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35B1 -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 - Google Patents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35B1
KR102215135B1 KR1020190043347A KR20190043347A KR102215135B1 KR 102215135 B1 KR102215135 B1 KR 102215135B1 KR 1020190043347 A KR1020190043347 A KR 1020190043347A KR 20190043347 A KR20190043347 A KR 20190043347A KR 102215135 B1 KR102215135 B1 KR 102215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lor conversion
mol
composition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427A (ko
Inventor
박태호
차명룡
임형석
박지형
홍성준
권태성
이성재
마각 오티에노 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스
Priority to KR102019004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35B1/ko
Priority to PCT/KR2019/009879 priority patent/WO2020209448A1/ko
Priority to TW108131040A priority patent/TWI707832B/zh
Publication of KR2020012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4/00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 C03C4/12Compositions for glass with special properties for luminescent glass; for fluorescent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용 유리 조성물은 5~25mol%의 SiO2, 20~40mol%의 B2O3, 30~50mol%의 ZnO 및 0.1~20mol%의 Tl2O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GLASS COMPOSITION AND COLOR CONVERSION GLASS COMPRISING IT}
본 발명은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고 함)는 갈륨(Ga), 인(P), 비소(As)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반도체로서, 전류를 흐르게 하면 빛을 발하는 성질을 갖는다. LED는 종래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응답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소형화가 가능하면서도 선명한 색의 광을 방출하기 때문에 각종 표시장치의 광원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액정 화면 뒤에서 빛을 방출해 주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 BLU)에서의 발광소자로 LED 칩을 포함하는 LED 패키지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 등에 사용되는 LED 패키지는 LED 칩을 리드프레임(Lead Frame) 상에 실장하고 봉지재로 봉지한 후 렌즈를 부착하여 형성한다. 여기에서, 봉지재는 기본적으로 LED 칩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면서 LED 칩으로부터의 빛을 투과시켜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LED 칩에서의 발광색을 변환시키기 위해 LED 칩에서 방출되는 광의 경로 상에 형광체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재로는 에폭시 계열과 실리콘 계열의 수지를 사용하고, 형광체를 봉지재와 별개로 또는 봉지재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봉지재는 고출력화에 따른 LED의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열화될 수 있어 광효율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형광체를 함유하는 유리(Phosphor in Glass; PIG), 소위 색변환 유리를 사용하여 색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색변환 유리는 형광체가 유리 내에 봉합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종래 색변환 유리의 경우 유리와 형광체 사이의 굴절률의 차이로 인하여 LED에서 출사된 빛이 색변환 유리를 투과하는 과정에서 산란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광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제5257854호(2013.5.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리의 굴절률을 형광체의 굴절율과 유사하도록 하여 높은 광효율을 갖는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의 유리 조성물은 5~25mol%의 SiO2, 20~40mol%의 B2O3, 30~50mol%의 ZnO 및 0.1~20mol%의 Tl2O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용 유리 조성물은 2~17mol%의 MgO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조성물의 전이 온도는 440 ~ 4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성 온도는 580 ~ 63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굴절률은 1.6 내지 1.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는 상술한 유리 조성물과 형광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리 조성물이 Tl2O3을 포함함으로써 유리와 형광체 사이의 굴절률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색변환 유리의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의 색좌표와 광효율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의 내화학성에 관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는 유리 내에 형광체를 함유한 것으로, LED에서 출사되는 광의 색을 다른 색으로 변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색변환 유리는 LED 일측에 배치되어 함유하는 형광체에 따라, LED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다른색-예를 들어, 청색광을 적색 내지 녹색-으로 변환하여 방출할 수 있다.
색변환 유리는 기본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유리와, 유리에 분포되어 광의 색을 변환하는 형광체를 포함한다. 유리는 복수의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유리 조성물을 소성하여 형성되며, 유리 조성물은 유리의 주체를 이루는 기본 조성에 유리의 고굴절 특성을 위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조성물의 SiO2, B2O3 및 ZnO의 기본 조성에 Tl2O3를 더 포함한다. 이하, 유리 조성물의 각 성분의 역할과 바람직한 함량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유리 조성물의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한다.
