙금 등의 소를 사용한다면 수분 또는 유분으로 인해서 곶감의 식감이 부드러워질 수 있다. 즉, 소를 통해 감 빵의 수분율을 조절할 수 있다.
2. 소의 조성 단계(S2)
곳감(12)안에 채우는 소(14)는 기호에 따라 준비될 수 있다. 소(14)는 앙금, 견과류, 아이스크림, 치즈, 크림, 빵가루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 내부에 채울 수 있다.
앙금은 팥 또는 콩 앙금에 풍미를 더해주는 재료로서 호박, 메론, 커피, 벚꽃, 쑥, 녹차, 밤 등의 분말을 첨부하여 제조된 앙금이 사용될 수 있다. 곶감(12) 내에 앙금은 부피비 30~50ml를 채우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앙금의 제조를 예로 들자면, 재료는 콩 또는 팥(400g), 우유(30g),설탕(50g), 올리고당(50g), 아가베 시럽(50g), 풍미를 더할 재료 분말(50~100g) 을 준비한다. 팥을 물에 12시간 이상 불리고, 불린 팥을 냄비에 담아 데친다. 물을 버리고 데친 팥을 압력밥솥으로 쪄낸다. 쪄낸 팥에 물을 버리고 팥을 으깬다. 곱게 으깨 알갱이가 보이지 않게 반죽이 되도록 한다. 나머지 설탕 등의 재료와 풍미를 더할 재료 분말을 첨가하여 앙금을 완성할 수 있다. 완성된 앙금의 중량은 찌는 과정에서 수분을 머금었기에 1000~1200g 일 수 있다. 제조된 앙금을 반건시에 각 30~60g을 채울 수 있다.
견과류와 같은 경질의 재료인 경우, 소(14)를 조성하는 단계에서 경질의 재료인 견과류를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아이스크림을 채울 경우, 냉동보관된 아이스크림은 반건시 내부에 채우기 어렵기 때문에 상온에 소정 시간을 방치하여 아이스크림을 반죽 또는 슬러쉬 상태가 되면 충진기를 이용하여 반건시 내에 채울 수 있다. 아이스크림을 채운 이후에는 냉동 보관하여 아이스크림이 녹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앙금 또는 아이스크림 등과 같은 수분을 함유한 소(14)의 경우 소(14)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으로 인해 반건시 또는 곶감(12)의 수분 함량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앙금 또는 아이스크림을 소로 채울 경우에는 수분 함량이 35% 이하의 반건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곶감(12)안에 충전되는 소(14)에 의해 곶감(12)의 수분율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소(14)를 충전한 곶감(12)은 충전하는 소(14)의 종류에 따라 냉장 또는 냉동 보관될 수 있다.
3. 곶감 타공 단계(S3)
씨앗이 있는 반건시의 경우, 반건시의 감꼭지는 분리하지 않고 감꼭지 옆을 타공하여 내부 씨앗과 심 줄기를 제거한다. 씨앗과 심 줄기를 제거하고 소(14)를 채울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탄산가스 또는 질소가스를 반건시 내부에 충전할 수 있다.
씨앗이 없는 반건시의 경우, 감꼭지 옆을 타공하여 심 줄기를 제거할 수 있다. 심 줄기를 제거하고 소(14)를 채울 수 있도록 탄산 또는 질소가스를 충전하여 반건시 내부에 소를 채울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탄산 또는 질소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반건시 내부에 소(14)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감의 일단을 감의 중심 방향으로 1/3 길이만큼 절개한다. 이후 내부 씨앗과 심 줄기를 수쿱으로 제거하여 반건시 내부에 소(14)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씨앗이 없는 감의 경우도 일정 길이를 절개하고 내부를 스쿱으로 압착하여 소를 채울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4. 곶감안에 소 충전 단계(S4)
소(14)를 채우는 것은 충전기를 이용하여 채울 수도 있고, 스쿱을 이용하여 소(14)를 채울 수도 있다. 소(14)를 채운 반건시는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할 수 있다.
