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963B1 -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 Google Patents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963B1
KR102214963B1 KR1020200147127A KR20200147127A KR102214963B1 KR 102214963 B1 KR102214963 B1 KR 102214963B1 KR 1020200147127 A KR1020200147127 A KR 1020200147127A KR 20200147127 A KR20200147127 A KR 20200147127A KR 102214963 B1 KR102214963 B1 KR 102214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ay
platform
scaffold
entrance do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서
박수민
김다연
Original Assignee
이민서
박수민
김다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서, 박수민, 김다연 filed Critical 이민서
Priority to KR102020014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은 지하철의 출입문이 설치된 하부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과, 지하철의 벽면에서 출입문의 이동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동작 및 밀폐동작에 의해 지하철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발판을 회전시켜 발판이 승강장과 이음되거나 분리되는 동작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A Safety Board of Subway Platform}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철 승강장에서 지하철이 플랫폼에 들어온 후 출입문의 개방되면 동시에 지하철에 설치된 발판이 회전하여 지하철 출입문과 승강장 사이의 공간을 이음시켜 안전한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의 전동차와 승강장 연단부는 간격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전동차와 승강장 연단부 사이의 틈새에 승객의 발이 쉽게 빠지게 되며, 특히 위험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아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동차와 승강장 연단부 사이의 틈새에 승객의 발이 쉽게 빠지게 되는 단점을 개선하여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부(1)에 고정식 고무 받침대(2)를 설치하여, 전동차와 승강장 연단부 사이의 틈새에 승객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무 받침대(2)는, 전동차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동차와 승강장 연단부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게 되며, 특히 곡선 승강장의 경우에는 고무 받침대와 전동차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 및 문제점을 개선하여, 지하철 승강장에 전동차의 진입시, 에어컴퓨레셔 및 에어 실린더와 연설되는 발판을 슬라이드식으로 전,후진시켜,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부와 전동차 사이의 간격이 없어지도록 하는 안전발판이 것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18334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부(10)에 상판(12)을 개개하여 발판 지지대(11)가 설치되며, 상기 발판 지지대(11) 내부에는 승강장에 매설되는 에어 컴프레셔(30)와 에어 호오스(20)로 연통 연설되는 에어 실린더(40)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40) 일단부에는 연결단자(41)를 개재하여 양측 레일(50)상에 설치되는 발판(60)을 전후 이동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하철 승강장에 전동차의 진입시, 승강장 후방에 매설된 에어 컴프레셔(30)의 동작에 의해 이와 에어호오스(20)로 연결된 에어 실린더(40)가 작동하고, 상기 에어 실린더 일단의 연결단자(41)가 전진하는 동작에 의해, 이와 일체로 발판(60)이 양측 레일(50)을 타고 전진하여,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부(10)와 전동차 사이의 간격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은, 에어 컴프레셔(30) 및 에어 호오스(20)로 연결된 에어 실린더(40)에 의해 전후진 하는 발판(60)의 이동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형성되어, 지하철 승강장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곳에서는 상기 에어 실린더(40)에 의해 돌출되는 발판(60)의 돌출 길이가 짧게 되어 간격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상기 발판(60)의 돌출길이가 약간만 길게 되어도 전동차의 진입 또는 출발시 충돌이 발생하게 되어, 오히려 안전사고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지하철 승강장 안전발판의 경우, 승강장에 별도의 에어 컴프레셔(30) 및 에어 호오스(20)등을 매설해야 하며, 발판 지지대(11)의 내부에는 에어 실린더(40)와, 양측으로 발판이 이송되는 레일(50) 및 상기 레일을 타고 이송토록 발판(60)양측으로 다수의 베어링(B)등을 설치하는 관계로, 복잡한 구조에 의해 안전발판의 제작 및 설치가 어렵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4946호(2013.06.10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은 지하철 승강장에서 지하철이 플랫폼에 들어온 후 출입문의 개방되면 동시에 지하철에 설치된 발판이 회전하여 지하철 출입문과 승강장 사이의 공간을 이음시켜 안전한 출입을 가능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은 지하철이 승강장을 출발하기 위해 출입문을 밀폐시키면 연동하여 발판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승강장에서 연결된 상태를 분리시키는 동시에 지하철 외벽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출입문의 개방 정도에 따라 발판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은 지하철의 출입문이 설치된 하부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과, 지하철의 벽면에서 출입문의 이동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동작 및 밀폐동작에 의해 지하철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발판을 회전시켜 발판이 승강장과 이음되거나 분리되는 동작부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발판은 지하철의 출입문 외벽 하부면에 가로질러 힌지 설치되고, 상기 발판과 외벽의 힌지 부분에는 비틀림스프링을 설치하여 발판이 탄력적으로 수직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벽 힌지 하부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발판이 수평상태로 전환되어 승강장과 연결되면 자석에 발판이 부착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지하철의 출입문 측방의 외벽에 형성되는 개구공과, 상기 내부공간에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공과 연통되는 노출공을 형성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내부면에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경첩에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구름 회전하는 롤러로 구성하여 지하철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면 출입문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면서 개구공과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발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은 지하철의 출입문이 설치된 하부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과, 지하철의 벽면에서 출입문의 이동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동작 및 밀폐동작에 의해 지하철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발판을 회전시켜 발판이 승강장과 이음되거나 분리되는 동작부로 구성한다.
