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5477Y1 -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 Google Patents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5477Y1
KR200435477Y1 KR2020060025060U KR20060025060U KR200435477Y1 KR 200435477 Y1 KR200435477 Y1 KR 200435477Y1 KR 2020060025060 U KR2020060025060 U KR 2020060025060U KR 20060025060 U KR20060025060 U KR 20060025060U KR 200435477 Y1 KR200435477 Y1 KR 200435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socket member
circumferential surface
mol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근
Original Assignee
신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근 filed Critical 신호근
Priority to KR2020060025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5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5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5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rchitectur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플로트몸체(10)의 가장자리부(10a)에 연결고리(12)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몸체(10)의 상부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체결부(14)에 체결수단을 형성하는 플로트로서, 내주면에 나사산(20a)이 형성된 소켓부재(20)와, 이 소켓부재(20)의 외주부와 결합되는 몰드관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몰드관부재(30)가 상기 소켓부재(2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플로트(10)의 체결부(14)에 일체로 성형되어, 플로트몸체(10)의 체결부(14)에 몰드관부재(30)와 일체로 설치된 소켓부재(20)에 마감재(40), 크리트(50), 안전난간(60) 등을 직접 설치하기 위한 체결구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플로트, 소켓부재, 몰드관부재, 보울트

Description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 A float having means for coupling a bolt }
도 1은 종래의 플로트에 마감재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구비된 체결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소켓부재의 사시도,
(b)는 몰드관부재의 사시도,
(c)는 소켓부재와 몰드관부재가 결합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마감재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마감재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부속물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부속물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로트 12 : 연결고리
14 : 체결부 20 : 소켓부재
22 : 수평그루브 24 : 수직그루브
30 : 몰드관부재 32 : 제1돌기부
34 : 제2돌기부 40 : 마감재
50 : 크리트 60 : 안전난간
본 고안은 조립식 수상구조물로 사용되는 플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로트 위쪽에 설치되는 마감패널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수상구조물은 플로트를 조립하여 부두선착장, 요트계류장, 해상공원에서 접안시설물로 사용되거나, 가두리양식장에서 어망을 띄워서 지지하는 부양시설물로 사용되고 있다.
접안시설물로 사용되는 종래의 플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형의 플로트(100)의 가장자리부에 각각 핀연결용 연결고리(102)가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100)를 맞닿게 배치하여 겹쳐지는 연결고리(102)에 연결핀(110)을 끼워서 일 정한 조립체를 완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100)는 상부에는 마감재(120)를 설치하기 위한 보울트(122)와 결합하는 복수의 체결홀(104)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플로트는 플로트몸체 상부에 별도의 체결구가 형성되지 않고 체결홀(104)이 형성되어 보울트(122)와 직접 결합하도록 되어, 마감재(120)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때 공구로서 보울트(122)를 조이는 힘이 조금만 크게 작용하더라도 체결홀(104)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보울트(122)를 플로트(100)의 체결홀(104)에 완전하게 고정할 수 없으므로 마감재(120)를 조립한 상태에서도 파도 등에 의하여 플로트가 유동할 때 보울트(122)가 쉽게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로트(100)의 체결홀(104)이 손상되면 마감재(120)를 고정하는 부분이 이탈되므로 플로트(100) 자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플로트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감재와 결합되는 플로트의 체결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재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로트몸체의 가장자리부에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몸체의 상부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수단을 형성하는 플로트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부재와, 이 소켓부재의 외주부와 결합되는 몰드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몰드관부재가 상기 소켓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플로트의 체결부에 일체로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재는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그루브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몰드관부재와 성형될 때 결합력을 강화시키도록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그루브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몰드관부재는 내주면에 상기 수직그루브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돌기부와,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부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에 의하면, 소켓부재가 몰드관부재와 결합한 상태로 플로트몸체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보울트를 사용하여 마감재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몸체(10)의 가장자리부(10a)에 연결고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로트몸체(10)의 상부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체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몸체(10)의 체결부(14)에는 소켓부재(20)와 몰드관부재(30)가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소켓부재(20)가 몰드관부재(30)에 삽입 결합된 상태로 플로트몸체(10)의 체결부(14)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몸체(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형이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재로 성형제작 된다.