SiO2는 3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하여 유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SiO2의 함량을 5~25mol%로 한다. 만일, SiO2의 함량이 5mol%보다 낮은 경우 유리의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반대로 SiO2의 함량이 25mol%보다 높은 경우 유리의 전이 온도와 연화 온도가 높아져 유리의 제조 공정이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유리의 전이 온도와 연화 온도가 높아지게 되면, 색변환 유리의 제조를 위해 유리 조성물과 형광체의 혼합물을 소성하는 과정에서 형광체가 열화되어 그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B2O3은 SiO2와 마찬가지로 유리를 형성하는 물질로써 유리의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에 기여한다. 또한, B2O3은 낮은 열 팽창률을 갖기 때문에 유리의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B2O3가 유리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그 함량을 20~40mol%로 한다. 만일, 색변환 유리의 조성에서 B2O3의 함량이 20mol%보다 낮은 경우 유리의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충분치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40 mol%보다 높은 경우 굴절률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ZnO는 SiO2 또는 B2O3의 결합을 끊어 연화 온도를 낮추고 유리의 용융성을 개선시키며 유리의 굴절률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ZnO의 함량을 30~50mol%로 한다. 만일, ZnO의 함량이 30mol%보다 낮게 되면 유리의 용융성이 낮아 유리 제조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반대로 함량이 50mol%보다 높은 경우, 유리의 내부에 결정이 생겨 투명도가 낮아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색변환 유리는 유리 조성물과 형광체를 혼합하고 이를 소성하여 형성되며, 형광체로는 YAG, LuAG, α-SiAlON, β SiAlON, CaSiN, KS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광체는 일반적으로 1.8~2 범위의 굴절률을 가지는 반면, 종래기술에 따른 유리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는 1.5 이하의 굴절률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색변환 유리 내 유리 조성물과 형광체의 굴절률의 차이로 인하여 LED에서 출사하여 색변환 유리를 투과하는 광이 산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 손실이 발생하여 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리 조성물에 Tl2O3를 포함함으로써 유리 조성물의 굴절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안출하였다.
Tl2O3는 유리 조성물에 첨가되어 유리의 굴절률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 조성물이 0.1~20mol%의 Tl2O3를 포함함으로써 1.6 내지 1.7의 굴절률을 갖는 유리를 형성할 수 있다. Tl2O3의 함량을 0.1mol%보다 낮게 사용하면 유리의 굴절률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고, 반대로 Tl2O3의 함량을 20mol%보다 높게 하면 굴절률을 더 증가시킬 수는 있으나, 전이 온도가 높아지거나 용융성을 저하시켜 용융물이 불균질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Tl2O3의 함량을 지나치게 높게 하여 유리의 굴절률이 일정 수치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색변환 유리로 진입하는 광이 표면 반사 등에 의해 색변환 유리의 투과도를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광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Tl2O3의 함량을 0.1~20mol%로 한다.
색변환 유리에서 소성 온도를 낮춰 형광체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첨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Li2O, Na2O 등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SiO2에서 규소 원자(Si)와 산소 원자(O)의 결합을 끊어 용융성을 향상시키고 유리 전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반응성이 높아 색변환 유리의 제조 과정에서 형광체와 반응하여 형광체의 특성을 저하시키고 광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은 유리의 내수성을 저하시키고 실투 현상을 초래하여 굴절률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이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유리 조성물이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대신에 망목수식 산화물로 MgO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gO은 색변환 유리의 소성 온도를 낮추어 유리의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MgO는 함량은 유리의 소성 온도와 투명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17mol%로 할 수 있다. MgO의 함량이 2mol%보다 낮은 경우 소성 온도를 적절하게 낮출 수 없게 되고, 반대로 17mol%보다 높은 경우 유리의 투명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다만, 망목수식 산화물이 MgO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MgO 이외에도 알칼리토류인 CaO, SrO, BaO 등을 단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물질들을 포함하는 유리의 조성물의 전이 온도(Tg)는 440~480℃일 수 있다. 유리 조성물을 소결하기 위한 소성 온도는 전이 온도보다 약 100℃ 높은 온도가 적절하며, 바람직하게는 580~630℃로 할 수 있다. 만일 소성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소성 온도가 연화 거동 온도보다 낮아 소성이 제대로 되지 않는 관계로 유리 내에 다량의 기포가 발생하여 광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반대로 소성 온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형광체가 열화되어 그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조성물들의 함량비로 제조한 색변환 유리의 굴절률은 1.6 내지 1.7이 된다. 