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118B1 -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118B1
KR102473118B1 KR1020220001401A KR20220001401A KR102473118B1 KR 102473118 B1 KR102473118 B1 KR 102473118B1 KR 1020220001401 A KR1020220001401 A KR 1020220001401A KR 20220001401 A KR20220001401 A KR 20220001401A KR 102473118 B1 KR102473118 B1 KR 102473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hip
lower frame
ric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천
박순이
Original Assignee
김남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천 filed Critical 김남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04Irons, steels or ferrous alloys
    • B63B2231/06Stainless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친환경 부자를 이용한 선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은, 다수 개의 금속 부자에 의해서 부유하고, 금속 부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바디와, 바디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돔 형상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제1 단부, 바디 및 제2 단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주입되는 발포재를 포함하고, 제1 단부, 바디 및 제2 단부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해서 형성되며, 바디의 둘레에는 외향 돌출된 보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바디에는 발포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주입구를 내부 공간에 주입할 때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내부에서 생성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SHIP USING ECO-FRIENDLY BUOY}
본 발명은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서 사용되는 부자는 부표나 부구를 통칭하는 것으로, 양식장과 어장을 표시하거나 그물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서 해상에 부유시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자는 닻 부표, 타종부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져서 해상 활동을 하는 선박의 안전과 해상 활동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사용된다.
부자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발포의 일종인 EPS 발포로 제작하고자 하는 부자의 형상에 충진하고 발포하여 성형하는 방법과 EVA, PVC, PP 등 합성수지의 원료를 발포제, 가교제 등을 첨가한 발포폼을 형성하거나 발포 성형된 EPS 발포 폼의 외부를 보강재로 보강하는 방법에 의해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부자는 일반적으로 발포 플라스틱(일명 스티로폼)에 의해서 제작되어서 가볍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는 반면, 잘 부서지는 특성을 가져서 현재는 해양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스티로폼 부자는 굴이나 김 양식장에서 대량을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해양 오염 특히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부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표면을 PCV 또는 PP 등과 같은 일반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친환경 부자가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다.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발포 플라스틱에 비해서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잘 부서지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잘 깨지기 쉽고 무게가 무겁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해양 오염 등 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종래의 부자는 주로 양식장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해양 양식장에서 해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바지선이나, 해상 양식장의 상부에 작업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부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부자를 이용하는 바지선 등은 파쇄나 부식 등에 의해서 심각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18154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일정한 강도를 갖는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은, 다수 개의 금속 부자에 의해서 부유하고, 금속 부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바디와, 바디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돔 형상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제1 단부, 바디 및 제2 단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주입되는 발포재를 포함하고, 제1 단부, 바디 및 제2 단부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해서 형성되며, 바디의 둘레에는 외향 돌출된 보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바디에는 발포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주입구를 내부 공간에 주입할 때 내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내부에서 생성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부자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돌기는 바디의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돌기는 둘레면을 구비하고, 배수구는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포재를 주입할 때 배수구가 발포재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를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배구수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부자의 상부에는 하부프레임이 결합되어 있고, 하부프레임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은 한 쌍의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금속 부자는 걸림돌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일정한 강도를 갖는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금속 부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금속 부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선박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선박에서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예시된 선박에서 상부프레임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금속 부자를 이용한 선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금속 부자(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00)는 부자의 표면이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스테인레스 스틸은 금속 재질로서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볍고 잘 부식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00)는 스테인레스 스틸 이외의 철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0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바디(120)와, 바디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단부(110) 및 제2 단부(112)를 포함한다. 바디(120), 제1 단부(110) 및 제2 단부(112)는 부자(100)의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해서 형성된다.
