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749B1 -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749B1
KR101640749B1 KR1020160026636A KR20160026636A KR101640749B1 KR 101640749 B1 KR101640749 B1 KR 101640749B1 KR 1020160026636 A KR1020160026636 A KR 1020160026636A KR 20160026636 A KR20160026636 A KR 20160026636A KR 101640749 B1 KR101640749 B1 KR 101640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guide
frame
movable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에스엠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16002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Abstract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동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Mobile module and contac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모터를 이용하여 대상물과 접촉되는 컨택부가 횡방향으로 전후방 이동 및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한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모듈이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카메라 모듈, 자이로 센서, 조도 센서 등의 센서 모듈 등을 의미하며, 모바일 기기 및 가전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모바일 모듈 컨택 장치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모바일 모듈 컨택 장치는 모바일 모듈(D)을 지지하는 고정베이스(20), 고정베이스(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모바일 모듈을 함께 고정하는 이동 베이스(10) 및 베이스 프레임(20)과 이동베이스(10) 사이에 위치하며 이동베이스(10)의 일측 단부가 고정베이스(20)의 대응되는 일측 단부에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복원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베이스(10)가 회전을 하여 모바일 모듈 컨택 장치는 열림 상태가 되며, 모바일 모듈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킨 후 복원부재(30)에 의해서 이동베이스(10)가 모바일 모듈을 가압시켜 고정한다. 고정된 모바일 모듈은 모바일 모듈 컨택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따로 구비된 신호송출모듈로부터 신호를 송신 받아 테스트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모바일 모듈을 컨택 장치 내부로 삽입과 배출을 통한 반복에 있어서 자동화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모바일 모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서 해당하는 모바일 모듈 컨택 장치가 필요하였고, 그에 따라 모바일 모듈 컨택 장치의 교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바일 모듈을 컨택 하는 부분이 회전운동을 하여 모바일 모듈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에어실린더 장치에 필요한 장치들이 많기 때문에 소형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에어실린더식은 대형 장치에 적합하며, 이를 모듈화하여 소형으로 구성하기에는 에어실린더 장치에 필요한 장치들의 크기 역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횡방향 이동 및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대상물과 결합시 대상물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에어실린더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소형화된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상기 이동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모터를 안착시키도록 함몰형성되는 제1모터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제1안내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제1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제1슬라이딩 가이드와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사이에 개재되는 제1슬라이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터 안착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상기 제1 모터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모터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모터 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모터 고정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축 지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2모터가 삽입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제2모터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터 안착부는 상기 제2모터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단자부가 간섭없이 삽입배치되도록 절개된 절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지지부재는 제2안내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제2안내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제2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패널에 고정설치되는 제2피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제2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피슬라이딩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제2슬라이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축이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된 축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나사산과 접하는 좌우한쌍의 안내용 제1베어링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베어링배치홈을 함몰형성한 안내브라켓을 갖추어 제1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축의 나사산과 접하는 일정길이의 접촉봉을 갖는 안내브라켓을 갖추어 제1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배치되는 원형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안내용 제2베어링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베어링배치홈을 함몰형성한 상부이동판을 갖추어 상기 제2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지지부재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일자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이동판은 상기 원형공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개되는 조절용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용 슬릿의 틈새간격을 좁히거나 원복시킬 수 있도록 좌우한쌍의 절개홈에 관통형성된 조절공에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하는 하부면에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안내부가 배치되는 제1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패널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2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안내부가 배치되는 제2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바일 모듈의 상기 이동 지지부재와 더불어 상하이동되는 가이드 패널에 결합되어 소정의 대상물과 접하여 가압하는 컨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택부는 상기 이동 지지부재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정의 대상물을 가압할 때, 상기 소정의 대상물과 결합하도록 하부면에 대상물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하강되는 컨택부와 지그상에 올려진 대상물간의 접촉시 상기 컨택부의 전,후진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모터의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제1모터가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 위에 제2모터가 배치된 이동 프레임을 베이스 프레임에 수평이동가능하게 갖추어 제1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이동프레임과 더불어 가이드 패널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된 이동지지부재와 결합된 가이드 패널을 이동 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갖추어 제2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가이드 패널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어 가이드 패널에 장착되는 