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601B1 -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 Google Patents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601B1
KR102215601B1 KR1020180079560A KR20180079560A KR102215601B1 KR 102215601 B1 KR102215601 B1 KR 102215601B1 KR 1020180079560 A KR1020180079560 A KR 1020180079560A KR 20180079560 A KR20180079560 A KR 20180079560A KR 102215601 B1 KR102215601 B1 KR 10221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ealed
heat fusion
strength reinforcement
supercritic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935A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화학
Priority to KR102018007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6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6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을 위한 폐쇄공간 형성된 외형이 다수의 초미세기포를 갖도록 발포 성형된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몸체부의 내측에 균일하게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어 있어 경량화 및 부력효율이 향상되면서 강성을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는 상호 결합되어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열 융착시 제1열융착부의 내부압력차단턱과 제2열융착부의 차단턱수용부에 의해 증가되는 폐쇄공간의 내부압력이 차단되어 제1 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균일하게 열 융착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Float using supercritical fluid}
본 발명은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을 위한 폐쇄공간 형성된 외형이 다수의 초미세기포를 갖도록 발포 성형된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장 등에서 사용하는 부구의 경우 부력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스티로폼만으로 구성된 부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스티로폼만으로 구성된 부구는 내구성이 약하여 조그마한 충격 등에도 쉽게 파열되어 수명이 극히 짧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스티로폼 부구가 파손되면서 부구에서 떨어진 입자들이 해양을 심하게 오염시킴은 물론 양식물에 달라붙게 되므로 이를 양식물 수거 과정에서 세척작업이 부가될 수 있고 이에 따른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부구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합성수지제로 제조된 부구는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진 부구에 비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부구의 부력을 높이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71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로 제조된 외형의 내부에 발포소재를 충진한 구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00042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발포 폼에 폴리우레탄 계 수지가 코팅된 이중구조가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내부에 발포 소재가 충진된 형태의 부구는 우수한 부력성과 복원성에 비해, 외측에 비해 내측의 발포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제의 외형 내에 발포소재를 충진한 구조는 합성수지제로 성형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상호 형합 시 내측에 발포수지로 형성된 발포폼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형합시키거나,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상호 형합되어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발포수지를 별도로 충진시켜주어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7166호 : 발포성 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6931호 : 발포폴리프로필렌 부자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형합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가 초임계유체가 혼합된 발포소재가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므로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의 각 내측에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어 경량이면서 자체 부력을 가지며 일반 발포수지로 성형된 발포폼보다 강도가 높은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는 각 내측에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게 초임계유체가 혼합된 성형용 수지가 사출 성형되어 각각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부력제공을 위한 폐쇄공간이 형성되게 상호 열융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각 단부에 상호 열융착 시 팽창하는 상기 폐쇄공간의 내부압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열융착부 또는 제2열융착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제1열융착부와 상기 제2열융착부의 상호 열융착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각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된 측인 각 일측에 상호 마주하는 일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열융착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보다 적은 두께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2열융착부와 열융착시 융착되는 부분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의 위치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제1용융부와; 상기 제1용융부에 대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용융부와 함께 상기 제2열융착부가 용융시 상기 제1열융착부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융착부유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용융부의 단부보다 상기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내부압력차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2열융착부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열융착부 방향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보다 적은 두께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열융착부와 열 융착 시 융착되는 부분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의 