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014B1 -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014B1
KR102191014B1 KR1020180145049A KR20180145049A KR102191014B1 KR 102191014 B1 KR102191014 B1 KR 102191014B1 KR 1020180145049 A KR1020180145049 A KR 1020180145049A KR 20180145049 A KR20180145049 A KR 20180145049A KR 102191014 B1 KR102191014 B1 KR 10219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unit
caking agent
sample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831A (ko
Inventor
이재령
김수윤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5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0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22B1/2406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pellet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 C22B1/242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with binders
    • C22B1/24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with binders orga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 펠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원재료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비된 부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 의하여 혼합된 혼합 시료를 기결정된 압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내부에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가 수용되는 혼합 공간이 구비된 혼합 탱크,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혼합 탱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구,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혼합 탱크의 상부에 구비되고, 점결제를 투입하기 위한 점결제 투입구, 상기 점결제 투입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점결제를 상기 혼합 탱크 내부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점결제 분사부 및 상기 점결제 분사부에 의하여 상기 점결제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혼합시키는 시료 혼합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건식 제련 공정에서의 통기성 문제에 따른 생산성 감소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APPARATUS FOR MAKING COPPER PELLET OF DRY SMELTING AND THE METHOD FOR THE PELLET USING THE SAME APPARATUS}
본 발명은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 함량이 20% 미만인 동 함유 슬러지를 건식제련용 펠렛으로 제조할 수 있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 펠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최대 사용 전략 금속인 동(Cu, copper)은 전기/전자제품, 산업기계, 자동차 및 건축용자재 등의 핵심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2017년 기준 국내 구리의 수요량은 약 900,000 톤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동 관련 산업의 보호 및 발전을 위한 안정적인 원료 공급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동 관련 산업이 많은 국내에서는 다양한 폐기물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 중 고품위(Cu 함량 20% 이상)의 동 함유 슬러지를 일부 대기업에서 건식제련 공정을 이용하여 재재원화하고 있다.
동 함유 슬러지의 주요 발생원은 인쇄회로기판(PCB)가공/에칭 및 도금공정으로 연간 약 70,000톤의 동 함유 슬러지가 국내에서 발생 하고 있으나, 고품위 동 함유 슬러지에 비해 동 함량이 낮은 저품위 동 함유 슬러지(Cu 함량 20% 미만)는 대부분 해외 매각 또는 매립되고 있다.
저품위(Cu 함량 20% 미만) 동 함유 슬러지의 발생량은 약 50,000톤/년으로 고품위 동 함유 슬러지 발생량(20,000 톤)에 비해 2.5배 정도 높고, 동 이외에도 Ag, Au, Pd 및 Pt 등과 같은 귀금속도 함께 포함되어 있어 약 240억원 정도의 가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국내에서 재활용되지 않고 있는 저품위 동 함유 슬러지에 대한 금속성분 회수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동 함유 슬러지는 10㎛ 이하의 초미립자로 존재하고, 최소 40% 이상의 수분 함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식제련공정에 직접 투입할 경우, 고로 내의 통기성을 악화시켜 생산성을 급격히 감소시키거나, 공정 중 수분의 증발로 인하여 고로 내부의 증기압 증가에 따른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식제련에 투입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서, 수분 함량을 10% 이하로 제어된 상태에서 일정크기 이상의 펠렛 제조 공정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식 제련 공정에서 공정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동 함유 슬러지의 높은 수분 함량 및 미립의 입도 문제를 해결하여 건식 제련 공정에서의 통기성 문제에 따른 생산성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 펠렛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는, 동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원재료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비된 부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 의하여 혼합된 혼합 시료를 기결정된 압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내부에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가 수용되는 혼합 공간이 구비된 혼합 탱크,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혼합 탱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구,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혼합 탱크의 상부에 구비되고, 점결제를 투입하기 위한 점결제 투입구, 상기 점결제 