컨택부의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가압식 컨택부에 의한 대상물의 손상없이 검사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2) 제1모터와 제2모터가 베이스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에 내부배치됨으로써 모바일 모듈의 전체적인 부피 및 크기를 줄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에서 이동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이 서로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에서 접촉봉을 적용한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에서 컨택부의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8a 와 도 8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에 채용되는 제1,2안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에 구비되는 컨택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장치에서 이동 지지 부재의 다른 형태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이하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대상물과 결합하는 컨택부가 형성된 측을 "전방"이라 정의하며, 컨택부의 반대편 측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한편, 모바일 모듈을 구비한 컨택 장치는 모바일 모듈을 모두 포함하는 구성이므로 별도의 도면을 구성하여 모바일 모듈을 설명하지 않고, 모바일 모듈을 구비한 컨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을 이용하여 모바일 모듈을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므로 각각 구성요소의 사시도는 도 3을 통하여 설명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별도의 사시도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2a 와 도 2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을 구비한 컨택 장치는 예를 들어, 모바일 모듈 내지 회로 기판(이하 "대상물"이라 한다)을 점등검사 또는 검사하기 위하여 대상물을 가압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은 베이스 프레임(110), 제1모터(120), 이동 프레임(130), 제2모터(140), 이동지지부재(150) 및 컨택부(19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100)을 구비하는 컨택 장치(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이동 프레임(130)의 횡방향(도면상 수평방향)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100)을 구비하는 컨택 장치(200)의 용도 및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면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조물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제1모터(120)를 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모터 안착부(112)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1모터 안착부(112)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베이스판(112a) 및 베이스판(112a)의 양측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단벽(112b)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단벽(112b)의 상단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판(112a)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날개판(112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요홈 형상으로 함몰형성된 제1모터 안착부(112)에 제1모터(120)를 안착시켜 위치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100)을 구비한 컨택 장치(200)의 전체 높이를 낮추어 전체 크기 및 부피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날개판(112c) 일측 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측벽(112d)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112d)은 서로 마주하도록 한쌍으로 형성되어 제 1 회전축(12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112d)은 날개판(112c)의 외측 단부에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측벽의 일단부는 연결판(112e)을 매개로 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판(112e)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모터 안착부(112)는 베이스판(112a) 및 측단벽(112b)의 길이를 날개판(112c)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모터 베이스에 안착되는 제1모터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112f)를 형성함에 따라, 이러한 절개부(112f)를 형성하지 않은 것과 비교할 때 베이스 프레임(110)의 무게를 줄여 모바일 모듈(100)을 구비한 컨택 장치(2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제1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모터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 안착부(112)는 상기 절개부(112f)에 위치하여 노출되는 제1모터(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판(112a)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모터 고정부재(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모터 고정부재(114)는 대략 “ㄴ”자 단면을 갖도록 절곡 형성된 판재로 구비되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제1절곡판(114a)은 제1모터(120)의 하우징과 결합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제2절곡판(114b)은 베이스판(112a)상에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됨으로써 제1모터(120)가 절개부(112f)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모터(120)의 구동축인 제1회전축(122)과 마주하는 베이스판(112a)의 일측에는 상기 제1회전축(122)과 대응하는 제1수용공(116a)을 관통형성한 제1회전축 지지부재(1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 지지부재(116)는 베이스판(112a)의 전방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되는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회전축 지지부재(116)의 제1수용공(116a)과 마주하는 제1절곡판(114a)에는 상기 제1회전축(122)을 통과하는 제2수용공(114c)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제1,2수용공(114c,116a)은 제1회전축(122)의 직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관통공으로 형성하여 제1회전축(12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내경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2수용공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지지하는 제1회전축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모터(140)를 수용하며 제1모터(120)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제2모터(120)와 더불어 횡방향인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130)은 프레임 본체(131)의 상부면에 상기 제2모터(140)가 상부로부터 하부로 하향 삽입배치되도록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제 2모터 안착부(13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모터 안착부(132)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바닥면이 밀폐된 일정깊이의 원통형 안착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상기 이동지지부재(150)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할 수 있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140)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 1모터(120)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목적으로 하는 위치까지 근접하도록 횡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제2모터 안착부(132)는 상기 제2모터(140)의 하우징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외부전원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간섭없이 삽입배치되도록 절개된 절개홈(132a)을 포함하며, 상기 제2모터 안착부(13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모터(140)의 하부면을 외부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개구부(132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모터 안착부(132)는 상기 제2모터(140)의 하우징 외경과 