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904B1 -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904B1
KR102213904B1 KR1020190124197A KR20190124197A KR102213904B1 KR 102213904 B1 KR102213904 B1 KR 102213904B1 KR 1020190124197 A KR1020190124197 A KR 1020190124197A KR 20190124197 A KR20190124197 A KR 20190124197A KR 102213904 B1 KR102213904 B1 KR 10221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nuclear fuel
fuel rod
rod tub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한옥
황호연
이덕희
권민성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02Fuel elements
    • G21C3/04Constructional details
    • G21C3/06Casings; Jack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cutting) 과정을 자동화하여 절단 후 핵연료봉 튜브의 잔여물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핵연료봉 튜브의 최종 제품 수량을 증대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 신속한 절단 작업으로 생산속도를 향상할 수 있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은 필거링 성형 후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를 측정하는 단계(S10),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S20) 및 나머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에 대한 절단 길이의 제1 나머지 값을 추출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을 제1 비교 대상값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제2 나머지값을 추출하는 단계(S40)와, 상기 제2 나머지값의 각각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Automatic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of nuclear fuel rod tube}
본 발명은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cutting) 과정을 자동화하여 절단 후 핵연료봉 튜브의 잔여물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핵연료봉 튜브의 최종 제품 수량을 증대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 신속한 절단 작업으로 생산속도를 향상할 수 있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수로 원전에서는 우라늄-235의 비율을 2~5%로 높인 농축우라늄을 사용하며, 원자로에서 사용되는 핵연료로 가공하기 위하여 우라늄을 5g 정도 무게의 원통형 핵연료 소결체(pellet)로 만드는 성형가공을 한다.
이와 같이 성형 가공된 소결체는 건조로 내에서 건조를 거쳐서 내식성이 양호한 특수합금으로 제작된 튜브 형상의 피복관에 장입된 후에 봉인을 거쳐 핵연료봉으로 제작되며, 제작된 핵연료봉은 다발 형태로 핵연료 집합체로 구성되어 원자로의 노심에 장전된 후에 핵반응을 통해 연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핵연료봉 튜브는 중성자 흡수 특성이 낮은 지르코늄 합금을 포함하는 소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지르코늄 합금의 피복관 또는 인코넬 전열관과 같은 튜브형 제품은 일반적으로 성형 및 기계적 가공에 의해 잉곳으로부터 얻은 봉의 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일련의 공정을 거쳐 핵연료봉 튜브를 제작하게 된다. 먼저, 필거링 장비를 통해 지르코늄 합금 주괴를 튜브의 직경은 감소시키면서 튜브의 길이는 연신(orientation)시키는 필거링 공정을 실시한다.
이후, 필거링된 튜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연신되어 길이가 늘어난 상태이며, 종래에는 작업자가 이러한 튜브를 줄자 등의 치수 측정수단으로 정해진 길이로 측정한 후,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튜브를 복수로 절단한다. 이는, 튜브가 규격화된 직경을 형성할때까지 상기한 필거링공정을 재차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후, 상기한 일련의 공정들이 재차 수행되면서 핵연료봉 튜브 제작이 완료된다. 통상적으로 핵연료봉 튜브는 1, 2, 3차의 필거링 성형을 거쳐 최종제품이 생산되게 되고, 각 차수의 연신율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1차 성형에서 어떤 길이로 튜브들을 절단(cutting) 하는가에 따라 최종제품의 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필거링 공정 이후 일련의 공정들이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절단 길이의 판단에 오차가 발생하여 절단 작업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효율적인 절단 지점의 판단 오류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0139호(2016년 11월 29일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핵연료봉 튜브의 잔여물이 최소가 되도록 필거링된 튜브의 절단 길이를 효율적으로 결정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에 대한 연산을 자동화하여 인적 오류를 방지하고, 신속한 절단 작업으로 생산속도를 향상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은 필거링 성형 후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를 측정하는 단계(S10),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S20) 및 나머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에 대한 절단 길이의 