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188B1 -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188B1
KR102210188B1 KR1020130157337A KR20130157337A KR102210188B1 KR 102210188 B1 KR102210188 B1 KR 102210188B1 KR 1020130157337 A KR1020130157337 A KR 1020130157337A KR 20130157337 A KR20130157337 A KR 20130157337A KR 102210188 B1 KR102210188 B1 KR 102210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arbon block
slurry
carb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758A (ko
Inventor
황지현
김서영
최선미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1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은 원료를 물속에 투입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로 만드는 슬러리 원료 생성단계; 상기 슬러리 원료를 성형틀에 공급하여 카본블럭을 만드는 블럭형성단계; 상기 카본블럭을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탈수된 상기 카본블럭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FOR CARBON BLOCK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ARBON BLOCK}
본 발명은 카본필터에 구비되어 물을 여과하는 카본블럭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카본블럭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를 물에 투입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로 만든 후 카본블럭을 만드는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카본블럭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본필터는 물을 여과하는 정수필터로서 분말활성탄을 포함한다.
분말활성탄에는 무수히 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분말활성탄에 형성된 기공에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착됨으로써 물의 여과가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서, 카본필터는 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 등의 유기화합물이나 냄새입자를 제거한다.
카본필터에는 분말활성탄이 가루형태로 포함되거나 블럭형태로 포함된다. 분말활성탄이 카본필터에 가루형태로 포함되면, 각각의 분말활성탄이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흡착하기 때문에 여과성능은 우수할 수 있다.
그러나, 분말활성탄 사이로 물이 유동하는 채널링 현상이 발생하며 분말활성탄이 여과된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분말활성탄을 고분자 바인더와 혼합한 후 소결하여 소정의 블럭형태, 예컨대 중공의 원통형상의 블럭형태로 만들었으며, 이러한 블럭형태의 분말활성탄을 카본블럭이라고 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본블럭은 소결시 고온에서 고분자 바인더가 용융되어 분말활성탄에 형성된 기공을 막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여과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본블럭에서 차압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카본블럭의 제조시 분말활성탄에 형성된 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카본블럭의 여과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은 원료를 물속에 투입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로 만드는 슬러리 원료 생성단계; 슬러리 원료를 성형틀에 공급하여 카본블럭을 만드는 블럭형성단계; 카본블럭을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탈수된 카본블럭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블럭형성단계에서는 성형틀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성형틀에 슬러리 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단계에서는 성형틀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카본블럭을 탈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러리 원료는 부피로 물 70% 내지 95%와 원료 5% 내지 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는 분말활성탄과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료는 분말활성탄을 85wt% 내지 95wt%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펄프 및 섬유상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료는 펄프를 10wt% 내지 15wt% 포함하고 섬유상 바인더를 5wt% 이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상 바인더는 저융점 단섬유(Low Metal Staple Fiber)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장치는 원료를 물속에 투입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로 만드는 슬러리 원료 생성부; 성형틀을 포함하며 슬러리 원료를 성형틀에 공급하여 카본블럭을 만들며 카본블럭을 탈수하는 블럭형성부; 및 카본블럭을 건조하는 건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성형틀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형성부와 성형틀에는 성형틀에 슬러리 원료를 공급하고 카본블럭으로부터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료를 물속에 투입하고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로 만들어서 카본블럭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펄프와 섬유상 바인더에 의해서 분말활성탄이 포함된 카본블럭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분말활성탄에 형성된 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본블럭의 여과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카본블럭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슬러리 원료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블럭형성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탈수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건조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카본블럭 제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카본블럭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슬러리 원료 생성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블럭형성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탈수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의 건조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카본블럭 제조장치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카본블럭 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 원료 생성부(200), 블럭형성부(300) 및, 건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 원료 생성부(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S)를 물속에 투입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SS)로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슬러리 원료 생성부(200)는 물(W)이 담길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원료(S)가 투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물(W)과 원료(S)를 교반하여 혼합할 수 있도록 교반기(2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슬러리 원료 생성부(2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료(S)를 물속에 투입하여 슬러리 원료(SS)로 만들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형성부(300)는 성형틀(3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슬러리 원료(SS)를 성형틀(310)에 공급하여 카본블럭(CB)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형성부(300)는 카본블럭(CB)을 탈수할 수 있다.