위치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1열융착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융착되는 부분이 상기 융착부유입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용융부보다 큰 두께로 돌출되는 제2용융부와; 상기 제2용융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내주면 측에 상기 제1열융착부 방향과 측방향이 개방되어 상기 내부압력차단턱이 수용될 수 있는 차단턱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턱수용홈은 상기 제2용융부의 측부에서 연장되는 측면이 상기 제1용융부에 멀어질수록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인접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열융착부와 상기 제2열융착부의 상호 열 융착되면서 용융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타측단부 방향으로 인입된 길이가 상기 내부압력차단턱이 상기 제1용융부에 대해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인입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몸체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1단부커버와, 내부가 관통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열융착부 또는 상기 제2열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커버와 연결되는 타측의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선형부재가 안착되는 제1선형부재안착홈이 형성되는 제1중심커버와, 상기 제1중심커버의 상기 제1선형부재안착홈에 대응되는 내측에 직경방향에 나란하거나 교차되게 각각 연장된 다수의 충격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직경방향의 충격을 완충하는 제1충격보강네트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되는 일측이 상기 제1단부커버와 마주하는 제2단부커버와, 내부가 관통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중심커버와 마주하는 일측에 상기 제1열융착부 또는 상기 제2열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부커버와 연결되는 타측의 외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선형부재가 안착되는 제2선형부재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중심커버와, 상기 제2중심커버의 상기 제2선형부재안착홈에 대응되는 내측에 직경방향에 나란하거나 교차되게 각각 연장된 다수의 충격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직경방향의 충격을 완충하는 제2충격보강네트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몸체부의 내측에 균일하게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어 있어 경량화 및 부력효율이 향상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는 상호 결합되어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열 융착시 제1열융착부의 내부압력차단턱과 제2열융착부의 차단턱수용부에 의해 증가되는 폐쇄공간의 내부압력이 차단되어 제1 몸체부와 제2몸체부가 균일하게 열 융착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구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제1열융착부와 제2열융착부가 상호 형합되어 열융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에 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부구에 대한 분리 일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와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1)가 도시되어 있다.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1)는 초임계유체 즉,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나 질소를 성형용 수지와 혼합하여 사출 성형됨으로서 다수의 초미세 기포(5~50㎛)를 갖는 플라스틱을 성형하는 MuCell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서, 각 내측에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부력제공을 위한 폐쇄공간(3)이 형성되게 상호 열융착되는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를 구비한다.
초임계유체는 일정한 고온과 고압의 한계를 넘어선 상태에 도달하여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는 시점의 유체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분자의 밀도는 액체에 가깝지만, 점성도는 낮아 기체에 가까운 성질을 가지며 확산이 빨라 열전도성이 높아 화학반응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는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1,31)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호 마주하는 각 일단부가 상호 열융착되어 결합되면서 폐쇄공간(3)을 형성한다.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는 상호 마주하는 각 일단부에 상호 열융착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팽창하는 폐쇄공간(3)의 내부압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열융착부(20) 또는 제2열융착부(40)를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부구(1)는 제1몸체부(10)에 제1열융착부(20)가 형성되고 제2몸체부(30)에 제2열융착부(40)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1몸체부(10)에 제2열융착부(40)가 형성되고 제2몸체부(30)에 제1열융착부(20)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몸체부(10)는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되 길이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각각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간답대안착홈(13)과, 일단부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1선형부재안착홈(15)이 형성된다.
제2몸체부(30)는 제1몸체부(10)와 결합 시 복수의 제1간답대안착부(13)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되 길이방향으로 상호나란하게 각각 연장되어 대응되는 위치의 제1간답대안착홈(13)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의 제2간답대안착홈(33)과, 일단부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외주면에 내측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제2선형부재안착홈(35)이 형성된다.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간답대안착홈(13)과 제2간답대안착홈(33)은 연통되어 간답대(미도시)가 안착될 수 있는 간답대안착부(1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는 제1열융착부(20)와 상기 제2열융착부(40)의 상호 열융착 면적 및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각 내부공간(11,21)이 개방된 측인 각 일측에 상호 마주하는 일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19,39)를 각각 구비한다.
제1열융착부(20)는 제1용융부(21)와, 내부압력차단턱(24)과, 융착부유입홈(27)을 구비한다.