제1 나머지 값을 추출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을 제1 비교 대상값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제2 나머지값을 추출하는 단계(S40)와, 상기 제2 나머지값의 각각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또한, 결정된 절단 길이 및 절단톱날의 두께를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로부터 감산하고, 남은 전체길이를 추출하는 단계(S60), 상기 남은 전체길이를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 및 판단 결과를 토대로 남은 전체길이에 대하여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장치는 측정부, 데이터 저장부, 연산부, 제어부, 절단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 되어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핵연료봉 튜브의 길이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 정보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절단 길이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필거링 성형의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연산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된 절단 길이로 핵연료봉 튜브를 절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부 및 절단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측정부의 측정 정보 및 연산부의 연산 결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잔여물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핵연료봉 튜브의 최종 제품 수량을 증대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에 대한 결정을 자동화하여 인적 오류를 방지하고, 신속한 절단 작업으로 생산속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는 필거링 성형 후 핵연료봉 튜브(10)의 효율적인 절단 길이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연산하여 줌으로써 핵연료봉 튜브(10)의 잔여물이 최소가 되도록 하고, 신속한 절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10)는 1, 2, 3차의 필거링 성형을 거쳐 최종제품이 생산된다. 이때, 1, 2차 필거링 성형이 끝난 튜브의 전체길이는 튜브의 종과 타입(Type) 별로 다르며, 각 타입(type) 별로 장비의 특성이 고려된 최소장입 길이나 후속 공정에서 연신율이 적용되어 다음 차수에서 활용 가능한 길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각 차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절단 길이의 최대길이(A), 표준길이(B) 및 최소길이(C)가 모두 다르게 된다.
즉, 필거링 성형 각 차수의 연신율에 따라 튜브의 길이가 다르게 늘어나게 되고, 1차 성형에서 어떤 길이로 튜브들을 절단(cutting) 하는가에 따라 최종 제품의 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필거링 성형이 끝난 뒤의 튜브 전체길이(X)는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약 9m ~ 34m의 범위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1차 필거링 성형 뒤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은 4종/20 타입(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2차 필거링 성형이 끝난 뒤의 튜브 전체길이(X)는 4종/19 타입(Type)의 구분에 따라 약 8.5m ~ 23m의 범위에서 전체길이가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10) 절단 길이의 최대길이(A), 표준길이(B) 및 최소길이(C)가 모두 달라진다.
이와 같은 각각의 경우를 종래에는 사람이 직접 수작업으로 필거링 성형 뒤 튜브의 전체길이(X)를 측정한 후 계산기를 사용하거나 임의적인 절단(cutting) 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인적 실수나 계산상의 실수로 인해 최종(3차) 제품 기준으로 수량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10)의 자동 절단 방법은 필거링 성형 뒤 핵연료봉 튜브(10)를 절단하기 위한 최적의 절단 길이를 각각의 경우에 따라 자동으로 추출하여 최종 제품의 수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은 필거링 성형 후 핵연료봉 튜브(10)의 전체길이(X)를 측정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핵연료봉 튜브(10)를 절단하기 위한 유효 전체길이인 제2 전체길이(X')는 샘플링의 선택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샘플링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는 측정된 핵연료봉 튜브(10)의 전체길이(X)가 그대로 절단 대상인 유효 전체길이로서 제2 전체길이(X')로 반영된다. 하지만, 샘플링이 선택되는 경우는 측정된 핵연료봉 튜브(10)의 전체길이(X)로부터 샘플 길이(S)를 제외한 길이가 제2 전체길이(X')가 된다(S11).
또한,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 길이에는 절단 후 절단 최소길이(C), 절단 표준길이(B), 절단 최대길이(A) 및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길이에 대한 절단 최소길이(C), 절단 표준길이(B) 및 절단 최대길이(A)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나머지 함수를 이용하여 핵연료봉 튜브(10)의 제2 전체길이(X')에 대한 절단 표준길이(B) 및 절단 최대길이(A)의 제1 나머지 값(RA, RB)을 추출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나머지 함수에는 아래의 [수학식 1] 또는 MOD(modulus) 함수가 포함될 수 있다.