냉장 보관 할 경우, 소(14)의 유통기한에 따라 보관 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보관을 일주일 이상 해야 할 경우 반건시에 소(14)를 미리 채워두기 보다는 반건시와 소(14)를 각각 보관하고 필요에 따라 제조하여 유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저트 카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감 빵을 제조 및 판매할 경우, 소(14)를 미리 채워두지 않고 재료 각각을 별개로 보관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즉석으로 반건시를 타공하고 구매자가 선호하는 소(14)로 채워 제조하여 판매할 수 있다.
한편, 청소년 및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1 에 나타나 있다.
관능 검사 항목은 감 빵의 특색, 맛,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관능 평가에서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높은 예는 크림을 첨가한 예 4의 경우로서 특색, 맛, 식감에서 전체적으로 좋은 평을 받았다.
특색과 식감면에서는 아이스크림을 소로 충전한 예 5의 건시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예3 의 치즈, 예4 의 크림, 예 5의 아이스크림 또는 예6 의 빵가루를 소로 채운 경우, 전체적으로 좋은 평을 얻었다. 견과류와 앙금을 소로 채운 경우 선호도가 갈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구분 특색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
예 1 4.5 4.6 4.9 4.66
예 2 4.4 4.6 4.6 4.53
예 3 4.9 4.7 4.8 4.8
예 4 4.9 4.9 4.9 4.9
예 5 5 4.6 5 4.86
예 6 4.8 4.7 4.9 4.8
표 1을 참조하면, 예 1 내지 예 6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진 것으로 한 것이다.
예 1 : 수분 함량 40%의 반건시, 소는 견과류
예 2 : 수분 함량 45%의 반건시, 소는 앙금
예 3 : 수분 함량 40%의 반건시, 소는 치즈
예 4 : 수분 함량 40%의 반건시, 소는 크림
예 5 : 수분 함량 35%의 건시, 소는 아이스크림
예 6 : 수분 함량 45%의 반건시, 소는 빵가루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 건시인 곶감은 수분율이 30% 미만이고, 반건시는 수분율이 30 ~ 45% 인 경우일 수 있다.
10... 감 빵 12... 곶감
14... 소
S1,S2,S3,S4... 단계

Claims (9)

  1. 감을 건조시켜서 곶감으로 만드는 제1 단계;
    상기 곶감안에 채우기 위한 소를 조성하는 제2 단계;
    상기 곶감을 타공하는 제3 단계;
    조성된 소를 타공한 곶감안에 충전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는 곶감의 꼭지 부분에 구멍이 타공되며,
    상기 제3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 사이의 시점으로서 상기 곶감안에 소를 채우기 전에, 상기 곶감안에 식용 가스를 충전하여 상기 곶감을 팽창시키고,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곶감의 꼭지 부분에 타공된 구멍에 주입기를 삽입하고 상기 주입기에 의하여 상기 소를 상기 곶감안에 충전하며,
    상기 제3 단계의 상기 곶감의 수분 함량을 제1 수분 함량이라 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소가 충전된 상기 곶감의 수분 함량을 제2 수분 함량이라 할 때, 상기 제1 수분 함량의 곶감에 상기 구멍이 타공되고 상기 소가 충전된 상태의 곶감의 상기 제2 수분 함량이 상기 제1 수분 함량보다 큰 감 빵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는 앙금, 견과류, 아이스크림, 치즈, 크림, 빵가루, 다과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를 아이스크림으로 조성하여 상기 곶감안에 충전하는 경우 냉동 보관되고 나머지 종류의 소를 상기 곶감안에 충전하는 경우 냉장 보관되는 감 빵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분 함량은 30% 미만이고, 상기 곶감은 건시 상태이며,
    상기 식용 가스를 주입하면 상기 곶감이 팽창하고,
    상기 식용 가스 주입 후에 팽창된 상기 곶감은 상기 식용 가스의 주입 전에 비하여 더 연화되는 감 빵의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를 견과류로 하는 경우, 소정의 분쇄기에 의하여 분쇄된 견과류를 상기 주입기를 통해 상기 곶감안에 주입하고,
    상기 소를 아이스크림으로 하는 경우, 냉동 보관된 아이스크림을 상온에 소정 시간을 방치하여 녹인 후에 상기 주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곶감 안에 주입하며 상기 아이스크림을 채운 이후에는 냉동 보관하여 다시 얼리는 감 빵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곶감은,
    건조 전 중량 250~300g 의 대봉시 또는 중량 120g 이상의 씨 없는 감이고,
    10~20℃ 온도에서 5일 이상 건조하며,
    건조 이후 수분 함량 30~45%을 포함하는 반건시로 조성하고,
    상기 반건시의 꼭지는 제거하지 않고 원상태로 보존하며,