부자(100)를 제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스틸은 STS 304, 316, 316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STS316은 몰리브덴을 첨가해서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부자(1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제1 단부(110) 및 제2 단부(112)는 돔(dome) 형상을 갖고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단부(110) 및 제2 단부(112)를 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압에 의해서 부자(100)의 외체가 외형적으로 압축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부드러운 곡선 형상을 가져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단부(110) 및 제2 단부(112)는 각각 돔 형상으로 형성된 후 바디(120)의 양단부에 각각 용접이나 열 압착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바디(120)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바디(120)의 둘레면에는 외향 돌출된 보강돌기(122)가 형성되는데, 이는 바디(120)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보강돌기(122)는 바디(120)의 둘레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디(12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보강돌기(122)는 삼각, 반원 또는 등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자(100)는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강돌기(122)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보강돌기(122)는 스테인레스 플레이트를 굴곡시키거나 또는 접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강돌기(122)가 형성된 플레이트를 원형 등으로 변형해서 바디(12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20)의 길이 방향에 대한 보강돌기(122)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크기에 제한이 없다.
바디(124)의 일 측에는 주입구(124) 및 배출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124) 및 배출구(126)는 내부공간(132)과 외부를 연통하는 통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00)는 바디(124)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주입구(124)는 내부공간(132)에 발포재(140)를 주입하는 입구이고, 배출구(126)는 내부공간(132)에 발포재(140)를 주입할 때 내부공간(132)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는 주입구(124) 및 배출구(126)가 바디(1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바디(120)의 내부로 돌출되고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120)의 일 측에는 배수구(128)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28)는 내부공간(132)과 부자(100)의 외부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서 발생한 결로에 의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에 해당한다. 그리고 배수구(128)에는 배구수커버(130)가 결합될 수 있다. 배수구커버(130)는 배수구(128)를 밀폐함으로써 해수 및 각종 이물질이 내부공간(13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배구수커버(130)는 내부공간(132)에 발포재(140)를 주입할 때 배수구(128)에 결합되어 발포재(140)에 의해서 배수구(128)가 차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제1 단부(110), 제2 단부(112) 및 바디(120)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132)에는 발포재가 주입된다. 발포재는 발포 스타이렌 수지(일명 스티로폼)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용융된 상태로 주입구(124)를 통해서 내부공간(132)에 주입될 수 있다. 발포재의 주입 과정에서 내부공간(132)에 잔존하는 공기는 배출구(12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발포재(140)를 주입해서 내부공간(132)을 발포재(140)로서 완전히 충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단부(110), 제2 단부(112) 및 바디(120)를 그 내부에서 지지함으로써 강도를 높여서 형상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주입구(124) 및 배출구(126)에도 이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다.
금속 부자(100)의 직경 및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돌기(122)도 다양한 개수 및 배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자(100)의 외체에 해당하는 제1 단부(110), 제2 단부(112) 및 바디(120)를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함으로써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부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6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금속 부자(160)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6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00)와 형상이 유사하고 다만 보강돌기(172)의 단부에 편평하게 형성된 둘레면(173)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60)는 제1 단부(162), 제2 단부(164) 및 바디(170)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160)의 제1 단부(110), 제2 단부(112) 및 바디(12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바디(170)의 둘레에는 주입구(174) 및 배출구(17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 실시예의 주입구(124) 및 배출구(126)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금속 부자(160)의 내부 공간(180)에는 주입구(174)를 통해서 발포재(190)가 주입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발포재(14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디(170)의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돌기(172)가 형성된다. 보강돌기(172)는 바디(170)의 외면에서 외향 돌출되는 것으로 바디(170)의 강도를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강돌기(172)는 단부에 바디(170)의 외면과 평행하고 편평하게 형성된 둘레면(173)을 구비한다. 