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677B1 - 전동 대파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대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677B1
KR102209677B1 KR1020190141631A KR20190141631A KR102209677B1 KR 102209677 B1 KR102209677 B1 KR 102209677B1 KR 1020190141631 A KR1020190141631 A KR 1020190141631A KR 20190141631 A KR20190141631 A KR 20190141631A KR 102209677 B1 KR102209677 B1 KR 10220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elastic
unit
fix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선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Priority to KR102019014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6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62D5/0424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the axes of motor and final driven element of steering gear, e.g. rack, being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29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liquid cushion, e.g. oil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파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차륜을 회전하여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전기적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한편 조향부에 의해 이동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대파 장치이다.

Description

전동 대파 장치{SALT LOADING DEVICE OF MOTOR DRIVEN TYPE}
본 발명은 대파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차륜을 회전하여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전기적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한편 조향부에 의해 이동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대파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염전은 증발지에 해수를 저장한 후 증발시켜 소금을 얻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금은 상기 염전의 바닥에서 생성되어 작업자가 대파로 밀어 모아서 제방일측으로 쌓으며, 쌓인 소금은 소금운반용 대차에 적재하게 된다.
이러한 전통적인 대파 작업은 상술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직접 대파를 이동시켜 소금을 밀어 모으는 관계로 작업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소정의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대파 작업 이루어지는 대파 장치의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대파 장치는 소정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관계로 작업자의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대파 장치의 이동 방향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효율적인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대파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15466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10163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 공급 장치에 의해 차륜을 회전하여 이동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전기적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한편 조향부에 의해 이동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대파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 장치로서, 전원 공급 장치(BAT)에 의해 차륜(T)을 회전하여 이동되는 이동부(100)와, 상기 이동부(1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부(300)와, 상기 이동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200)와, 상기 이동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BAT)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부(M)와 상기 전동부(M)와 조향부(200) 그리고 대파부(300)와 차륜(T)을 지지하는 차체(TF)를 포함하며, 상기 대파부(300)는 염전의 바닥을 긁는 하단부(310)와, 상기 하단부(310) 양 측에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200)는 사용자가 작동하는 스티어링 휠(210)과, 상기 스티어링 휠(21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조향축(220)과, 상기 조향축(220)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조향축(220)에 연동되는 피니언 기어(240)와, 상기 피니언 기어(240)에 결합되고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바(250)와, 상기 랙 바(250)에 연동되어 직선 방향으로 전후진 하는 타이 로드(260)와, 상기 타이 로드(260) 끝단에 구비되어 차륜(T)의 방향을 조절하는 너클 암(270)을 포함하며, 상기 차체(TF)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이 로드(260)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부(700)와, 상기 조향축(220)에 구비되는 동압 베어링(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안내부(70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차체(TF) 일 측에 고정되고, 타이 로드(260)의 전후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타이 로드(260)의 직선 방향 운동을 안내하는 전동 대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차체(TF)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지지하는 지지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800)는 상기 차체(TF) 일 측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대 본체(810)와, 상기 지지대 본체(810)에 형성되어 상기 동압 베어링(400)이 구비되는 개방부(820)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820)에 구비된 동압 베어링(400)을 통해 조향축(220)이 관통한다.
상기에서,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부(820) 내부에 구비되며, 조향축(220)이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조향축(22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되고,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이동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파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파 장치 중 조향부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파 장치 중 조향부의 이동 가이드와 타이 로드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파 장치의 조향축과 동압 베어링 장치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파 장치의 동압 베어링과 지지대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과 조향축과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일반적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 중 지지 디스크와 가압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가압부를 나타내는 결합도 및 분리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1흡수부와 제2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상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하부 흡수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1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압 베어링의 제2탄성 연결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파 장치의 제어부와 관련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대파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 장치로서, 전원 공급 장치(BAT)에 의해 차륜(T)을 회전하여 이동되는 이동부(100)와, 상기 이동부(1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부(300)와, 상기 이동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200)와, 상기 이동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BAT)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부(M)를 포함한다.