[수학식 1]
RA = MOD(X', A)
= X'-A*INT(X'/A)
RB = MOD(X', B)
= X'-B*INT(X'/B)
여기에서, X'은 절단 대상인 핵연료봉 튜브(10)의 제2 전체길이(유효 전체길이)이고, A는 절단 후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 B는 절단 표준길이, C는 절단 최소길이이며, INT는 X'/A 또는 X'/B와 가장 가까운 정수를 추출하는 함수이다. 또한, RA는 제2 전체길이(X')에 대한 절단 최대길이(A)의 나머지함수 값인 제1 최대 나머지 값이고, RB는 제2 전체길이(X')에 대한 절단 표준길이(B)의 나머지함수 값인 제1 표준 나머지 값이다.
또한, 추출된 제2 전체길이(X')에 대한 절단 표준길이(B) 및 절단 최대길이(A)의 제1 나머지 값(RA, RB)을 제1 비교 대상값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2 나머지값(RA', RB')에는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최대길이(A)를 토대로 하는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표준길이(B)를 토대로 하는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의 경우에는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표준길이(B)가 상기 제1 비교 대상값이 된다(S41). 또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의 제1 비교 대상값은 핵연료봉 튜브(10)의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가 된다(S42).
즉,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제1 최대 나머지값(RA)과 제1 비교 대상값으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표준길이(B)를 비교하여 추출하고,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제1 표준 나머지값(RB)과 핵연료봉 튜브(10)의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를 비교하여 추출한다.
또한, 제1 나머지 값(RA, RB)과 제1 비교 대상값의 비교 결과 제1 나머지 값(RA, RB)이 제1 비교 대상값(B, Min)보다 크거나 같으면 나머지 값(RA, RB)으로부터 제1 비교 대상값(B, Min)을 뺀 나머지 값이 제2 나머지값(RA', RB')이 된다. 또한, 제1 나머지 값(RA, RB)이 제1 비교 대상값(B, Min)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 나머지 값(RA, RB)이 그대로 제2 나머지값(RA', RB')이 된다.
이때, 제2 나머지값(RA', RB')으로부터 절단톱날의 두께(D)를 감산하는 단계(S43, S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나머지값(RA', RB')으로부터 각각 절단톱날의 두께(D)를 감산하여 제3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최대 나머지값(RA")은 제2 최대 나머지값(RA')으로부터 절단톱날의 두께(D)를 감산하여 추출된 나머지 값이고, 제3 표준 나머지값(RB")은 제2 표준 나머지값(RB')으로부터 절단톱날의 두께(D)를 감산하여 추출된 나머지 값이다.
또한,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거나, 또는 제3 최대 나머지값(RA")과 제3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절단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때, 제2 최대 나머지값(RA')보다 제2 표준 나머지값(RB')이 크거나, 제3 최대 나머지값(RA")보다 제3 표준 나머지값(RB")이 크면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가 절단 길이로 결정된다(S51). 또한, 제2 표준 나머지값(RB')보다 제2 최대 나머지값(RA')이 크거나, 제3 표준 나머지값(RB")보다 제3 최대 나머지값(RA")이 크면 튜브의 절단 표준길이(B)가 절단 길이로 결정된다(S52).
또한, 결정된 절단 길이 및 절단톱날의 두께(D)를 제2 전체길이(X')로부터 감산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추출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즉, 제2 전체길이(X')로부터 결정된 절단 길이를 절단(cutting)하고, 남은 전체길이를 제3 전체길이(X")로 추출한다.
또한,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와, 판단 결과를 토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에 대하여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에서 제3 전체길이(X")가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보다 크면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제3 전체길이(X")가 절단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보다 작거나 같으면 그대로 절단 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10)의 1차 필거링 성형 후 절단 길이와 설정 값이 각각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S20).
절단 최대길이(A)=4600mm
절단 표준길이(B)=4110mm
절단 최소길이(C)=3110mm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2000mm
절단톱날 두께(D)=3mm, 샘플길이(S)=50mmm
먼저, 필거링 성형 후 핵연료봉 튜브(10)의 전체길이(X)를 측정할 수 있다(S10).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 측정된 전체길이(X)가 21,598mm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핵연료봉 튜브(10)를 절단하기 위한 유효 전체길이인 제2 전체길이(X')는 샘플길이(S) 50mm를 제외한 21,548mm가 된다.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상기 절단 길이(절단 최대길이(A), 절단 표준길이(B), 절단 최소길이(C))를 토대로 MOD(modulus) 함수를 이용하여 핵연료봉 튜브(10)의 제2 전체길이(X')에 대한 절단 표준길이(B) 및 절단 최대길이(A)의 제1 나머지 값(RA, RB)을 아래와 같이 추출할 수 있다(S30).