슬러리 원료 생성부(200)와 블럭형성부(300) 사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P)는 연결관(T)에 의해서 슬러리 원료 생성부(200)와 블럭형성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P)가 구동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 원료 생성부(200)의 슬러리 원료(SS)가 블럭형성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310)은 카본블럭(CB)을 만들기 위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블럭형성부(300)는 복수개의 축지지부(35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틀(310)은 연결부(360)에 의해서 회전축(320)에 연결되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320)은 동력전달부재(340)에 의해서 모터(3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모터(330)가 구동되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20)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블럭형성부(300)에는 펌프(P)에 연결된 연결관(T)이 연결되며 회전축(320)의 일단부가 회전지지되는 공급부(37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급부(370)와 회전축(320)의 내부 및 연결부(360)와 성형틀(310)에는 유로(FP)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에 의해서 공급부(370)에 공급된 슬러리 원료(SS)가 유로(FP)를 유동하여 성형틀(31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블럭(CB)에서 탈수된 물이 성형틀(310)의 유로(FP)와 연결부(360)의 유로(FP) 및 회전축(320)의 유로(FP)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성형틀(310)은 코어(311)와, 슬러리 원료(SS)가 공급되어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충진부(312) 및, 코어(311)와 충진부(312)가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연결부(360)에 연결되고 충진부(312)에 연결되는 유로(FP)가 형성된 지지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성형틀(3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슬러리 원료(SS)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회전축(3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건조부(400)는 카본블럭(CB)을 건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건조부(400)는 히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조부(400)는 이송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형성부(300)에서 성형틀(310)을 분리하고 성형틀(310)로부터 카본블럭(CB)을 분리한 후 이송부재(420) 위에 올려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이송부재(420)의 이송에 따라 카본블럭(CB)이 건조부(400) 내를 이송하면서 히터(410)에 의해서 건조될 수 있다.
그러나, 건조부(4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카본블럭(CB)을 건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카본블럭 제조장치(1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료(S)를 물속에 투입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SS)로 만든 후 카본블럭(CB)을 만들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카본블럭 제조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리 원료 생성단계(S100), 성형체 형성단계(S200), 탈수단계(S300) 및, 건조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 원료 생성단계(S100)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S)를 물속에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원료(S)를 교반기(210) 등에 의해서 물과 함께 교반 및 혼합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SS)로 만들 수 있다.
슬러리 원료(SS)는 부피로 물 70% 내지 95%와 원료(S) 5% 내지 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리 원료(SS)에 물이 95%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도가 낮아져서 후술할 블럭형성단계(S200)에서 블럭(CB)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물이 70% 미만 포함되면 슬러리 원료(SS)의 점도가 높아져서 유동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슬러리 원료(SS)의 공급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슬러리 원료(SS)는 부피로 물을 70% 내지 95% 포함하고, 이에 따라 원료(S)를 5% 내지 30%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S)는 분말활성탄(C)과 첨가제(A)를 포함할 수 있다. 원료(S)는 분말활성탄(C)을 85wt% 내지 95wt% 포함할 수 있다.
원료(S)에 분말활성탄(C)이 95wt%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분말활성탄(C)을 서로 묶어주는 첨가제(A)가 상대적으로 적게 포함되어서 블럭형성단계(S200)에서의 카본블럭(CB)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원료(S)에 분말활성탄(C)이 85wt% 미만으로 포함되면, 분말활성탄(C)이 적어지기 때문에 물의 여과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료(S)는 분말활성탄(C)을 85wt% 내지 95wt%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S)에 포함되는 첨가제(A)는 펄프(PP) 및 섬유상 바인더(B)를 포함할 수 있다. 펄프(PP)와 섬유상 바인더(B)는 용융되어 분말활성탄(C)을 서로 묶어주는 고분자 바인더와 달리 섬유와 유사한 구조에 의해서 분말활성탄(C)을 서로 묶어준다.
