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166Y1 -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 Google Patents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166Y1
KR200327166Y1 KR20-2003-0020966U KR20030020966U KR200327166Y1 KR 200327166 Y1 KR200327166 Y1 KR 200327166Y1 KR 20030020966 U KR20030020966 U KR 20030020966U KR 200327166 Y1 KR200327166 Y1 KR 200327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outer case
resin
filled
foam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0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수
Original Assignee
김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득수 filed Critical 김득수
Priority to KR20-2003-0020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1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는,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이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갖는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의 중간 정도에 있고, 내측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성형된 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들어있는 발포성수지의 발포를 유도하기 위한 열을 수납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케이스에 천공된 열공급구와;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들어있는 발포성수지의 발포시 수납공간에 존재하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에어홀과;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서 발포되어 수납공간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충진된 발포성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납공간에 다수 개의 에어홀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 발포성수지의 충진시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공기가 잔존되지 않고 외부로 완전 배출되어 발포성수지가 견고하게 충진됨으로써 발포성수지가 갖는 부력이 극대화되고 오랜 사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THE FISHERY BUOY, THAT IS CHARGED WITH FOAMY RESIGN}
본 고안은 가두리 양식장의 그물 등을 수면에 띄워 놓기 위하여 사용되는 어업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업용 부구는 대부분 스티로폼을 주 재료로 하여 구성되는데 스티로폼은 충격에 매우 약하여 인접한 부구 및 선박과의 충돌 등으로 쉽게 파손될 뿐 아니라 오랜 사용시 홍합이나 굴 등이 유착되는 등의 이유로 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스티로폼의 외측에 합성수지재 천을 씌운 것 등이 등장하였으나 합성수지재 천은 장시간 사용할 경우 취약해져 찢어지고 스티로폼이 갖는 환경오염의 문제점과 오랜 사용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은 아니어서 발포성수지인 발포우레판을 우레탄레진주형물에 충진시킨 "수산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한국특허출원 제10-1997-004143호, 1997. 02. 12)" 등이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부구는 우레탄레진주형물의 수납공간에 발포우레탄이 충진되는 과정에서 수납공간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고 일부 잔존하게 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결국 수납공간에 잔존하는 공기로 인해 부력이 저하되고 파손이 잦아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 발포우레탄을 우레탄레진주형물로 감싸고 있기 때문에 우레탄레진주형물에 홍합이나 굴 등이 다량 유착하여 성장함으로써 오랜 사용시 부력이 낮아져 부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발포성수지의 충진시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공기가 잔존되지 않도록 하여 발포성수지가 갖는 부력이 극대화되고 오랜 사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외부케이스가 적정한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을 갖도록 하여 여름과 겨울의 계절적 특성에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에 홍합이나 굴 등이 장기간 유착하여 성장하지 못하도록 외부케이스를 적정한 굳기 즉, 단단함을 갖는 재질로 매끄럽게 구성하여 홍합이나 굴 등의 유착에 의한 부력의 저하현상을 방지하려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의 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의 구성도
도 3은 수납공간에 발포성수지가 위치하도록 발포성수지를 넣고 수납체와 덮개를 융착하여 완성한 외부케이스의 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포성수지 10a. 발포전 상태의 발포성수지
20. 외부케이스 21. 수납체
21a. 수납부 22. 덮개
22a. 수납부 23. 수납공간
24. 홈 30. 에어홀
40. 열공급구
본 고안은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부력이 강한 발포성수지가 외부케이스의 내측 수납공간에 충진되어 부구를 형성하도록 하되 수납공간에 외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에어홀을 균일하게 형성하여 발포성수지의 충진시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공기가 잔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포성수지가 갖는 부력이 극대화되고 오랜 사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또, 여름철의 강열한 태양에 의한 고온 및 겨울철의 추위에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외부케이스는 적정한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는, 수납공간을 갖는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형태를 이룬다.
또, 외부케이스의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갖는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의 중간에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다.
또,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은 균일하게 천공된 다수 개의 에어홀을 가지며, 발포성수지는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충진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서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재료로서 부력이 강한 발포성수지를 사용한다.
그런데 발포성수지만으로 부구를 제작할 경우에는 그 특성상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어업용 부구는 부표로서 사용되기도 하지만 양식장의 그물을 연결하고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는데 발포성수지는 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통행로 등을 형성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이다.
또, 장시간 바다에 띄워져 있는 경우에는 홍합이나 굴 등이 유착하여 성장하기에 좋은 조건을 형성하기 때문에 부구의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발포성수지(10)가 비교적 단단한 합성수지로 둘러싸여 보호되도록 한다.
즉, 비교적 단단하여 다수 개를 연결할 경우 통행로를 형성할 수 있고, 홍합이나 굴의 씨가 쉽게 유착되지 못하는 외부케이스(20)의 내측 수납공간(23)에 발포성수지(10)가 충진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외부케이스(20)는 적정한 인장력과 내충격성을 가져야 한다.