RA = MOD(X', A) = MOD(21548, 4600) = 3148
RB = MOD(X', B) = MOD(21548, 4110) = 998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각각의 제1 비교 대상값(절단 표준길이(B),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할 수 있다(S40).
이때, 제1 최대 나머지값(RA)인 3148mm는 대응되는 제1 비교 대상값인 절단 표준길이(B) 4110mm 보다 작으므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그대로 3148mm가 된다. 또한, 제1 표준 나머지값(RB)인 998mm는 대응되는 제1 비교 대상값인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 2000mm 보다 작으므로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마찬가지로 그대로 998mm가 된다.
여기에서, 제2 나머지값(RA', RB')으로부터 절단톱날 두께(D) 3mm를 감산하여 다음과 같이 제3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할 수 있다(S43, S44).
RA" = 3148 - 3 = 3145mm
RB" = 998 - 3 = 995mm
이와 같이 결정된 제2 나머지값(RA', RB') 또는 제3 나머지값(RA", RB")을 각각 비교하여 1차 절단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S50). 이 경우에는 제3 최대 나머지값(RA") 3145mm보다 제3 표준 나머지값(RB") 995mm가 작으므로 1차 절단 길이는 절단 표준길이(B)로 결정된다.
즉, 핵연료봉 튜브(10)의 제2 전체길이(X') 21,548mm에서 1차로 절단되는 절단 길이는 4110mm로 결정된다. 또한, 제2 전체길이(X')로부터 결정된 절단 길이와 절단톱날의 두께(D)를 감산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는 다음과 같다(S60).
X" = 21,548 - 4110 - 3 = 17435mm
또한, 절단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 여기에서, 남은 제3 전체길이(X") 17435mm가 절단 최대길이(A) 4600mm보다 크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 17435mm를 절단 최대길이로 설정하여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80).
즉, 튜브의 전체길이 17435mm를 토대로 제1 나머지 값(RA, RB)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RA = MOD(X', A) = MOD(17435, 4600) = 3635
RB = MOD(X', B) = MOD(17435, 4110) = 995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각각의 제1 비교 대상값(절단 표준길이(B),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과 비교하여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한다.
RA 3635mm가 절단 표준길이 4110mm보다 작으므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3148mm이고, RB 995mm가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 2000mm보다 작으므로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995mm가 된다.
또한,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여 2차 절단 길이를 결정한다. 즉,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 3148mm보다 제2 표준 나머지값(RB') 995mm가 더 작으므로 2차 절단 길이는 절단 표준길이(B) 4110mm로 결정된다.
또한, 튜브의 2차 절단 후 남은 제3 전체길이(X")는 다음과 같다.
X" = 17435 - 4110 - 3 = 13322mm
또한, 2차 절단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남은 제3 전체길이(X") 13322mm가 절단 최대길이(A) 4600mm보다 크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 13322mm를 절단 최대길이로 설정하여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튜브의 전체길이 13322mm를 토대로 제1 나머지 값(RA, RB)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RA = MOD(X', A) = MOD(13322, 4600) = 4122
RB = MOD(X', B) = MOD(13322, 4110) = 992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각각의 제1 비교 대상값(절단 표준길이(B),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과 비교하여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한다.
이때, RA 4122mm가 절단 표준길이 4110mm보다 크므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다음과 같이 추출된다.
RA' = RA - B = 4122 - 4110 = 12mm
또한, RB 992mm가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 2000mm보다 작으므로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992mm가 된다.
또한,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여 3차 절단 길이를 결정한다. 즉,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 12mm보다 제2 표준 나머지값(RB') 992mm가 더 크므로 3차 절단 길이는 절단 최대길이(A) 4600mm로 결정된다.
또한, 튜브의 3차 절단 후 남은 제3 전체길이(X")는 다음과 같다.
