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001B1 -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001B1
KR101328001B1 KR1020120044554A KR20120044554A KR101328001B1 KR 101328001 B1 KR101328001 B1 KR 101328001B1 KR 1020120044554 A KR1020120044554 A KR 1020120044554A KR 20120044554 A KR20120044554 A KR 20120044554A KR 101328001 B1 KR101328001 B1 KR 10132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door
locking
emergency
railway vehicle
rota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393A (ko
Inventor
박경환
Original Assignee
극동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정공(주) filed Critical 극동정공(주)
Priority to KR1020120044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01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63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E05B77/38Cushion elements, elastic guiding elements or holding elements, e.g. for cushioning or damping the impact of the bolt against the striker during clos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전.후 운전실에 구비되는 비상도어의 록킹장치가 강한 압력에 따른 누수 및 통풍이 방지되도록 견고한 밀착성을 갖음과 아울러 비상 시에는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한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는, 철도차량의 운전실 전면에 상측을 향해 개폐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비상도어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도어 내면의 중간 높이를 갖는 지점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봉형상의 부재로서, 그 양단이 상기 비상도어의 양내벽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 양단에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과 연동하여 회전되며, 그 돌출된 몸체에 구비된 걸림홈이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되는 출입구 측 양내벽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된 록킹돌기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 1록킹부재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 또는 수평상태를 이루는 프레임 및;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연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된 출입구 측에 구비된 램프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EMERGENCY DOOR LOCKING APPARATUS OF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상황 발생 시 승객의 탈출을 위해 철도차량의 전.후 운전실에 구비되는 비상도어가 평상 시에는 견고한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비상 시에는 간편한 해제가 가능하도록 한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기차 등을 비롯한 각종 철도차량의 전.후 운전실에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운전자 및 탑승객의 비상 탈출을 위한 비상도어가 설치된다.
즉, 비상상황 발생 시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승객은 좌.우측 출입문을 통한 비상탈출이 불가능하므로, 운전실에 구비된 수동식 비상도어를 통해 신속히 탈출을 행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비상도어는 해당 철도 차량의 운행방향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비상도어의 개폐방식은 해당 철도차량의 운전실 전면에 상측을 향해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진 방식이 가장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된 차량의 바닥면은 지면으로부터 통상 1.5m 정도의 높이를 이루게 되므로, 탑승객이 안전하게 지면으로 착지할 수 있도록 비상도어의 출구 측에는 절첩 구조로 이루어진 비상 탈출용 램프(emergency ramp; 경사발판)가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구비되는 비상도어는 전원공급이 차단된 비상상황 발생 시 개방되어야만 하므로 그 개폐장치가 수동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지만, 철도차량의 운행 중 전면에 가해지는 비바람 등의 강한 압력으로 인한 누수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매우 견고한 록킹구조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에 적용되는 록킹구조는 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록킹장치의 밀착성이 저하되면서 누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록킹장치에 견고하고 복잡한 구조를 적용할 시에는 비상 시 용이한 개방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철도차량의 전.후 운전실에 구비되는 비상도어의 록킹장치가 강한 압력에 따른 누수 및 통풍이 방지되도록 견고한 밀착성을 갖음과 아울러 비상 시에는 용이하게 개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비상도어의 폐쇄 시 손잡이를 잡고 쉽게 도어를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비상도어 폐쇄 시 도어 측을 손으로 파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는, 철도차량의 운전실 전면에 상측을 향해 개폐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비상도어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도어 내면의 중간 높이를 갖는 지점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봉형상의 부재로서, 그 양단이 상기 비상도어의 양내벽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 양단에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과 연동하여 회전되며, 그 돌출된 몸체에 구비된 걸림홈이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되는 출입구 측 양내벽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된 