    상기 반건시의 일부를 타공하여 씨앗 및 심 줄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 빵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200103893A 2020-08-19 2020-08-19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 KR102216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93A KR102216932B1 (ko) 2020-08-19 2020-08-19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93A KR102216932B1 (ko) 2020-08-19 2020-08-19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932B1 true KR102216932B1 (ko) 2021-02-18

Family

ID=7468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93A KR102216932B1 (ko) 2020-08-19 2020-08-19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93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737A (ja) * 1997-09-04 1999-03-23 Suzumo Kiko Kk いなり寿司製造機の油揚予備開口装置
KR101480476B1 (ko) 2013-01-29 2015-01-12 박찬희 샐러드용 단감 드레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3852B1 (ko) * 2014-05-22 2015-03-19 이무기 삼 품은 곶감의 제조방법
KR20160133941A (ko) * 2015-05-14 2016-11-23 양관식 가운데가 뚫린 도넛형 건시(乾枾) 제조 방법
KR20190136642A (ko) * 2018-05-31 2019-12-10 민병기 곶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곶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5737A (ja) * 1997-09-04 1999-03-23 Suzumo Kiko Kk いなり寿司製造機の油揚予備開口装置
KR101480476B1 (ko) 2013-01-29 2015-01-12 박찬희 샐러드용 단감 드레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3852B1 (ko) * 2014-05-22 2015-03-19 이무기 삼 품은 곶감의 제조방법
KR20160133941A (ko) * 2015-05-14 2016-11-23 양관식 가운데가 뚫린 도넛형 건시(乾枾) 제조 방법
KR20190136642A (ko) * 2018-05-31 2019-12-10 민병기 곶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곶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2050A (zh) 一种桑椹干果、粉的制备工艺及其产品和衍生品
KR20180096522A (ko) 아로니아 분말이 함유된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아로니아 분말이 함유된 초콜릿
KR100415765B1 (ko)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닭고기 가공식품
US2521995A (en) Method of producing frozen watermelon confections
KR102075481B1 (ko) 찹쌀가루를 이용한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과
CN102326598A (zh) 用鲜果粒食品为馅料制作的油条及其制造方法
KR102216932B1 (ko) 감 빵 제조 방법 및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감 빵
KR101506938B1 (ko) 건과일을 이용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Siddiq et al. Dragon fruit and durian
CN105995388A (zh) 一种野生菌燕饺及其制作方法
KR101338753B1 (ko) 무화과 퓨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무화과 퓨레
KR20160086669A (ko) 멜론빙수 및 멜론빙수 제조방법
KR101907680B1 (ko) 생대추를 이용한 대추과자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0609468B1 (ko) 마 김치의 제조방법
KR20210010132A (ko) 콩물에 침지된 양념 황태포의 제조 방법
KR100493967B1 (ko) 백련국수재료와 백련국수의 제조방법 및 백련국수
KR102057191B1 (ko) 전복 만두의 제조 방법 및 그 전복 만두
KR102161023B1 (ko) 생과일을 이용한 건과식품의 제조방법
KR100441650B1 (ko) 아이스크림 버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34958B1 (ko) 딸기빙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딸기빙수
KR102622201B1 (ko) 눈개승마 냉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1227B1 (ko) 녹차와 매실을 주재료로 한 명태포 제조방법
CN104886629A (zh) 一种冰糖梅子鸭的制作方法
CN105029493A (zh) 一种青麦仁鸡肉团的制作方法
Kwek Adventures with Edible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