투입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점결제를 상기 혼합 탱크 내부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점결제 분사부 및 상기 점결제 분사부에 의하여 상기 점결제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혼합시키는 시료 혼합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점결제 투입구에 수용된 상기 점결제의 응결을 방지하도록 상기 점결제 투입구에 소정의 열을 공급하는 응결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결 방지부는, 상기 점결제 투입구에 투입되는 상기 점결제의 온도에 따라 자동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혼합 구동부는, 상기 혼합 탱크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직 회전축이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로 연장되게 배치된 혼합 모터 및 상기 혼합 모터의 수직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결제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된 상기 점결제에 의하여 상기 혼합 탱크 내벽면에 응집된 상기 원재료 또는 부재료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핑부는, 외주면이 상기 혼합 탱크의 내벽면을 따라 마찰되면서 상하로 왕복동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링 형상의 스크래퍼 및 상기 스크래퍼를 상하 왕복동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혼합 탱크의 혼합 공간 중 상기 혼합 구동부의 임펠러의 상단과 상기 점결제 분사부 사이를 상하 왕복동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혼합부의 하단부 일측에 수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부의 혼합 탱크 하단부에는 혼합 시료 개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혼합 시료 개폐부를 통하여 배출된 혼합 시료를 상기 압축부로 이송하는 시료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이송부는, 상기 혼합 시료 개폐부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이송 파이프, 상기 이송 파이프의 내부에서 축회전 배치된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를 축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시료 이송부의 상기 이송 파이프 선단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 시료를 보관하는 혼합 시료 보관 탱크 및 상기 혼합 시료 보관 탱크로부터 하방 공급된 상기 혼합 시료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혼합 시료 보관 탱크에 수용된 상기 혼합 시료의 응집을 방지하는 시료 응집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응집 방지부는, 상기 혼합 시료 보관 탱크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혼합 시료 보관 탱크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 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구비된 일측 가압부 및 타측에 구비된 타측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가압부 및 타측 가압부는 각각,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가압 공간 내에 공급된 상기 혼합 시료를 양측에서 동시에 가압하는 가압용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는, 동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원재료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비된 부재료를 각각 소정 입도 범위로 분쇄하는 재료 분쇄 과정, 상기 재료 분쇄 과정을 통해 분쇄된 시료를 혼합부의 혼합 탱크에 기결정된 비율로 투입하는 재료 투입 과정, 상기 재료 투입 과정에 의하여 상기 혼합 탱크에 투입된 시료를 혼합하는 혼합 과정, 상기 혼합 과정 동안 혼합되는 상기 시료에 점결제를 분사시켜 공급하는 점결제 분사 과정 및 상기 혼합 과정에 의하여 혼합된 혼합 시료를 가압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혼합 시료 가압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 투입 과정은, 상기 원재료와 상기 부재료의 혼합 비율이 65wt% : 35wt%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재료는, SiO2, CaCO3 및 Cokes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료 투입 과정 동안 투입되는 재료의 중량 농도(wt%)를 100이라 할 경우, 상기 SiO2 는 17.5wt%, 상기 CaCO3는 14.5wt%, 상기 Cokes는 3wt%의 비율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 분쇄 과정 전에 상기 원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과정은, 상기 원재료인 동 함유 슬러지의 수분 함량이 60%인 경우, 100℃의 건조기 내에서 120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 분쇄 과정은,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100 내지 325mesh의 입도로 분쇄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 투입 과정에 의하여 투입되는 상기 원재료의 무게는 10kg일 대 상기 부재료의 무게는 5kg이고,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의 총 수분량은 6wt%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결제 분사 과정은, CMC(carboxymethyl cellulose)를 증류수에 5g/L의 비율로 용해시켜 생성한 상기 점결제를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포함하는 시료의 수분함량이 10wt%가 되도록 10mL/min의 속도로 600mL를 분사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과정은, 상기 혼합 탱크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를 8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시료 가압 과정은, 가압 공간으로 이송된 상기 혼합 시료를 5ton의 압력으로 제어되는 유압 실린더와 연동하는 가압용 핀을 이용하여 3 내지 5회 반복 가압하는 과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해쇄 분급의 공정을 거친 동 함유 슬러지를 혼합부에 의한 시료 혼합 후 연속 공정으로 압축부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펠렛 제조가 가능하므로, 건식 제련 공정에서 공정 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 동 함유 슬러지의 높은 수분 함량 및 미립의 입도 문제를 해결하여 건식 제련 공정에서의 통기성 