즉, 널리 알려진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부(M)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BAT)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이는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동부(M)에 의해 차륜(T)이 구동되어 이동부(100)가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대파부(300)가 전후진되어 소금을 이동한다. 이러한 전동부(M)와 차륜(T)의 구성은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대파부(300)는 염전의 바닥을 긁는 하단부(310)와, 상기 하단부(310) 양 측에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부(320)를 포함하여 소금을 수집,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대파부(300)와 조향부(200) 그리고 전동부(M)는 이동부(100)의 차체(TF)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차체(TF)는 상호 고정되는 다수 개의 바아 및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전동부(M)와 차륜(TF) 그리고 대파부(300)와 조향부(2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향부(200)는 사용자가 작동하는 스티어링 휠(210)과, 상기 스티어링 휠(21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조향축(220)과, 상기 조향축(220)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조향축(220)에 연동되는 피니언 기어(240)와, 상기 피니언 기어(240)에 결합되고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바(250)와, 상기 랙 바(250)에 연동되어 직선 방향으로 전후진 하는 타이 로드(260)와, 상기 타이 로드(260) 끝단에 구비되어 차륜(T)의 방향을 조절하는 너클 암(270)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조향축(220)이 스티어링 휠(210)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조향축(220)이 회전하면 상기 조향축(220) 말단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240)가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40)에 결합되는 랙 바(250)가 전후진한다. 즉, 피니언 기어(240)의 회전 운동이 상기 랙 바(250)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 타이 로드(260)가 직선 방향으로 전후진한다. 상기 타이 로드(260)에는 너클 암(270)이 구비되어 차륜(T)의 방향을 조절한다.
한편, 이러한 조향부(200)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한국 등록 특허 제10-1991727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조향부(200)는 상기 차체(TF)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이 로드(260)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부(700)와, 상기 조향축(220)에 구비되는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타이 로드(260)가 직선 방향으로 전후진하며 너클 암(270)을 구동하여 차륜(T) 방향을 조절하며, 이때, 상기 타이 로드(260)가 정확한 직선 운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상기 타이 로드(260)의 직선 운동이 정확하지 않으면 차륜(T)의 방향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워 작업 효율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 안내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안내부(70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차체(TF) 일 측에 고정되고, 타이 로드(260)의 전후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타이 로드(260)의 직선 방향 운동을 안내한다.
즉, 상기 이동 안내부(700)가 타이 로드(260)의 전후진 방향으로 배치되고 차체(TF)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타이 로드(260)가 이동 안내부(700) 내부에서 이동하므로 외부로부터 진동 등이 발생하여도 타이 로드(260)는 이동 안내부(700) 내부에서 정확한 직선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TF)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지지하는 지지대(800)를 더 포함한다. 즉, 스티어링 휠(210)의 회전에 의해 조향축(220)이 연동되어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조향축(220)이 외부의 힘에 의해 진동되어 정확한 회전 운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조향축(220) 끝단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240) 역시 정확한 회전 운동을 하지 못하여 랙 바(250)의 운동에 까지 영향을 미쳐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는데 정밀도까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향축(220)에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구비하여 조향축(220)이 정확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800)에 의해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가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800)는 상기 차체(TF) 일 측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대 본체(810)와, 상기 지지대 본체(810)에 형성되어 상기 동압 베어링(400)이 구비되는 개방부(8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방부(820)에 동압 베어링(400)이 구비되고, 상기 조향축(220)이 동압 베어링(400)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도 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부(820) 내부에 구비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조향축(22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된다.
즉,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의 크기가 증감하여 압전 소자부(430)가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조향축(220)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혹은 후퇴한다. 이때,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공기 등과 같은 압축 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는 탄력적으로 조향축(220)를 가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향축(220)가 회전에 따른 진동을 하는 경우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는 상술된 배터리와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에 의해 회전축의 진동을 저감하는 기술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다.
도 7에 도시된 기술은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압전 소자부가 패드를 전후진하여 회전축(스핀들)의 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은 상술된 일본 등록 특허 제5121047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과 달리 압축 유체가 충진된 탄성 패드(460)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회전축의 진동을 상기 탄성 패드(460)에 의해 압력 변동으로 측정하거나 혹은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센서에 의해 감지한다. 이러한 조향축의 진동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은 압전 소자부의 작용에 의해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조향축의 진동 감지와 압전 소자부 작용 자체는 상술된 종래 기술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도 8은 도 6에서 조향축(220) 및 동적 베어링(400)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기술 내용을 명료하게 표현하기 위해 조향축(220)와 탄성 패드(460)를 직선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 공급 배선은 제어부(CON)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부(430)를 제어한다. 즉, 발생되는 진동이 설정된 범위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압전 소자(430)를 전후진하고, 이에 의해 탄성 패드(460)가 조향축(220)를 가압하여 진동을 저감한다.
