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710A -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710A
KR20200059710A KR1020180144763A KR20180144763A KR20200059710A KR 20200059710 A KR20200059710 A KR 20200059710A KR 1020180144763 A KR1020180144763 A KR 1020180144763A KR 20180144763 A KR20180144763 A KR 20180144763A KR 20200059710 A KR20200059710 A KR 2020005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obstacle
door
pai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481B1 (ko
Inventor
정승권
원광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기술
Priority to KR102018014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railway platform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 도어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현되는 장애물 방지판을 여닫이형 비상문에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스크린 도어와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열차 사고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Screen door apparatus with extended obstacle protection plates}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도어는 열차 트랙으로부터 승강장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장치로, 열차 도착 후 열차문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개폐된다. 열차문과 스크린 도어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있고, 스크린 도어 장치가 닫힌 후 이 공간에 사람 등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5026호(2011.05.25)에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슬라이딩 도어와 연동하도록 장애물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승객이 끼임에 따라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승강장 스크린도어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도어에 회전에 의해 수평상태로 펼쳐지는 장애물 검지판을 설치하여 승강장 연단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승객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스크린 도어의 가동문에만 장애물 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스크린 도어의 미닫이형 가동문뿐만 아니라, 여닫이형 비상문에도 장애물 방지판을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스크린 도어와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5026호(2011.05.25)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현되는 장애물 방지판을 여닫이형 비상문에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스크린 도어와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가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과;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전 방향 또는 후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을 포함하되,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 각각이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과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되,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 또는 하강되는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이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방시에는 하강하고, 폐쇄시에는 승강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가 미닫이형 가동문 폐쇄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이 승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가 감지 센서에 의해 미닫이형 가동문이 폐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이 승강되지 않았다고 검출된 경우, 경고를 수행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경고부가 시각적 경고 또는 청각적 경고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이 여닫이형 비상문 개방시에는 하강하고, 폐쇄시에는 승강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 각각이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 개방시에 승강되어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과 열차 사이의 공간으로 장애물이 끼지 않도록 방해하는 가동문용 장애물 방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현되는 장애물 방지판을 여닫이형 비상문에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스크린 도어와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열차 사고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의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 구동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의 정상적인 승강 여부 확인을 위한 감지 센서 설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100)는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110)과,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전 방향 또는 후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120)을 포함한다.
한편,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120) 각각이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과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되,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 또는 하강되는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을 구비한다.
이 때,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은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방시에는 하강하고, 폐쇄시에는 승강하도록 구현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의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 구동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100)가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의 승강 및 하강 구동을 위한 승하강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승하강 구동부(130)가 정역 모터(도면 도시 생략) 구동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되어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을 승강 및 하강 구동하는 회전 가이드 수단일 수 있다.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개방 시작이 감지되면, 정역 모터 구동을 통해 회전 가이드 수단을 하강시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개방 동작이 회전 가이드 수단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폐쇄가 완료되면, 정역 모터 구동을 통해 회전 가이드 수단을 승강시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폐쇄 동작이 회전 가이드 수단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하부에 렉(도면 도시 생략)을 설치하고,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개폐 동작에 의한 렉의 왕복 운동에 따라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기어(도면 도시 생략) 및 이 회전 기어에 연동되어 정 방향 또는 역 방향 회전하는 베벨 기어(도면 도시 생략)를 사용해 회전 가이드 수단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미닫이형 가동문(110)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고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여닫이형 비상문(120) 개방시에는 하강하고, 폐쇄시에는 승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닫이형 비상문(120)의 개방 시작이 감지되면, 정역 모터 구동을 통해 회전 가이드 수단을 하강시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하강되도록 하고, 여닫이형 비상문(120)의 폐쇄가 완료되면, 정역 모터 구동을 통해 회전 가이드 수단을 승강시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승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현되는 장애물 방지판을 여닫이형 비상문에 구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스크린 도어와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열차 사고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100)가 감지 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140)는 미닫이형 가동문(110) 폐쇄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승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미닫이형 가동문(110)이 폐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승강되지 않으면,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고장 등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감지 센서(14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센서(140)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리 감지 센서일 수 있다. 거리 감지 센서는 레이더나 적외선 등과 같은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방사하고,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에 의해 반사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여 거리를 감지한다.
거리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거리가 설정된 거리일 경우에는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정상적으로 승강되었다 판단하고, 감지된 거리가 설정된 거리보다 작을 경우에는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정상적으로 승강되지 안했다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100)가 경고부(도면 도시 생략)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부는 감지 센서(140)에 의해 미닫이형 가동문(110)이 폐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이 승강되지 않았다고 검출된 경우, 경고를 수행한다.
예컨대, 경고부가 LED 등과 같은 시각적 표시 수단을 통한 시각적 경고 또는 스피커나 부저 등과 같은 청각적 출력 수단을 통한 청각적 경고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등이 경고부를 통해 고장 등에 의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의 비정상 동작을 알 수 있게 되고,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스크린 도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110) 각각이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 개방시에 승강되어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과 열차 사이의 공간으로 장애물이 끼지 않도록 방해하는 가동문용 장애물 방지판(11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를 참조해 보면, 여닫이형 비상문(120)에 설치되는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121) 외에도 미닫이형 가동문(110)에 가동문용 장애물 방지판(111)이 설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가동문용 장애물 방지판(111)은 미닫이형 가동문(110) 개방시에 승강되어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120)과 열차 사이의 공간으로 장애물이 끼지 않도록 방해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의 가동문에만 장애물 방지판이 구비되지 않고, 스크린 도어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구현되는 장애물 방지판이 여닫이형 비상문에 더 구비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스크린 도어와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열차 사고 위험을 더욱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 도어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스크린 도어 장치
110 : 미닫이형 가동문
111 : 가동문용 장애물 방지판
120 : 여닫이형 비상문
121 :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
130 : 승하강 구동부
140 : 감지 센서
150 : 경고부