문제에 따른 생산성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혼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압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혼합부를 나타낸 실사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펠렛의 실사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혼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압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그 펠렛 제조 방법의 설명에 앞서, 장치에 관한 구성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는, 동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원재료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비된 부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혼합부(100)와, 혼합부(100)에 의하여 혼합된 혼합 시료를 기결정된 압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원재료인 동 함유 슬러지는 일반적으로 동 함량이 낮은 저품위 동 함유 슬러지를 지칭하고, 특히 동 함량 비율로 정의할 때 동 함량이 20% 미만인 저품위 동 함유 슬러지에 국한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원재료와 함께 펠렛 제조 시 투입되는 부재료는, 실리카(SiO2), 탄산칼슘(CaCO3) 및 코크스(Cokes)를 포함하고, 원재료와 함게 혼합되기 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입도로 분쇄되어 준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재료와 부재료는, 혼합을 위해 후술하는 혼합부(100)로 투입되는 중량 농도(wt%)가 100이라 할 경우, 원재료는 65wt% 및 부재료는 35wt%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부재료인 실리카(SiO2), 탄산칼슘(CaCO3) 및 코크스(Cokes)의 비율은, 혼합부(100)로 투입되는 중량 농도(wt%)가 100일 경우, 각각 17.5wt% : 14.5wt% : 3wt%의 비율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재료가 60%의 수분 함량을 가진 동 함유 슬러지인 경우,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100℃의 건조기에 투입하여 120min(분) 동안 건조시킨 후 로드 밀(rod mill)(미도시)을 사용하여 10min(분) 동안 해쇄하여 준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원재료 및 부재료는 혼합부(100)에 투입되기 전에 각각의 과정으로 분쇄되되, 100 내지 325mesh의 입도로 분쇄되어 준비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준비된 원재료 및 부재료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구성 중 혼합부(100)에 투입된다.
혼합부(10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원재료 및 부재료가 수용되는 혼합 공간이 구비된 혼합 탱크(110)와, 혼합 탱크(1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혼합 탱크(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원재료 및 부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구(120)와, 혼합 탱크(1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혼합 탱크(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점결제를 투입하기 위한 점결제 투입구(130)와, 점결제 투입구(1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점결제를 혼합 탱크(110) 내부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점결제 분사부(140)와, 점결제 분사부(140)에 의하여 점결제가 분사되는 동안 원재료 및 부재료를 혼합시키는 시료 혼합 구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 탱크(110)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혼합 공간이 대략 원통형을 가지되 하단부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고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료 투입구(120) 및 점결제 투입구(130)는 혼합 탱크(110)의 상면부에 해당하는 부위에 좌우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시료 투입구(120)를 통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된 상태의 원재료 및 부재료가 소정의 비율로 투입될 수 있다. 점결제 투입구(130)에는 CMC(carboxymethyl cellulose)를 증류수에 5g/L의 비율로 용해시켜 제조한 점결제가 투입될 수 있다. 특히, 점결제는 함께 투입되는 원재료 및 부재료로 이루어진 시료의 수분량이 10wt%가 되도록 점결제 분사부(140)에 의하여 혼합 탱크(110) 내부로 분사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점결제 분사부(140)는, 점결제 투입구(130)로 수용된 점결제를 스프레이 분사 방식으로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미도시 되었으나, 소정의 분사압을 형성하는 분사압 형성부 및 노즐부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부는, 혼합 탱크(110) 내부로 골고루 분사되도록 회전 구동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점결제 투입구(130)에 수용된 점결제의 응결을 방지하도록 점결제 투입구(130)에 소정의 열을 공급하는 응결 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응결 방지부는, 점결제 투입구(130)에 투입되는 점결제의 온도에 따라 자동 제어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료 혼합 구동부(16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혼합 탱크(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직 회전축이 혼합 탱크(110)의 내부로 연장되게 배치된 혼합 모터(161)와, 혼합 모터(161)의 수직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16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회전축(163)이 혼합 모터(161)에 의하여 회전되면 수직 회전축(163)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165)가 혼합 탱크(11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시료 투입구(120)로 투입된 원재료 및 부재료를 점결제 분사부(140)를 통하여 분사되는 점결제와 함께 휘저으면서 혼합시키게 된다. 이때, 점결제의 투입량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되는 시료의 수분량이 10wt%가 되도록 한다는 것은 이미 앞서 설명하였다.