한편,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는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디스크(470)은 판체 형상이고 개방부(472)가 형성되는 지지 디스크 본체(471)를 포함한다. 상기 개방부(472)에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여 탄성 패드를 가압한다.
상기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480)가 구비되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의 충돌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 연결부(480)는 상기 개방부(472)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의 제1지지부(481)와, 상기 가압부(500) 측에 구비되고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며 원호 형상인 제2지지부(4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481)에는 제1판 스프링(483)이 설치되고, 제2지지부(482)에는 제2판 스프링(484)이 설치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은 상기 제2지지부(48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고, 제2판 스프링(484)는 제1지지부(481)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다.
상기 제1판 스프링(483) 중 제2판 스프링(484) 방향 측면에는 반원 형상의 제1홀더(485)가 형성되고, 제2판 스프링(484) 중 제1판 스프링(483) 방향 측면에는 제1홀더(485)와 대칭 형상인 제2홀더(486)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홀더(485)와 제2홀더(486)사이에 탄성볼(487)이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방부(472)와 가압부(500) 사이가 근접되어도 상기 제1판 스프링(483)과 제2판 스프링(484)의 탄성 변형에 의해 1차 흡수되고, 상기 탄성볼(487)에 압축 변형에 의해 2차 흡수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한다.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 패드(460)가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42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다. 이러한 베이스(420)와 요홈부(490) 사이에 지지 블록(450)이 설치되어 상기 압전 소자부(430)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 블록(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490) 벽면과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2지지 블록(452)과, 한 쌍의 압전 소자부(430) 사이에 구비되는 제1지지 블록(451)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블록(451)의 양 측면은 돌출되어 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제2지지 블록(452)의 일 측은 요홈부(490)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 측 일부는 돌출되어 베이스(420)와 압전 소자부(4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도 8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도 6참조, 이하 동일함)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압부(5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압부(510)는 탄성 패드(460) 방향에 배치되고, 제2가압부(520)는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가압부(510)와 제2가압부(520) 사이에 제1흡수부(530)가 구비되어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1단턱부(5113)가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단턱부(5114)가 돌출된다.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평탄부(52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어 상술된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볼(531)에 의해 상기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연결 바아(5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홀더(532)는 사각형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532)사이에 연결 바아(533)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 바아(533)는 사각형 형상의 각 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 즉, 상기 실시예의 경우 사각형 형상의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된다.
이러한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view 3)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540)와 제1가압부 본체(51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된 제2상부 흡수부(600A)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510) 상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본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540)와 제2가압부 본체(521)를 파선으로 표시하고 제2흡수부(600) 중 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는 반 시계 방향으로 김긴 형상을 가지고,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형상을 가지며 시계 방향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동일한 형상이나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이하 도 14에 도시된 제2 상부 흡수부(600A)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나선부(620)는 유사하게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성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된다.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즉, 베이스(540) 상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A)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A)는 상부 고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A)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A)는 상부 고정부(510)의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A)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540) 저면에 배치되는 제2상부 흡수부(600B)의 경우 상기 제1나선부(610)의 제11고정 바아(611,611B)는 하부 고정부(520)의 제1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12고정 바아(612,612B)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2나선부(620)의 제21고정 바아(621,621B)는 하부 고정부(520)의 제1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제22고정 바아(622,622B)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1(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제11고정 바아(611) 역시 방향1(반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1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탄성 바아(613)가 감기게 된다. 또한,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탄성 바아(623)가 감기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기게 되고 상부 고정부(510)가 일정 각도 회전하더라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부(510)가 탄성 패드와의 첩촉에 의해 방향2(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 본체(511)에 고정된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고정 바아(621) 역시 방향2(시계 방향)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540) 상에는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어 상기 제11고정 바아(611) 하부는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 상에서 방향 2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므로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21 고정 바아(621)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나사부(610)와 제2나사부(620)는 풀려지게 된다.
다만, 베이스(540)의 저면에 설치된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그루브(543)에 제11고정 바아(511)와 제21고정 바아(5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540)의 회전에 따라 걸림되어 제11고정 바아(511)와 제21고정 바아(52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겨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부 고정부(5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상부 흡수부(600A)가 감겨져서 상부 고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부 고정부(5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하부 흡수부(600B)가 감져져서 결국 상부 고정부(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 하게 된다.
