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591A - 플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591A
KR20120057591A KR1020120039739A KR20120039739A KR20120057591A KR 20120057591 A KR20120057591 A KR 20120057591A KR 1020120039739 A KR1020120039739 A KR 1020120039739A KR 20120039739 A KR20120039739 A KR 20120039739A KR 20120057591 A KR20120057591 A KR 20120057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hole
hollow
float
ho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학균
박진석
Original Assignee
박진석
신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석, 신학균 filed Critical 박진석
Priority to KR102012003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591A/ko
Publication of KR2012005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8Filling preformed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27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 B29C44/563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by mechanical deformation, e.g. crushing, embossing, stretching with the addition of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78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많이 사용했던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플로트가 부력은 우수하나 내구성이 약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바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충격에도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해양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수지를 블로우 성형기에 투입하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블로우 성형과정을 거치며 주입구는 뚫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피 성형공정과;
형성된 외피의 주입구 반대측에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홀을 형성하는 배출홀 형성공정과;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수지를 고압으로 발포하여 중공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홀을 빠져나가고 발포된 수지가 중공에 충진되도록 하는 발포 충진공정과;
상기 주입구 및 공기 배출홀을 막도록 하여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마감공정의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로트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for a float}
본 발명은 플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 많이 사용했던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플로트가 부력은 우수하나 내구성이 약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바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각종 충격에도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해양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플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로트는 부표, 부자, 부이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부력을 가지고 물 위에 떠 있음으로 특정 구역을 표시하는 용도, 그물이 있는 지점을 표시하는 용도, 그물을 일정하게 띄우는 용도, 양식장을 포함하는 구조물이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 특히 바다에서 사용하는 플로트의 경우 주로 양식장에서 사용하는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우수한 부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티로폼의 경우 충격에 완충작용이 있기는 하지만 바다에서 계속되는 파도의 영향은 그 표면의 알갱이가 서서히 떨어지게 만드는 원인이 되며 이러한 무수한 알갱이의 경우 바다 위를 떠다니면서 바위틈 해안가 등에 머무는데 썩지 않는 특성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에 상당한 고초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속이 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은 주로 그물 장착용과 표시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는 바다의 염분과 태양 빛의 영향으로 표면이 경화되어 가면서 내부에 물이 스며들면 부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충격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두께를 두껍게 제조해야하는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스티로폼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의 경우 자연 분해되는데 500년 이상이 걸리는 것으로, 시간이 갈수록 잘게 쪼개지는 현상에 의하여 처리가 더욱 힘들고 수많은 해양 조류, 바다거북,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류 및 어류가 먹이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아 위장에서 이러한 해양 쓰레기가 발견되는 경우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1-0111008호 (2011년10월10일)에서 제시한 '부자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보면 내부에는 스티로폼이 형성되고 그 외측을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커버가 형성되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이는 스티로폼이 잘게 부서져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표면이 매끈하여 각종 부착생물이 자라는 경우가 최소화되며 무엇보다도 외부에 충격을 내부의 스티로폼이 흡수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스티로폼에서 녹는점만을 고려한다면 상기 기술에서 부로우 성형이 가능하다고 하겠지만 스티로폼이 열에 의하여 변형 주로 작게 쪼그라드는 현상은 70 ? 90℃에서 발생하는 것을 생각하면 사실상 제조가 불가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15435-0000호 (2006년08월17일)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3-0022237호 (2003년03월15일)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1-0111008호 (2011년10월1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티로폼이 해양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의 충격에 강한 내구성을 가진 플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지를 블로우 성형기에 투입하면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블로우 성형과정을 거치며 주입구는 뚫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피 성형공정과;
형성된 외피의 주입구 반대 측에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 홀을 형성하는 배출홀 형성공정과;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수지를 고압으로 발포하여 중공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홀을 빠져나가고 발포된 수지가 중공에 충진되도록 하는 발포 충진공정과;
상기 주입구 및 공기 배출홀을 막도록 하여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마감공정의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외피 성형공정에서는 주입구의 반대 측에 중공이 길게 연장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성형하도록 하고;
상기 배출홀 형성공정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절단하여 공기 배출홀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마감공정은 돌출된 돌출부를 가열 용융시킨 후 가압하여 공기 배출홀을 제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피에 의하여 내부의 발포된 수지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발포된 수지에 의하여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어 해양오염을 방지하고 내구성이 강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 시 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수지를 블로우 성형기에 투입하면서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는 블로우 성형과정을 거치며 주입구(12)는 뚫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피 성형공정과;
형성된 외피(1)의 주입구(12) 반대측에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홀(13)을 형성하는 배출홀 형성공정과;
상기 주입구(12)를 통하여 수지를 고압으로 발포하여 중공(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홀(13)을 빠져나가고 발포된 수지(2)가 중공(11)에 충진되도록 하는 발포 충진공정과;
상기 주입구(12) 및 공기 배출홀(13)을 막도록 하여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마감공정의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플로트 제조방법을 나타내었다.
먼저 외피 형성공정은 기존 블로우 성형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로 자세한 언급은 하지 않겠지만 블로우 성형과정에서는 필수적으로 공기와 수지를 공급하는 수단이 있으며 성형 후 이러한 공기를 공급하는 주입구(12)를 제거하지 않고 외형 형성공정을 마치도록 한다.
이후 배출홀 형성과정은 수지가 발포되어 중공(11)을 채울 때 중공(11)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경우 공기압은 발포를 방해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에 공기 배출홀(13)의 형성은 원활한 발포성 수지(2)를 얻기 위하여 필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천공을 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공기 배출홀(13)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발포 충진공정은 수지를 발포하는 것인데 발포성수지의 대표적인 것은 스티로폼과 우레탄폼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우레탄폼은 강도가 강하고 대기중의 산소, 질소, 수증기와 반응하여도 스티로폼과 비교하면 수년 동안 반응하여도 노화가 진행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등 유리한 점이 있으나 가격이 두 배 이상 고가이고, 같은 부피당 무게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단점이 있어 어구로 사용하는 플로트의 경우에는 스티로폼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중공형 플로트와 스티로폼 플로트의 차이는 중공형 플로트의 경우 하나 이상의 고리가 돌출되어 로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졌으나 이 부분이 파손되어 망실되는 경우가 많아 특히 중공형 플로트를 주로 사용하는 중국의 플로트가 해류와 바람을 타고 국내 해안에 대량으로 떠밀려오는 것은 이러한 영향 때문이다.
반면에 스티로폼 플로트의 경우 외면을 따라 로프 등을 밴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망실 우려가 적은 것이나 전술한 오염문제와 내구성 문제가 있었으며 본원의 외피(1)는 별도로 고리를 형성하지 않고 기존 스티로폼 플로트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12) 및 공기 배출홀(13)을 막도록 하여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마감공정에서는 마감면이 돌출되지 않도록 처리를 하여 연결된 그물에 의한 손상이 없고 발포된 수지(2)가 내부에 밀봉되어 유출우려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외피 성형공정에서는 주입구(12)의 반대 측에 중공(11)이 길게 연장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4)를 포함하여 성형하도록 하고;
상기 배출홀 형성공정은 상기 돌출부(14)의 일부를 절단하여 공기 배출홀(13)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마감공정은 돌출된 돌출부(14)를 가열 용융시킨 후 가압하여 공기 배출홀(13)을 제거하도록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상기 공기 배출홀(13)을 천공하여 형성할 경우에는 천공할 때 작업이 번거로우며 또 이를 막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지를 이용하여 마감해야하는 것으로 그 작업이 불편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4)를 형성할 경우 상기 돌출부(14)를 자르면 공기 배출홀(13)이 노출되고, 발포 충진공정을 수행한 후 주입구(12)의 경우 블로우 성형 공정의 특성상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홀(13)도 돌출부(14)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 돌출된 부분을 가열하여 내측으로 가압하면 자연스럽게 공간이 막아지는 간편한 작업으로 마감공정이 완료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 : 외피
11 : 중공 12 : 주입구
13 : 공기 배출홀 14 : 돌출부
2 : 발포된 수지