즉, 바다에는 다양한 것들이 떠다니기 때문에 그러한 것들과 부딪힐 수 있고, 배와도 충돌할 수 있으며, 태풍 등으로 인하여 부구끼리 부딪혀 충격을 받을 수도 있다.
특히, 겨울에는 추위로 인한 수축으로 내충격성이 더욱 약해지므로 이를 감안하여야 한다.
또, 여름철의 강렬한 태양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변형이 없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들을 감안하여 외부케이스(20)는 적정한 인장력과 내충격성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본원출원의 고안자는 성형이 간편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내충격성에 문제가 있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인장강도에 문제가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 바람직한 인장강도는 통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의중간정도에 해당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바다에는 홍합이나 굴의 씨가 떠다니기 때문에 상기 외부케이스(20)는 홍합이나 굴 등의 씨앗이 유착되어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즉, 홍합이나 굴의 씨가 유착되어 성장하면 부구의 부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홍합이나 굴의 씨앗이 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종래에는 홍합이나 굴의 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품을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지속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으로 사용이 제한되어 특별한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원출원의 고안자는 홍합이나 굴 등이 상당히 강한 유착력을 갖는 것으로서 바위 등에도 유착되지만 자라나면서 자체적인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그 뿌리가 뻗어나가 보다 강한 유착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폴리에틸렌 수지가 갖는 굳기 즉, 단단함을 갖고 표면이 매끄러운 경우 홍합이나 굴 등의 씨가 유착되더라도 뿌리가 뻗어나가지 못하여 점차 자라면서 그 자체적인 무게를 감당하지 못하고 떨어져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20)는 내충격성과 인장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단하고 매끄러운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의 도출을 위한 다양한 실험에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것은 폴리에틸렌이 가공성이 좋고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저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폴리에틸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발포성수지(10)는 부구의 근본적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케이스(20)가 물에 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외부케이스(20)에 충진되는 발포성수지(10)는 부력이 강한 것이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발포성수지(10)는 부력이 강하고 내수성과 완충성이 우수한 발포폴리스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기술로 제시한 한국특허출원 제10-1997-004143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우레탄수지는 부력이 좋지 못할 뿐 아니라 햇볕 및 바닷물에 약하여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본 고안에서는 외부케이스(20)에 다수 개의 에어홀(30)이 천공되기 때문에 발포성수지(10) 중 에어홀(30)이 천공된 부분은 바닷물에 직접 접촉될 수밖에 없으며, 여름철 고온의 상태에 놓일 수 있기 때문에 우레탄수지는 더욱 빠르게 노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포성수지(10)와 외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 그 부분이 취약해져 깨질 수 있고, 미세한 구멍이라도 형성되면 물이 유입되는 등의 이유로 부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 바닷물이 유입될 때 홍합이나 굴 등의 씨가 발포성수지(10)에 유착되고, 유착된 홍합이나 굴 등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부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3)과 발포성수지(10)는 밀착됨으로써 수납공간(23)에 공기가 충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외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3)에 외부로 관통된 에어홀(30)을 형성하여 수납공간(23)에 발포성수지(10)가 충진될 때 발포성수지(10)의 충진으로 수납공간(23)에 존재하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서 제시한 한국특허출원 제10-1997-004143호(1997. 02. 12)에서와 같이 에어홀(30)이 소정의 위치에 한 개만 형성되어 있으면 수납공간(23)에 공기가 잔존하게 된다.
이는 발포우레탄과 같은 발포성수지(10)를 수납공간(23)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투입하더라도 발포성수지(10)가 수납공간(23)에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한 상태에서 발포성수지(10)가 수납공간(23)의 내벽에 접촉됨으로써 배출되지 못한 공기는 발포성수지(10)에 의해 차단되어서 에어홀(3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외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3)에 다수 개의 에어홀(30)을 균일하게 형성하여 발포성수지(10)의 충진 또는 수납공간(23)에 들어있는 발포성수지의 발포시 수납공간(23)에 존재하던 공기가 외부로 완전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에어홀(30)은 발포되는 발포성수지(10)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크기로 한다.
발포폴리스틸렌의 경우 직경 1.5㎜정도에서는 발포되는 발포폴리스틸렌이 배출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열공급구(40)는 외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3)에 발포성수지(10)를 투입한 후 발포성수지(10)의 발포를 유도하기 위한 열이나 스팀을 수납공간(23)으로 공급하거나 한국특허출원 제10-1997-004143호에서와 같이 발포되는 발포성수지(10)를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발포성수지(10)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의 제조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이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갖는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의 중간에 있도록 합성수지를 선택하여 금형에 넣어 성형함으로써 각각 어업용 부구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형상을 가지며 내측에 수납부(21a, 22a)를 갖는 수납체(21)와 덮개(22)를 제작하는 외부케이스성형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도 1과 같이 양식장을 만들기 위해 다수 개의 부구를 연결하기 위한 각목 등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홈(24)을 형성하는 등 수납체(21)와 덮개(22)는 부구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성형된 수납체(21)와 덮개(22)의 수납부(21a, 22a)에 외부로 관통된 다수 개의 에어홀(30)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에어홀형성단계;를 실시한다.