이에 따라, 분말활성탄(C)에 형성된 미세한 기공이 바인더에 의해서 막히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분말활성탄(C)의 흡착면적이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카본블럭(CB)의 여과성능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카본블럭(CB)에 차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원료(S)는 첨가제(A)로 펄프(PP)를 10wt% 내지 15wt% 포함하고, 섬유상 바인더(B)를 5wt%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섬유상 바인더(B)는 후술할 건조단계(S400)에서 110℃ 내지 150℃의 저온에서 용융된다. 따라서, 분말활성탄(C)의 기공을 막을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첨가제(A)는 섬유상 바인더(B)를 5wt%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분말활성탄(C)과 섬유상 바인더(B)에 대응하여 첨가제(A)는 펄프(PP)를 10wt% 내지 15wt%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상 바인더(B)는 저융점 단섬유(Low Metal Staple Fiber)일 수 있다. 또한, 섬유상 바인더(B)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PE)과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이 중앙에 위치하고 폴리에틸렌이 폴리프로필렌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섬유일 수 있다.
그러나, 섬유상 바인더(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섬유상 바인더(B)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블럭형성단계(S200)에서는 슬러리 원료 생성단계(S100)에서 만들어진 슬러리 원료(SS)를 성형틀(F)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카본블럭(CB)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블럭형성단계(S200)에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310)이 소정의 회전속도, 예컨대 10 RPM 내지 200 RPM 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성형틀(310)에 슬러리 원료(SS)를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P)에 의해서 공급된 슬러리 원료(SS)를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성형틀(310)의 충진부(312)에 유로(FP)를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슬러리 원료(SS)는 원심력에 의해서 성형틀(310)의 충진부(312)에 적층되어 카본블럭(CB)이 만들어질 수 있다.
탈수단계(S300)에서는 카본블럭(CB)를 탈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310)이 소정의 회전속도, 예컨대 200 RPM 내지 1000 RPM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카본블럭(CB)를 탈수 있다.
그리고, 카본블럭(CB)에서 배출된 물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310)과 회전축(320)에 형성된 유로(FP)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건조단계(S400)에서는 탈수된 카본블럭(CB)를 건조할 수 있다. 탈수단계(S300)에서 탈수된 성형틀(310)은 블럭형성부(30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탈수된 카본블럭(CB)은 성형틀(310)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성형틀(310)에서 분리된 카본블럭(CB)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410)가 구비된 건조부(400)에 넣고 건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물의 여과를 위해서 카본필터에 포함되는 카본블럭이 완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를 사용하면, 원료를 물속에 투입하고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로 만들어서 카본블럭을 제조할 수 있으며, 펄프와 섬유상 바인더에 의해서 분말활성탄이 포함된 카본블럭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분말활성탄에 형성된 기공이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카본블럭의 여과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카본블럭 제조장치 200 : 원료 생성부
210 : 교반기 300 : 블럭형성부
310 : 성형틀 311 : 코어
312 : 충진부 313 : 지지부
320 : 회전축 330 : 모터
340 : 동력전달부재 350 : 축지지부
360 : 연결부 370 : 공급부
400 : 건조부 410 : 히터
420 : 이송부재 S : 원료
SS : 슬러리 원료 CB : 카본블럭
C : 분말활성탄 A : 첨가제
PP : 펄프 B : 섬유상 바인더
P : 펌프 T : 연결관
FP : 유로 W : 물

Claims (12)

  1. 원료를 물속에 투입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로 만드는 슬러리 원료 생성단계;
    상기 슬러리 원료를 성형틀에 공급하여 카본블럭을 만드는 블럭형성단계;
    상기 카본블럭을 탈수하는 탈수단계; 및
    탈수된 상기 카본블럭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블럭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성형틀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성형틀에 상기 슬러리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탈수단계에서는 상기 성형틀이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카본블럭을 탈수하며,
    상기 성형틀은 연결부에 의해서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은 축지지부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는 상기 슬러리 원료를 만드는 슬러리 원료 생성부에 연결되는 공급부에 의해서 회전지지되고,
    상기 공급부, 상기 회전축,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성형틀에는 상기 성형틀에 상기 슬러리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카본블럭으로부터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카본블럭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원료는 부피로 물 70% 내지 95%와 상기 원료 5% 내지 30%를 포함하는 카본블럭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분말활성탄과 첨가제를 포함하는 카본블럭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상기 분말활성탄을 85wt% 내지 95wt% 포함하는 카본블럭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펄프 및 섬유상 바인더를 포함하는 카본블럭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는 상기 펄프를 10wt% 내지 15wt% 포함하고 상기 섬유상 바인더를 5wt% 이하 포함하는 카본블럭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바인더는 저융점 단섬유(Low Metal Staple Fiber)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섬유인 카본블럭 제조방법.
