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026A -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5026A
KR20110055026A KR1020090111883A KR20090111883A KR20110055026A KR 20110055026 A KR20110055026 A KR 20110055026A KR 1020090111883 A KR1020090111883 A KR 1020090111883A KR 20090111883 A KR20090111883 A KR 20090111883A KR 20110055026 A KR20110055026 A KR 2011005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oor
elastic member
obstacle detection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223B1 (ko
Inventor
성윤권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2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와 연동하도록 장애물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승객이 끼임에 따라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의 상호 맞닿는 제 1수직프레임의 개방부 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격벽에 후단이 맞닿은 탄성부재에 작용에 의해 개방구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수단과; 각 슬라이딩 도어의 제 2수직프레임 일측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부착 고정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관통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 내에는 회전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와; 각 슬라이딩 도어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그 일단은 상기 가압수단에 고정되고, 타단 측에는 스크류홈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의 유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로 유동되면서 그 외주면의 스크류홈이 관통홀의 회전돌기에 가이드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봉 및;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압수단이 상호 맞닿아 가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면서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수단이 개구부 측으로 돌출됨 에 따라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수평상태로 펼쳐지는 장애물 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강장, 스크린도어, 장애물검지장치, 슬라이딩도어, 가압수단, 회전봉

Description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OBSTACLE DETECTION APPARATUS OF PLATFORM SCREEN DOOR}
본 발명은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와 연동하도록 장애물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와의 간격 사이에서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 및 지하철 역사 등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일정 높이의 승강장이 구비되는데, 상기 승강장과 선로 사이에는 별도의 경계수단이 없어 승객이 자의나 타의에 의해 선로로 떨어지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완전히 정차한 후 스크린에 장치된 도어가 열리도록 하므로서, 승객이 승강장에서 선로로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도록 구성된 승강장 스크린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의 설치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전동차나 화물차, 여객열차 등의 원활한 운행을 위하여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이에는 열차한계를 충분히 확보(대략 240밀리미터[mm] 이상) 하여야 한다.
이에, 상기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도어 사이에 열차한계를 확보하기 위한 일정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공간 내에 승객이 끼임에 따른 안전사고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발명은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와 연동하도록 장애물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승객이 끼임에 따라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는,승강장 스크린도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의 상호 맞닿는 제 1수직프레임의 개방부 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격벽에 후단이 맞닿은 탄성부재에 작용에 의해 개방구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수단과; 각 슬라이딩 도어의 제 2수직프레임 일측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부착 고정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관통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 내에는 회전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와; 각 슬라이딩 도어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그 일단은 상기 가압수단에 고정되고, 타단 측에는 스크류홈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의 유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로 유동되면서 그 외주면의 스크류홈이 관통홀의 회전돌기에 가이드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봉 및;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압수단이 상호 맞닿아 가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면서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수단이 개구부 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수평상태로 펼쳐지는 장애물 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압수단은 그 후면에 탄성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수직프레임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매개로 이동되는 바(bar)형태의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밀착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밀착고무의 표면에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돌출부 및 그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입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가 맞닿은 상태에서 각 슬라이딩 도어의 밀착고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요입부가 상호 맞물려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판의 상단부 측과 하단부 측 및 그 사이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와 연동하도록 기구적인 장애물 검지장치를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하므로서,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 사이의 공간에 승객이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와의 설치간격이 넓은 경우에도 승객 등의 장애물을 기구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적인 센서의 오작동 시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일측 슬라이딩 도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회전봉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를 통해 장애물(승객)이 검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1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와 연동하도록 기구적인 장애물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승강장(110) 연단 및 승강장 스크린도어(100) 사이의 공간부에 승객이 위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승강장 스크린도어(1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의 상호 맞닿는 지점에는 슬라이딩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동작되는 가압수단(20)이 구성됨과 아울러, 각 슬라이딩 도어(10)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상기 