대략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방진재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제2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미세진동을 흡수하고, 제2모터(1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모터(140)의 하우징 하부면은 상기 제2모터 안착부(132)의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제2모터(140)를 고정하는 제2모터 고정부재(13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모터 고정부재(136)는 강성을 갖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크기를 최소화하도록 마름모의 형상의 판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모터 고정부재(136)는 상기 이동지지부재(150)와 결합되는 제2회전축(142)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대략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제2모터(140)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며, 이러한 제2모터 고정부재의 양단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결합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체결공(136b)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모터(140)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체결부재로서 양단이 조립되는 제2모터 고정부재(136)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모터 안착부(132)에 삽입배치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130)과 일체로 조립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모터 고정부재(136)는 상기 제2모터의 제 2 회전축(142)을 더 안정적으로 회전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회전축 보강용 지지링(137)을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축 보강용 지지링(137)은 제2모터 고정부재(136)상에 배치되며, 복수 개로 적층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축 보강용 지지링(137)의 내주면의 직경은 제2회전축(142)의 직경에 맞게 형성되며, 내주면의 직경은 제2회전축(142)의 회전에 마찰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 지지링(137)은 다층으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면에는 마름모 형상인 제2모터 고정부재(136) 장축의 양단부 측을 각각 상기 프레임본체(131)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홀(136a)이 형성될수 있으며, 상하이동되는 이동지지부재(150)의 하부면과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상기 프레임본체(131)의 일측면에 상기 제2모터(140)의 제2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제2단차부(134)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제2단차부(134)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과 가이드 패널(170)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프레임에 대한 가이드 패널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2안내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상기 프레임본체(131)의 하부면에 상기 제1모터(120)의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제1단차부(133)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제1단차부(133)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과 베이스 프레임(110)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이동 프레임(130)의 휭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안내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지지 부재
상기 이동 지지부재(150)는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동 프레임(130)에 안착되는 제2모터(140)의 제2회전축(14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패널(170) 및 컨택부(190)와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 지지부재(150)는 중앙에 원형공(152)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원형공의 주변에 안내용 제2베어링(154)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베어링배치홈(153)을 함몰형성한 대략 사각판상의 상부이동판(15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용 제2워웜(154)은 상기 제2모터(140)의 제2회전축(142)의 단부에 결합되고, 나사산이 외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공(152)에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연결부재(145)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일정길이의 스크류축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145)의 단부에는 제품 검사 중 고장이나 정전으로 인해 테스트를 못 할 경우를 대비하여 도구나 손으로 풀 수 있도록 일정 형상, 예를 들어 일자형의 홈(145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145)의 단부에 형성된 홈의 형태를 일자형으로 예시하였으나, 드라이버나 육각렌치 기타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된 형태라면, 홈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홈이 아닌 돌출부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지지부재(150)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제2모터(140)의 회전구동시 상기 이동 지지부재(150)의 상부이동판(151)에 구비되는 안내용 제2베어링(154)과 상기 제 2 회전축의 연결부재(145)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 지지 부재(150)의 상부이동판(151)과 결합되어 이와 더불어 상기 이동프레임(130)에 대하여 상하이동되는 가이드 패널(170)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대략 사각판상의 수직벽체(171)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양측 모서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수직벽체의 양측 단으로부터 상기 이동 프레임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는 한쌍의 안내벽체(172)를 갖추어 상기 이동 지지 부재(150)의 상부이동판과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 패널(170)의 수직벽체 또는 안내벽체는 상기 이동 지지 부재와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이러한 가이드 패널(170)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제2안내부(180)를 매개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모터(140)의 회전구동력에 의한 이동 지지 부재(150)의 상하이동시 상기 가이드 패널(17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 지지 부재(150)와 더불어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 지지 부재(150)의 상부 이동판(151)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형공(152)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개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조절용 슬릿(158)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용 슬릿(158)의 틈새간격을 좁히거나 원복시킬 수 있도록 좌우한쌍의 절개홈(157)에 관통형성된 조절공(157a)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절개홈에 구비되는 너트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절용 나사부재의 체결력에 의해서 상기 조절용 슬릿의 틈새간격을 좁히거나 넓힘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부와 안내용 제2베어링간의 나사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에 의한 이동 지지부재의 상하왕복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횡방향 이동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횡방향 이동은 도 8a 와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과 이동 프레임(130) 사이에 개재되는 제1안내부(16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안내부(160)는 도 8a 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는 제1슬라이딩 가이드(161)와, 상기 이동프레임(130)에 고정설치되는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162) 및 상기 제1슬라이딩 가이드(161)와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162)사이에 개재되어 미끄럼역활을 수행하는 제1슬라이딩판(16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슬라이딩 