제1용융부(21)는 제1강도보강부(19)의 단부에서 마주하는 제2열융착부(40) 방향으로 제1강도보강부(19)의 단부보다 적은 두께로 돌출되고 제1강도보강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데, 도 3을 참고하면, 제2열융착부(40)와 열융착 시 융착되는 부분이 제1몸체부(10) 또는 제2몸체부(30)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강도보강부(19)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의 위치에서 마주하는 제2열융착부(40) 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부압력차단턱(24)은 제1용융부(21)에 대해 제1몸체부(21)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제1강도보강부(19)의 단부에서 제2열융착부(40)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강도보강부(19)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데, 제1용융부(21)의 단부보다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융착부유입홈(27)은 제1용융부(21)와 내부압력차단부(24)가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4를 참고하면, 제2열융착부(40)가 용융시 제1열융착부(20) 방향으로 유입을 유도한다.
제2열융착부(40)는 제2용융부(41)와, 차단턱수용홈(45)을 구비한다.
제2용융부(41)는 제2강도보강부(39)의 단부에서 제1열융착부(20) 방향으로 제2강도보강부(39)의 단부보다 적은 두께로 돌출되고 제2강도보강부(39)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용융부(41)는 제1열융착부(20)와 열 융착 시 융착되는 부분이 제1몸체부(10) 또는 제2몸체부(30)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2강도보강부(39)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의 위치에서 마주하는 제1열융착부(20)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융착되는 부분이 융착부유입홈(27)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용융부(21)보다 큰 두께로 돌출형성된다.
차단턱수용홈(45)은 제2용융부(41)가 제2강도보강부(39)의 단부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면서 제2강도보강부(39)의 내주면 단부측에 제1열융착부(20) 방향과 측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차단턱수용홈(45)은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용융부(21,41)가 상호 융착되면서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인접하게 이동시 내부압력차단턱(24)을 수용한다.
차단턱수용홈(45)은 제1열융착부(20)와 제2열융착부(40)의 상호 열 융착되면서 용융시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제2몸체부(3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타측단부 방향으로 인입된 길이(a)가 내부압력차단턱(24)이 제1용융부(21)에 대해 돌출된 길이(b)보다 길게 인입형성된다. 그리고, 차단턱수용홈(45)은 제2몸체부(30)의 내측방향의 제2용융부(41)의 측부에서 연장되는 측면이 제1용융부(21)에 멀어질수록 제2몸체부(30)의 내부공간(31)에 인접하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부구(1)는 외형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몸체부(10,30)의 각 내측에 균일하게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어 있어 경량화 및 부력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1)는 상호 결합되어 폐쇄공간(3)을 형성하는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가 열 융착시 제1열융착부(20)의 내부압력차단턱(24)과 제2열융착부(40)의 차단턱수용홈(45)에 의해 증가되는 폐쇄공간(3)의 내부압력이 차단되어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가 균일하게 열 융착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구조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2)는 각 내측에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부력제공을 위한 폐쇄공간이 형성되게 상호 열융착되는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를 구비한다.
제1몸체부(10)는 내부공간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1단부커버(110)와, 제1중심커버(130), 제1충격보강네트부(180)를 구비한다.
제1단부커버(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일측단부에 제1열융착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단부커버(110)는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각각 인입되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1단위간답대안착홈(13a)이 형성된다.
제1중심커버(13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제1강도보강부(19)와 제1열융착부(20)가 형성되고, 제1단부커버(110)의 일측과 마주하는 타측 단부에 제1단부커버(110)의 제1열융착부(20)와 열 융착되는 제2열융착부(40)가 형성된다.
제1단부커버(110)와 제1중심커버(130)는 제1열융착부(20)와 제2열융착부(40)의 상호 열융착 면적 및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상호 마주하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연장된 제3강도보강부(119)와 제4강도보강부(139)를 각각 구비한다.
제1단부커버의 제1열융착부(20)는 제3강도보강부(119)의 단부측에 형성되며, 제1중심커버의 제2열융착부(40)는 제4강도보강부(139)의 단부측에 형성된다.