록킹돌기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 1록킹부재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 또는 수평상태를 이루는 프레임 및;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연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된 출입구 측에 구비된 램프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는 수평상태에서 그 단부 측이 하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커버 및 프레임, 회전봉을 일체로 회전 조작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봉의 양단부 측 일정 지점에는 힌지를 매개로 한 쌍의 연결봉이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일정 높이만큼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각 연결봉의 하단에는 링크 구조로 제 2록킹부재가 상기 비상도어 내면에 결합된 브라켓트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봉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한 쌍의 제 2록킹부재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출입구 측 양내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록킹홈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봉의 하측 부분에는 상기 회전봉에 연결된 로울러 브라켓트를 매개로 탄성재질로 덧씌워진 로울러가 설치되어, 상기 비상도어의 폐쇄 시 비상도어 내면과 램프의 직접적인 충돌이 방지되도록 완충작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철도차량의 전.후 운전실에 비상상황 발생 시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운전자 및 탑승객의 비상 탈출을 위해 설치되는 비상도어에 견고한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다수 개의 록킹장치를 구성하므로서, 고속으로 운행되는 철도차량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누수 및 통풍 등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는 다수 개의 록킹부재가 손잡이부 조작에 따라 일체로 록킹 및 해제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상상황 발생 시 용이하게 비상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가 적용된 비상도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가 적용된 비상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를 구성하는 제 2록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가 적용된 비상도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가 적용된 비상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를 구성하는 제 2록킹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는, 기차나 지하철, 경전철을 비롯한 각종 철도차량의 전.후 운전실에 구비되는 비상도어(100)의 록킹장치를 특정 구조로 구성하여, 철도차량의 고속운행 시 비바람 등과 같은 강한 압력에 따른 비상도어(100) 측의 누수 및 통풍이 방지되도록 견고한 밀착성을 갖도록 함은 물론, 비상상황 발생 시에는 비상도어(100)의 용이한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는, 각종 철도차량의 전.후에 구비되는 운전실 전면에 구비되되, 상측을 향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 비상도어(100) 내면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는 회전봉(10)을 매개로 4개의 록킹장치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봉(10)은 상기 비상도어(100) 내면의 대략 중간 높이를 갖는 지점에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봉부재로서, 그 양단은 상기 비상도어(100)의 양측 내벽에 베어링(도시안됨)을 매개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10)의 양단부 측에는 각각 제 1록킹부재(20)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제 1록킹부재(20)는 상기 회전봉(10)과 연동하여 일체로 회전되며, 대략 갈고리 형태로 돌출된 몸체의 일측에는 걸림홈(22)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22)이 상기 비상도어(100)가 설치되는 출입구(100) 측의 양내벽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된 록킹돌기(24)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면서, 상기 비상도어(100)를 견고하게 록킹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회전봉(10)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록킹부재(20)와 인접한 지점의 회전봉(10) 양단부 측 일정 지점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연결봉(52)이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봉(10)의 양단부 측에는 결합홀(51a)을 갖는 결합돌기(51)가 한 쌍씩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봉(52)은 상단부 측에도 그와 대응되는 결합홀(52a)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10) 및 연결봉(52)은 힌지(53)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상기 한 쌍의 연결봉(52)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10)의 회전에 따라 일정 높이만큼 상승 및 하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연결봉(52)의 하단에는 링크 구조로 제 2록킹부재(50)가 연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비상도어(10)가 설치된 출입구(100) 측 양내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록킹홈(54)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면서, 상기 비상도어(100)를 견고하게 록킹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록킹부재(50)가 설치되는데 있어서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도어(100)의 내면 하측 일정 지점에 금속틀로 이루어진 소정 형상의 브라켓트(56) 한 쌍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봉(52) 하단은 각각 브라켓트(56) 내에 내장됨과 아울러, 각 연결봉(52)의 하단에는 대략 바(bar) 형상을 갖는 제 2록킹부재(50)의 일단이 링크구조로 연결된다.