가이드(16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제1모터 안착부(112)에 형성되는 날개판(112c)에 수평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162)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제1단차부(133)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대략 사각단면상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딩판(163)은 서로 인접하여 나란한 제1슬라이딩 가이드와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사이에 개재되는 일정길이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슬라이딩 가이드(161)와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162)의 일측면에는 안내홈(161a,162a)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슬라이딩판(163)의 양측면에는 서로 마주하는 안내홈(161a,162a)에 대응결합되어 슬라이딩 레일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안내턱(163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턱(163a)은 상기 제1슬라이딩 가이드(161)와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162)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슬라이딩판(163)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슬라이딩판(163)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모터(120)의 제1회전축(122)은 이동 프레임(130)의 횡방향 이동을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된 일정길이의 스크류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과 대응하는 이동프레임(130)의 하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122)이 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된 축홈(135a)을 구비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나사산과 접하는 좌우한쌍의 안내용 제1베어링(138)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베어링배치홈(135b)을 함몰형성한 안내브라켓(135)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모터(120)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제1회전축(12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안내브라켓(135)의 베어링배치홈(135b)에 배치된 안내용 제1베어링(138)이 상기 제1회전축의 외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브라켓(135)은 상기 제1회전축을 따라 직선이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모터(120)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제1회전축(122)이 회전되면, 제1회전축의 나사산과 외접하는 안내용 제1베어링에 의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안내브라켓과 결합된 이동프레임(130)은 제1안내부(160)에 의해서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이동량은 상기 제1회전축이 회전량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내브라켓과 결합된 이동프레임(130)의 횡방향 이동은 제1회전축(122)의 나사산과 외접하는 안내용 제1베어링(138)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브라켓(135a)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1회전축(122)의 나사산에 접하는 일정길이 접촉봉(135c)에 의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안내브라켓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 방향 이동
상기 이동 지지부재(150)의 상하 이동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터의 회전구동력과 상기 이동프레임(130)과 가이드 패널(170) 사이에 개재되는 제2안내부(18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안내부(180)는 제1안내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프레임(130)에 고정설치되는 제2슬라이딩 가이드(181)와, 상기 가이드 패널(170)에 고정설치되는 제2피슬라이딩 가이드(182) 및 상기 제2슬라이딩 가이드(181)와 제2피슬라이딩 가이드(182)사이에 개재되어 미끄럼역활을 수행하는 제2슬라이딩판(183)을 포함한다.
상기 제2슬라이딩 가이드(181)는 상기 가이드 패널(170)과 마주하는 이동프레임의 일측면 좌우양측에 형성되는 제2단차부(134)에 수직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피슬라이딩 가이드(182)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내측면 양측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대략 사각단면상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슬라이딩판(183)은 제1슬라이딩판과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여 나란한 제 2 슬라이딩 가이드와 제 2 피슬라이딩 가이드사이에 개재되어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가이드(181)와 제2피슬라이딩 가이드(182)의 일측면에는 안내홈(181a,182a)을 각각 형성하고, 서로 마주하는 안내홈(161a,162a)에 대응결합되어 슬라이딩 레일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턱(183a)을 돌출형성한 일정길이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모터(140)의 제2회전축과 연결된 연결부재(145)는 상기 이동 지지부재의 상부이동판에 구비되는 안내용 제2워웜(155)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이동 지지 부재(150)는 제2안내부를 매개로 하여 상하 이동가능한 가이드 패널(170)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모터(140)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제2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이동판(151)의 제2베어링배치홈(153)에 배치된 안내용 제2베어링(154)이 상기 연결부재의 외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이동판(151)은 상기 연결부재를 따라 직선이동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모터(140)의 회전구동력에 의해서 연결부재(145)가 회전되면, 연결부재의 나사산과 외접하는 안내용 제2베어링에 의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동 지지 부재(150)와 결합된 가이드 패널은 제2안내부(180)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이동량은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량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모바일 모듈 컨택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100)은 도 2a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지지부재(150)와 결합되는 가이드 패널(170)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는 컨택부(19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100)에 컨택부(190)가 결합되어 컨택 장치(2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택부(19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모듈과 같은 대상물과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컨택부(190)를 통하여 대상물의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택부(190)는 검사를 하는 대상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단에 함몰형성된 장착홈에는 컨택부(190)를 나사 결합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택부(190)는 집게식이 아닌 대상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가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모듈(100)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200)는 대상물을 향하여 횡방향 이동 및 상하 방향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컨택부(190)가 대상물을 가압함으로써 대상물(D)과 접촉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택 장치(200)가 대상물(D)에 근접하여 컨택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10a와 같이 상기 컨택부(190)는 고정지그(미도시)상에 올려진 대상물(D)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 지지 부재와 더불어 상승대기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은 고정지그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 10b와 같이 상기 제1모터의 정방향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이동프레임과 더불어 이동 지지부재, 가이드 패널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 패널에 고정설치된 컨택부가 고정지그측으로 전진이동된다.