제1중심커버(130)는 타측단부에 형성된 제2열융착부(40)에 인접한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로프와 같은 선형부재(미도시)가 안착되는 제1선형부재안착홈(15)이 형성되고, 제1단부커버(110)와 결합시 복수의 제1단위간답대안착홈(13a)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제1단위간답대안착홈(13a)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2단위간답대안착홈(13b)이 형성된다. 제1단위간답대안착홈(13a)와 제2단위간답대안착홈(13b)는 서로 연결되어 제1간답대안착홈(13)을 형성한다.
제1충격보강네트부(180)는 제1중심커버(130)의 제1선형부재안착홈(15)에 대응되는 내측에 직경 방향에 나란하거나 교차되게 각각 연장된 다수의 충격보강리브(181,182)가 형성되어 직경 방향의 충격을 완충한다.
제2몸체부(30)는 원통 형상과 형성되되 제1몸체부(10)와 마주하는 방향이 개방되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2단부커버(140)와, 제2중심커버(160), 제2충격보강네트부(190)를 구비한다.
제2단부커버(1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되는 일측이 제1몸체부(10)와 마주하며, 일측 단부에 제2열융착부(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단부커버(140)는 외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각각 인입되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제3단위간답대안착홈(33a)이 형성된다.
제2중심커버(160)는 길이방향으로 내부가 관통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중심커버(130)와 마주하는 일측에 제2강도보강부(39)와 제2열융착부(40)가 형성되고, 제2단부커버(140)의 일측과 마주하는 타측 단부에 제2단부커버(140)의 제2열융착부(40)와 열 융착되는 제1열융착부(20)가 형성된다.
제2단부커버(140)의 일측에 형성된 제2열융착부(40)와 제2중심커버(160)의 타측에 형성된 제1열융착부(20)의 상호 열융착 면적 및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제2단부커버(140)와 제2중심커버(160)는 상호 마주하는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연장된 제5강도보강부(149)와 제6강도보강부(169)를 각각 구비한다.
제2단부커버의 제2열융착부(40)는 제5강도보강부(149)의 단부측에 형성되며, 제2중심커버의 제1열융착부(20)는 제6강도보강부(169)의 단부측에 형성된다.
제2중심커버(160)는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1열융착부(20)에 인접한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로프와 같은 선형부재(미도시)가 안착되는 제2선형부재안착홈(35)이 형성되고, 제2단부커버(110)와 결합시 복수의 제3단위간답대안착홈(33a)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각 제3단위간답대안착홈(33a)과 연통되는 복수의 제4단위간답대안착홈(33b)이 형성된다. 제3단위간답대안착홈(33a)와 제4단위간답대안착홈(33b)는 서로 연결되어 제2간답대안착홈(33)을 형성한다.
제2간답대안착홈(33)은 제2몸체부(30)가 제1몸체부(10)와 결합시 제1간답대안착홈(1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간답대안착홈(13)과 함께 간답대안착부(12)를 형성한다.
제2충격보강네트부(190)는 제2선형부재안착홈(35)에 대응되는 내측에 직경방향에 나란하거나 교차되게 각각 연장된 다수의 충격보강리브(191,192)가 형성되어 직경방향의 충격을 완충한다.