가압수단(20)에 따라 동작되면서 소정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50)와 회전봉(40) 및 장애물 검지판(60) 등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의 상호 맞닿는 지점에 구비되는 제 1수직프레임(12)의 개방부 측에는 상기 가압수단(20)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압수단(20)은 상기 제 1수직프레임(12) 내의 격벽(16)에 그 후단이 맞닿은 상태로 나사체결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30)의 작용에 의해 개방구를 향해 선택적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수직프레임(12) 내의 격벽(16)에 후단이 맞닿은 상태에서 소정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탄성부재(30)의 전단이 맞닿아 상기 탄성부재(30)를 매개로 상기 개방구 측을 향해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제 1수직프레임(12) 내에 설치되는 바(bar)형태의 이동판(22) 및, 상기 이동판(22)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밀착고무(24)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이동판(22)의 상단부 측과 하단부 측 및 그 사이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22) 및 밀착고무(24)가 수직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가압부재(20)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밀착고무(24)의 표면에는 그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부(26) 및 상기 돌출부(26)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입부(28)가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한 상태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가 맞닿아 폐쇄된 상태에서 각 슬라이딩 도어(10)의 밀착고무(24)에 형성된 돌출부(26) 및 요입부(28)는 상호 대응되게 맞물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가 상호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폐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0)는 각 슬라이딩 도어(10)의 제 2수직프레임(14) 일측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부착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부재(5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그 몸체에는 수평상태로 관통홀(52)이 천공되고, 또한 상기 관통홀(52) 내에는 상기 회전봉(40)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회전돌기(54)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회전봉(40)은 각 슬라이딩 도어(10)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수평상태로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회전봉(40)의 일단부 측은 상기 제 1수직프레임(12)의 격벽(16)을 관통하여 가압수단(20)의 이동판(22) 후면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단부 측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스크류홈(42)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홈(42)이 상기 고정부재(50) 관통홀(52)의 회전돌기(54)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50)에 결합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의 개폐 시에 상기 탄성부재(30)의 작용에 의한 가압수단(20)의 유동에 따라 상기 회전봉(40)은 좌.우로 연동하여 유동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봉(40)의 유동 시에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홈(42)이 고정부재(50) 관통홀(52)의 회전돌기(54)에 가이드되면서 회전운동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애물 검지판(60)은 상기 회전봉(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20)의 작용에 의한 회전봉(40)의 회전운동에 따라 수직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변화되게 된다.
상기 장애물 검지판(60)은 대략 직사각틀 형상을 갖는 금속재질의 부재가 상기 회전봉(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직사각틀 형상의 부재 사이에 그물 등이 설치되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장애물 검지판(60)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의 가압수단(20)이 상호 맞닿아 가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하강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10)가 개방되면서 탄성부재(30)의 작용에 의해 가압수단(20)과 함께 회전봉(40)이 제 1수직프레임(12)의 개구부 측을 향해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에 따른 회전봉(40)의 회전에 의해 연동하여 90°만큼 회전되어 수평상태로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슬라이딩 도어(10)에 구비된 가압수단(20)의 밀착고무(24)가 상호 밀착되면서 상기 가압수단(20)은 제 1수직프레임(12) 내에 위치한 상태로 탄성부재(30)를 수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20)의 이동판(22)에 일단이 결합된 회전봉(40)에는 탄성부재(30)를 매개로 한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로서, 이때 상기 장애물 검지 판(60)은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로 내려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가 맞닿음에 따라 밀착되어 있던 가압수단(20)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서 그 후측에 설치된 다수 개의 탄성부재(30)의 탄성작용에 의해 각 가압수단(20)은 제 1수직프레임(12)의 개구부 측을 향해 인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20)의 인출과 동시에 상기 가압수단(20)의 이동판(22) 후면에 고정 설치된 회전봉(40)도 동일한 방향 및 거리만큼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봉(40)은 그 후측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홈(42) 및 고정부재(50) 관통홀(52)의 회전돌기(54)를 매개로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행하게 된다.
이에, 상기 회전봉(40)에 고정 설치된 장애물 검지판(60)은 상기 회전봉(40)의 회전에 연동하여 90°만큼 회전하여 수평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애물 검지판(60)을 통해 승객이 승강로(110) 연단 및 스크린도어(1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며, 또한 승객이 그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가 폐쇄될 시에는 상기 장애물 검지판(60) 및 그와 연결된 센서(도시안됨) 등을 매개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스크린도어(100)의 컨트롤러 측으로 신호를 전송하므로서, 슬라이딩 도어(10)가 재개방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로(110) 연단 및 스크린도어(100) 사이에 승객이 없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가 폐쇄될 시에는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 의 가압수단(20)에 구비된 밀착고무(24)가 다시 상호 맞닿으면서 그 후측의 탄성부재(30)를 수축시키게 되며, 이때 제 1수직프레임(12) 내부로 인입되는 가압수단(20)의 작용 및 장애물 검지판(60)의 자중에 의해 회전봉(4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2수직프레임(14)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에, 상기 장애물 검지판(60)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10)의 폐쇄 시에 다시 수직상태로 원위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일측 슬라이딩 도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재 및 회전봉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를 통해 장애물(승객)이 검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슬라이딩 도어, 12: 제 1수직프레임,
14: 제 2수직프레임, 16: 격벽,
20: 가압수단, 22: 이동판,
24: 밀착고무, 26: 돌출부,
28: 요입부, 30: 탄성부재,
40: 회전봉, 42: 스크류홈,
50: 고정부재, 52: 관통홀,
54: 회전돌기, 60: 장애물 검지판,
100: 승강장 스크린도어, 110: 승강장.