따라서, 종래 색변환 유리에 비하여 유리와 형광체의 굴절률의 차이가 최소화되어 광이 색변환 유리를 통과할 때 산란 등을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높은 광효율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리 조성물에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의도적으로 배제함으로써 형광체의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과 유리의 실투 현상을 최소화하여 색변환 유리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험예들을 통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가 개선된 광효율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험예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의 조성비와 굴절률을 나타낸다.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 성분의 mol%는 유리 조성물의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산정한 수치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색변환 유리의 광효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색변환 유리의 굴절률이 1.6 이상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분 유리 조성물(mol%) 굴절률
SiO2 B2O3 ZnO Al2O3 Li2O Na2O CaO MgO Tl2O3 La2O3 WO3 Total
실시예 1 20 30 39.9 10 0.1 100 1.6
실시예 2 20 30 39 10 1 100 1.6
실시예 3 20 25 38 10 7 100 1.6
실시예 4 20 22 35 10 13 100 1.7
실시예 5 15 22 33 10 20 100 1.7
비교예 1 20 25 37 10 4 4 100 1.5
비교예 2 15 35 20 10 8 2 3 7 100 1.4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유리 조성물이 각각 0.1mol%, 1mol%, 7mol%, 13mol% 및 20mol%의 Tl2O3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성으로 제조된 색변환 유리의 굴절율은 모두 1.6 이상으로, 목표 굴절율을 달성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1에서와 같이 유리 조성물이 Tl2O3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색변환 유리의 굴절율이 1.5로 낮아졌고, 비교예 2에서와 같이 유리 조성물이 Tl2O3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색변환 유리의 굴절율이 1.4로 더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유리 조성물이 Tl2O3를 포함하는 경우 색변환 유리의 굴절율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10mol% 내지 20mol%의 Tl2O3를 포함하는 경우 굴절율이 더욱 향상되어 목표 굴절율을 달성하였다. 또한, 유리 조성물이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색변환 유리의 굴절률이 더욱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색변환 유리의 굴절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유리 조성물이 Tl2O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0.1mol% 내지 20mol%의 Tl2O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색변환 유리의 굴절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유리 조성물에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의도적으로 포함시키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각각 실시예 4와 비교예 2에 따른 색변환 유리의 색좌표 및 광효율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2는 각각 실시예 4와 비교예 2에 따른 색변환 유리의 내화학성에 관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의 조성을 갖는 색변환 유리에 포함되는 형광체로는 α-SiAlON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2에서는 실시예 4와 동일한 색좌표를 구현하기 위하여 실시예 4보다 5wt%의 형광체를 더 첨가하였다. 한편, 도 1에서 lm은 광효율(Luminance efficiency)을 의미하고, Cx는 CIE 색좌표(Chromaticity coordinate)를 의미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유리 조성물에 Tl2O3를 포함한 색변환 유리가 그렇지 않은 색변환 유리보다 동일한 색좌표에서 광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2에서는 색좌표 Cx 0.556 및 Cy 0.417에서 광효율이 19.5인 반면에(도 1의 (a) 참조), 실시예 4에 따른 색변환 유리에서는 거의 동일한 색좌표(Cx 0.55, Cy 0.419)에서 광효율이 20.5으로 나타났다(도 1의 (b) 참조).
결과적으로 비교예 2에 따른 색변환 유리는 실시예 4에 따른 색변환 유리에 비하여 더 많은 형광체를 첨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더 낮은 광효율을 보였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색변환 유리가 Tl2O3를 포함한 유리 조성물로 형성되어 유리의 굴절률이 증가됨에 따른 효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유리 조성물에 Tl2O3를 포함한 색변환 유리가 그렇지 않은 색변환 유리보다 내화학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에 따른 색변환 유리의 내화학성은 알코올과 같은 용매에 색변환 유리를 담그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4에서는 색변환 유리를 용매에 담근 후 3시간, 6시간 및 12시간이 경과한 뒤의 이온화 검출량이 각각 14.75, 19.06 및 23.2인 반면에, 비교예 2에서는 동일한 시간이 경과한 후의 이온화 검출량이 각각 3.71, 4.15 및 4.28이었다.
이처럼, 실시예 4에 따른 색변환 유리는 비교예 2에 따른 색변환 유리에 비해 약 4배 정도 내화학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내화학성은 유리 제품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Tl2O3를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로 형성되는 색변환 유리가 이를 포함하지 않는 색변환 유리에 비하여 신뢰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색변환 유리용 유리 조성물로서,
    5~25mol%의 SiO2,
    20~40mol%의 B2O3,
    30~50mol%의 ZnO,
    2~17mol%의 MgO 및
    10~20mol%의 Tl2O3을 포함하는 유리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전이점이 440 ~ 480℃인, 유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소성 온도가 580 ~ 630 ℃인, 유리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따른 유리 조성물과 형광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색변환 유리.