한편, 도 13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회전하여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판(631)이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탄성볼(633)이 변형된다. 이때, 상기 탄성볼(633)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고정판(631) 역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도 13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탄성 바아(613)가 이동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ON)에는 배터리(BAT)와 압전 소자부(430)가 연결되어 전원 공급의 단속에 의해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에는 탄성 패드(460) 내부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가 연결되어 조향축의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에는 상기 전동부(M)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는 상기 전동부(M), 압력 센서, 압전 소자부(430) 그리고 탄성 패드(460) 등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2019년도 송원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된 성과를 기초로 이루어진 것임을 밝힌다.(과제 번호 : D-2019-06)
100 : 이동부 200 : 조향부
210 : 스티어링 휠 220 : 조향축
230 : 기어박스 240 : 피니언 기어
250 : 랙 바 260 : 타이 로드
270 : 너클 암 300 : 대파부
400 : 동압 베어링 410 : 베어링 본체
420 : 베이스 430 : 압전 소자부
460 : 탄성 패드 490 : 요홈부
500 : 가압부 510 : 제1가압부
520 : 제2가압부 530 : 제1흡수부
600 : 제2흡수부 800 : 지지대

Claims (5)

  1. 염전에서 생산된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 장치로서,
    전원 공급 장치(BAT)에 의해 차륜(T)을 회전하여 이동되는 이동부(100)와, 상기 이동부(10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소금을 운반하는 대파부(300)와, 상기 이동부(100)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1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부(200)와, 상기 이동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BAT)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부(M)와 상기 전동부(M)와 조향부(200) 그리고 대파부(300)와 차륜(T)을 지지하는 차체(TF)를 포함하며,
    상기 대파부(300)는 염전의 바닥을 긁는 하단부(310)와, 상기 하단부(310) 양 측에 높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측면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200)는 사용자가 작동하는 스티어링 휠(210)과, 상기 스티어링 휠(21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조향축(220)과, 상기 조향축(220)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조향축(220)에 연동되는 피니언 기어(240)와, 상기 피니언 기어(240)에 결합되고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바(250)와, 상기 랙 바(250)에 연동되어 직선 방향으로 전후진 하는 타이 로드(260)와, 상기 타이 로드(260) 끝단에 구비되어 차륜(T)의 방향을 조절하는 너클 암(270)을 포함하며,
    상기 차체(TF)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이 로드(260)가 삽입되는 이동 안내부(700)와, 상기 조향축(220)에 구비되는 동압 베어링(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안내부(700)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서 차체(TF) 일 측에 고정되고, 타이 로드(260)의 전후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타이 로드(260)의 직선 방향 운동을 안내하되,
    차체(TF)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를 지지하는 지지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800)는 상기 차체(TF) 일 측에 고정되는 판체 형상의 지지대 본체(810)와, 상기 지지대 본체(810)에 형성되어 상기 동압 베어링(400)이 구비되는 개방부(820)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820)에 구비된 동압 베어링(400)을 통해 조향축(220)이 관통하며,
    상기 동압 베어링 장치(400)는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부(820) 내부에 구비되며, 조향축(220)이 내부에서 관통하는 베어링 본체(410)와, 상기 베어링 본체(410)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490)와, 상기 요홈부(490)에 구비되는 압전 소자부(430)와, 상기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 하며 상기 조향축(220)에 접하는 탄성 패드(4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 내부에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요홈부(490)의 바닥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베이스(420)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420)에 상기 압전 소자부(4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420)를 통해 전원 공급 배선이 상기 압전 소자부(430)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부(430)의 끝단에 가압부(500)가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압전 소자부(430)에 의해 전후진하여 상기 탄성 패드(460)의 압력을 조절하며,
    상기 요홈부(490) 내부에 지지 디스크(470)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지지 디스크(470)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500)가 관통하며,
    상기 탄성 패드(460)는 압축성 유체가 충진되는 탄성 패드 본체(461)와, 상기 탄성 패드 본체(461) 양 측에 돌출되는 돌출 돌기(462)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490)의 내부 양 측에 장착홈(491)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 돌기(462)가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500)는 상기 탄성 패드(460) 방향 측면에 배치되는 제1가압부(510)와, 상기 제1가압부(510)에서 압전 소자부(430)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가압부(520)와, 상기 제1가압부(510) 및 제2가압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흡수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부(510)는 상기 탄성 패드(460)에 접하는 제1가압부 본체(5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압부 본체(511) 중 제2가압부(52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1평탄부(5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탄부(5111)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1요홈부(5112)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1단턱부(5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턱부(5113)의 반경 방향 외측에 제2가압부(520) 방향으로 돌출되어 단턱을 이루는 제2단턱부(5114)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부(520)는 상기 제2단턱부(5114)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턱부(5113)에 접하는 제2가압부 본체(521)를 포함하되, 상기 제2가압부 본체(521) 중 제1가압부(510) 방향 측면의 중앙 일부에는 제2평탄부(5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평탄부(5211)에 특정 곡률로 요홈되는 제2요홈부(52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평탄부(5111)와 제2평탄부(5211) 사이에 상기 제1흡수부(530)가 배치되며,