Claims (2)

  1. 수지를 블로우 성형기에 투입하면서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는 블로우 성형과정을 거치며 주입구(12)는 뚫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외피 성형공정과;
    형성된 외피(1)의 주입구(12) 반대 측에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홀(13)을 형성하는 배출홀 형성공정과;
    상기 주입구(12)를 통하여 수지를 고압으로 발포하여 중공(11)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홀(13)을 빠져나가고 발포된 수지(2)가 중공(11)에 충진되도록 하는 발포 충진공정과;
    상기 주입구(12) 및 공기 배출홀(13)을 막도록 하여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마감공정의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플로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성형공정에서는 주입구(12)의 반대 측에 중공(11)이 길게 연장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4)를 포함하여 성형하도록 하고;
    상기 배출홀 형성공정은 상기 돌출부(14)의 일부를 절단하여 공기 배출홀(13)이 돌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마감공정은 돌출된 돌출부(14)를 가열 용융시킨 후 가압하여 공기 배출홀(13)을 제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플로트 제조방법.
KR1020120039739A 2012-04-16 2012-04-16 플로트 제조방법 KR20120057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39A KR20120057591A (ko) 2012-04-16 2012-04-16 플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39A KR20120057591A (ko) 2012-04-16 2012-04-16 플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91A true KR20120057591A (ko) 2012-06-05

Family

ID=4660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739A KR20120057591A (ko) 2012-04-16 2012-04-16 플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5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298B1 (ko) 2018-08-31 2019-10-30 한기벽 플로트센서 제조용 반자동 용접장치
KR20200021178A (ko) 2018-08-20 2020-02-28 한기벽 플로트의 상하부캡 접합용 열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178A (ko) 2018-08-20 2020-02-28 한기벽 플로트의 상하부캡 접합용 열용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트 제조방법
KR102038298B1 (ko) 2018-08-31 2019-10-30 한기벽 플로트센서 제조용 반자동 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3032A (ko) 친환경 부표
KR101393475B1 (ko) 어구용 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89744Y1 (ko) 압축스티로폼이 내장된 바다양식용 부구
CN201385767Y (zh) 不沉浮筒
KR100575877B1 (ko) 인조목재로 제조된 바지선
KR20180083718A (ko)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KR20180043524A (ko) 에어캡을 파이프 형태의 원통에 넣어 밀봉한 친환경 양식장용 부이
KR20120057591A (ko) 플로트 제조방법
KR102220967B1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1256083B1 (ko) 로프의 야간 식별 표시기구
KR102038993B1 (ko) 코코넛 섬유를 이용한 회전식 부표
KR20120037544A (ko)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KR101188910B1 (ko) 중공 다중셀 부구
KR200207971Y1 (ko) 어구용 부표
KR102215007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친환경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1279828B1 (ko) 항로표지 등부표의 부유체 제조방법
KR100494636B1 (ko) 발포성수지가 충진된 어업용 부구
KR20090109439A (ko) 엘라스토머 부구
KR200475727Y1 (ko) 폰툰 조립체
KR102473118B1 (ko)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
KR102037208B1 (ko) 에어백이 구비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9929B1 (ko) 엘라스토머 부력재
KR100697722B1 (ko) 액화목재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부자
KR200384857Y1 (ko) 액화목재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부자
KR200228078Y1 (ko) 개량 스티로폼 부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