제1충격보강네트부(180)와 제2충격보강네트부(19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중심커버(130) 또는 제2중심커버(160) 사출성형 시 함께 대응되게 형성된 금형(미도시)에 의해 제1중심커버(130) 또는 제2중심커버(160)와 일체로 사출 성형 될 수 있다, 또는 제1충격보강네트부(180)와 제2충격보강네트부(190)는 먼저 1차 성형된 후, 제1중심커버(130) 또는 제2중심커버(160)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미도시) 내에 수용되어, 제1중심커버(130) 또는 제2중심커버(160)가 사출 성형 되면서 제1중심커버(130) 또는 제2중심커버(160)의 내측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2)는 제1단부커버(110)와 제1중심커버(130)가 각각 1차 발포성형된 뒤 상호 열 융착되어 제1몸체부(10)가 형성되고, 제2단부커버(140)와 제2중심커버(160)로 각각 1차 발포성형된 뒤 상호 열 융착되어 제2몸체부(30)가 형성되므로 비교적 더욱 균일한 미세기포를 갖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2)는 길이방향으로 다단의 열 융착되는 부분이 형성되고 열 융착부 인접한 측에 두께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어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2)는 직경 방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제1 및 제2충격보강네트부(180,190)가 형성되어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부구(1,2)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호 융착된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를 덮는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코팅층은 폴리에틸렌,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가 제1몸체부(10)와 제2몸체부(30)의 외주면에 도포되거나 분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시트 형태의 합성수지가 열 수축되면서 제1몸체부(10) 및 제2몸체부(3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3: 폐쇄공간
10 : 제1몸체부 12 : 간답대안착부
13 : 제1간답대안착홈 15 : 제1선형부재안착홈
19 : 제1강도보강부 20 : 제1열융착부
21 : 제1용융부 24 : 내부압력차단턱
27 : 융착부유입홈 30 : 제2몸체부
33 : 제2간답대안착홈 35 : 제2선형부재안착홈
39 : 제2강도보강부 40 : 제2열융착부
41 : 제2용융부 45 : 차단턱수용홈

Claims (6)

  1. 각 내측에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게 초임계유체가 혼합된 성형용 수지가 사출 성형되어 각각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부력제공을 위한 폐쇄공간이 형성되게 상호 열융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각 단부에 상호 열융착 시 팽창하는 상기 폐쇄공간의 내부압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열융착부 또는 제2열융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몸체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제1단부커버와, 내부가 관통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열융착부 또는 상기 제2열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커버와 연결되는 타측의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선형부재가 안착되는 제1선형부재안착홈이 형성되는 제1중심커버와, 상기 제1중심커버의 상기 제1선형부재안착홈에 대응되는 내측에 직경방향에 나란하거나 교차되게 각각 연장된 다수의 충격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직경방향의 충격을 완충하는 제1충격보강네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되는 일측이 상기 제1단부커버와 마주하는 제2단부커버와, 내부가 관통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중심커버와 마주하는 일측에 상기 제1열융착부 또는 상기 제2열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부커버와 연결되는 타측의 외주면에 내측 방향으로 인입되되 원주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선형부재가 안착되는 제2선형부재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중심커버와, 상기 제2중심커버의 상기 제2선형부재안착홈에 대응되는 내측에 직경방향에 나란하거나 교차되게 각각 연장된 다수의 충격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직경방향의 충격을 완충하는 제2충격보강네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2. 삭제
  3. 삭제
  4. 각 내측에 다수의 초미세기포가 형성되게 초임계유체가 혼합된 성형용 수지가 사출 성형되어 각각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부력제공을 위한 폐쇄공간이 형성되게 상호 열융착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마주하는 각 단부에 상호 열융착 시 팽창하는 상기 폐쇄공간의 내부압력을 차단할 수 있는 제1열융착부 또는 제2열융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는 상기 제1열융착부와 상기 제2열융착부의 상호 열융착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각 상기 내부공간이 개방된 측인 각 일측에 상호 마주하는 일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열융착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보다 적은 두께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2열융착부와 열융착시 융착되는 부분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의 위치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제1용융부와;
    상기 제1용융부에 대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내주면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강도보강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용융부와 함께 상기 제2열융착부가 용융시 상기 제1열융착부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융착부유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1용융부의 단부보다 상기 제2열융착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내부압력차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2열융착부는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1열융착부 방향으로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보다 적은 두께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제1열융착부와 열 융착 시 융착되는 부분이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의 위치에서 마주하는 상기 제1열융착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융착되는 부분이 상기 융착부유입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용융부보다 큰 두께로 돌출되는 제2용융부와;