상기 플로트몸체(10)의 체결부(14)는 플로트몸체(10)의 상부면에 한쪽 선단부에 6개씩 배치되고 맞은편과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체결부(14)를 복수개로 형성하는 이유는 도 5, 도 7에 도시된 복수의 마감재(40), 크리트(50), 안전난간(60)이 플로트몸체(10)의 전체면에 설치될 때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소켓부재(20)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그루브(24)가 구비되어 있고,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그루브(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그루브(24)는 몰드관부재(30)와 결합하여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몰드관부재(30)에 대하여 소켓부재(20)가 헛돌지 않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수평그루브(22)는 몰드관부재(30)가 성형될 때 부분적으로 몰드수지가 그루브 내에 채워지게 됨으로써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수평그루브(22)는 몰드관부재(30)와 결합되는 부분을 확장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2열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그루브(22)는 상기 수직그루브(24)에 비하여 그루브깊이가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몰드관부재(30)가 몰드성형될 때 몰드수지가 수평그루브(22)에 채워지는 양이 한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소켓부재(20)는 외경이 15mm, 내경이 10mm 이고, 높이가 15mm 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부재(20)는 녹슬지 않는 스텐레스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마감재(40), 크리트(50) 및 안전난간(60)을 고정하는 보울트(42)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몰드관부재(30)는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상기 소켓부재(20)의 수직그루브(24)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돌기부(32)와,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몰드관부재(30)의 제1돌기부(32)는 소켓부재(20)의 수직그루브(24)에 결합하여 소켓부재(2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몰드관부재(30)의 제2돌기부(34)는 플로트몸체(10)와 일체로 성형될 때 플로트몸체(10)와의 결합력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몰드관부재(30)는 외경이 20mm, 내경이 15mm 이고, 높이가 18mm 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몰드관부재(30)는 투명한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로트몸체(10)에 체결부(14)를 형성하는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켓부재(20)를 몰드관부재(30)에 삽입한 다음, 소켓부재(20)가 결합된 몰드관부재(30)를, 플로트몸체(10)를 성형하는 성형틀(미도시)에 배치한다. 그 후 플로트몸체(10)를 이루는 액상 합성수지재를 고온의 압축공기를 불어넣어면서 성형틀에 몰드시킨다. 이 때, 액상 합성수지재가 몰드관부재(30)와 열용해되고, 몰드관부재(30)의 몰드수지가 소켓부재(20)의 수평그루브(22)에 채워지면서 소켓부재(20)와 일체로 성형되게 된다.
도 5는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마감재가 조립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마감재가 결합된 조립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플로트몸체(10)에 대하여 마감재(40)를 사용하여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즉 1쌍의 플로트몸체(10)의 체결부(14;14a,14b,14c)와 마감재(40;40-1,40-2,40-3)의 체결홀(40a,40b,40c)을 일치시킨 후 보울트(42)로써 고정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보울트(42)는 상기 마감재(40;40-1,40-2,40-3)의 체결홀(40a,40b,40c)에 완전히 끼워지도록 머리부가 원통형으로 되고 내부에 6각홈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부속물로서 크리트 및 안전난간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플로트에 크리트 및 안전난간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에 장착되는 부속물로서 크리트(50) 및 안전난간(60)을 플로트몸체(10)에 상에 직접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크리트(50) 및 안전난간(60)은 플로트몸체(10)와 결합하도록 하부에 받침부(52,6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52,62)에 플로트몸체(10)의 체결부(14)에 일치되는 체결홀(52a,6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로트몸체(10)의 체결부(14)에 크리트(50)의 받침부(52) 및 안전난간(60)의 받침부(62)를 일치시킨 후 보울 트(54, 64)로써 체결홀(52a,62a)에 끼워서 고정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보울트(54, 64)는 조립하거나 분리할 때 용이하게 고정설치 하도록 머리부가 6각형인 일반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에 의하면, 소켓부재가 몰드관부재와 결합한 상태로 플로트몸체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체결부가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플로트의 체결부에 부속물로서 마감재, 크리트, 안전난간 등을 보울트로써 직접 연결함으로써 부속물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플로트몸체(10)의 가장자리부(10a)에 연결고리(12)가 형성되고, 상기 플로트몸체(10)의 상부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체결부(14)에 체결수단을 형성하는 플로트로서,