혼합 모터(161)의 회전 속도는, 원재료인 동 함량 슬러지의 무게가 10kg이고, 부재료인 SiO2, CaCO3 및 Cokes의 총 무게가 5kg으로써, 상술한 시료의 수분량이 10wt%인 경우 80rpm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점결제 분사부(140)를 통하여 분사된 점결제에 의하여 혼합 탱크(110) 내벽면에 응집된 원재료 또는 부재료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핑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핑부(150)는, 점결제 분사부(140)에 의하여 분사된 점결제에 의하여 혼합 탱크(110)의 내벽면에 일부 시료가 응집되는 것을 스크래핑 방식(즉, 긁어내는 방식)으로 제거함으로써, 응집된 일부 시료에 의하여 혼합 시료의 일부가 불균질하게 혼합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스크래핑부(15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혼합 탱크(110)의 내벽면을 따라 마찰되면서 상하로 왕복동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링 형상의 스크래퍼(157)(scraper)와, 스크래퍼(157)를 상하 왕복동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용 모터(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이송용 모터(155)는, 혼합 탱크(110)의 상측에 수평으로 구비된 지지 플레이트(153)의 상면에 구비되고, 일단부는 상기 혼합 탱크(110)의 혼합 공간 외측에 해당하는 부위로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153)의 상면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이드 축봉(15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축봉(151)의 일부에 스크래퍼(157)가 연결되어 스크래퍼(157)가 상하 이송용 모터(155)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하 왕복동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스크래퍼(157)는, 혼합 탱크(110)의 혼합 공간 중 혼합 구동부(160)의 임펠러(165)의 상단과 점결제 분사부(140) 사이를 상하 왕복동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혼합 탱크(110)의 하단부에는 시료 혼합 구동부(160)에 의하여 혼합된 혼합 시료를 배출하기 위한 혼합 시료 개폐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 시료 개폐부(170)는, 혼합 탱크(110)의 고깔 형태로 구비된 하단부에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혼합 시료 개폐부(170)는 시료 혼합 구동부(160)에 의하여 원재료 및 부재료가 분사된 점결제와 함께 혼합되는 과정 동안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다가, 후술하는 시료 이송부(300)에 의한 압축부(200)로의 혼합 시료 공급이 요구되면 개방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일 실시예는, 혼합부(100)의 혼합 시료 개폐부(170)를 통하여 배출된 혼합 시료를 후술하는 압축부(200)로 이송하는 시료 이송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료 이송부(300)는,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혼합 시료 개폐부(17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이송 파이프(310)와, 이송 파이프(310)의 내부에서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이송 스크류(320)와, 이송 스크류(320)를 축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파이프(310) 내부로 공급된 혼합 시료는, 이송용 모터(33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이송 스크류(320)가 제자리 축 회전되는 동안 이송 스크류(320)의 나사골을 따라 후술하는 압축부(200)가 구비된 측으로 정량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압축부(200)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혼합부(100)의 하단부 일측에 수평되게 배치되어, 혼합부(100)로부터 시료 이송부(300)를 매개로 공급되는 혼합 시료를 가압하여 최종적으로 펠렛을 제작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부(200)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시료 이송부(300)의 이송 파이프(310) 선단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 시료를 보관하는 혼합 시료 보관 탱크(210)와, 혼합 시료 보관 탱크(210)로부터 하방 공급된 혼합 시료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 시료 보관 탱크(210)의 내부에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응집 방지 모터(221)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 임펠러(220)가 구비된 시료 응집 방지부(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혼합 시료 보관 탱크(210)의 양측에는 소정의 진동을 부가하여 혼합 시료가 혼합 시료 보관 탱크(210)에 