지하철 승강장에서 지하철이 플랫폼에 들어온 후 출입문의 개방되면 동시에 지하철에 설치된 발판이 회전하여 지하철 출입문과 승강장 사이의 공간을 이음시켜 안전한 출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하철이 승강장을 출발하기 위해 출입문을 밀폐시키면 연동하여 발판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승강장에서 연결된 상태를 분리시키는 동시에 지하철 외벽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출입문의 개방 정도에 따라 발판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에 설치되는 고무 받침대의 설치 구조도.
도 2는 종래 지하철 승강장의 연단부에 설치되는 안전발판의 개략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이니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은 발판(100)과 동작부(200)로 구성한다.
상기 발판(100)은 지하철(10)의 출입문(11)이 설치된 하부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발판(100)은 지하철(10)이 승강장에 도착하여 지하철(10) 출입문(11)이 개방되면 발판(100)은 이와 연동하여 수직으로 회전하여 승강장(14)과 지하철(10) 출입문(11) 하단을 이음 연결한다.
상기 동작부(200)는 지하철(10)의 벽면에서 출입문(11)의 이동을 수용하는 내부공간(12)에 설치되어 출입문(11)의 개방동작 및 밀폐동작에 의해 지하철(10)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발판(100)을 회전시켜 발판(100)이 승강장(14)과 이음되거나 분리된다.
즉, 지하철(10) 출입문(11)의 개폐 동작을 통해 연동하여 발판(100)이 지하철(10) 외벽으로 접히거나, 수평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승강장(14)을 이음한다.
구체적으로, 지하철(10) 승강장(14) 안전 발판(100)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상기 발판(100)은 지하철(10)의 출입문(11) 외벽 하부면에 가로질러 힌지 (101) 설치되고, 상기 발판(100)과 외벽의 힌지(101) 부분에는 비틀림스프링(102)을 설치하여 발판(100)이 탄력적으로 수직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벽 힌지(101) 하부에는 자석(103)이 설치되어 발판(100)이 수평상태로 전환되어 승강장(14)과 연결되면 자석(103)에 발판(100)이 부착되도록 구성한다.
다시 말해, 발판(100)은 평상시 지하철(10) 주행중 즉 출입문(11)이 닫혀 있은 경우에는 수직으로 입설 된 상태로 지하철(10) 외벽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이후, 지하철(10)이 승강장(14)에 도착하면 동작부(200)를 통해 작동하여 발판(100)이 수직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되면서 승강장(14)에 발판(100)의 저면 일측이 밀착된다.
이때, 지하철(10) 출입문(11) 하부에는 자석(103)이 설치되어 수평상태의 상기 발판(100)의 힌지(101) 부분에는 비틀림스프링(102)이 설치되어 있어 지하철(10) 출발시 출입문(11)이 개폐되면 비틀림스프링(102)을 통해 발판(100)이 수직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전환되면 자석(103)과 발판(100)은 부착상태가 분리된다.
삭제
이때, 자석(103)의 자력보다 비틀림스프링(102)의 탄성력의 세기가 큰 것으로 적용하여 발판(100)의 수직 상태로의 방향 전환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발판(10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부(200)는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상기 동작부(200)는 지하철(10)의 출입문(11) 측방의 외벽에 형성되는 개구공(13)과, 상기 내부공간(12)에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공(13)과 연통되는 노출공(211)을 형성한 지지판(210)과, 상기 지지판(210) 내부면에 설치되는 경첩(220)과, 상기 경첩(220)에 연결되는 브라켓(230)과, 상기 브라켓(230)에 설치되어 구름 회전하는 롤러(240)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지하철(10) 출입문(11)이 개방되면서 내부공간(12)으로 이동되면 출입문(11)에 의해 롤러(240)가 회전하면서 개구공(13)과 노출공(2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발판(1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지하철(10) 플랫폼에 도착하면 지하철(10) 출입문(11)은 승강장(14)에 위치된다.