X" = 13322 - 4600 - 3 = 8719mm
또한, 3차 절단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남은 제3 전체길이(X") 8719mm가 절단 최대길이(A) 4600mm보다 크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 8719mm를 절단 최대길이로 설정하여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튜브의 전체길이 8719mm를 토대로 제1 나머지 값(RA, RB)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RA = MOD(X', A) = MOD(8719, 4600) = 4119
RB = MOD(X', B) = MOD(8719, 4110) = 499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각각의 제1 비교 대상값(절단 표준길이(B),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과 비교하여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한다.
이때, RA 4119mm가 절단 표준길이 4110mm보다 크므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다음과 같이 추출된다.
RA' = RA - B = 4119 - 4110 = 9mm
또한, RB 499mm가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 2000mm보다 작으므로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499mm가 된다.
또한,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여 4차 절단 길이를 결정한다. 즉,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 9mm보다 제2 표준 나머지값(RB') 499mm가 더 크므로 4차 절단 길이는 절단 최대길이(A) 4600mm로 결정된다.
또한, 튜브의 4차 절단 후 남은 제3 전체길이(X")는 다음과 같다.
X" = 8719 - 4600 - 3 = 4116mm
또한, 4차 절단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남은 제3 전체길이(X") 4116mm가 절단 최대길이(A) 4600mm보다 작으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 4116mm를 절단(cutting) 없이 종료한다.
결과적으로, 1차 필거링 성형 후 측정된 전체길이(X)가 21,598mm인 경우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길이는 절단 표준길이(B)인 4110mm가 2회, 절단 최대길이(A)인 4600mm가 2회, 그리고 남은 최종 길이가 4116mm로 판단된다.
[제2 실시 예]
핵연료봉 튜브(10)의 필거링 성형 후 측정된 전체길이(X)가 18,750mm인 경우를 예로 들어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10)의 필거링 성형 후 절단 길이와 설정 값은 각각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S20).
절단 최대길이(A)=4600mm
절단 표준길이(B)=4110mm
절단 최소길이(C)=3110mm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2000mm
절단톱날 두께(D)=3mm, 샘플길이(S)=50mmm
먼저, 샘플링이 선택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측정된 전체길이(X)를 토대로 샘플길이(S) 50mm를 제외한 제2 전체길이(X')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제2 전체길이(X')는 18,700mm가 된다.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상기 절단 길이(절단 최대길이(A), 절단 표준길이(B), 절단 최소길이(C))를 토대로 MOD(modulus) 함수를 이용하여 핵연료봉 튜브(10)의 제2 전체길이(X')에 대한 절단 표준길이(B) 및 절단 최대길이(A)의 제1 나머지 값(RA, RB)을 아래와 같이 추출할 수 있다(S30).
RA = MOD(X', A) = MOD(18700, 4600) = 300
RB = MOD(X', B) = MOD(18700, 4110) = 2260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각각의 제1 비교 대상값(절단 표준길이(B),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할 수 있다(S40).
이때, 제1 최대 나머지값(RA)인 300mm는 대응되는 제1 비교 대상값인 절단 표준길이(B) 4110mm 보다 작으므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그대로 300mm가 된다. 또한, 제1 표준 나머지값(RB)인 2260mm는 대응되는 제1 비교 대상값인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 2000mm 보다 크므로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다음과 같이 추출될 수 있다.
RB' = RB - Min = 2260 - 2000 = 260mm
여기에서, 제2 나머지값(RA', RB')으로부터 절단톱날 두께(D) 3mm를 감산하여 다음과 같이 제3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할 수 있다(S43, S44).
RA" = 300 - 3 = 297mm
RB" = 260 - 3 = 257mm
이와 같이 결정된 제2 나머지값(RA', RB') 또는 제3 나머지값(RA", RB")을 각각 비교하여 1차 절단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S50). 이 경우에는 제3 최대 나머지값(RA") 297mm보다 제3 표준 나머지값(RB") 257mm가 더 작으므로 1차 절단 길이는 절단 표준길이(B)로 결정된다.
즉, 핵연료봉 튜브(10)의 제2 전체길이(X') 18,700mm에서 1차로 절단되는 절단 길이는 4110mm로 결정된다. 또한, 제2 전체길이(X')로부터 결정된 절단 길이와 절단톱날의 두께(D)를 감산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는 다음과 같다(S60).
