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802A -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 Google Patents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802A
KR20090016802A KR1020070081051A KR20070081051A KR20090016802A KR 20090016802 A KR20090016802 A KR 20090016802A KR 1020070081051 A KR1020070081051 A KR 1020070081051A KR 20070081051 A KR20070081051 A KR 20070081051A KR 20090016802 A KR20090016802 A KR 20090016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low block
hollow
eyepiec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목
Original Assignee
스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트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802A/ko
Publication of KR2009001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8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내구성과 함께 조류의 영향에 따른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밀폐 형성되는 중공형태의 본체와, 본체의 네모서리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리부로 이루어진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지탱하는 보강파이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접안시설, 중공블럭, 본체, 보강재, 보강파이프, 반구

Description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a block for lighter's wharf or quay wall}
본 발명은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은 내구성과 함께 조류의 영향에 따른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닷가나 강가와 같이, 물이 인접한 곳에는 보트나 배가 접안할 수 있도록 접안시설이 되어 있다. 이러한 접안시설로는 나무나 판재등을 서로 엮은 형태의 간이적인 접안시설이 있으나, 위의 접안시설은 내구성이 취약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음으로서 안정성에 문제점이 예상된다. 따라서 근래 들어서는 콘크리트로 구조물을 직접 구축한 접안시설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안시설은 정박중인 모터보트로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데, 이는 썰물과 밀물에 영향을 받지않고 항상 일정높이를 유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비해 모터보트는 썰물과 밀물에 따라 높이가 다르게 됨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모터보터간의 높이차로 인한 접근성이 낮다는 단점 이 있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면에는 모터보트와의 충돌을 완화하기 위하여 폐타이어나 스티로폴등과 같은 완충재를 설치하게 되는 데, 이러한 완충제의 사용은 결과적으로 미관을 해쳐 디자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2005. 01. 14. 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한 출원번호 제 10-2005-0003658 호(명칭: 내구성이 증대된 조립식 접안시설 및 그의 제조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수직으로 교차하는 2개의 축에 의하여 회전되는 형틀 내부에서 원심력에 의하여 성형되어 이음매가 없으며, 중공부가 형성되게 밀폐된 육면체 형상이고, 각각의 모서리에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4개의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본체와, 인접하게 연결되는 상기 본체에 의하여 적층되는 최소한 둘 이상의 고리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선행기술은 접안시설이 수면의 높이차에 따라 모터보트와 함께 부상하게 됨으로서 모터보트와의 높이이 차이나지 않도록 하여 정박중인 모터보터로 접근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개개의 본체들이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됨으로서 내구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으며, 따라서 접안시설로 제작된 본체에 일정하 중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본체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접안시설 전체가 붕괴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물위에 떠 있는 상태임으로서 파도나 조류에 영향을 받아 상, 하, 좌, 우로 쉽게 유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터보트로 승선 혹은 하선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블럭을 구성하는 본체 내부에 보강파이프 및 보강재를 설치하여 접안시설에 가해지는 하중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공블럭의 상, 하면에 보강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통과공을 형성함으로서 접안시설에 고여지는 물을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통과공으로 각종 레저용품의 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레저용품 설치에 따른 간편함을 기할 수 있는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공블럭의 저면을 반구형태로 볼록지게 형성하여 서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중공블럭들 사이로 조류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공블럭을 육각형태로 제작하여 가장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밀폐 형성되는 중공형태의 본체와, 본체의 네모서리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리부로 이루어진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지탱하는 보강파이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보강재를 인서트 사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보강파이프의 내부 공간부와 연결하여 통하는 통과공을 관통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에는 논슬립패널을 끼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홈의 둘레에는 상기 통로부에 연결되는 드레인부를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저면은 반구형태로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평면상으로 육각형태를 가지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중공블럭에 하중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파이프 및 보강재를 내설함으로서 중공블럭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중공블럭에 형성된 통과공을 통해 중공블럭의 상면에 고여있는 빗물이나 해수를 원할히 배수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은 통과공으로 각종 레저용품의 지지대를 삽입함으로서 레저용품 설치에 따른 간편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은 중공블럭의 저면을 반구형태로 볼록지게 형성하여 서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중공블럭들 사이로 조류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접안시설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접안시설 내에 고여있는 해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 섯번째로, 본 발명은 중공블럭을 가장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육각형태로 제작함으로서 접안시설에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높혀줄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접안시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접안시설(A)은 수면위로 부상하는 부력체인 다수개의 중공블럭(10)들을 수평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각 중공블럭(10)들을 볼트(50)로 고정시켜 조립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중공블럭(10)은 언급한 바와 같이 접안시설(A)의 제작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서와 같이 가두리양식장(B)에서 어망을 부상시키는 부력체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파라솔이나 의자등의 레저용품(70)을 비치한 상태로 물위를 떠 다니는 간이배(C)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을 사용하지 않는 부교(浮橋)(C)의 제작에도 다양하게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바, 하기에서는 이와같은 다양한 시설물의 제작에 사용되는 중공블럭(10)들중에서 접안시설(A)에 사용되는 중공블럭(10)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실시 예 1}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중공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블럭(10)은 내부에 공간부(14)가 밀폐 형성되는 중공형태의 본체(12)로 외형을 이룬다.