결집 또는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기(2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혼합 시료 보관 탱크(210)의 하부에는 가압 공간(245)으로서 시료가 가압되는 가압 라인이 구비되고, 이와 같은 가압 공간의 가압 라인에 혼합 시료가 충진되면 가압부(230)를 이용하여 혼합 시료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 라인은, 통상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펠렛의 직경에 대응되는 형상의 빈 공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압부(230)는, 혼합 시료 보관 탱크(210)의 가압 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구비된 일측 가압부(240) 및 타측에 구비된 타측 가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가압부(240) 및 타측 가압부(250)는, 각각, 일측의 유압 탱크(241)로부터 유압을 전달받아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242)와, 유압 실린더(242)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가압 공간 내에 공급된 혼합 시료를 양측에서 동시에 가압하는 가압용 핀(24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측 가압부(240) 및 타측 가압부(250)가 모두 가압용 핀(243)을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타측 가압부(250)는 가압 라인에 충진된 혼합 시료의 타측을 막아서 소정의 유압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 충분하고, 일측 가압부(240)에만 가압용 핀(243)이 형성되어 가압 라인을 통해 충분한 압력을 공급하면 족하다.
가압부(230)의 구성 중 유압 실린더(242)는 5ton의 압력을 생성할 수 있고, 가압용 핀(243)은 그 직경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펠렛의 직경인 10mm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30)에 의하여 생성된 펠렛은, 타측 가압부(250)를 통하여 가압 공간의 타측을 개방한 후 토출될 수 있고, 1사이클의 가압 작업을 통해 다수가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펠렛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혼합부를 나타낸 실사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펠렛의 실사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방법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재료 분쇄 과정(S20)과, 재료 투입 과정(S30)과, 혼합 과정(S40)과, 점결제 분사 과정(S50) 및 혼합 시료 가압 과정(S6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료 분쇄 과정(S2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과정으로서, 동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원재료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비된 부재료를 각각 소정 입도 범위로 분쇄하는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분쇄 대상이 되는 동 함유 슬러지는 저품위 동 함유 슬러지로서, 60%의 함수율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분쇄 대상이 되는 부재료는, 실리카(SiO2), 탄산칼슘(CaCO3) 및 코크스(Coke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재료와 부재료의 함량 비율은, 전체 혼합되는 혼합 시료의 중량 농도(wt%)가 100이라 할 경우, 65wt% : 35wt%의 혼합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동일한 조건 하에서, 부재료인 실리카(SiO2), 탄산칼슘(CaCO3) 및 코크스(Cokes)의 혼합 비율은, 각각 17.5wt% : 14.5wt% : 3wt%의 비율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하게 기술한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방법은, 재료 분쇄 과정(S20) 전에 상기 원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 과정(S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과정(S10)은, 원재료인 동 함유 슬러지의 수분 함량이 60%인 경우, 100℃의 건조기 내에서 120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된 원재료는, 로드 밀을 사용하여 10분 동안 해쇄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재료 분쇄 과정(S20)은, 동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원재료 및 부재료를 각각 소정 입도 범위로 분쇄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는, 혼합부(100)의 시료 투입구(120)에 투입되기 전에 시료를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재료 분쇄 과정(S20)에 의하여, 원재료 및 부재료는 100 내지 325mesh의 입도로 동일하게 분쇄될 수 있다.