KR1020190043347A 2019-04-12 2019-04-12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 KR10221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47A KR102215135B1 (ko) 2019-04-12 2019-04-12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
PCT/KR2019/009879 WO2020209448A1 (ko) 2019-04-12 2019-08-07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
TW108131040A TWI707832B (zh) 2019-04-12 2019-08-29 玻璃組合物及包括其的顏色轉換玻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347A KR102215135B1 (ko) 2019-04-12 2019-04-12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427A KR20200120427A (ko) 2020-10-21
KR102215135B1 true KR102215135B1 (ko) 2021-02-10

Family

ID=7275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347A KR102215135B1 (ko) 2019-04-12 2019-04-12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15135B1 (ko)
TW (1) TWI707832B (ko)
WO (1) WO202020944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279B1 (ko) 2014-12-02 2015-10-08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형광체를 포함하는 유리 프릿 조성물
JP2018043912A (ja) 2016-09-14 2018-03-22 旭硝子株式会社 光変換部材、照明光源および光変換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565B2 (ja) * 1993-04-30 2000-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ガラス組成物
JP4873361B2 (ja) * 2004-12-20 2012-02-0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発光色変換部材
JP5650371B2 (ja) * 2008-04-29 2015-01-07 株式会社オハラ 光学ガラス
WO2010119557A1 (ja) * 2009-04-17 2010-10-21 株式会社オハラ 光学ガラス
JP2011093731A (ja) * 2009-10-28 2011-05-12 Ohara Inc 光学ガラス、プリフォーム及び光学素子
JP5257854B2 (ja) 2010-02-25 2013-08-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発光色変換部材
CN103153897A (zh) * 2010-11-12 2013-06-12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发白光玻璃、覆玻璃发光元件及发光装置
FR3002533A1 (fr) * 2013-02-25 2014-08-29 Saint Gobain Substrat pour dispositif a diode electroluminescente organique
JP6398351B2 (ja) * 2013-07-25 2018-10-03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蛍光体分散ガラス
KR101679682B1 (ko) * 2014-09-30 2016-11-28 한국세라믹기술원 파장변환 소재용 유리 조성물
KR101753185B1 (ko) * 2015-06-19 2017-07-04 주식회사 베이스 고 굴절률 및 무 알칼리 유리 및 이를 이용한 색변환 소재 및 led 패키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279B1 (ko) 2014-12-02 2015-10-08 대주전자재료 주식회사 형광체를 포함하는 유리 프릿 조성물
JP2018043912A (ja) 2016-09-14 2018-03-22 旭硝子株式会社 光変換部材、照明光源および光変換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37568A (zh) 2020-10-16
TWI707832B (zh) 2020-10-21
WO2020209448A1 (ko) 2020-10-15
KR20200120427A (ko)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4186B2 (ja) 蛍光体及び発光ダイオード
JP4895541B2 (ja) 波長変換部材、発光装置及び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KR102271648B1 (ko) 파장 변환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발광 디바이스
KR102098589B1 (ko) 파장변환부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반도체 발광장치
KR101806054B1 (ko) 형광체 분산 유리
JP5689243B2 (ja) 半導体発光素子封止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発光素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0261048A (ja)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78891B1 (ko) 투명 프릿 소재용 유리 조성물
KR101753185B1 (ko) 고 굴절률 및 무 알칼리 유리 및 이를 이용한 색변환 소재 및 led 패키지
KR101559279B1 (ko) 형광체를 포함하는 유리 프릿 조성물
KR101423724B1 (ko) 형광체 담지용 저온 소성 유리 조성물 및 파장 변환기,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JPWO2012005308A1 (ja) 発光素子用反射枠体、発光素子用基板、および発光装置
KR102215135B1 (ko)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유리
KR101679682B1 (ko) 파장변환 소재용 유리 조성물
KR101484634B1 (ko) 색변환 효율 및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led 색변환 소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3470B1 (ko) 형광체 담지용 유리 조성물 및 파장 변환기, 그것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JP2010248530A (ja) 波長変換部材、発光装置及び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
KR101566940B1 (ko) 실리케이트계 유리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부재 및 백색 발광 다이오드
JP5712590B2 (ja) 白色発光装置
KR102004054B1 (ko) 넓은 색재현 범위를 갖는 형광체 함유 유리복합체, 이를 이용한 led 소자 및 lcd 디스플레이
KR20170067071A (ko) Led 칩 봉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led 패키지
KR102165411B1 (ko) 색변환 소재용 저융점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색 색변환 소재 제조방법
KR102188860B1 (ko) 색변환 소재용 저융점 유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색변환 소재 제조방법
KR102557687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실링용 유리 조성물
US11072555B2 (en) Glass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