상기 본체(12)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평면상으로 사각형태(즉, 육면체의 입체구조)를 가지도록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다.
상기 본체(12)의 네모서리면들에는 네개의 고리부(16)들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16)들은 조립과정에서 다른 중공블럭(10)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16)의 위에 얹혀지거나 혹은 고리부(16)의 아래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50)로 체결되 어 각 중공블럭(10)들을 연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리부(16)들은 하나의 본체(12)상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다른 중공블럭(10)과의 조립과정에서 각 중공블럭(10)에 형성된 고리부(16)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상, 하로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2)의 상단 네모서리면에는 안착홈(18)들이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8)들은 본체(12)의 고리부(16)로 볼트(50)를 체결할 때, 상기 볼트(50)의 머리부(52)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과정에서 볼트(50)의 머리부(52)가 중공블럭(10) 위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본체(12)의 외곽면들중 두곳의 외곽면에는 삽입돌기(20)들이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두곳의 외곽면에는 상기 삽입돌기(20)에 대응하는 삽입홈(22)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20)와 삽입홈(22)들은 중공블럭(10)들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중공블럭(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돌기(20)를 다른 중공블럭(1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22)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복수개의 중공블럭(10)들을 서로 견고하게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12)에는 보강재(24)가 삽입된다. 상기 보강재(24)는 본체(12)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본체(1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강재(24)는 접안시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중공블럭(10)의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인장력 혹은 외부 충격에 따른 파손됨을 보강하여 중공블럭(1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재(24)로 사용되는 재질로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매쉬형상의 금속망체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 직하다.
상기 본체(12)의 내부 공간부에는 보강파이프(26)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파이프(26)는 내부에 공간(28)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2)와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강파이프(26)는 상기 본체(12)의 상면을 지탱하며 접안시설로 사용된 중공블럭(10)의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게 된다.