이때, 상기 컨택부의 전진이동은 상기 고정지그의 대상물과 상기 컨택부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될 때 상기 제1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신호에 의해서 중단된다.
그리고 도 10c와 같이, 상기 컨택부가 고정지그의 대상물 직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가 구동하게 되면 제2모터의 정방향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승대기하고 있던 이동 지지 부재는 가이드 패널과 더불어 직하부로 하강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단에 구비된 컨택부(190)는 하강하여 대상물과 접해지기 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직하부로 하강되는 컨택부와 고정지그상에 올려진 대상물간의 접촉시에는 상기 콘택부에 형성된 대상물 결합 홈(190a)에 대상물(D)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콘택부의 미세한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모터(120)의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상물 결합 홈(190a)에는 면취(chamfer) 가공을 통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이동프레임의 미세한 이동시 대상물(D)이 손상을 입지 않고 결합되도록 상기 대상물 결합홈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대상물 결합 홈(190a)의 크기는 대상물(D)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0d 는 상기 컨택부(190)와 대상물(D)간의 접촉후 이들이 서로 분리되어 원상태로 복귀하는 작동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2모터(140)의 역방향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이동 지지부재(150)를 상승복귀시킴으로써 상승복귀되는 가이드 패널과 결합된 컨택부를 대상물의 직상부로 상승이동시켜 분리 이격시킨다.
이어서, 제1모터(120)의 역방향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을 대상물이 올려진 고정지그로부터 멀어지도록 후진복귀시킴으로써 상승복귀된 컨택부를 초기 작업대기상태가 되도록 원상태로 복귀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택부(190)가 대상물(D)에 접하여 결합하는 순서가 위에서 서술한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 환경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순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모듈이 모바일 모듈 컨택 장치를 구성하는 일부로 예시되었으나, 모바일 모듈이 적용될 수 있는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횡방향 이동 및 상하 방향 이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라면 어떠한 장치 또는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D: 대상물 10: 이동 베이스
20: 고정 베이스 30: 복원 부재
100: 모바일 모듈 110: 베이스 프레임
112: 제1모터 안착부 112a: 베이스판
112b: 측단벽 112c: 날개판
112d: 측벽 112e: 절개부
114: 제1모터 고정부재 116: 제1회전축 지지부재
116a: 제1수용공 120: 제1모터
122: 제1회전축 130: 이동 프레임
131: 프레임 본체 132 : 제2모터안착부
133: 제1단차부 134: 제2단차부
135 : 안내브라켓 135a : 축홈
135b: 제1베어링배치홈 136: 제2모터 고정부재
137: 제2회전축 보강용 지지링 138: 안내용 제1베어링
140: 제2모터 142: 제2회전축
145: 연결부재 150: 이동 지지부재
151: 상부이동판 152 : 원형공
153 : 제2베어링배치홈 154 : 안내용 제2베어링
161,181 : 제1,2슬라이딩 가이드 160,180: 제1,2안내부
162,182 : 제1,2피슬라이딩 가이드 163,183 : 제1,2슬라이딩판
163a,183a : 안내턱 170: 가이드 패널
171 : 수직벽체 172 : 안내벽체
190 : 컨택부 200 : 컨택 장치

Claims (20)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회전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 및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이동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모터를 안착시키도록 함몰형성되는 제1모터 안착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제1안내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을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제1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제1슬라이딩 가이드와 제1피슬라이딩 가이드사이에 개재되는 제1슬라이딩판을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 안착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상기 제1 모터가 위치되는 모바일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제1모터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모터 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모터 고정부재가 제공되는 모바일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축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모바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2모터가 삽입배치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제2모터 안착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 안착부는 상기 제2모터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단자부가 간섭없이 삽입배치되도록 절개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제2안내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패널과 결합되고,