  10. 원료를 물속에 투입하여 슬러리 상태의 슬러리 원료로 만드는 슬러리 원료 생성부;
    성형틀을 포함하며 상기 슬러리 원료를 상기 성형틀에 공급하여 카본블럭을 만들며 상기 카본블럭을 탈수하는 블럭형성부; 및
    상기 카본블럭을 건조하는 건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형성부는 축지지부재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성형틀과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를 회전지지하며 상기 슬러리 원료 생성부에 연결되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 상기 회전축,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성형틀에는 상기 성형틀에 상기 슬러리 원료를 공급하고 상기 카본블럭으로부터 탈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카본블럭 제조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157337A 2013-12-17 2013-12-17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 KR102210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337A KR102210188B1 (ko) 2013-12-17 2013-12-17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337A KR102210188B1 (ko) 2013-12-17 2013-12-17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758A KR20150070758A (ko) 2015-06-25
KR102210188B1 true KR102210188B1 (ko) 2021-02-02

Family

ID=5351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337A KR102210188B1 (ko) 2013-12-17 2013-12-17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1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314A (ja) * 2000-11-24 2002-08-06 Hiromi Nagasaki 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の設置装置
JP2011521775A (ja) * 2008-05-14 2011-07-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ろ過材、及びそれを含む水ろ過システム
JP2011255310A (ja) * 2010-06-09 2011-12-22 Osaka Gas Chem Kk 成形吸着体および浄水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111A (ja) * 1996-10-15 1998-05-12 Kubota Corp 金属フィル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314A (ja) * 2000-11-24 2002-08-06 Hiromi Nagasaki フィルタ及びフィルタの設置装置
JP2011521775A (ja) * 2008-05-14 2011-07-28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ろ過材、及びそれを含む水ろ過システム
JP2011255310A (ja) * 2010-06-09 2011-12-22 Osaka Gas Chem Kk 成形吸着体および浄水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758A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3454B (zh) 水處理過濾器及其製造方法
CN102500158A (zh) 具有吸附离子交换和膜过滤功能的高效过滤介质的制备方法
CN105970756A (zh) 一种透水砖及其制备方法
CN206915775U (zh) 一种粉状活性炭造粒设备
CN105263683A (zh) 用于制备复合材料的方法和装置
CN109529443A (zh) 一种湿法成型复合活性炭滤芯及其制作方法
KR101844686B1 (ko) 정수처리를 위한 활성탄 블록필터의 제조방법
KR102210188B1 (ko) 카본블럭 제조방법 및 카본블럭 제조장치
CN105251438A (zh) 一种以纤维为造孔剂的粉煤灰基吸附材料
KR20160080246A (ko) 카본블럭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카본블럭 제조방법
CN204723861U (zh) 一种加压式的涂料过滤装置
KR20200096290A (ko) 흡착 필터
CN101954225B (zh) 真空过滤成型设备及其成型方法
JP2021176634A (ja) めっき液精製用フィルターおよびめっき液精製用吸着剤
CN109364582A (zh) 一种陶瓷纳米纤维中空过滤棒
CN103506076B (zh) 一种新型导电性矿物二氧化硅片状干燥剂及其制备方法
CN107571422A (zh) 废旧塑料再生造粒工艺
KR102191014B1 (ko)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
CN208277247U (zh) 一种双出料导流甩干分装装置
JP5408740B2 (ja) 造粒活性炭の製造方法及び造粒活性炭
CN203580177U (zh) 一种具有滤筒的螺旋压榨机
JP2013014457A (ja) 造粒活性炭の製造方法及び造粒活性炭
CN107670551A (zh) 一种用于生产汽车内饰用无醛胶水的去醛装置
KR20160071543A (ko) 정수필터 조성물 및 정수필터의 제조 방법
KR100661638B1 (ko) 압출성형에 의한 촉매담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