상기 본체(12)의 상, 하면 중앙에는 통과공(30a, 30b)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30a, 30b)은 본체(12)의 내부 공간부(14)에 형성되어 있는 보강파이프(26)의 공간(28)과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하여 본체(12)의 상면에 고여지는 물을 배수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과공(30a, 30b)들과 보강파이프(26)의 내부 공간(28)으로는 파라솔이나 의자등의 레저용품(70)을 지탱하는 지지대(70a)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레저용품(70)들의 설치에 따른 간편함을 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과공(30a, 30b)들중 본체(12)의 상면에 형성되는 통과공(30a)은 본체(12)의 상면 중앙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본체(12)의 상면 전체에 걸쳐 다수개를 동시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의 상면에는 거치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32)에는 논슬립패널(34)이 끼워진다. 상기 논슬립패널(34)은 본체(12)와 같이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지 않고, 목재나 우레탄등의 재질로 제작하여 본체(12)의 상면에 사용자의 발이 닿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논슬립패널은 목재나 우레탄등의 재질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미적감각을 함께 구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논 슬립패널(34)의 상면 중앙에는 본체(12)의 통과공(30a)을 폐쇄하지 않도록 상기 통과공(30a)과 연통하는 구멍(36)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의 작용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중공블럭(10)을 이용하여 접안시설(A)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형태로 사출 성형된 다수개의 중공블럭(10)들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가며 조립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두개의 중공블럭(10)들의 조립과정을 대표하여 기술하면, 먼저 하나의 중공블럭(10)에 형성된 고리부(16)를 다른 중공블럭(10)에 형성된 고리부(16)에 적층시킨 다음, 볼트(50)로 상기 고리부(16)들을 관통시킨 후, 너트(미 도시 함)로 체결시킴으로서 두개의 중공블럭(10)들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개의 중공블럭(10)들을 조립시켜 접안시설(A)을 제작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된 접안시설(A)은 중공블럭(10)을 구성하는 본체(12)에 내설된 보강파이프(26) 및 보강재(24)를 통해 뛰어난 내구성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중공블럭(1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인장력 혹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 2}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중공블럭(10)은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 바람직하게는 중공블럭(10)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각형태로 내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제작하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네모서리면 상단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18)들과, 상기 본체(12)의 네모서리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리부(16)와, 상기 본체(12)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보강재(24)와, 상기 본체(12)의 내부 공간부(14)에 구비되는 보강파이프(26)와, 상기 본체(12)의 상, 하면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보강파이프(26)의 내부 공간(28)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통과공(30a, 30b)들 및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거치홈(32)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상기 본체(12)의 통과공(30a)과 연통하는 구멍(36)이 형성되는 논슬립패널(34)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12)의 저면을 반구형태로 볼록부(110)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12)의 저면을 반구형태로 볼록(110)하게 형성한 것은 서로 조립되는 복수개의 중공블럭(10)들 사이로 조류(T)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여 접안시설(A)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접안시설(A) 내외부로 해수가 손 쉽게 드나들도록 하여 해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접안시설(A)을 제작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중공블럭(10)들을 연결하게 되면 각 중공블럭(10)과 중공블럭(10) 사이에는 저면에 형성되는 반구형태의 볼록부(110)를 통해 공간(S)이 형성되어 지는 데,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S)을 통해 조류(T)는 접안시설(A)에 부딧치지 않고 상기 공간(S)으로 빠져나가게 됨으로서 접안시설(A)의 흔들림을 줄여줄 수 있고, 또한 상기 공간(S)을 통 해 접안시설(A) 내, 외로 해수가 쉽게 드나들 수 있음으로서 접안시설(A)내에 고여있는 해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예 3}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 예에 따른 중공블럭(10)은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 바람직하게는 중공블럭(10)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각형태로 내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제작하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네모서리면 상단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18)들과, 상기 본체(12)의 네모서리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리부(16)와, 상기 본체(12)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보강재(24)와, 상기 본체(12)의 내부 공간부(14)에 형성되는 보강파이프(26)와, 상기 본체(12)의 상, 하면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보강파이프(26)의 내부 공간(28)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통과공(30a, 30b)들 및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거치홈(32)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상기 본체(12)의 통과공(30a)과 연통하는 구멍(36)이 형성되는 논슬립패널(34)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12)를 평면상에서 육각형태(즉, 팔면체의 입체구조)로 제작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12)를 육각형태로 제작한 것은 도 13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중공블럭(10)들을 서로 조립할 때, 다른 다각형태(예를들어 사각 혹은 팔각)의 중공블럭들을 조립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하 기 위한 것이다.