둘레면(173)은 일정한 폭을 가져서 다소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둘레면(173)에는 내부에 형성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17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구(178)를 보강돌기(172)의 단부에 형성함으로써, 수분이 집중될 수 있는 보강돌기(172)를 통해서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수구(178)에는 배구수커버(182)가 결합될 수 있다. 배구수커버(182)는 발포재(190)를 주입할 때 배수구(178)가 발포재에 의해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해수나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을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선박(200)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선박(200)에서 상부프레임(220)이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예시된 선박(200의 상부프레임(220)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8에서 금속 부자의 도면 부호를 편의상 160으로 표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도 1 내지 도 2에 예시된 금속 부자(100)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은 위에서 설명한 친환경의 금속 부자(160)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200)의 하부에는 금속 부자(160)가 다수 개가 배열되어 있으며 금속 부자(160)에 의해서 선박(200)이 물위에서 부유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은 하부프레임(210)이 편평한 바지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선박의 형태, 추진동력, 구조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은 이동하거나 또는 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장소에 고정된 형태의 모든 부유물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은, 부력을 제공하는 다수 개의 금속 부자(160)와, 금속부자(160) 상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210)과,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220)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210)은 편평한 형상을 갖고 그 하부에는 걸림돌기(21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212)는 도 6과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두 개가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사이에는 금속 부자(16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걸림돌기(212)에 의해서 금속 부자(160)는 하부프레임(210)에서 좌우 방향(도 6에서 볼 때)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210)의 하부에는 금속 부자(160)가 결합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서 하부프레임(210)이 물 위에서 부유할 수 있게 된다. 하부프레임(210)은 금속 재질의 바(bar)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 개가 결합된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의 상부에는 목재,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재질에 의한 바닥(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210)의 하면에는 금속 부자(160)가 와이어(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금속 부자(160)는 다수 개가 일렬로 배열된 세트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 개가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금속 부자(160)의 배치 개수 및 간격 등은 하부프레임(210)의 크기와 금속 부자(160)의 크기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서 작업자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이 바지선인 경우, 작업자는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에서 양식장 작업(전복 인양 및 손질 등), 멍게 인양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21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2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20)은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 태양광이나 우천시 빗물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부프레임(220)은 수직바(222), 수평바(224), 루프(226) 및 루프바(228)를 포함한다.
수직바(222)는 하부프레임(2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돌출 결합되는 것으로 루프(226)가 하부프레임(210)에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한다. 수직바(222)는 하부프레임(210)의 가장 자리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프레임(210)의 폭에 따라서 그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바(222)들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수직바(222)는 일반 성인의 평균 신장에 비해서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수평바(224)는 수직바(222)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물에 해당한다. 그리고 수평바(224)의 상부에는 루프바(228)가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루프바(228)의 상부에는 루프(226)가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결합되어 있다. 루프(226)는 상부프레임(220)의 상면을 커버해서 태양광이나 빗물이 하부프레임(210) 상에 직접 도달하지 않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3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금속 부자(300)를 이용한 선박(400)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30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 바디(320)와, 바디(320)의 양 단부에 돔 형상을 갖는 제1 단부(310) 및 제2 단부(312)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바디(320)의 둘레에는 오목한 홈 형상의 둘레홈(3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레홈(322)에는 선박(400)의 하부프레임(210)과 금속 부자(300)를 결합하는 연결부재(330)가 삽입된다.