    내주면에 나사산(20a)이 형성된 소켓부재(20)와, 이 소켓부재(20)의 외주부와 결합되는 몰드관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몰드관부재(30)는 상기 소켓부재(2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플로트몸체(10)에 일체로 성형된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20)는 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그루브(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20)는 상기 몰드관부재(30)와 성형될 때 결합력을 강화시키도록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그루브(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관부재(30)는 내주면에 상기 수직그루브(24)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돌기부(32)와,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제2돌기부(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그루브(22)는 일정간격을 두고 2열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관부재(30)는 고밀도폴리에틸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몸체(10)의 체결부(14)에 보울트(42,54,64)로써 마감재(40), 크 리트(50), 안전난간(60)을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KR2020060025060U 2006-09-18 2006-09-18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KR200435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060U KR200435477Y1 (ko) 2006-09-18 2006-09-18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060U KR200435477Y1 (ko) 2006-09-18 2006-09-18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110A Division KR100804052B1 (ko) 2006-09-18 2006-09-18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5477Y1 true KR200435477Y1 (ko) 2007-01-24

Family

ID=4156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060U KR200435477Y1 (ko) 2006-09-18 2006-09-18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547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29B1 (ko) * 2008-07-22 2010-10-26 주식회사 다우해양 엘라스토머 부력재
KR101684568B1 (ko) * 2016-03-14 2016-12-08 아진기공 주식회사 개량형 플로팅 폰툰 지주구조
KR101699963B1 (ko) * 2016-03-14 2017-01-26 아진기공 주식회사 폰툰의 개량형 미끄럼 방지 구조
KR101813572B1 (ko) * 2016-12-29 2018-01-02 넥스트 주식회사 플로트의 볼트체결구조
KR102136876B1 (ko) 2019-09-17 2020-08-13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플로트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29B1 (ko) * 2008-07-22 2010-10-26 주식회사 다우해양 엘라스토머 부력재
KR101684568B1 (ko) * 2016-03-14 2016-12-08 아진기공 주식회사 개량형 플로팅 폰툰 지주구조
KR101699963B1 (ko) * 2016-03-14 2017-01-26 아진기공 주식회사 폰툰의 개량형 미끄럼 방지 구조
KR101813572B1 (ko) * 2016-12-29 2018-01-02 넥스트 주식회사 플로트의 볼트체결구조
KR102136876B1 (ko) 2019-09-17 2020-08-13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플로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5477Y1 (ko)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US5281055A (en) Floating dock
AU20053192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docks
KR200447350Y1 (ko) 푼툰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해상구조물
US3335429A (en) Swimming pool coping
KR100804052B1 (ko) 보울트 체결수단을 구비한 플로트
KR101040014B1 (ko) 조립형 부구
KR101277117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KR101060086B1 (ko) 데크가 장착된 조립식 폰툰
KR100951180B1 (ko) 해상 및 내수면 구조물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
KR200444674Y1 (ko) 부교
KR20110090528A (ko)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KR101813572B1 (ko) 플로트의 볼트체결구조
KR101180822B1 (ko) 논슬립 패널이 부착된 조립식 폰툰
KR102055413B1 (ko) 보조 부력체 유닛의 설치를 통해 부분적인 부력보강이 가능한 수상 부유 구조물
KR200418381Y1 (ko) 조립식 안전펜스
KR200435478Y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KR101975167B1 (ko) 수상 플로트 구조물
JP4007903B2 (ja) 猫の遊戯具用支柱
US20140182505A1 (en) Floating dock system and dock module therefor
KR200434010Y1 (ko) 플로트 조립체
KR101270949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연결체 및 그 연결체 어셈블리
JP6755083B2 (ja) 螺旋階段
JP5357519B2 (ja) 道路用標示体
KR100714788B1 (ko) 하수도용 맨홀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