또, 각각의 제 2록킹부재(50)는 해당 연결봉(52) 하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트(56)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58)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상기 브라켓트(56)의 외부로 상호 대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비상도어(100)가 설치되는 출입구(110) 측 양내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록킹홈(54)에 선택적으로 단속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한 쌍의 제 2록킹부재(50)는 상기 회전봉(10)의 회전에 따른 연결봉(52)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축(58)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 동작되면서 상기 록킹홈(54)에 결합 또는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봉(10)에는 대략 사각틀 형태를 갖는 프레임(30)이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프레임(30)은 상기 회전봉(1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봉(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 또는 수평상태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프레임(30)에는 대략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커버(40)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커버(40)는 수평상태에서 그 단부 측이 하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구성되며, 그 절곡부분의 외면에는 손잡이부(42)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42)를 매개로 상기 커버(40) 및 프레임(30), 회전봉(10) 등을 일체로 회전 조작시켜 상기 제 1 및 제 2록킹장치(20,50)를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40)는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비상도어(100)가 설치된 출입구(110) 측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200) 상부를 덮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비상도어(100)가 설치되는 출입구(100) 측에 절첩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출입구(110) 외부로 사다리 또는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펼쳐지는 램프(200)는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상기 회전봉(10)의 하측 부분에 해당되는 일정 지점에는 상기 회전봉(100)에 연결된 로울러 브라켓트(62)를 매개로 탄성재질이 덧씌워져 구성된 로울러(60)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로울러(60)는 상기 비상도어(100)의 폐쇄 시에 상기 비상도어(100) 내면과 램프(200)의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작용을 행하도록 구비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도차량의 전.후 운전실 전면에 구비되는 비상도어(100)의 개방상태에서 해당 비상도어(100)를 폐쇄시킨 후 비상도어 록킹장치를 매개로 상기 비상도어(100)를 견고하게 록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비상도어(100)의 폐쇄 후 사용자는 수직상태로 위치한 상기 커버(40) 단부 측의 손잡이부(42)를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켜 상기 커버(40) 및 프레임(30)이 수평상태로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42)에 회전력이 인가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봉(10)은 일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상기 회전봉(10)의 양단에 구비된 한 쌍의 제 1록킹부재(20)도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그 일측의 걸림홈(22)이 비상도어 출입구(110) 측 내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각 록킹돌기(24)에 단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봉(10)의 회전과 동시에 그 양단부 측 일정 지점 하측에 힌지(53)를 매개로 수직상태로 설치된 한 쌍의 연결봉(52)은 일정 높이만큼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연결봉(52)의 하단에 각각 링크구조로 연결된 제 2록킹부재(50)는 각각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비상도어 출입구(110) 측 내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각 록킹홈(54)에 단속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상도어(100)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비상도어(100)는 양측에 한 쌍씩 총 4개가 형성된 록킹부재(20,50)를 매개로 견고한 록킹 및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외부 압력에 따른 임의적인 누수나 통풍 등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비상도어(100)의 록킹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위치한 커버(40) 및 프레임(30)은 출입구(110) 측 바닥면에 설치된 비상탈출용 램프(200) 상부에 덮어지면서 램프(200)의 외부 노출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비상도어(100) 내면에 구비된 로울러(60)는 상기 비상도어(100) 및 램프(200)가 상호 직접적으로 맞닿는 것을 차단하여 램프(200)의 충돌에 의한 비상도어(100)의 손상을 방지하는 작용을 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 개의 록킹장치를 매개로 견고하게 록킹된 비상도어(100)를 비상상황 발생에 따라 개방시키는데 있어서는, 상기 수평상태로 위치한 커버(40) 및 프레임(30)을 상기 손잡이부(42)를 매개로 수직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그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회전봉(1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양단부 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록킹부재(20) 및 상기 회전봉(10) 하측에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제 2록킹부재(50)가 록킹과정과 반대방향으로 동작되면서 단속된 록킹돌기(24) 및 록킹홈(54)으로부터 각각 이탈되면서 록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비상도어(10)는 손잡이부(42)만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상기 회전봉(10) 및 상기 회전봉(10)과 연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제 1 및 제 2록킹부재(20,50)가 일체로 회전 동작되면서, 매우 용이하게 비상도어의 록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후, 록킹상태가 해제된 상기 비상도어(100)는 내면에서 외측을 향해 외력을 인가함에 따라, 상측을 향해 열리면서 해당 비상 출입구(110)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에 상기 개방된 출입구(110) 측 바닥면에 구비된 램프(200)를 설치함에 따라 비상상황에 따른 신속한 탈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회전봉, 20: 제 1록킹부재,
22: 걸림홈, 24: 록킹돌기,
30: 프레임, 40: 커버,
42: 손잡이부, 50: 제 2록킹부재,
51: 결합돌기, 51a,52a: 결합홀,
52: 연결봉, 53: 힌지,
54: 록킹홈, 56: 브라켓트,
58: 회전축, 60: 로울러,
62: 로울러 브라켓트, 100: 비상도어,
110: 출입구, 200: 램프.