에어홀(30)이 형성된 수납체(21)와 덮개(22)를 열로 융착시켜 일체화되도록 하되 수납체(21)와 덮개(2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수납공간(23)에 발포성수지(10)가 위치하도록 발포성수지(10)를 넣고 융착하는 외부케이스완성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수납체(21)와 덮개(22)를 열로 융착함에 있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융착할 수 있지만 접합면의 균일한 접합을 위하여 수납체(21)와 덮개(22)의 접촉부에 열선을 위치시켜 열선을 통해 열을 가함으로써 접촉면의 중앙부까지도 단단하게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 후 외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3)에 채워진 발포성수지(10)에 열을 가하여 발포성수지(10)가 발포되도록 하는 발포유도단계;를 실시하여 어업용 부구를 완성하는데 발포성수지(10)의 발포시 수납공간(23)에 존재하던 공기는 발포성수지(10)의 발포로 인하여 에어홀(30)을 통해 완전 배출된다..
이때, 발포성수지(10)에 열을 균일하게 가하기 위하여 열공급구(40)를 통해 수납공간(23)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데 공급된 스팀은 에어홀(30)을 통해 모두 배출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3)에 채워지는 발포성수지(10)를 발포폴리스틸렌으로 할 경우 발포유도단계에서 발포성수지(10)에 가해지는 온도는 120℃ ∼ 13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20℃이하에서는 발포폴리스틸렌의 발포가 일어나지 않거나 발포력이 약하고, 130℃를 넘으면 발포폴리스틸렌이 과열로 타서 부력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본원출원의 고안자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발포성수지(10)로서 발포폴리스틸렌의 일종인 LG화학 및 금호화학의 제품(EPS)을 사용해본 결과 우수한 부력을 갖는 어업용 부구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본 고안에서도 충진된 발포성수지(10)의 중심부에 폐 스티로폼 등이 충진되도록 외부케이스(20)의 수납공간(23)에 폐 스티로폼을 넣고 발포성수지(10)를 충진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0a는 발포전 상태의 발포성수지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납공간에 다수 개의 에어홀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 발포성수지의 발포시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공기가 잔존되지 않고 외부로 완전 배출되어 발포성수지가 견고하게 충진됨으로써 발포성수지가 갖는 부력이 극대화되고 오랜 사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외부케이스가 적정한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을 가지므로 여름의 강열한 태양과 겨울의 추위에도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외부케이스를 단단하고 매끄럽게 구성할 경우 외부케이스에 홍합이나 굴 등이 장기간 유착하여 성장하지 못하므로 부력의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어업용 부구에 있어서,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이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갖는 인장강도와 내충격성의 중간 정도에 있고, 내측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들어있는 발포성수지의 발포를 유도하기 위한 열을 수납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케이스에 천공된 열공급구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들어있는 발포성수지의 발포시 수납공간에 존재하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에어홀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수납공간에서 발포되어 수납공간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충진된 발포성수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폴리에틸렌 수지와 같은 단단함을 갖고 표면이 매끄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성수지는 발포폴리스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KR20-2003-0020966U 2003-07-01 2003-07-01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KR200327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966U KR200327166Y1 (ko) 2003-07-01 2003-07-01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0966U KR200327166Y1 (ko) 2003-07-01 2003-07-01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188A Division KR100494636B1 (ko) 2003-07-01 2003-07-01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166Y1 true KR200327166Y1 (ko) 2003-09-19

Family

ID=4941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0966U KR200327166Y1 (ko) 2003-07-01 2003-07-01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1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35A (ko)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국제화학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935A (ko)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국제화학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931B1 (ko) 발포폴리프로필렌 부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93475B1 (ko) 어구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89744Y1 (ko) 압축스티로폼이 내장된 바다양식용 부구
KR100494636B1 (ko)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KR100934010B1 (ko) 어망용 부구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어망용 부구
KR200456642Y1 (ko) 조립형 부구
KR101357833B1 (ko) 스티로폼을 내장한 부구의 제조방법
KR102157283B1 (ko) 친환경소재를 이용한 부력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327166Y1 (ko)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KR102220967B1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1238200B1 (ko) 해상 양식용 부구의 제조방법
JP2001095424A (ja) 浮力調整型フロート
KR101188910B1 (ko) 중공 다중셀 부구
KR20210056034A (ko) 폴리에틸렌 발포체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JP2908708B2 (ja) 遺骨容器
KR19980067833A (ko) 수산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JP3366563B2 (ja) 浮力調整型フロート
JP3063900B2 (ja) 浮島用浮ブロックと浮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200094809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7591A (ko) 플로트 제조방법
KR101216714B1 (ko) 부구
KR200446171Y1 (ko) 조립형 부구
KR102215917B1 (ko) 부표 및 그 제조용 금형
KR102603551B1 (ko) 친환경 부표
KR102392219B1 (ko) 부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