X" = 18,700 - 4110 - 3 = 14,587mm
또한, 절단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 여기에서, 남은 제3 전체길이(X") 14,587mm가 절단 최대길이(A) 4600mm보다 크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 14,587mm를 절단 최대길이로 설정하여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80).
즉, 튜브의 전체길이 14,587mm를 토대로 제1 나머지 값(RA, RB)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RA = MOD(X', A) = MOD(14587, 4600) = 787
RB = MOD(X', B) = MOD(14587, 4110) = 2257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각각의 제1 비교 대상값(절단 표준길이(B),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과 비교하여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한다.
RA 787mm가 절단 표준길이 4110mm보다 작으므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787mm이고, RB 2257mm가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 2000mm보다 크므로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다음과 같이 추출된다.
RB' = RB - Min = 2257 - 2000 = 257
또한,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여 2차 절단 길이를 결정한다. 즉,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 787mm보다 제2 표준 나머지값(RB') 257mm가 더 작으므로 2차 절단 길이는 절단 표준길이(B) 4110mm로 결정된다.
또한, 튜브의 2차 절단 후 남은 제3 전체길이(X")는 다음과 같다.
X" = 14587 - 4110 - 3 = 10474mm
또한, 2차 절단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남은 제3 전체길이(X") 10,474mm가 절단 최대길이(A) 4600mm보다 크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 10,474mm를 절단 최대길이로 설정하여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즉, 튜브의 전체길이 10,474mm를 토대로 제1 나머지 값(RA, RB)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RA = MOD(X', A) = MOD(10474, 4600) = 1274
RB = MOD(X', B) = MOD(10474, 4110) = 2254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각각의 제1 비교 대상값(절단 표준길이(B),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과 비교하여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한다.
이때, RA 1274mm가 절단 표준길이 4110mm보다 작으므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그대로 1274mm가 된다. 또한, RB 2254mm가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 2000mm보다 크므로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다음과 같이 추출된다.
RB' = RB - Min = 2254 - 2000 = 254
또한,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여 3차 절단 길이를 결정한다. 즉,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 1274mm보다 제2 표준 나머지값(RB') 254mm가 더 작으므로 3차 절단 길이는 절단 표준길이(B) 4110mm로 결정된다.
또한, 튜브의 3차 절단 후 남은 제3 전체길이(X")는 다음과 같다.
X" = 10474 - 4110 - 3 = 6361mm
또한, 3차 절단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남은 제3 전체길이(X") 6361mm가 절단 최대길이(A) 4600mm보다 크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 6361mm를 절단 최대길이로 설정하여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튜브의 전체길이 6361mm를 토대로 제1 나머지 값(RA, RB)을 추출하면 다음과 같다.
RA = MOD(X', A) = MOD(6361, 4600) = 1761
RB = MOD(X', B) = MOD(6361, 4110) = 2251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각각의 제1 비교 대상값(절단 표준길이(B),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Min))과 비교하여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한다.
이때, RA 1761mm가 절단 표준길이 4110mm보다 작으므로 제2 최대 나머지값(RA')은 그대로 1761mm가 된다. 또한, RB 2251mm가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 2000mm보다 크므로 제2 표준 나머지값(RB')은 다음과 같이 추출된다.
RB' = RB - Min = 2251 - 2000 = 251mm
또한,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여 4차 절단 길이를 결정한다. 즉, 추출된 제2 최대 나머지값(RA') 1761mm보다 제2 표준 나머지값(RB') 251mm가 더 작으므로 4차 절단 길이는 절단 표준길이(B) 4110mm로 결정된다.
또한, 튜브의 4차 절단 후 남은 제3 전체길이(X")는 다음과 같다.
X" = 6361 - 4110 - 3 = 2248mm
또한, 4차 절단하고 남은 제3 전체길이(X")를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A)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남은 제3 전체길이(X") 2248mm가 절단 최대길이(A) 4600mm보다 작으므로, 남은 제3 전체길이(X") 2248mm를 절단(cutting) 없이 종료한다.