    상기 제2안내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제2슬라이딩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패널에 고정설치되는 제2피슬라이딩 가이드 및 상기 제2슬라이딩 가이드와 제2피슬라이딩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는 제2슬라이딩판을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축의 나사산과 접하는 좌우한쌍의 안내용 제1베어링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베어링배치홈을 함몰형성한 안내브라켓을 갖추어 제1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는 모바일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제1회전축의 나사산과 접하는 일정길이의 접촉봉을 갖는 안내브라켓을 갖추어 제1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이 이동하는 모바일 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배치되는 원형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안내용 제2베어링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베어링배치홈을 함몰형성한 상부이동판을 갖추어 상기 제2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동 지지부재가 이동하는 모바일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에는 일자형 홈이 형성되는 모바일 모듈.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동판은 상기 원형공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절개되는 조절용 슬릿을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용 슬릿의 틈새간격을 좁히거나 원복시킬 수 있도록 좌우한쌍의 절개홈에 관통형성된 조절공에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마주하는 하부면에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안내부가 배치되는 제1단차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패널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2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안내부가 배치되는 제2단차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모듈.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바일 모듈 및
    상기 모바일 모듈의 상기 이동 지지부재와 더불어 상하이동되는 가이드 패널에 결합되어 소정의 대상물과 접하여 가압하는 컨택부를 포함하는 컨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는 상기 이동 지지부재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소정의 대상물을 가압할 때, 상기 소정의 대상물과 결합하도록 하부면에 대상물 결합 홈이 형성되는 컨택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하강되는 컨택부와 지그상에 올려진 대상물간의 접촉시 상기 컨택부의 전,후진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모터의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 장치.
KR1020160026636A 2016-03-04 2016-03-04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KR10164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636A KR101640749B1 (ko) 2016-03-04 2016-03-04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636A KR101640749B1 (ko) 2016-03-04 2016-03-04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749B1 true KR101640749B1 (ko) 2016-07-19

Family

ID=5661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636A KR101640749B1 (ko) 2016-03-04 2016-03-04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647B1 (ko) * 2019-07-23 2019-09-20 주식회사 가이던트 케이블 도체 전달특성 측정용 치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1722A (ja) * 1995-02-23 1999-02-09 イーソッ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自動テスト装置のテストヘッド用マニピュレータ
JP2001153923A (ja) * 1999-11-30 2001-06-08 Nec Machinery Corp Ic試験装置
KR20050052553A (ko) * 2003-11-28 2005-06-03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이동통신기 테스트 시스템
KR101103988B1 (ko) * 2006-09-26 2012-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 중장비 구조물의 회전체 틈새 조정 및 이물질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1722A (ja) * 1995-02-23 1999-02-09 イーソッ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自動テスト装置のテストヘッド用マニピュレータ
JP2001153923A (ja) * 1999-11-30 2001-06-08 Nec Machinery Corp Ic試験装置
KR20050052553A (ko) * 2003-11-28 2005-06-03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이동통신기 테스트 시스템
KR101103988B1 (ko) * 2006-09-26 2012-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건설 중장비 구조물의 회전체 틈새 조정 및 이물질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647B1 (ko) * 2019-07-23 2019-09-20 주식회사 가이던트 케이블 도체 전달특성 측정용 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0871B2 (ja) 自動車用シート調整機構のギアケース
US20140138971A1 (en) Clamping mechanism
US11959581B2 (en) Quick connection mechanism
JP2013097381A (ja) 外付けレンズの装着構造及び携帯式電子装置
KR20080072816A (ko) 클램핑 장치
US1089317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tractable camera module
JP2007513005A5 (ko)
JPWO2007046436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10465841B1 (en) Apparatus to expose and allow retraction of a module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640749B1 (ko)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US9653675B2 (en) Driving apparatus, lens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imaging apparatus
KR101161524B1 (ko) 틸트 스테이지
EP3770366B1 (en) Adjusting base for door closer
CN107795815B (zh) 显示面板支架
KR101845920B1 (ko) 드릴링 머신
US10199960B2 (en) Vibration wave motor
CN1252506C (zh) 颤动校正装置以及具有颤动校正功能的光学装置
US11383273B2 (en) Piezo motor
CN111016173A (zh) 一种直线驱动模组及3d打印机
JP2007098522A (ja) 支持器具
KR101689505B1 (ko) 스테이지 장치
KR101691207B1 (ko) 운동변환장치 및 이를 갖는 모바일 모듈
KR20170021141A (ko) 모바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택 장치
KR100273707B1 (ko) 렌즈마운트 구동장치
JP6334015B1 (ja) 線形伝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