    상기 제1흡수부(530)는 다수 개의 탄성볼(531)과, 상기 탄성볼(531)이 삽입되는 링 형상의 홀더(532)와, 상기 홀더(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바아(5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볼(531)은 상기 제1요홈부(5112) 및 제2요홈부(5211)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 대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아(533)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540)가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540)와 연결 바아(533) 사이에는 탄성 연결부(550)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제2흡수부(600)가 배치되어 제1평탄부(5111) 및 제2평탄부(5211)에 각각 접하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특정 방향으로 감겨지는 나선 형상을 가지고, 동일 형상이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상부 흡수부(600A) 및 제2하부 흡수부(60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흡수부(600A)와 제2하부 흡수부(600B)는 대칭 형상을 가져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흡수부(600)는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부(61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는 제11고정 바아(61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12고정 바아(612)와,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와 제12고정 바아(612) 사이에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탄성 바아(6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부(620)는 제1평탄부(5111) 또는 제2평탄부(5211)에 고정되고 상기 제11고정 바아(611)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제21고정 바아(621)와, 상기 베이스(540)에 고정되는 제22고정 바아(622)와, 상기 제21고정 바아(621)와 제22고정 바아(622) 사이에 나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제2탄성 바아(6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탄성 바아(613)는 제2탄성 바아(623)와 동일 방향으로 감겨지고 제1탄성 바아(613)의 나선 내부에 제2탄성 바아(623)가 배치되고,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의 일측 단부는 제1평탄부(5111)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제2평탄부(5112)에 고정되며,
    상기 제2흡수부(600) 중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2고정 바아(612A) 및 제22고정 바아(622A)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상면에 고정되고,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2고정 바아(612B) 및 제22고정 바아(621B)의 일측 단부는 베이스(540)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54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상부 흡수부(600A)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 이동 그루브(542)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0)의 저면에는 상기 제2하부 흡수부(600B)의 제11고정 바아(611A) 및 제21고정 바아(621A)가 이동하기 위한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되, 상기 제11고정 바아(611B) 및 제21고정 바아(621B)가 이동하여 제1나선부(610)와 제2나선부(62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이동 그루브(543)가 형성되는 전동 대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 연결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 연결부(630)는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631)과,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판(631)과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고정판(632)과, 상기 제1고정판(631)과 제2고정판(63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볼(6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판(631)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1 탄성 바아(6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 본체(6311)와 상기 제1고정판 본체(6311) 중 제2고정판(632)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12)와, 상기 요홈부(631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1고정판 본체(631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1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판(632)은 판체 형상을 가져 상기 제2 탄성 바아(623)에 고정되는 제2고정판 본체(6321)와 상기 제2고정판 본체(6321) 중 제1고정판(631) 방향 측면에 형성되고 일정 곡률로 요홈되는 다수 개의 요홈부(6322)와, 상기 요홈부(6322) 내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제2고정판 본체(6321)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며 요홈부(6322)의 바닥에서 특정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탄성볼(633)이 내부에 삽입되는 홀더(63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흡수부(600)의 제1 탄성 바아(613)와 제2 탄성 바아(623)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 연결부(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동일 형상이고 상호 대칭인 제2흡수부 좌측부(600A)와 제2흡수부 우측부(6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 연결부(640)는 제1나선부(610)의 제1탄성 바아(613)에서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 바아(641)와, 상기 제1연결 바아(641)에서 제1나선부(6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나선부(6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지지부(612)와, 상기 제2나선부(620)의 제2탄성 바아(623)에서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 바아(643)와, 상기 제2연결 바아(643)에서 제2나선부(6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지지부(612)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1나선부(61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지지부(644)와, 제1지지부(642) 및 제2지지부(644)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부(645)를 포함하는 전동 대파 장치.