아울러, 재료 투입 과정(S30)은, 재료 분쇄 과정(S20)을 통해 분쇄된 시료를 혼합부(100)의 혼합 탱크(110)에 기결정된 비율로 투입하는 과정이다. 여기서의 기결정된 비율은 앞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혼합 과정(S40)은,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혼합부(100)를 이용하여 혼합 탱크(110)에 투입된 시료를 혼합하는 과정이다. 즉, 혼합 과정(S40)은, 시료 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된 원재료 및 부재료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혼합부(100)를 통해 소정 시간 동안 혼합하는 과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혼합 과정(S40)은, 혼합 탱크(110)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165)를 8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수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방법에서, 점결제 분사 과정(S50)은, 혼합 과정(S40) 동안 혼합되는 시료에 점결제를 분사시켜 공급하는 과정일 수 있다. 점결제는 시료와 혼합되어 추후 압축부(200)를 통해 가압할 때 응집되도록 하는 첨가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점결제로는 무기 점결제와 유기 점결제가 있다. 무기 점결제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벤토나이트가 있고, 유기 점결제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CMC(carboxymethyl cellulose,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합성수지가 있다. 특히, CMC는 셀룰로오스와 클로로 아세트산의 알칼리 촉매반응에 의해 합성이 되는 물질로서, 친수성이 높고 냉수에 수 시간 안에 녹으며 점성도가 높아 점결제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점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재료 및 부재료가 혼합된 시료를 압축부(200)를 이용하여 약한 힘으로 압축 성형할 경우에는 펠렛이 성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방법에서는, 혼합 과정(S40) 동안 수행되는 점결제 분사 과정(S5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최적의 점결제를 선택하기 위하여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제조된 펠렛의 압축강도 및 낙하강도를 시험한 결과 유기 점결제인 CMC의 강도가 무기 점결제인 벤토나이트보다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펠렛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점결제 분사 과정(S50)을 통해 분사되는 점결제를 CMC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점결제 분사 과정(S50)은, CMC를 증류수에 5g/L의 비율로 용해시켜 생성한 상기 점결제를 상기 혼합 탱크(1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포함하는 시료의 수분함량이 10wt%가 되도록 점결제 분사부(140)를 이용하여 10mL/min의 속도로 600mL를 분사하는 과정일 수 있다.
한편, 혼합 시료 가압 과정(S60)은, 혼합 과정(S40)에 의하여 혼합된 혼합 시료를 가압하여 최종적으로 펠렛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펠렛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직경은 10mm, 높이는 16mm의 크기를 가지고, 건식제련 용탕 규모와 가열 방식에 따라 상기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펠렛의 제원은 다양하게 설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혼합 시료 가압 과정(S60)은, 가압 공간으로 이송된 혼합 시료를 5ton의 압력으로 제어되는 유압 실린더(242)와 연동하는 가압용 핀(243)을 이용하여 3 내지 5회 반복 가압하는 동작으로 가압하는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혼합 시료 가압 과정(S60)은, 최종적으로 동 함유 슬러지로 제조된 펠렛으로부터 동을 회수하기 위한 미도시의 아크 환원 작업 수행 시 분말 생성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다 높은 강도의 펠렛 제조가 필요하므로, 이에 상응하는 낙하강도 및 압축강도를 가지는 압력으로 펠렛을 가압 제조하도록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펠렛 제조 장치 100: 혼합부
110: 혼합 탱크 120: 시료 투입구
130: 점결제 투입구 140: 점결제 분사부
150: 스크래핑부 151: 가이드 축봉
153: 지지 플레이트 155: 상하 이송용 모터
157: 스크래퍼 160: 시료 혼합 구동부
161: 혼합 모터 163: 수직 회전축
165: 임펠러 170: 혼합 시료 개폐부
200: 압축부 210: 혼합 시료 보관 탱크
220: 회전 임펠러 221: 응집 방지 모터
230: 가압부 240: 일측 가압부
241: 유압 탱크 242: 유압 실린더
243: 가압용 핀 245: 가압 공간
250: 타측 가압부 300: 시료 이송부
310: 이송 파이프 320: 이송 스크류
330: 이송용 모터 S10: 건조 과정
S20: 재료 분쇄 과정 S30: 재료 투입 과정
S40: 혼합 과정 S50: 점결제 분사 과정
S60: 혼합 시료 가압 과정

Claims (22)

  1. 동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원재료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비된 부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기 위한 혼합부; 및
    상기 혼합부에 의하여 혼합된 혼합 시료를 기결정된 압력으로 압축하는 압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부는,
    내부에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가 수용되는 혼합 공간이 구비된 혼합 탱크;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혼합 탱크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시료 투입구;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혼합 탱크의 상부에 구비되고, 점결제를 투입하기 위한 점결제 투입구;