결과적으로, 필거링 성형 후 측정된 전체길이(X)가 18,750mm인 경우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길이는 절단 표준길이(B)인 4110mm가 4회, 그리고 남은 최종 길이가 2248mm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10)의 자동 절단 방법은 핵연료봉 튜브(10)의 효율적인 절단 길이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결정함으로써 생산속도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장치(20)는 측정부(100), 데이터 저장부(200), 연산부(300), 제어부(400), 절단부(500) 및 디스플레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 되어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핵연료봉 튜브(10)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측정부(100)는 핵연료봉 튜브(10)의 전체길이(X) 및 절단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연산부(300)에서 결정된 판단 결과에 따라 절단 최대길이(A), 절단 표준길이(B) 또는 절단 최소길이(C)와 같이 핵연료봉 튜브(1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00)는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절단 길이 정보와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저장부(200)는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른 절단 최대길이(A), 절단 표준길이(B) 및 절단 최소길이(C)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연산부(300)는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와 데이터 저장부(200)에 저장된 절단 길이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필거링 성형의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연산부(300)는 핵연료봉 튜브(10)의 자동 절단 방법을 토대로 미리 설정된 필거링 성형의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10)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길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함수를 이용하여 핵연료봉 튜브(10)의 전체길이에 대한 절단 길이의 제1 나머지 값(RA, RB)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제1 나머지 값(RA, RB)을 제1 비교 대상값과 비교하여 제2 나머지값(RA', RB')을 추출하고, 제2 나머지값(RA', RB')의 각각을 비교하여 핵연료봉 튜브(10)의 절단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2 최대 나머지값(RA')과 제2 표준 나머지값(RB')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절단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절단부(5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연산부(3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된 절단 길이로 핵연료봉 튜브(10)를 절단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측정부(100) 및 절단부(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연산부(300)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결정된 절단 길이에 따라 절단부(500)를 제어하여 핵연료봉 튜브(10)를 절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00)는 측정부(100)의 측정 정보 및 연산부(300)의 연산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 핵연료봉 튜브 20 : 자동 절단 장치
100 : 측정부 200 : 데이터 저장부
300 : 연산부 400 : 제어부
500 : 절단부 600 : 디스플레이부
X : 제1 전체길이 X' : 제2 전체길이
X" : 제3 전체길이 A : 절단 최대길이
B : 절단 표준길이 C : 절단 최소길이
Min :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 D : 절단톱날 두께
S : 샘플길이 RA : 제1 최대 나머지값
RB : 제1 표준 나머지값 RA' : 제2 최대 나머지값
RB' : 제2 표준 나머지값 RA" : 제3 최대 나머지값
RB" : 제3 표준 나머지값

Claims (8)

  1. 필거링 성형 후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시 잔여물이 최소가 되도록 핵연료봉 튜브를 자동 절단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에 있어서,
    필거링 성형 후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를 측정하는 단계(S10);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선택하는 단계(S20);
    나머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에 대한 절단 길이의 제1 나머지 값을 추출하는 단계(S30);
    추출된 제1 나머지 값을 제1 비교 대상값과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제2 나머지값을 추출하는 단계(S40); 및
    상기 제2 나머지값의 각각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길이에는 절단 최소길이, 절단 표준길이, 절단 최대길이 및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결정된 절단 길이 및 절단톱날의 두께를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로부터 감산하고, 남은 전체길이를 추출하는 단계(S60);
    상기 남은 전체길이를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와 비교하여 반복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70); 및
    판단 결과를 토대로 남은 전체길이에 대하여 상기 (S30) 단계 내지 (S6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머지 값은 제1 최대 나머지값과 제1 표준 나머지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최대 나머지값은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에 대한 절단 최대길이의 나머지함수 값이며, 상기 제1 표준 나머지값은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에 대한 절단 표준길이의 나머지함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머지값은 제2 최대 나머지값과 제2 표준 나머지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최대 나머지값은 제1 최대 나머지값과 제1 비교 대상값으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표준길이를 비교하여 추출하고, 상기 제2 표준 나머지값은 제1 표준 나머지값과 핵연료봉 튜브의 장비투입가능 최소길이를 비교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S50)는
    상기 제2 최대 나머지값과 제2 표준 나머지값을 비교하여 제2 최대 나머지값보다 제2 표준 나머지값이 크면 튜브의 절단 최대길이가 절단 길이로 결정되고, 상기 제2 표준 나머지값보다 제2 최대 나머지값이 크면 튜브의 절단 표준길이가 절단 길이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7. 필거링 성형 후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시 잔여물이 최소가 되도록 핵연료봉 튜브를 자동 절단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 되어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핵연료봉 튜브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부;
    필거링 성형의 각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미리 설정된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 정보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절단 길이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필거링 성형의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판단하는 연산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연산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된 절단 길이로 핵연료봉 튜브를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측정부 및 절단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측정부의 측정 정보 및 연산부의 연산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미리 설정된 필거링 성형의 차수와 핵연료봉 튜브의 종 및 타입(type)에 따라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선택하고, 나머지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핵연료봉 튜브의 전체길이에 대한 절단 길이의 제1 나머지 값을 추출하며, 추출된 제1 나머지 값을 제1 비교 대상값과 비교하여 제2 나머지값을 추출하고, 상기 제2 나머지값의 각각을 비교하여 핵연료봉 튜브의 절단 길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장치.