KR1020190141631A 2019-11-07 2019-11-07 전동 대파 장치 KR10220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31A KR102209677B1 (ko) 2019-11-07 2019-11-07 전동 대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631A KR102209677B1 (ko) 2019-11-07 2019-11-07 전동 대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677B1 true KR102209677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631A KR102209677B1 (ko) 2019-11-07 2019-11-07 전동 대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67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136A (ja) * 2003-08-29 2005-03-24 Tokai Rubber Ind Ltd ステアリング用制振装置
JP2005170199A (ja) * 2003-12-10 2005-06-30 Kubota Corp 乗用田植機のステアリング構造
JP2006224963A (ja) * 2006-03-27 2006-08-31 Kubota Corp 乗用型作業車
JP2009115131A (ja) * 2007-11-02 2009-05-28 Nachi Fujikoshi Corp 動圧軸受及びラジアル動圧軸受を用いたスピンドル装置
KR20100022352A (ko) * 2008-08-19 2010-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의 댐퍼시스템
KR20100113182A (ko) * 2009-04-12 2010-10-21 서정수 태양전지를 이용한 해안가 작업차량
KR20130114488A (ko) * 2012-04-09 2013-10-17 추민구 천일염 채취기
KR20150119747A (ko) * 2014-04-16 2015-10-26 정종덕 염전용 친환경 채염장치
KR20160015466A (ko)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영백염전 천일염 채취용 친환경 전동대파
KR20170101637A (ko) 2016-02-29 2017-09-06 김영식 염전용 채염 전동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136A (ja) * 2003-08-29 2005-03-24 Tokai Rubber Ind Ltd ステアリング用制振装置
JP2005170199A (ja) * 2003-12-10 2005-06-30 Kubota Corp 乗用田植機のステアリング構造
JP2006224963A (ja) * 2006-03-27 2006-08-31 Kubota Corp 乗用型作業車
JP2009115131A (ja) * 2007-11-02 2009-05-28 Nachi Fujikoshi Corp 動圧軸受及びラジアル動圧軸受を用いたスピンドル装置
KR20100022352A (ko) * 2008-08-19 2010-03-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칼럼의 댐퍼시스템
KR20100113182A (ko) * 2009-04-12 2010-10-21 서정수 태양전지를 이용한 해안가 작업차량
KR20130114488A (ko) * 2012-04-09 2013-10-17 추민구 천일염 채취기
KR20150119747A (ko) * 2014-04-16 2015-10-26 정종덕 염전용 친환경 채염장치
KR20160015466A (ko)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영백염전 천일염 채취용 친환경 전동대파
KR20170101637A (ko) 2016-02-29 2017-09-06 김영식 염전용 채염 전동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23772A (ja) ラック軸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CN205951757U (zh) 座椅滑动装置
CN109890561A (zh) 刀具主轴及包括其的机床
JP2010214543A (ja) ワーク把持装置
JP5401693B2 (ja) 中ぐり加工装置
KR102209677B1 (ko) 전동 대파 장치
CN112497167A (zh) 一种机械设备加工装配平台
US7870808B2 (en) Flexible actuator and joint-driving unit using the same
CN101522383B (zh) 划线装置及划线方法
JP2011122650A (ja) ボールねじ装置
CN211192949U (zh) 一种轴承车削加工设备
JP5533554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9435453A (zh) 间歇轮转印刷机保持材料张力稳定的装置
US7438210B2 (en) Ultrasonic welder having motor drive assembly integrated with transducer housing
CN209520443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自动磨齿机
CN106975938B (zh) 无冲击滚珠丝杠辅助支撑装置
JP5394831B2 (ja) ボールねじ式駆動装置
JP3198533B2 (ja) 機械式プレス
CN209021729U (zh) 夹持装置
CN210310627U (zh) 一种底盘
CN209365617U (zh) 间歇轮转印刷机保持材料张力稳定的装置
JP2007152460A (ja) 研削装置
KR101640749B1 (ko)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CN210912880U (zh) 一种具有减震机构的无人机地形测量装置
WO2017164421A1 (ja)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