    상기 점결제 투입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점결제를 상기 혼합 탱크 내부로 스프레이 분사하는 점결제 분사부; 및
    상기 점결제 분사부에 의하여 상기 점결제가 분사되는 동안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혼합시키는 시료 혼합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혼합부의 하단부 일측에 수평되게 배치되고,
    상기 혼합부의 혼합 탱크 하단부에는 혼합 시료 개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혼합 시료 개폐부를 통하여 배출된 혼합 시료를 상기 압축부로 이송하는 시료 이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료 이송부는,
    상기 혼합 시료 개폐부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이송 파이프;
    상기 이송 파이프의 내부에서 축회전 배치된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를 축 회전시키는 이송용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시료 이송부의 상기 이송 파이프 선단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 시료를 보관하는 혼합 시료 보관 탱크; 및
    상기 혼합 시료 보관 탱크로부터 하방 공급된 상기 혼합 시료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혼합 시료 보관 탱크의 하부에 형성된 가압 공간을 기준으로 일측에 구비된 일측 가압부 및 타측에 구비된 타측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가압부 및 타측 가압부는 각각,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 및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가압 공간 내에 공급된 상기 혼합 시료를 양측에서 동시에 가압하는 가압용 핀; 을 포함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점결제 투입구에 수용된 상기 점결제의 응결을 방지하도록 상기 점결제 투입구에 소정의 열을 공급하는 응결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응결 방지부는, 상기 점결제 투입구에 투입되는 상기 점결제의 온도에 따라 자동 제어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 혼합 구동부는,
    상기 혼합 탱크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직 회전축이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로 연장되게 배치된 혼합 모터; 및
    상기 혼합 모터의 수직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임펠러; 를 포함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점결제 분사부를 통하여 분사된 상기 점결제에 의하여 상기 혼합 탱크 내벽면에 응집된 상기 원재료 또는 부재료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핑부; 를 더 포함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부는,
    외주면이 상기 혼합 탱크의 내벽면을 따라 마찰되면서 상하로 왕복동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링 형상의 스크래퍼; 및
    상기 스크래퍼를 상하 왕복동 이동시키는 상하 이송용 모터; 를 포함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혼합 탱크의 혼합 공간 중 상기 혼합 구동부의 임펠러의 상단과 상기 점결제 분사부 사이를 상하 왕복동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혼합 시료 보관 탱크에 수용된 상기 혼합 시료의 응집을 방지하는 시료 응집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시료 응집 방지부는,
    상기 혼합 시료 보관 탱크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 임펠러; 를 포함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14. 삭제
  15. 동 함유 슬러지를 포함하는 원재료와, SiO2, CaCO3 및 Cokes로 이루어진 부재료를, 각각 소정 입도 범위로 분쇄하는 재료 분쇄 과정;
    상기 재료 분쇄 과정을 통해 분쇄된 시료를 혼합부의 혼합 탱크에 기결정된 비율로 투입하는 재료 투입 과정;
    상기 재료 투입 과정에 의하여 상기 혼합 탱크에 투입된 시료를 혼합하는 혼합 과정;
    상기 혼합 과정 동안 혼합되는 상기 시료에 점결제를 분사시켜 공급하는 점결제 분사 과정; 및
    상기 혼합 과정에 의하여 혼합된 혼합 시료를 가압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혼합 시료 가압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재료 투입 과정은, 상기 원재료와 상기 부재료의 혼합 비율이 65wt% : 35wt% 이고,
    상기 혼합 시료 가압 과정은,
    가압 공간으로 이송된 상기 혼합 시료를 5ton의 압력으로 제어되는 유압 실린더와 연동하는 가압용 핀을 이용하여 3 내지 5회 반복 가압하는 과정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재료 투입 과정 동안 투입되는 재료의 중량 농도(wt%)를 100이라 할 경우, 상기 SiO2는 17.5wt%, 상기 CaCO3는 14.5wt%, 상기 Cokes는 3wt%의 비율로 투입되는,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재료 분쇄 과정 전에 상기 원재료를 건조시키는 건조 과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과정은, 상기 원재료인 동 함유 슬러지의 수분 함량이 60%인 경우, 100℃의 건조기 내에서 120분 동안 건조시키는 과정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재료 분쇄 과정은,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100 내지 325mesh의 입도로 분쇄하는 과정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방법.