KR1020190124197A 2019-10-07 2019-10-07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 KR10221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97A KR102213904B1 (ko) 2019-10-07 2019-10-07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97A KR102213904B1 (ko) 2019-10-07 2019-10-07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904B1 true KR102213904B1 (ko) 2021-02-09

Family

ID=7455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197A KR102213904B1 (ko) 2019-10-07 2019-10-07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9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5032A1 (en) * 2007-10-04 2009-04-08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Atomic Energy Council, Executive Yuan Tube cut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60000271U (ko) * 2014-07-15 2016-01-25 안균호 알루미늄 압출형재 양 끝단의 스크랩 부분 자동배출장치
KR101680139B1 (ko) 2015-12-21 2016-11-29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연료봉 전단 장치 및 핵연료봉 전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5032A1 (en) * 2007-10-04 2009-04-08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Atomic Energy Council, Executive Yuan Tube cut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60000271U (ko) * 2014-07-15 2016-01-25 안균호 알루미늄 압출형재 양 끝단의 스크랩 부분 자동배출장치
KR101680139B1 (ko) 2015-12-21 2016-11-29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연료봉 전단 장치 및 핵연료봉 전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mson et al. Irradiation creep and growth of zirconium alloys: A critical review
JP4999222B2 (ja) 原子炉の炉心の少なくとも1つの動作パラメタを監視する方法
CN101105986B (zh) 反应堆反应性测量方法
JPH02275305A (ja) 管寸法測定方法と装置
KR970004354B1 (ko) 노심반응도 검증장치 및 방법
KR102213904B1 (ko) 핵연료봉 튜브의 자동 절단 방법 및 장치
JP4918345B2 (ja) 未臨界度測定方法及び未臨界度測定用プログラム、並びに未臨界度測定装置
JPH05196782A (ja) 制御棒の位置決定方法及び装置
JP7385548B2 (ja) 原子炉制御装置および原子炉制御方法
CN113936823B (zh) 获取堆外探测器刻度系数的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4420328B (zh) 反应堆次临界度的监测方法及装置
JP6585402B2 (ja) 炉心監視システム及び炉心監視方法
RU2362222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критичности остановленной ядерной установки без выхода в критическое состояние
EP3977487B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reactivity
JP2003130984A (ja) 原子炉の炉心性能監視装置
JP3037783B2 (ja) 電力計による高調波解析データのグラフ表示方法
JPH0548438B2 (ko)
JP2000162364A (ja) 原子炉炉心性能計算装置
JP2563964B2 (ja) Tip走査制御装置
JP4607713B2 (ja) 減速材温度係数の正負判定方法と正負判定装置
JPH08327777A (ja) 臨界点予測装置
JP4369772B2 (ja) 原子炉出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CN116469589A (zh) 一种基于达临界提棒过程的次临界状态刻棒方法
JPH01126595A (ja) 炉心性能監視装置
JP3785847B2 (ja) 原子炉出力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