중공의 바디(320)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부(310) 및 제2 단부(312)도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제1 단부(310) 및 제2 단부(312)는 용접 등에 의해서 바디(32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제1 단부(310)의 중앙에는 제1 관통홀(311)이 형성되고, 제2 단부(312)의 중앙에도 제2 관통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311) 및 제2 관통홀(313)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금속 부자(300)의 내부에 압축 공기, 질소, 헬륨, 아르곤 등과 같은 비활성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통홀(311) 및 제2 관통홀(31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서 압축 공기를 금속 부자(300)의 내부에 주입한 후 제1 관통홀(311) 및 제2 관통홀(313) 중 다른 하나를 통해서 금속 부자(300) 내부에 형성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1 관통홀(311) 및 제2 관통홀(313)에는 이를 폐쇄하기 위한 캡(316)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320)의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 개의 둘레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둘레홈(322)은 바디(320)의 둘레 전체에서 일정한 깊이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둘레홈(322)에는 연결부재(330)가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선박(400)이 하부프레임(210)에 대해서 금속 부자(300)의 이동이 방지되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10에 예시된 선박(4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200)과 구조가 동일하고, 다만 하부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금속 부자(300)가 연결부재(330)에 의해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400)은 하부프레임(410)을 구비하고, 하부프레임(410)의 하부에서 금속 부자(300)가 연결부재(330)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재(330)는 금속 재질의 스트랩에 해당할 수 있으며, 얇은 두께와 일정한 폭을 갖는 금속 스트랩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선박(200, 400)으로서 바지선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수상 부유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양식장 구조물 등을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60, 300: 금속 부자
110, 162, 310: 제1 단부
112, 164, 312: 제2 단부
120, 170, 320: 바디
140, 190: 발포재
200, 400: 선박
210, 410: 하부프레임
220: 상부프레임

Claims (8)

  1. 다수 개의 금속 부자에 의해서 부유하는 선박으로서, 상기 금속 부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바디;
    상기 바디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돔 형상을 갖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상기 제1 단부, 바디 및 제2 단부는 스테인레스 스틸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둘레에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둘레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단부에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단부에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금속 부자는 연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선박과 결합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얇은 두께와 일정한 폭을 갖는 금속 스트랩에 해당하며,
    상기 둘레홈은 중앙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상기 둘레홈의 중앙으로 이동하며,
    상기 선박은, 상기 금속 부자가 그 하면에 결합하고 편평한 형상을 갖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 돌출된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배치된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길이가 상이한 다수 개의 루프바와, 상기 루프바의 상부에서 경사각을 갖고 결합된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기의 사이에는 상기 금속 부자가 위치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금속 부자와 접촉하지 않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01401A 2021-10-14 2022-01-05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 KR102473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355 2021-10-14
KR20210136355 2021-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118B1 true KR102473118B1 (ko) 2022-12-02

Family

ID=8441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401A KR102473118B1 (ko) 2021-10-14 2022-01-05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1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543B1 (ko) 2020-09-04 2020-11-20 최남면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78855A (ko) * 2019-12-19 2021-06-29 합자회사 보령환경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
KR102313442B1 (ko) * 2021-03-08 2021-10-14 박순이 금속 부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8855A (ko) * 2019-12-19 2021-06-29 합자회사 보령환경 부잔교, 해상쓰레기 집하장으로 이용되는 해상구조물
KR102181543B1 (ko) 2020-09-04 2020-11-20 최남면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3442B1 (ko) * 2021-03-08 2021-10-14 박순이 금속 부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2196017B1 (ko) 수상 부유 구조물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102495544B1 (ko) 친환경 김발용 부표시스템
KR102473118B1 (ko) 친환경 부자를 이용하는 선박
KR100951180B1 (ko) 해상 및 내수면 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101273537B1 (ko) 부력보강부재가 구비된 푼툰을 이용한 부유해상구조물
KR20100130254A (ko) 수상 도크
RU62578U1 (ru) Пла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CN113653000A (zh) 一种沉箱和沉箱组合
KR102313442B1 (ko) 금속 부자
KR102110426B1 (ko)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
KR102200448B1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20110004990U (ko) 조립형 부구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KR20090016802A (ko)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KR20120057591A (ko) 플로트 제조방법
KR101833325B1 (ko) 내경 중공형 대형 부표의 에어 주입과 외경 보강구조
KR102445095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주차장
KR101883184B1 (ko) 내경 중공형 부표의 에어 주입과 외경 보강구조
KR102256283B1 (ko) 양식장용 부유 구조물
KR20140003793U (ko) 폰툰 조립체
KR102674923B1 (ko) 강화바닥판을 구비한 바지선
KR200453222Y1 (ko) 조립식 부잔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