  19. 삭제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점결제 분사 과정은,
    CMC(carboxymethyl cellulose)를 증류수에 5g/L의 비율로 용해시켜 생성한 상기 점결제를 상기 혼합 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원재료 및 부재료를 포함하는 시료의 수분함량이 10wt%가 되도록 10mL/min의 속도로 600mL를 분사하는 과정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방법.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혼합 과정은, 상기 혼합 탱크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를 80rpm의 속도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수행되는 과정인,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를 이용한 펠렛 제조 방법.
  22. 삭제
KR1020180145049A 2018-11-22 2018-11-22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 KR10219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49A KR102191014B1 (ko) 2018-11-22 2018-11-22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49A KR102191014B1 (ko) 2018-11-22 2018-11-22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31A KR20200059831A (ko) 2020-05-29
KR102191014B1 true KR102191014B1 (ko) 2020-12-15

Family

ID=7091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049A KR102191014B1 (ko) 2018-11-22 2018-11-22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8724B (zh) * 2022-09-27 2024-04-12 重庆文理学院 一种利用青石渣生产岩板的加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048B1 (ko) * 2016-11-25 2017-08-16 성일하이메탈(주) 저품위 동 슬러지 브리켓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브리켓 및 이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60B1 (ko) * 2003-12-24 2006-01-10 주식회사 삼정피앤에이 산화몰리브덴 성형탄 제조장치
KR20180076880A (ko) * 2016-12-28 2018-07-06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브리켓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브리켓 및 브리켓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048B1 (ko) * 2016-11-25 2017-08-16 성일하이메탈(주) 저품위 동 슬러지 브리켓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브리켓 및 이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31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74745A (zh) 生焦的造粒和煅烧
KR102191014B1 (ko) 건식제련용 펠렛 제조 장치 및 그 펠렛 제조 방법
JP5730533B2 (ja) 製鉄スラッジ等を主原料とする造粒物の製造方法
KR101602926B1 (ko) 경석을 이용한 합성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CN112339104A (zh) 一种平压覆顶式蒸压砖制造装置
CN110586855A (zh) 一种砂模铸造废砂回收再利用的方法
KR20170044249A (ko) 다양한 원료를 펠릿화 할 수 있는 펠릿 제조 장치
CN207057259U (zh) 一种废电子线路板元器件破碎装置
KR20110106932A (ko) 석탄 입자들을 함유하는 압착 제품의 제조 방법
CN102965169A (zh) 一种民用型煤的制造系统及方法
CN101531940A (zh) 焦炭制造用原料煤的制造方法,焦炭的制造方法和生铁的制造方法
CN109384400A (zh) 一种电石渣处理工艺及系统
CN111517809B (zh) 废旧氧化铍陶瓷制备氧化铍瓷粉的方法
JP2016060937A (ja) 焼結用凝結材の事前処理方法
KR101374528B1 (ko) 폐음식물의 고형화 처리방법 및 처리시스템
CN103833321A (zh) 一种利用铸造用粘土砂湿法再生污泥制备页岩砖的方法
CN103889615A (zh) 铸造用型芯、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型芯的铸造方法
CN102959058B (zh) 含煤颗粒的压制品的制备方法
CN110756315B (zh) 一种水洗煤系统的块煤水洗方法
CN104099473A (zh) 硫铁矿渣提取硅铝铁钛合金的工艺方法
CN201621925U (zh) 气动流化床干燥造粒机
CN102925677B (zh) 镍铁除尘灰压球系统及方法
CN113005262A (zh) 一种利用铝灰制备炼钢脱硫剂的方法
CN108103308B (zh) 一种用于炼钢污泥造球的装置及方法
RU210125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бентони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