Claims (4)

  1. 철도차량의 운전실 전면에 상측을 향해 개폐되는 구조로 구비되는 비상도어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상도어 내면의 중간 높이를 갖는 지점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봉형상의 부재로서, 그 양단이 상기 비상도어의 양내벽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 양단에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전봉과 연동하여 회전되며, 그 돌출된 몸체에 구비된 걸림홈이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되는 출입구 측 양내벽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된 록킹돌기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제 1록킹부재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봉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연동하여 수평 또는 수평상태를 이루는 프레임 및;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연동되며, 상기 프레임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된 출입구 측에 구비된 램프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커버는 수평상태에서 그 단부 측이 하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절곡된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커버 및 프레임, 회전봉을 일체로 회전 조작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양단부 측 일정 지점에는 힌지를 매개로 한 쌍의 연결봉이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일정 높이만큼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되며,
    각 연결봉의 하단에는 링크 구조로 제 2록킹부재가 상기 비상도어 내면에 결합된 브라켓트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봉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한 쌍의 제 2록킹부재가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출입구 측 양내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록킹홈에 선택적으로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하측 부분에는 상기 회전봉에 연결된 로울러 브라켓트를 매개로 탄성재질로 덧씌워진 로울러가 설치되어,
    상기 비상도어의 폐쇄 시 비상도어 내면과 램프의 직접적인 충돌이 방지되도록 완충작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KR1020120044554A 2012-04-27 2012-04-27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KR10132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554A KR101328001B1 (ko) 2012-04-27 2012-04-27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554A KR101328001B1 (ko) 2012-04-27 2012-04-27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393A KR20130121393A (ko) 2013-11-06
KR101328001B1 true KR101328001B1 (ko) 2013-11-13

Family

ID=4985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554A KR101328001B1 (ko) 2012-04-27 2012-04-27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884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코하마 고속 철도 차량 도어의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2352A (zh) * 2018-11-19 2019-02-22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折页门锁失效时的紧急解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1863A (en) * 1989-12-21 1991-07-16 The Boeing Company Upward/outward opening, plug-type overwing emergency exit hat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1863A (en) * 1989-12-21 1991-07-16 The Boeing Company Upward/outward opening, plug-type overwing emergency exit ha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884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코하마 고속 철도 차량 도어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393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5252B2 (ja) 車両の扉
AU2005200402A1 (en) Door threshold for access to the interior of a railway vehicle
KR101032768B1 (ko)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 개폐장치
EP3461713A1 (en) Vehicle with retractable stair assembly
KR101328001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KR101838522B1 (ko) 철도터널 피난구에 설치되는 풍압 방연문
JP201700185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1092223B1 (ko) 승강장 스크린도어의 장애물 검지장치
CN213413776U (zh) 在门洞处具有可活动的地板件的轨道车辆
KR101309769B1 (ko)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20090043727A (ko) 지하철 승강장용 안전장치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KR20130003959U (ko) 작업장용 미닫이 도어
RU26414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го выхода из вагона метро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EP0367883B1 (de) Waggon zum Transport von Fahrzeugen
KR101298715B1 (ko) 철도차량의 비상문 록킹장치
JP7195138B2 (ja) 避難扉
JP2014202038A (ja) 車両用非常梯子
KR100935010B1 (ko) 강성이 향상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창호
JP2009155792A (ja) 走行ガイ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引き戸
KR100589004B1 (ko) 버스폴딩도어의 회전식 하부 실링구조
US1701932A (en) Door-latch structure
KR101525086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안전장치
JP2005349852A (ja) 鉄道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