Claims (7)

  1. 좌 방향 또는 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과;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전 방향 또는 후 방향으로 개폐되는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을;
    포함하되,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 각각이: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과 열차 사이의 공간에 장애물이 위치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되,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승강 또는 하강되는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을;
    구비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이: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폐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의 개방시에는 하강하고, 폐쇄시에는 승강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가:
    미닫이형 가동문 폐쇄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이 승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가:
    감지 센서에 의해 미닫이형 가동문이 폐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이 승강되지 않았다고 검출된 경우, 경고를 수행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경고부가:
    시각적 경고 또는 청각적 경고를 수행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문용 장애물 방지판이:
    여닫이형 비상문 개방시에는 하강하고, 폐쇄시에는 승강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 각각이:
    한쌍의 미닫이형 가동문 개방시에 승강되어 한쌍의 여닫이형 비상문과 열차 사이의 공간으로 장애물이 끼지 않도록 방해하는 가동문용 장애물 방지판을;
    구비하는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0180144763A 2018-11-21 2018-11-21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120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63A KR102120481B1 (ko) 2018-11-21 2018-11-21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763A KR102120481B1 (ko) 2018-11-21 2018-11-21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10A true KR20200059710A (ko) 2020-05-29
KR102120481B1 KR102120481B1 (ko) 2020-06-10

Family

ID=7091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763A KR102120481B1 (ko) 2018-11-21 2018-11-21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1102705U1 (de) 2020-05-19 2021-10-14 Hyundai Mobis Co., Ltd. Aktuatormodul von Fahrzeug-Head-up-Displ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15B1 (ko) * 2007-07-04 2008-11-03 주식회사 포스콘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20110055026A (ko) 2009-11-19 2011-05-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JP2011184020A (ja) * 2010-03-11 2011-09-22 Kyosan Electric Mfg Co Ltd 転落防止装置
JP2013063693A (ja) * 2011-09-16 2013-04-11 Nippon Signal Co Ltd:The 可動ステップ付き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15B1 (ko) * 2007-07-04 2008-11-03 주식회사 포스콘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20110055026A (ko) 2009-11-19 2011-05-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JP2011184020A (ja) * 2010-03-11 2011-09-22 Kyosan Electric Mfg Co Ltd 転落防止装置
JP2013063693A (ja) * 2011-09-16 2013-04-11 Nippon Signal Co Ltd:The 可動ステップ付き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1102705U1 (de) 2020-05-19 2021-10-14 Hyundai Mobis Co., Ltd. Aktuatormodul von Fahrzeug-Head-up-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481B1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7463B2 (ja) 柔軟なカーテン高速ドア
JP5519514B2 (ja) 侵入物に対してゲートの閉じる面を安全に保つために、垂直又は水平に移動するゲートを制御する方法
US9484914B2 (en) Anti-trap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vehicle door
JP6476304B2 (ja) ドア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この種類のドア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安全デバイス
CA2668970C (en) Spring failu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ES2494343T3 (es) Dispositivo de exploración
KR102120481B1 (ko) 확장된 장애물 방지판을 가진 스크린 도어 장치
JP5287997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JP2003520976A (ja) 機械作動型閉動作装置用安全連動装置
KR20070089407A (ko) 차량 도어 오픈 시 측면 충돌 방지 장치
KR101751029B1 (ko) 터널용 피난통로 안내시스템
CN107814285A (zh) 一种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的控制装置及方法
JP2009107769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2006143443A (ja) 扉の安全装置
JP3847621B2 (ja) 自動ドア
KR101566977B1 (ko) 포토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안전 슬라이딩 도어
JP5572175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KR20100046868A (ko) 적외선 안전센서에 의한 자동문 안전제어장치
US20130111813A1 (en) Preventing the improper installation of an automatic door safety circuit
JP5544331B2 (ja) 開閉体制御システム
CN113825886B (zh) 用于在开启位置和关闭位置之间的摆动路径上移动摆动门扇的摆动门操作器、摆动门及具有摆动门的房间
US20170130516A1 (en) Lift arm vehicle window
JP2015218052A (ja) エレベータドア装置
EP4082956A1 (en) Elevator door with door guard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