    상기 제2용융부가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단부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또는 제2강도보강부의 내주면 측에 상기 제1열융착부 방향과 측방향이 개방되어 상기 내부압력차단턱이 수용될 수 있는 차단턱수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턱수용홈은
    상기 제2용융부의 측부에서 연장되는 측면이 상기 제1용융부에 멀어질수록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인접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열융착부와 상기 제2열융착부의 상호 열 융착되면서 용융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이동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부 또는 상기 제2몸체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타측단부 방향으로 인입된 길이가 상기 내부압력차단턱이 상기 제1용융부에 대해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인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6. 삭제
KR1020180079560A 2018-07-09 2018-07-09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KR10221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60A KR102215601B1 (ko) 2018-07-09 2018-07-09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60A KR102215601B1 (ko) 2018-07-09 2018-07-09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35A KR20200005935A (ko) 2020-01-17
KR102215601B1 true KR102215601B1 (ko) 2021-02-15

Family

ID=6937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60A KR102215601B1 (ko) 2018-07-09 2018-07-09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46B1 (ko) 2021-12-31 2022-06-10 김홍진 바람저항 저감형 기능성 해조류 양식용 부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895B1 (ko) * 2020-11-06 2021-12-01 쏠에코 주식회사 수상 태양광 발전 구조체용 부력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01B1 (ko) 2015-04-09 2015-07-28 박영숙 친환경 어구용 부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40918B1 (ko) 2016-12-28 2017-05-29 (주) 중앙테크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KR101792551B1 (ko) 2017-03-17 2017-11-02 박영숙 내부압을 가지는 어구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8181A (ko) * 1993-01-27 1994-08-16 선문수 부구(Floater)의 제조방법과 그 용도
KR200327166Y1 (ko) 2003-07-01 2003-09-19 김득수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KR200464504Y1 (ko) * 2009-12-15 2013-01-08 최인옥 어구용 부구
KR101246931B1 (ko) 2012-01-31 2013-03-25 주식회사 현대마린테크 발포폴리프로필렌 부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3467A (ko) * 2017-05-19 2017-06-08 신기봉 양식용 해수부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201B1 (ko) 2015-04-09 2015-07-28 박영숙 친환경 어구용 부구,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40918B1 (ko) 2016-12-28 2017-05-29 (주) 중앙테크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KR101792551B1 (ko) 2017-03-17 2017-11-02 박영숙 내부압을 가지는 어구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46B1 (ko) 2021-12-31 2022-06-10 김홍진 바람저항 저감형 기능성 해조류 양식용 부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35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601B1 (ko)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KR101740918B1 (ko) 중공형 부구의 제조방법
US11279065B2 (en) Closed cell foam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JP2010014216A (ja) クッションクリップ
JP4816296B2 (ja) 便器
JPH0617617Y2 (ja) 車両用プラスチツク製燃料タンク
TWM552457U (zh) 具有雙發泡吸振結構的記憶座墊
KR100934010B1 (ko) 어망용 부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어망용 부구
KR20130005538A (ko) 어업용 부자
KR101357833B1 (ko)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CN206468412U (zh) 包括半渗透膜的车辆储箱
CN103958277B (zh) 保护板、该板的制造方法和装配该板的车辆
JP6816312B2 (ja) 中空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て製造された中空射出成形品
JPH0211482A (ja) 雪・水上乗物用耐水シートの製法
KR100646744B1 (ko) 수상구조물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US11377165B2 (en) Bicycle saddle
KR102196311B1 (ko) 열융착 고정 부표
US10533334B2 (en) Cover for a sp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ver
KR200456731Y1 (ko) 부력 발판
US20060013975A1 (en) Coherent product including partially separated plastic opposing wall-section components
KR102228573B1 (ko) 주입부와 밀폐부가 구비된 부표
CN207432607U (zh) 浮体模块以及水下机器人
KR101216714B1 (ko) 부구
KR102266319B1 (ko) 수상구조물용 부력관의 멀티캡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수상구조물
JP2014128890A (ja) 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