이후, 지하철(10) 출입문(11)을 개방시키면 지하철(10) 내부공간(12)으로 출입문(11)이 이동하여 내입한다.
이때, 내부공간(12)에 설치된 동작부(200)의 롤러(240)는 출입문(11)에 의해 굴림 회전하면서 경첩(220) 연결을 통해 노출공(211) 외부로 롤러(240)가 돌출된다.
상기 지하철(10) 외벽으로 노출된 롤러(240)는 발판(100)을 힌지(101) 중심으로 회전시켜 발판(100)이 승강장(14)에 수평으로 이음 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지하철(10) 출입문(11)이 밀폐되는 동작을 위해 내부공간(12)에서 반대로 이동하면 출입문(11)과의 간섭이 해제된 롤러(240) 및 경첩(220)은 발판 (100)을 밀고 있는 힘이 제거되면서 비틀림 스프링을 통해 발판(100)이 자동으로 지하철(10) 외벽에 수직으로 입설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지하철 11 : 출입문
12 : 내부공간 13 : 개구공
14 : 승강장 100 : 발판
101 : 힌지 102 : 비틀림스프링
103 : 자석 200 : 동작부
210 : 지지판 211 : 노출공
220 : 경첩 230 : 브라켓
240 : 롤러

Claims (3)

  1. 지하철의 출입문이 설치된 하부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과,
    지하철의 벽면에서 출입문의 이동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개방동작 및 밀폐동작에 의해 지하철 외부로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발판을 회전시켜 발판이 승강장과 이음되거나 분리되는 동작부로 구성하되,
    상기 발판은,
    지하철의 출입문 외벽 하부면에 가로질러 힌지 설치되고,
    상기 발판과 외벽의 힌지 부분에는 비틀림스프링을 설치하여 발판이 탄력적으로 수직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벽 힌지 하부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발판이 수평상태로 전환되어 승강장과 연결되면 자석에 발판이 부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지하철의 출입문 측방의 외벽에 형성되는 개구공과,
    상기 내부공간에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공과 연통되는 노출공을 형성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내부면에 설치되는 경첩과,
    상기 경첩에 연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어 구름 회전하는 롤러로 구성하여
    지하철 출입문이 개방되면서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면 출입문에 의해 롤러가 회전하면서 개구공과 노출공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발판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KR1020200147127A 2020-11-05 2020-11-05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KR102214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127A KR102214963B1 (ko) 2020-11-05 2020-11-05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127A KR102214963B1 (ko) 2020-11-05 2020-11-05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963B1 true KR102214963B1 (ko) 2021-02-10

Family

ID=7456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127A KR102214963B1 (ko) 2020-11-05 2020-11-05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9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483A (ja) * 1999-12-20 2001-07-03 Takakon Kk 鉄道車両
KR20020088319A (ko) * 2001-05-21 2002-11-27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KR101274946B1 (ko) 2011-06-20 2013-06-1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483A (ja) * 1999-12-20 2001-07-03 Takakon Kk 鉄道車両
KR20020088319A (ko) * 2001-05-21 2002-11-27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KR101274946B1 (ko) 2011-06-20 2013-06-17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 안전발판 수동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4547A1 (en) Escape device for a rail vehicle
KR100929482B1 (ko)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JP4130293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KR102214963B1 (ko) 지하철 승강장 안전 발판
US20080185264A1 (en) Safety device for moving handrails
US20020017002A1 (en) Passenger bridge for aircraft
JP2007331616A (ja) 列車用乗降補助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装着した列車
JP5227299B2 (ja) 軌条車両
JP5270856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JP4249557B2 (ja) 列車用車椅子渡り板
KR20110055026A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KR101701391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JPH11335039A (ja) 昇降機
JP3406573B2 (ja) 車両の乗降用スロープ装置
KR19980071879A (ko) 회전기능을 구비한 자동문
EP1275806A2 (en) Stop device for gates, doors, automatic doors and the like
JP7438841B2 (ja) プラットホーム柵
KR200261407Y1 (ko) 전철차량용 보조발판
JP2587689B2 (ja) 軌道車両用の乗降場の扉装置
KR100209557B1 (ko) 철도차량의 플랫폼 안전장치
JPH08466Y2 (ja) 防水扉装置
JP2003079958A (ja) 観覧車
AU2020307853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cabin skirt supportable on guide rails
JPH10230790A (ja) 乗降用スロープ板付車両
JP2006273264A (ja) ホームドア用侵入防止柵及びホーム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