{실시 예 4}
첨부된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중공블럭은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 바람직하게는 중공블럭(10)을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각형태로 내부에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제작하는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네모서리면 상단에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18)들과, 상기 본체(12)의 네모서리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리부(16)와. 상기 본체(12)의 내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보강재(24)와, 상기 본체(12)의 내부 공간부(14)에 구비되는 보강파이프(26)와, 상기 본체(12)의 상, 하면 중앙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보강파이프(26)의 내부 공간(28)과 연통하는 복수개의 통과공(30a, 30b)들 및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거치홈(32)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상기 본체(12)의 통과공(30a)과 연통하는 구멍(36)이 형성되는 패널(34)로 구성하되,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형성된 거치홈(32) 둘레로 다수개의 드레인부(210)를 더 형성하여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본체(12)의 거치홈(32)에 함몰 형성되는 드레인부(210)는 도 15에서와 같이 그 선단이 본체(12)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통과공(30a)과 연통한 상태에서 본체(12)의 상면에 고여있는 해수나 빗물을 상기 통과공(30a)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홈(32)에 끼워지는 논슬립패널(34)에는 상기 드레인부(210)가 논슬 립패널(34)에 의해 덮혀지지 않도록 상기 논슬립패널(34)에 상기 드레인부(210)에 대응하는 크기의 구멍(220)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공블럭으로 제작된 접안시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중공블럭으로 제작된 가두리 양식장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중공블럭으로 제작된 간이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중공블럭으로 제작된 부교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블럭의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중공블럭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중공블럭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블럭의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중공블럭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중공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블럭의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중공블럭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중공블럭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블럭의 제 4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서 도시하고 있는 중공블럭의 단면을 일부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접안시설 B: 가두리 양식장
C: 간이배 D: 부교
S: 공간 T: 조류
10: 중공블럭 12: 본체
14: 공간부 16: 고리부
18: 안착홈 24: 보강재
26: 보강파이프 28: 공간
30a, 30b: 통과공 32: 거치홈
34: 논슬립패널 50: 볼트
70: 레저용품 110: 볼록부
210: 드레인부

Claims (7)

  1. 내부에 공간부가 밀폐 형성되는 중공형태의 본체와, 본체의 네모서리면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리부로 이루어진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상기 본체의 상면을 지탱하는 보강파이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보강재가 인서트 사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보강파이프의 내부 공간부와 연결하여 통하는 통과공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홈에는 논슬립패널이 끼 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의 둘레에는 상기 통로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레인부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면은 반구형태로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평면상으로 육각형태를 가지도록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KR1020070081051A 2007-08-13 2007-08-13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KR200900168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051A KR20090016802A (ko) 2007-08-13 2007-08-13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051A KR20090016802A (ko) 2007-08-13 2007-08-13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802A true KR20090016802A (ko) 2009-02-18

Family

ID=4068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051A KR20090016802A (ko) 2007-08-13 2007-08-13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68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59B1 (ko) * 2012-05-23 2014-08-1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평면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KR20160058450A (ko) * 2014-11-17 2016-05-25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부유 가능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WO2019168226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59B1 (ko) * 2012-05-23 2014-08-1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평면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KR20160058450A (ko) * 2014-11-17 2016-05-25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부유 가능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WO2019168226A1 (ko) * 2018-02-27 2019-09-06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GB2577665A (en) * 2018-02-27 2020-04-08 Se Gi Synthetic Env Co Ltd Unit for assembling with anchor pile and assembly hav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422B1 (ko) 조립식 폰툰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0243423B1 (ko) 수상 부유구조체
EP3075648B1 (en) Marine float structure composed of multiple floats
KR100870390B1 (ko)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KR102205978B1 (ko) 부력 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 및 그 제조방법
KR101371080B1 (ko) 부유식 수상 구조물용 강 콘크리트 합성 폰툰
CA2389842A1 (en) Modular dock system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KR101180822B1 (ko)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KR101009264B1 (ko) 수상구조물용 부유조립체
KR101060086B1 (ko) 데크가 장착된 조립식 폰툰
AU2019369933A1 (en)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KR100951180B1 (ko) 해상 및 내수면 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WO2002092425A1 (en) Floating multipurpose platform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20090016802A (ko)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KR101975167B1 (ko) 수상 플로트 구조물
KR20170107863A (ko)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RU62578U1 (ru) Пла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KR200435477Y1 (ko)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200409137Y1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KR100762519B1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KR101252708B1 (ko) 해중 공간을 구비한 해상 부유식 구조물 직접 시공 방법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