Claims (3)

  1.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의 상호 맞닿는 제 1수직프레임의 개방부 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격벽에 후단이 맞닿은 탄성부재에 작용에 의해 개방구를 향해 돌출되는 가압수단과;
    각 슬라이딩 도어의 제 2수직프레임 일측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부착 고정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관통홀이 천공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 내에는 회전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와;
    각 슬라이딩 도어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그 일단은 상기 가압수단에 고정되고, 타단 측에는 스크류홈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의 유동에 따라 연동하여 좌.우로 유동되면서 그 외주면의 스크류홈이 관통홀의 회전돌기에 가이드됨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봉 및;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에 설치되며,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압수단이 상호 맞닿아 가압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면서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수단이 개구부 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수평상태로 펼쳐지는 장애물 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그 후면에 탄성부재가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제 1수직프레임 내에서 상기 탄성부재를 매개로 이동되는 바(bar)형태의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밀착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밀착고무의 표면에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돌출부 및 그와 대응되는 형상의 요입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가 맞닿은 상태에서 각 슬라이딩 도어의 밀착고무에 형성된 돌출부 및 요입부가 상호 맞물려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판의 상단부 측과 하단부 측 및 그 사이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KR1020090111883A 2009-11-19 2009-11-19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KR10109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83A KR101092223B1 (ko) 2009-11-19 2009-11-19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83A KR101092223B1 (ko) 2009-11-19 2009-11-19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026A true KR20110055026A (ko) 2011-05-25
KR101092223B1 KR101092223B1 (ko) 2011-12-12

Family

ID=4436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883A KR101092223B1 (ko) 2009-11-19 2009-11-19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2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1462A (zh) * 2018-01-05 2018-05-08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地铁站台门等电位连接装置
CN108819953A (zh) * 2018-07-12 2018-11-16 江苏浔丰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撞地铁屏蔽门
KR20200059710A (ko)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우리기술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625580B1 (ko) 2023-05-22 2024-01-16 주식회사 씨디에이 승강장 스크린도어 더미부의 승객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8957A (ko) 2022-10-07 2024-04-16 대구교통공사 승강장안전문 장애물감지센서 각도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1577B2 (ja) 2005-01-27 2010-08-25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ホームドア用侵入防止柵及びホームドア装置
JP2006273264A (ja) 2005-03-30 2006-10-12 Nabtesco Corp ホームドア用侵入防止柵及びホームド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1462A (zh) * 2018-01-05 2018-05-08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地铁站台门等电位连接装置
CN108819953A (zh) * 2018-07-12 2018-11-16 江苏浔丰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撞地铁屏蔽门
KR20200059710A (ko) 2018-11-21 2020-05-29 주식회사 우리기술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625580B1 (ko) 2023-05-22 2024-01-16 주식회사 씨디에이 승강장 스크린도어 더미부의 승객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223B1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US7516703B2 (en) Retractable step
US7900987B2 (en) Covering system for a rear storage space of a vehicle
EP2335991A2 (en) Safety foothold for subway platform
CN105946882A (zh) 一种列车站台自适应伸缩踏板装置
EP3003947B1 (en) Retractable toe guard assembly for an elevator system
CN201162452Y (zh) 城市轨道交通站台屏蔽门防夹人装置
US20080258510A1 (en) Openable Vehicle Roof
JP2006298022A (ja) プラットホーム隙間調整装置
CN112265553A (zh) 一种站台门被动式侧面挡板
KR20110000114U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비상도어 안전장치
KR102301112B1 (ko) 열차 승강장 발빠짐 방지 장치
JP2007520383A (ja) 鉄道車両用の安全足場装置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ITTO20010758A1 (it) Porta roto-traslante per veicoli a motore.
KR100610366B1 (ko)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KR101833878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CN213768524U (zh) 一种站台门电动式侧面挡板
KR101328001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JP7246204B2 (ja) 防護装置、自動ドアシステムおよび防護装置の可動方法
KR101975877B1 (ko) 전동차 출입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한 전동차용 슬라이딩 스텝 장치
CN216139984U (zh) 一种交通设备及其电动伸缩踏板装置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KR101596302B1 (ko) 승강장의 스크린도어
KR100935010B1 (ko)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